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저널리즘에서 나타나는 왜곡된 노동

        김위근(Wi-Geu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7 No.1

        이 연구는 언론사닷컴 편집기자가 수행하고 있는 노동의 특성과 이들이 처해 있는 노동 환경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언론사닷컴 편집기자의 왜곡된 노동 현실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언론사닷컴 편집 조직은 운영에서 직·간접적으로 종이신문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노동 조건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언론사닷컴 편집기자가 처해 있는 노동 현실은 언론사닷컴 편집 조직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언론사닷컴 편집기자가 수행하고 노동에서는 다른 저널리스트와는 달리 전문가로서 위상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언론사닷컴 편집기자의 실무에서는 이용 트래픽이 가장 중요한 고려 요소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언론사닷컴 편집기자의 노동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은 언론사닷컴 편집시스템의 정상화와 깊은 연관이 있었다. 언론사닷컴 편집기자의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 중 하나는 언론사닷컴의 편집권 확보인 것이 확인됐다. 한편, 언론사닷컴 편집기자의 노동 현실은 다른 온라인 언론노동자에게도 투영될 수 있다. 독립 인터넷신문 역시 이용 트래픽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기자가 취재보다는 유통을 고려한 편집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현실은 언론사닷컴 편집기자와 다르지 않다. 포털의 뉴스편집자 역시 마찬가지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온라인 저널리즘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가장 시급하게 논의되어야 할 것은 인터넷 뉴스미디어의 편집기자나 편집자에 대한 전문성 강화와 저널리스트로서의 위상 제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verted labors of online newspapers’ editors in Korea. Online newspaper editors’ works were be influenced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 printed newspaper, the parent company of online newspaper. Their labor conditions were poorer than online newspaper editors’. And online newspapers’ editors didn’t have status as professionals. They set a premium on Internet traffics on their works. For online newspaper editors’ normal labor conditions, the most practical measure was to normalize the editorial system of online newspapers. How to raise the status of online newspaper editors was to secure the online newspapers’ editorial right. And to conclude,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journalism in Korea, the most urgent issue is to improve online newspaper editors’ professionalism.

      • KCI등재

        스마트폰 도입이 포털사이트 이용에 미친 영향

        김위근(Wi-Geu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4 No.4

        이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이 기존 미디어 환경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었던 포털의 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실시됐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이용자의 실제 이용 행동인 트래픽 데이터를 종단적으로 수집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먼저 PC 웹에서 가장 많은 이용을 보이는 포털 유형은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고 일상화된 2년 사이에 이용시간의 약 15%, 페이지뷰의 약 35%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포털 섹션별로는 커뮤니티, 뉴스미디어, 동영상, 모바일, 게임 섹션 등에서 이용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웹 이용에서 포털이 차지하는 비율은 PC 웹 이용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PC 웹 이용 트래픽의 3분의 1 이상이 포털에서 발생했지만,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웹 이용 트래픽에서는 3분의 2 이상이었다. 모바일 포털섹션 중에서는 뉴스미디어 섹션의 이용이 가장 많았다. 한편, 스마트폰 도입 이후 전체적으로 포털 섹션 중 뉴스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생활 섹션 등은 이용이 크게 늘어난 반면에, 커뮤니티, 모바일, 게임 섹션 등은 이용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This study is for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introduction of smart phone on using the portal sites that were affected the most in the previous media environment. To achieve this, Web traffic data that are the result of smart phone users’ practical Web uses have collected longitudinally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use hours of portal sites have decreased about 15% and the page views have did about 35%, since using smart phones was diffused and habituated in earnest during the past two years. Using the community, news media, video, mobile, and game section of portal site sections have reduced. Second, the portal site portion of using smart phone Web is much more than that portion of using PC Web. More than two thirds of smart phone Web use traffic occurs in using portal sites, while more than one third of PC Web use traffic does in using that. Using the news media section is the most of using portal site sections on a smart phone. Third, since the introduction of smart phone, using the news media, communication, and life section of portal site sections have greatly increased, while the community, mobile, and game section have greatly decreased in the aggregate.

      • KCI등재

        포털 뉴스서비스와 온라인 저널리즘의 지형

        김위근(Wi-Geu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6 No.2

        우리나라 온라인 저널리즘 지형의 과거, 현재, 미래는 무엇보다 포털 뉴스서비스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전통 저널리즘에서 한정된 뉴스미디어는 뉴스 생산과 유통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소비를 완전히 장악할 수 있었다. 이후 다매체다채널 시대에는 뉴스미디어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뉴스 생산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수용자의 선택이 중요하게 됐다. 온라인 저널리즘 환경에서는 각종 뉴스 이용을 간편하게 만든 포털 뉴스서비스에 대한 이용의 집중, 뉴스미디어 브랜드보다는 뉴스 콘텐츠에 집중하는 뉴스 소비의 특성 등으로 인해 뉴스 유통이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부각됐다. 포털 뉴스서비스가 온라인 저널리즘의 상징적 존재가 되면서 뉴스 유통 중심의 우리나라 저널리즘 지형이 완성된 것이다. 뉴스 유통만을 담당하는 포털 뉴스서비스가 뉴스를 생산하는 언론사닷컴이나 인터넷신문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은 언론 권력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로 인해 기존 뉴스미디어와 포털 뉴스서비스의 갈등이 곳곳에서 목격된다.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online journalism in Korea are inextricably bound up with the portal site news services. In traditional journalism, finite news media took hold on news consumption completely because of performing new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imultaneously. Since then, in the age of multi-media and multi-channel, the audience selec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because of greatly increasing news media and then exploding news production. In online journalism, the news distribution have emerged as the most important field because of the intensive consuming the portal site news services making use of various news easier, the characteristic of news consumption focusing on not news media brands but news media contents, etc. Therefore, the news present landscape of Korean journalism oriented news distribution has been completed by that the portal site news services became the symbol of online journalism. That the portal site news services performing only news distribution have more influence than the paper based online newspapers and Internet based online newspapers producing news means the change of media power. By this, a conflict between news media and portal site news services appears at all times.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심의에 대한 이용자 인식의 확인을 위한 탐색적 연구: 표현의 자유, 알 권리, 프라이버시 침해, 명예훼손 인식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김위근 ( Wi Geun Kim ),윤석년 ( Shuk Nyun Yoon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3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SNS 관련 심의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탐색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즉 SNS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의 인식 및 프라이버시 침해와 명예훼손의 경험 등이 SNS 심의 방안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심의의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SNS 이용자는 현재 SNS에서는 탈규제 근거인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에 대한 보호보다 규제 근거인 프라이버시와 명예에 대한 보호가 훨씬 더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다음으로, SNS 이용자 측면에서 제시할 수 있는 효과적인 SNS 심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확인됐다. 첫째, SNS에 대한 심의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 지녀야 할 기본적인 가치, 즉 표현의 자유와 알권리 및 프라이버시와 명예의 보호 등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수행돼야 한다. 둘째, SNS에 대한 심의는 SNS에서의 표현의 자유나 알 권리보다는 프라이버시 침해와 명예훼손과 관련된 이슈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수행돼야 한다. 셋째, SNS에 대한 심의는 민간 자율로의 방향 전환 또는 민간 자율 영역의 참여 측면에서 검토해야 한다. This exploratory study is for examining users` perceptions about regulating social network service(SNS). Namely, this is for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SNS users` perceptions about freedom of speech, right to know, invasion of privacy, and defamation of character on the perceptions about regulating the SNS, and deriving effective deliberation ways on SN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a Web surve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SNS users perceived to have more need of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character than freedom of speech and right to know. And effective deliberation ways on SNS with a user perspective are as follows. First, deliberation ways on SNS should be discussed and performed with basic values as a communication media: freedom of speech, right to know, and protection of privacy and character. Second, it should be discussed and performed with issues in connection with invasion of privacy and defamation of character than freedom of speech and right to know. Finally, it should be examined with private self-regulation.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위근(Wi-Geun Kim),최민재(Min-Jae Choi)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0 No.4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서베이 결과, SNS 이용자의 이용동기는 ‘정보’, ‘참여’, ‘교류’로 추출됐다. SNS 이용동기에 따른 SNS 이용 여부에서 SNS 이용동기는 해당 SNS의 특성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를 얻는 것이 목적인 SNS 이용자는 ‘트위터’와 ‘미투데이’와 같은 소통 중심 SNS를 더 많이 이용했다. SNS에 참여하는 것이 목적인 SNS 이용자는 가장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싸이월드’를 더 많이 이용했다. 다른 사람과 교류하는 것이 목적인 SNS 이용자는 관계 중심 SNS인 ‘페이스북’과 ‘싸이월드’를 더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SNS 이용동기에 따른 SNS 이용시간 및 접속횟수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한편 정보를 얻고 다른 사람과의 교류를 하는 것이 목적인 SNS 이용자는 SNS 메시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에, SNS에 참여하는 것이 목적인 SNS 이용자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SNS의 이용동기에 따라 SNS 메시지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online survey of SNS users, SNS users’ use motivations consist of ‘information’,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SNS use motivations explain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SNS very well. SNS users that aim to collect information use much more the SNS for communication like ‘Twitter’ and ‘Me2day’ than other SNS. SNS users that aim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through SNS use much more ‘Cyworld’ that is joined by the most subscriber. And SNS users that aim to interact with other users use much more the SNS for network like ‘Facebook’ and ‘Cyworld’. This tendency can also be seen in the use hours and access times of SNS by SNS use motivations. Meanwhile, the SNS Users that aim to collect information and interact with other users positively rate SNS messages. On the other hand, the SNS Users that aim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through SNS negatively rate those. This confirms that SNS use motivations affect SNS users’ recognition of SNS messages.

      • KCI등재

        뉴스의 대중화 혹은 저널리즘의 게토화

        김위근(Kim, Wi-Geun),김성해(Kim, Sung-Hae),김동윤(Kim, Dong-Yoo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0 No.2

        이 연구는 재매개성에 불과하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포털이 뉴스미디어로 기능하며 저널리즘 생태계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현재 포털 저널리즘을 둘러싼 우려는 현실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뉴스의 선정성 심화, 연성화, 신뢰성 부족 등은 뚜렷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포털에 등장하는 뉴스콘텐츠를 직접 분석함으로써 포털 저널리즘의 문제점을 확인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이런 배경에서 국내 대표 포털인 네이버의 뉴스캐스트에 나타나는 뉴스콘텐츠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포털 저널리즘의 현황과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방향이 무엇인가를 찾아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뉴스캐스트를 통한 뉴스의 대중화에도 불구하고 저널리즘의 품질은 악화되고 있었다. 네이버를 통해 살펴본 포털 저널리즘의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스캐스트의 많은 기사는 이용자의 흥미를 유도하기 위한 콘텐츠로서 자극적이고 흥미를 끄는 내용을 담았다. 둘째, 방문객을 유도하기 위해 기사 내용이 아닌 헤드라인만 바꾸는 전략을 택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뉴스 정보 제공이라는 측면에서도 문제가 드러났다. 셋째, 뉴스캐스트의 기사 제목이 링크된 기사의 제목과 불일치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고, 종합일간지에서 이런 현상이 오히려 두드러졌다. 넷째, 뉴스캐스트의 기사 중에는 뉴스 생산자를 확인할 수 없는 콘텐츠도 상당했으며 정보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포털의 저널리즘 가치를 복원 시키기 위한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과 공동체 차원의 협력 모델을 제안한다. The portals such as Naver.com and Daum.net are believed to have critical impact on journalism. While they intervene in selecting news items, they also play as a key platform for providing public language interwoven with collective memory and knowledge. Provided the portals" likely role in deteriorating quality journalism, though, there exist few research which attempt to evaluate portal news through journalistic perspective.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d Naver.com"s "Newscast" system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portal journalism. Strong tendency of sensationalism, softness and lack of credibility was found in the research. First of all, most of popular contents had to do with managerial strategies aiming at maximum traffic and resulted in shrinking serious contents. Second, the promise of diversity of news contents fall short of materializing because of frequent change of headline not content inself. In addition, there were plenty of cases of mismatching between headline and content. Finally, most of major newspapers did prefer copy to produce, as well as fail to identify news sources. To put such a poor performance of portal journalism into account, this paper suggests to establish a kind of public monitoring system in way of improving journalism quality.

      • KCI등재

        전쟁과 프로파간다

        김성욱(Kim Sung Wook),김위근(Kim Wi Geun) 한국언론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8 No.1

        이 연구는 리비아 사태와 관련해 서로 상반되는 정책을 지지하는 두 진영의 해외 글로벌 언론매체들(개입 찬성:〈프랑스24〉,〈알자지라〉對 개입 반대:〈러시아 투데이〉,〈도이체 벨레〉)이 자신들의 주장과 입장을 강화하고 국제공론장에서 다수의 지지를 얻기 위해 어떤 정보원들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언론매체별 정보원 활용 실태를 살펴보았다. 또 해외 글로벌 언론매체들이 국제 공론장에서 담론 주도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언론매체들의 정보원 활용 실태는 해외 글로벌 언론매체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국제문제 보도에 있어 국내 언론매체의 정보원 활용 실태가 드러내고 있는 문제점도 파악해 보았다. 분석 결과, 리비아 사태에 국제사회의 개입을 지지하는〈프랑스24〉와〈알자지라〉는 이와 같은 정책 입장을 가진 미국, 영국, 프랑스 정부를 주요 정보원으로 적극 활용했다. 반면에 리비아 사태에 국제사회의 개입을 반대하는〈러시아 투데이〉와〈도이체 벨레〉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정보원 활용 실태를 보였다. 아울러〈프랑스24〉와〈알자지라〉가 활용한 정보원의 절대 다수는 리비아 정부에 비판적 태도를 견지한 반면,〈러시아 투데이〉와〈도이체 벨레〉의 정보원은 리비아 정부에 비판적인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언론매체가 특정 의제를 다룰 때 어떤 시각을 견지하느냐에 따라 정보원을 활용하는 행태가 달라지며, 정보원의 활용 실태가 다르다는 것이 각 언론매체가 그 의제에 대하여 견지하고 있는 입장과 의견을 더욱 강화시킨다는 가설이 입증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언론매체가 특정 이슈를 다룰 때 활용하는 정보원은 그 이슈에 대해 정보 및 전문가적 해설과 분석을 제공하는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언론매체가 궁극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담론 형성과정에 당위성과 근거를 부여하는 도구로 활용된다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of information sources between two global media camps covering Libya’s civil war that began in February 2011: one camp, such as France24 and Aljazeera, supports NATO’s intervention in Libya’s turmoil in the name of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e other camp, such as Russia Today and Deusche Welle, opposes it in the name of the sovereignty of Libya. As predictions from previous studies,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formation sources between the two media groups in the Libyan case. For example, rebel forces in Libya, France and the US governments, and Arab league are primary information sources for the former, while the latter uses more diverse and broader information sources including the statement of the Libyan government. The difference identified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each global media employs deliberately-selected information sources to support and justify its own standpoint on a certain international issue. Another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Korean media tends to rely largely on the Western media, such as AP, The New York Times, The Guardian, BBC, and so on, in coverage of Libya’s civil war as usual. From this finding, this work suggests that the Korean media should employ more diverse and broader information sources to keep the balance in the coverage of global agenda including the Libyan case.

      • 인적자원개발 전문가의 역할갈등과 직무성과간의 관계연구

        김흥규 ( Kim Heung-kyu ),김위근 ( Kim Wi-ge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1 교육문화연구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ole conflic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pecialist in Company,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performance. The more specific objectives are 1)to investigate the level of role conflic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pecialist in company 2)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performance. 3)to clarify the effect of role conflict on the job performanc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pecialist in compan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results. First, Human Resource Development Specialists in company are suffering from role conflict to resource inadequacy conflict, person-role conflict and role stagnation conflict. Second, There i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vel of role conflict of HRD Specialist in company according to age, the length of service and size of company. Third, Role conflict is in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performance and the factors of effect the role conflict are person-role conflict, resource inadequacy conflict.

      • KCI등재

        우리나라 원전에 대한 신문 보도 프레임 변화 연구

        심은정(Eun-Jung Shim),김위근(Wi-Geu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6 No.2

        이 연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전과 이후를 비교해 우리나라 원전 보도의 일반적 특성과 보도 프레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앙 일간신문과 원전 소재 지역 일간신문을 선정해 이들 신문이 게재한 원전 관련 기사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우리나라 원전에 대한 보도는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에 주로 경제적 측면이 강조됐던 우리나라 원전 보도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사회적 차원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우리나라 원전 보도 기사가 주요 기사로 다뤄지는 계기가 됐다. 한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우리나라 원전 보도의 프레임 역시 크게 변화했다. 당연하게도 환경 안전 프레임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우리나라 원전의 안정성과 관련된 보도가 대폭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원전 소재 지역의 일간신문에서 환경 안전 프레임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전에도 다른 프레임과 비교해 가장 많은 29.3%였는데, 그 이후에는 77.6%로까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the chang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rame of nuclear power plant news in Korea from comparing the before Fukushima nuclear accident in Japan on March 11, 2011 with the after. To this aim, the national daily newspapers and the local daily newspapers in Busan located nuclear power plants were selected, an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newspaper stories about nuclear power plants was done. In research results, the stories about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n newspapers increased greatly after Fukushima nuclear accident. Before the accident the nuclear power plant stories about economy held a large majority, while after the accident the stories about society held. Fukushima nuclear accident served as the momentum that the nuclear power plant stories in Korea became main news. Meanwhile, the frame of nuclear power plant stories in Korean newspapers changed greatly after the accident. Justly the environmental security frame increased greatly, because of increasing greatly the stories about security of nuclear power plants with Fukushima nuclear accident. Particularly in the local daily newspapers in Busan before the accident the environmental security frame was 29.3% of stories about nuclear power plants, and after the accident the frame was 77.6%.

      • KCI등재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대외 프로파간다 전략

        선상신(Sang-Shin Sun),김위근(Wi-Geun Kim) 한국언론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8 No.1

        북한에서 언론매체는 대표적인 프로파간다 수단이다. 이 논문은 북한의 대외언론매체인〈조선중앙통신〉과〈조선신보〉에 게재된 6자회담 관련 기사 내용의 분석을 통해 북한의 프로파간다 전략을 유추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 결과, 북한의 대외 언론매체는 국제사회를 상대로 비교적 유연한 담론전략을 펼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또한 북한은 6자회담을 소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자신의 관점, 입장, 요구사항 등을 전달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했다는 점도 드러났다. 먼저 정보원 분석을 통해서 북미관계가 좋지 않거나 북한을 둘러싼 외부환경이 적대적일 때는 주정보원으로서 북한 당국과 북한 언론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6자회담의 실패 원인에서는 북미관계가 좋거나 국제정세가 호전될수록 미국을 직접 비난하는 경우는 줄고, 일본, 방해세력, 언론 등 주변 이해관계자를 비난하는 비율이 높았다. 다음으로 핵무기 개발에 대한 프레임의 경우, 적대적 시기에는 ‘방어수단’과 ‘안보주권’ 프레임의 비율이 높았으나, 우호적 시기에는 ‘신뢰회복’의 프레임의 비율이 높아졌다. 한편 회담 성격의 규정과 관련해 북한 당국이 ‘한반도 비핵화 실현의 장’보다는 ‘북미 적대관계 청산의 장’으로 6자회담을 활용하려는 의도도 확인됐다. In North Korea, news media are the representative propaganda tool. In this paper North Korea’s foreign propaganda strategies were elicited by the content analysis on the six-party talks articles on the North Korea’s foreign news media, KCNA(Korean Central News Agency) and the Choson Sinbo.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r the North Korea’s external circumstances were bad, North Korea Authorities and North Korea’s news media were shown frequently as news sources. On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defensive measure’ and ‘sovereignty and security’ frames were shown frequently in hostile times, but ‘restored confidence’ frame in friendly times. North Korea set down the six-party talks not as the place realizing denuclearization but as the place clearing hostility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