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지역 공동시설 저활용 원인에 대한 이해관계자별 인식비교 연구

        김은솔 ( Kim Eun-sol ),이재호 ( Lee Jae-ho ) 한국농촌계획학회 2023 농촌계획 Vol.29 No.1

        Despite the serious problem of idle communal facilities in rural areas, previous studies focused on determining their status and grasping their current status rather than proposing fundamental solutions. The purpose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activating these facilitie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hindering the use of idle and under-utilized facilities in rural area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ree groups of interested parties, public officials, operators, and rural residents, to identify items that were effective and examine significant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level of awareness, the causes of preventing facility utilization appear to be similar. Although local governments desire to avoid criticism for idleness, it was found that they are most aware of the limitations of administrative support. Even within the village, residents do not recognize the need for additional facilities unconditionally but do realize their own inadequacies. Thus, despite the differences among stakeholder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onsensus regarding the problem of idle communal facilities in rural areas. As a result, the operating entity is delegated to an individual rather than a joint entity so as to allow the facility to be operated responsibly, and local ordinances are enacted by a group of local officials in order to overcome administrative guidelines limita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main issue is securing manpower.

      • Eye-Tracker를 이용한 사용자 집중도 분석

        김은솔(Eun-Sol Kim),김지섭(Jiseob Kim),장병탁(Byoung-Tak Zhang)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B

        이미지 처리와 관련한 기계 학습 분야의 주제는 크게 이미지 인식과 생성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이미지 생성문제는 기계 학습 분야의 오래된 문제로 예를 들면'비행기'라는 입력을 받고 기계가 비행기 그림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 문제는 기계를 학습시켜 해결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인 반면 사람에게는 매우 자연스러운 문제이다. 이에 우리는 초기 연구 결과로서 이미지 생성 문제에 적용하기 위한 사람 실험을 제시한다. Eye-Tracker는 사람의 안구 움직임을 통해 사람의 집중도와 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우리는 Eye-Tracker를 이용하여 드라마를 시청할 때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기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드라마 시청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사람의 안구 운동 데이터를 기계를 이용한 이미지 재생성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다.

      • KCI등재

        얼굴 인식을 위한 연립 대각화와 국부 선형 임베딩

        김은솔(Eun-Sol Kim),노영균(Yung-Kyun Noh),장병탁(Byoung-Tak Zhang)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2 No.2

        국부 선형 임베딩(Locally Linear Embedding, LLE) [1]는 다양체 학습(manifold learning) 알고리즘 중 하나로 고차원 공간에 있는 데이터들 사이의 내적 값을 기반으로 임베딩하는 방법이다. LLE를 이용하여 임베딩 한 결과는 독특한 성질이 있는데, 고차원 공간 상에서 같은 평면에 있는 데이터들은 내적 값이 크기 때문에 저차원 공간에서도 가깝게 위치하도록 임베딩 되는 반면 수직으로 위치한 평면에 있는 데이터들은 내적 값이 0이 되기 때문에 서로 떨어진 위치에 임베딩된다. 한편, 한 사람의 얼굴에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을 비추면서 촬영한 이미지들은 저차원의 선형 부분공간을 구성한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2].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데이터들을 자연스럽게 분류하여 임베딩하는 LLE 알고리즘을 얼굴 이미지에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얼굴 인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LLE에 연립 대각화(Simultaneous Diagonalization, SD)를 적용한 방법으로, S연립 대각화를 적용하면 데이터들이 형성하는 평면이 수직이 되도록 바꿀 수 있기 때문에 LLE의 성질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연립 대각화를 적용하고 LLE를 적용하면 서로 다른 사람의 얼굴 이미지들이 겹치지 않고 뚜렷하게 구분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Locally linear embedding (LLE) [1] is a type of manifold algorithms, which preserves inner product value between high-dimensional data when embedding the high-dimensional data to low-dimensional space. LLE closely embeds data points on the same subspace in low-dimensional space, because the data points have significant inner product values. On the other hand, if the data points are located orthogonal to each other, these are separately embedded in low-dimensional space, even though they are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in high-dimensional space. Meanwhile, it is well known that the facial images of the same person under varying illumination lie in a low-dimensional linear subspace [2]. In this study, we suggest an improved LLE method for face recognition problem. The method maximizes the characteristic of LLE, which embeds the data points totally separately when they are located orthogonal to each other. To accomplish this, all of the subspaces made by each class are forced to locate orthogonally. To make all of the subspaces orthogonal, the simultaneous Diagonalization (SD) technique was applied. From experimental results, the suggested method is shown to dramatically improve the embedding results and classification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셀프카메라에서의 제스처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

        김은솔(Kim, Eun Sol),반영환(Pan, Young Hwa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셀프 카메라 서비스는 이제 일상의 일부분이 될 정도로 우리에게 가까운 서비스이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등 계속 되어진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이에 영향을 끼친다. 이렇게 많이 쓰여 지는 셀프카메라 조작 시 많은 사람들이 불편함을 느낀다. 한 손 조작으로 인한 불편함과 자세를 취할 때 닿을 수 없을 만큼 멀어진 버튼들로 인한 불편함이다.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핸드 제스처를 활용해 편리함을 추구하고 새로운 인터랙션 체제를 제시하려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적합한 제스처 형식을 제안하기 위하여 전면 카메라 사용의 단계별 구분을 정의하고 상황별 사용기능에 대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이를 토대로 행동적, 상징적 스타일을 적용한 제스처 세트를 고안하여 실험을 진행한 뒤 인터뷰를 하여 사용성과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행동적 제스처는 사용성 속성에서 정확성, 의미성, 일관성, 유연성에서 긍정적(+) 측면을 갖추고 있으며 특별한 장소에 가는 상황이나 범용적인 조작상황에 적합하다는 결론과 상징적 제스처는 유연성, 효율성에 긍정적인 측면(+) 을 갖추고 일상생활이나 빈번하게 사용 시 적합하며 한정적인 조작 상황에 적합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는 향후 핸드 제스처를 사용하는 모바일 카메라 개발 시 사용 상황, 사용 목적에 따라 제스처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넓은 관점에서는 모바일이나 기타 기기에 비전 형식의 핸드 제스처 적용 및 구축 시 참고 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selfie camera feature, where users can check their figures using the front camera, not the rear camera, and simultaneously take pictures, is a quite familiar service to people. As the technology of a camera develops and its resolution improves, more and more people prefer taking selfie with the front camera, and the use of selfie is a public trend due to the popularity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However, there are two inconvenient aspects of a selfie in terms of its operation: one is from using one hand and the other is from operating the button in a far-reaching distance. As a solution to such inconveniences, this study is going to pursue convenience and present a new interaction system using hand gestures. In order to suggest a suitable gesture format, the study classified the stage of using the front camera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features by situa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survey, the study designed and experimented for a set of gestures with the application of acts and symbol styles, and then evaluated its usability and usefulness through interview.

      • KCI등재

        일상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치주상태와 구강건강행위 통제효과

        김은솔 ( Eun-sol Kim ),최은미 ( Eun-mi Choi ),한경순 ( Gyeong-soon Han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6 치위생과학회지 Vol.16 No.6

        본 연구는 성인 110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따른 치주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구강건강행위의 통제효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은 잠재적 위험군이 64.5%, 고위험군이 19.1%, 건강군이 16.4%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적극적 방식 2.46점, 소극적 방식 2.32점이었다. 구강건강행위인 칫솔질 횟수는 평균 2.45회, 칫솔질 시간은 2분, 잠자기 전 칫솔질을 하는 사람은 69.1%, 스켈링 경험이 있는 사람은 89.1%였다. 치면세균막지수는 73.45점, 평균 치은염지수는 1.30점이었으며, 치주낭보유분악수는 평균 2.83개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특성과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구강건강행위를 통제변수로 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 치주낭보유분악수는 비정규직 및 기타가 정규직보다 적었으며(β=-0.348), 스켈링 경험이 많을수록 적어졌고(β=-0.253), 연령이 증가할수록 많아지는 결과(β=0.244)를 나타냈다(p<0.05). 이를 통해 일상스트레스는 치주상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구강건강행위 중 스케일링은 치주상태에 강한 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주상태는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스케일링을 규칙적으로 시행할 경우 치주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규칙적인 스케일링을 받을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도와 국가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110 adults aged 40 to 69 years were surveyed from April 28, 2016, to May 28, 2016 to analyze their periodontal status according to daily stress, coping methods, and oral health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Daily stress levels of all subjects were most frequent potential risk 64.5% of the subjects, the high risk 19.1% and 16.4% of the health group. Regarding stress coping methods, active methods recorded 2.46, passive methods recorded 2.32. Regarding oral health behaviors, subjects brushed an average of 2.45 times daily, for an average of 2 minutes. Futhermore, 69.1% of subjects brushed before bedtime and 89.1% practiced scaling. Regarding periodontal status, the O`Leary index was 73.45, gingivitis index was 1.30, an average of 2.83 quadrants possessed a periodontal pocket.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type of employment (β=-0.348), scaling (β= -0.253), and age (β=0.244)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number of quadrants possessing a periodontal pocke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oral health behavior of scaling, but not stress levels of coping methods, strongly influenced periodontal status.

      • 고추 일시 수확시 생육기간 단축에 따른 시비방법 개선

        김은솔(Eun-Sol Kim),이종원(Jong-Won Lee),주정일(Jung-Il Ju),윤덕상(Tug-Sang Yun)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고추는 우리나라 노지채소 재배면적의 13.2%를 차지하는 주요 작물이나 긴 생육기간으로 인한 노동력 투하 시간이 많고 여러 번에 걸친 수확 작업으로 생산비가 높다.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웃거름 시비 방법도 과실 성숙을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면서 노동력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중부지역의 노지 고추 기계수확에 알맞은 정식시기(5월 중순)와 일시 수확시기(9월 상순)로 재배했을 때 적합한 고추의 시비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시험품종은 ‘적영’으로 양념채소연구소 시험포장에서 이루어졌으며, 시비 방법은 토양검정 후 ‘정식 전 전량 밑거름’을 제외하고 노지 고추 표준시비량(kg·10a<SUP>-1</SUP>) 시비요구량의 60%를 밑거름으로 시용하였다. 웃거름은 요소와 염화칼륨을 사용하였으며 정식 후 30일 간격으로 ‘3회 분시(관행)’, ‘2회 분시’, ‘1회 시비’와 ‘정식 60일 후 1회 시비’하였다. 10a당 건고추 수량은 ‘정식 후 30일 간격 3회 분시(관행)’은 278kg이었으며, ‘정식 60일 후 1회 시비’는 288kg, ‘정식 전 전량 밑거름’은 213kg이었다. 따라서 ‘정식 60일 후 1회 시비’가 ‘관행시비’보다 웃거름 시비 노동력이 2회 절감되어 고추 기계수확을 위한 생력화 재배 기술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하이퍼네트워크를 이용한 EEG 신호의 시공간적 패턴 탐색

        김은솔(Eun-Sol Kim),이충연(Chung-Yeon Lee),이기석(Ki-Seok Kevin Lee),이현민(Hyunmin Lee),김준식(JoonShik Kim),장병탁(Byoung-Tak Zhang)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1C

        입력 데이터의 공통적인 특징을 찾아내는 방법은 기계 학습 분야의 중요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입력 데이터의 형태적 패턴을 찾아내는 알고리즘들이 많이 연구되었는데, 최근에는 데이터의 입력 순서 또는 데이터 사이의 시간적 인과 관계와 같이 시간에 연관된 패턴을 찾는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는 형태적 혹은 공간적 패턴 탐색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하이퍼네트워크 모델을 확장하여 입력 데이터의 시공간적 패턴을 찾는 방법을 제시한다. 하이퍼네트워크는 두 개 이상의 변수를 하나의 엣지로 연결하여 문제공간을 탐색하는 모델로, 시간과 공간의 변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데이터의 특성을 찾아내는 데에 적합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람의 EEG 신호를 분석하였는데, 시각적인 정보를 처리할 때와 언어적 정보를 처리할 때의 특징적인 패턴들을 찾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