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산속(産俗)의 변화 과정 탐색을 통한 유아교육적 의미 고찰

        김은주(金銀柱),전정미(全貞美)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3

        산속은 잉태하기를 비는 것에서부터 아기가 태어나 만 일년이 되는 돌까지의 과정에 있는 기원, 금기행사, 의례, 주술 등을 포괄하는 민속을 말한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사회의 산속이 과도기와 현대를 거치며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봄으로써 산속의 의미를 유아교육적 관점에서 재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회, 과도기사회, 현대사회의 산속의 변화 과정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 육아속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전통사회 산속은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면서 매 순간순간 마음을 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왔다. 과도기사회에서는 혼란스러웠던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가정 형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산속이 행해져왔으나, 전통사회의 산속 문화를 크게 거스르지 않고 있었다. 이에 비해 현대사회의 산속은 과학과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합리성과 논리성에 대한 강조로 인해 전통사회의 산속은 미신으로 치부되거나 필수가 아닌 선택 사항으로 전락하였다. 이로 인해 산속을 통해 계승되어온 전통사회의 생명존중이나 자녀양육에 대한 정신적 가치마저 단절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서양식 교육방법에 치중하고 있는 한국 유아교육에 우리나라 전통 산속의 육아 지혜가 스며들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Custom of childbirth is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ranging from praying for pregnancy, wishing for the health of a baby till the first birthday party of the baby, taboos, ceremonies, and a charm.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by investigating how custom of childbirth has been changed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making preliminary data to secure the continuity of educating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familie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took consideration of the changing process of custom of childbirth in the modern society by classifying it into custom of pregnant praying, custom of prenatal caring, custom of puerperium caring, and custom of childcare.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had been practiced appropriately in line with the order of life, following the laws of natur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custom of childbirth had been practiced in various forms reflecting the situation of each family and the chaotic period. However, the practices were not totally different with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While,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is being discounted as an old wives’ tale or considered as an option rather than a mandate as rationality and logicality become more important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This made people cut traditional spiritual values like respect for life and child bearing which had been inherited in custom of childbirth. This study would be a corner stone to learn the wisdom of child bearing in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in a situation where too much child-bearing information makes families confused and only the western educational method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 KCI등재
      • KCI등재

        태교에 대한 예비부모의 이미지 분석

        임소영(任炤映),김은주(金銀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태교에 대해 예비부모로서 남녀대학생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이미지에 대하여 질적 연구를 통해 연구함으로써, 오늘날의 태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 태교에 관한 예비부모들의 이미지는 네가지 요소, 즉 주체, 시기, 목적, 내용?방법의 측면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떠올리는 이미지는 내용?방법이 53.8%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음악듣기가 21.2%로 나타나 많은 남녀대학생이 태교하면, 음악을 떠올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로는 태교의 목적(29.1%)에 대한 이미지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똑똑한 아이를 위하여 11%, 바른 아이를 위하여 10.3%, 건강한 아이를 위하여 3.1%, 불필요하다 2.7%, 예쁜 아이를 위하여 2.1% 순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나타난 태교의 이미지는 태교의 주체(9.6%)에 관한 부분으로, 부부 6.2%, 여성 3.4% 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태교의 시기에 대해서는 총 7.5%로 임신 후부터 7.2%, 임신 전부터 0.3%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오늘날의 대학생들이 주로 가지는 태교에 대한 이미지는, 임신한 이후에 똑똑하고 바른 아이를 낳기 위해 음악을 듣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늘날 태교에 관한 인식이 전통사회에 비해 부정적이고 지나치게 방법론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태교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images viewed by preparents were divided into four components: identity, time, purpose, and content or method. Among these, the content or method component (53.8%) was the largest and within that, listening to music was the most significant (21.2%) element. This means that, in terms of prenatal education, man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most frequently recall music. The total perce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natal education subject was 9.6%. Within that domain, the percentages for the following two sub-types of subjects were: couple (6.2%) and woman (3.4%). The total percentage for the characteristic of time was 7.5%. Within that domain, the percentages for sub-types of time were: after the pregnancy (7.2%) and before the pregnancy (0.3%). The total percentage of the characteristic of purpose was 29.1%. Within that domain, the sub-category percentages were: having an intelligent baby (11%), having a good-natured baby (10.3%), having a healthy baby (3.1%), considering it unnecessary to choose a baby’s characteristics (2.7%), and having a good looking baby (2.1%). The total percentage for the characteristic of content or method was 53.8%. Within this domain, the sub-type percentages were: listening to music (21.2%), sharing and enjoying (10.3%), using outside programs (4.5%), making an effort (4.1%), being comfortable (4.1%), communicating (3.4%), and preparing for becoming parents (1.4%). As the finding of this study not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n prepare for becoming parents. Th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create a desirable prenatal education environment with the aim of recovering the original intention of prenatal education, which has been reduced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