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문화산업의 네트워크 분석 :

        김의준(Kim Eui June),권영현(Kwon Young Hyu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2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4 No.3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twork of local cultural industry in Korea using an unit root from Input-output table. The data source is from Korean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of 2005, and it is applied to 7 Economic Regions in Korea including Seoul, Kangwon, Chungchong, Jolla, North Gyeongsang, South Gyeongsang and Jeju. The framework of analysis is Social Network Analysis which enables to find out the structure of key industry and lin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7 Economic Regions by assessing the degree centrality and network density. On account of much higher level of in degree centrality than out degree centrality, the growth of cultural industry is able to lead production activity of other industries. The network density of cultural industry reveals thicker than other industries due to advantages to create additional job opportunity and bring a cooperation between other industries. The Seoul Economic Region has the highest value of out degree centrality and of network density that means the Region occupies the highest and the most powerful hierarchy in local cultural industry of Korea. This outcome agrees with the result of structural equivalence via profile similarity in local cultural industry of Korea. On the other side, Jeju Economic Region has the least value of out degree centrality and of network density which implies weak connections between other industries and the 7 Economic Regions.

      • 서울 IT산업의 공간적 집적경제 효과 추정

        김의준 ( Eui June Kim ),이성수 ( Sung Soo Lee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6 재정논집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하여 서울시 IT산업의 집적경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서울시 IT기업 생산액 간에는 공간적인 연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ans` I와 Geary`s C 검증을 통하여 IT기업생산액 간에 상호간 정(+)적이고 유사한 자기상관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는 IT산업집적경제를 분석함에 있어 선형회귀모형보다 공간회귀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공간적인 집적의 한계 범위는 1000m-1100m로 가정할 경우 IT산업의 공간적인 집적 효과는 1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IT산업의 공간종속성이 존재하여 집적경제가 발생한 지역은 회현동, 을지로, 소공동 등을 포함하는 중구와 종로구 일대, 역삼동, 논현동을 포함하는 테헤란로 주변과 삼성동 등 강남구 일대 및 공덕동, 염리동 및 대흥동을 포함하는 마포구 일대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an analysis of agglomeration economies of IT industries of Seoul, using spatial econometric models. It finds positive spatial dependences in terms of outputs of IT industries from tests of Morans` I and Geary`s C. In addition, the agglomeration economies could induce an increase of outputs by 17% if spatial distance of the threshold is assumed to be 1000m~1100m.

      • KCI등재

        사회간접자본 시설에 대한 민자유치 적정규모 추정에 관한 연구

        김의준 (Eui June Kim) 한국정책학회 1995 韓國政策學會報 Vol.4 No.1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제부문간 연계성을 고려하여 사회간접자본 시설의 민자유치 총량규모를 추정하였다. 추정방법으로 연산일반균형모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을 구축하였으며, 연구의 분석대상기간은 1993∼1997년 5년간으로 설정하였다. 이논문의 사회간접자본 시설범위에는 도로(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포함), 철도(도시철도), 항만, 공항, 수자원(상하수도 포함) 등으로 국한하였다. 지난 5년간 사회간접자본 투자규모가 국내총생산대비 5%를 유지하지 못함으로써 사회간접자본 부족에 따른 우리나라의 경제적 손실은 약 38조 7,200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연평균 7% 경제성장하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수요는 동기간 국내총생산 1,263조 8,400억 원의 4.48%인 56조 6,420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즉, 우리나라의 경제규모에 적정한 수준까지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확충하기 위해서는 현재 계획규모 44조 8,198억 원(국내총생산대비 3.55%, 1990년 불변가격 기준) 외에 11조 8,222억 원의 사회간접자본 투자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만일 사회간접자본 투자부족분을 민자유치로 추진할 경우, 적정 투자수요와 현재 계획규모 간의 차이인 5년간 국내총생산의 0.93%는 결국 민자유치 규모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준에 의거하여 1995년 국내총생산 전망치가 330조원일 경우, 기성고 기준의 민자유치 사업규모는 3조 690억 원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민자사업의 건설기간이 평균 5년임을 감안하면, 1995년 민자사업의 투자상한선은 15조 3,450억 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민자유치에 따른 건설투자규모가 국민총생산대비 1% 정도 매년 추가적으로 증가할 경우, 국내총생산은 0.86%∼1.03% 늘어나며, 소비자물가는 0.38%∼0.61%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정부가 물가안정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추진할 경우 민자유치 규모가 국민총생산대비 1% 이상 확대하면, 장기적으로 소비자물가가 0.60% 포인트 증가하여 물가안정을 저해시킬 수 있다. 결국 정부는 민자유치 규모의 최대규모는 국내총생산대비 0.93% 수준으로 하고 거시경제 동향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물류단지 개발의 지역경제 구조경로분석

        김의준(Kim Eui June),손영국(Sohn Young Guk) 한국지역개발학회 1997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9 No.3

        With the rapid growth of national economies, the volume of freight transportation in Korea has dramatically increased over the last thirty years. The share of the costs to the gross domestic product has reached 16.9% in 1996. Therefore, the reduction of logistics costs becomes one of main objectives for the national government as well as for each individual firm.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egional economic impacts by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logistics facilities, employing the structural path analysis and the price-endogenous model of the Social Accounting Matrix for Kyongsangnam-Do. This study finds out that global influence effect induced by the logistics facilities in Kyongnam is calculated to be 2.58 and main influence effects take place in chemical/coal/petroleum industry, primary metal products industry and fabricated metal/machinery industry. Secondly, for influence effect on tax revenues, a direct effects by construction industry is smaller than an indirect effects by other industries. Thirdly, the influence effect of construction industry on hosehold income is the third biggest of 19 industry sectors. By estimating Gini coefficient, construction of the logistics facilities contributes to distribution equity. Fourthly, costs incurred by logistics facilities operation will induce the reduction of price index by 0.38 percent.

      • KCI등재

        지역재생사업 파급효과의 결정요인

        김의준 ( Eui June Kim ),박주형 ( Joo Hyung Park ),정다운 ( Da Woon Jeong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0 농촌계획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pillover effects of regional regeneration projects. This finds that the effects are positively determined by population sizes of regions and degree of industrial specialization of regeneration related industries. In particular,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facilities can contribute to increases of economic impacts of regeneration projects of high-income regions on the lagged regions. Microeconomic approaches and dynamic modelling need to be integrated for this impact analysis as further research fields.

      • KCI등재

        지역 산업의 생산 분화 과정 분석: 2005년 지역 간 투입산출표의 평균전파길이 추정

        김의준 ( Eui June Kim ),이유진 ( Yoo Jin Yi ),장재원 ( Jae Won Chang ),최은진 ( Eun Jin Choi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5 No.1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역 산업의 수직적 생산 분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6개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대상으로 현시비교우위지수를 적용하여 지역 산업의 이출경쟁 및 이입대체 능력을 분석하였고 평균전파길이를 추정하여 산업의 분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 우선, 경남지역에서는 전기가스수도업에 대해, 인천, 광주 지역에서는 소비제조업에 대해 이출 경쟁력 및 이입 대체 경쟁우위가 나타났다. 또한 평균전파길이는 해당 지역이 공간적, 사회경제적으로 인접할수록, 간접 생산유발효과의 비중이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산업기반이 발달한 지역일수록, 타 산업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가능이 강할수록 생산 사슬 내에서 전방에 위치하였다. 마지막으로 대규모 공단 입지 지역의 제조업 및 서울 소재 서비스업은전, 후방 평균전파길이가 모두 길게 나타나 이들 산업의 분화 정도가 높으며 산업군의 동반성장을 유도하는 선도 산업의 셩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vertical fragmentation of regional industries in Korea using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RCA) and Average Propagation Length (APE). First of all, the competitiveness in regional export and substitution of regional imports were strong in the Electricity, Gas, and Water supply sector in Gyeongnam, and consumer-oriented Manufacturing sector in Incheon, Gyeongnam, and Gwangju. The high values of the APL were also found in the regions with common similarity with respect to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sectors with indirect effects. In addition, the industrial sectors with high quality of infrastructure, and endowed services tended to be located in the beginning of the production chain, Finally, since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in Seoul has higher APL, they could lead the growth of other related industries as key sectors, in the production fragmentati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투자의 지역분산화정책이 국가경제의 효율성과 지역간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

        김의준(Kim Eui June),갑성(Kim Kab Sung) 한국지역개발학회 1997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patial decentralization for investment on growth and distribution, using the interregional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for Korea. The result of the counterfactual analysis shows that increase of investment in the Honam region has the advantages of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reduction in the interregional income disparity, and the disadvantage of worsening of income distribution. Sencondly, the impacts of the Youngnam investment policy on the growth and the distribution are raked as the lowest compared with the regional investment alternatives such as the Capital region, the Chungbuk region, and the Honam region. But, th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Youngnam generates higher export and lower import than the others. Finally, the development of the Capital region has moderate impacts on the income distribution and the national growth in relativ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arginal productivity of the capital input by the structural adjustment in order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2000s.

      • KCI등재

        연구논문 : 의료시설 접근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이 농촌 및 도시 지역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일반화된 순서형 로짓 모형의 적용-

        이유진 ( Yoo Jin Yi ),김의준 ( Eui June Kim )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1

        본 연구는 의료시설 및 대중교통 접근성이 농촌 및 도시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건강상태에 따라 의료시설 및 대중교통 접근성 등에 의한 영향력의 크기가 상이하므로 종속변수의 모든 범주에서 설명변수의 영향력이 동일하다는 평행선 가정을 완화하여 일반화된 순서형 로짓모형을 적용하였다. 의료시설 접근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이 양호한 경우 농촌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나쁠 확률이 감소하나 도시 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의료시설 및 대중교통 접근성과 농촌 노인의 건강상태 간의 긍정적 상관관계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 이하인 경우에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차량 보유율이 낮고, 의료 시설과의 거리 및 이동시간이 긴 농촌지역에서 의료 서비스 이용에 따르는 제약이 크며, 이러한 환경적 요인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농촌지역의 건강 취약 노인 계층의 의료 서비스 이용 제약 완화를 위해 대중교통체계의 효율적 개선, 이동식 의료 서비스의 확장 등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mpact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of urban and rural elderly. Since the influence from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of elderly depends on their health status, this study applies generalized ordered logit model which relaxes parallel lines assumption. The results show enhanced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lowers the possibility that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rural elderly is bad or very bad, and better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reduces the likelihood of rural elderly having lower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is greater among the elderly in worse health condition. On the other hand, the perceived health of urban elderly is not affected neither by the accessibility to medical service nor by public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It implies that weak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impedes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 in rural area, and the elderly in lower health status is more vulnerable to the lack of access to medical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