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동통신 MIMO 채널 모델링 기술 동향

        김원섭,박재준,이준환,김명돈,정현규,Kim, Won-Seop,Park, Jae-Jun,Lee, Jun-Hwan,Kim, Myeong-Don,Jeong, Hyeon-Gyu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3 No.3

        이동통신 MIMO 채널 모델이란 다중안테나를 사용한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내의 신호처리 모델로서, 무선 통신의 급격한 수요와 이동통신 서비스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의 최적화를 위하여 MIMO 시스템 개발의 구현기술 검증에 사용된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용 주파수 대역은 2-6GHz 대역으로 예상되며 기존 2G/3G 이동통신 대역폭 보다 큰 10-100MHz의 광대역 무선전송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동통신 MIMO 채널 모델링의 개발 및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II장에서는 MIMO 채널 모델의 국.내외 개발 동향에 대해서 서술하며, III장에서는 MIMO 채널 모델링을 위한 국제표준화 동향에 대해서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IV장에서 결론을 맺고자 한다.

      • KCI등재

        SAPH440재료의 GMA용접시 용접변수에 따른 인장 강도 특성 평가

        김원섭(Won-Seop Kim),이종훈(Jong-Hun Lee),이한섭(Han-Seop Lee Seo),박상흡(Sang-Heup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8

        본 논문은 자동차 구조용 열간 압연 강재인 SAPH440을 GMAW 겹치기 용접을 하여 용접 변수인 용접 전류, 용접 전압, 이송 속도를 달리하여 인장 특성을 평가하였다. GMAW 공정의 접합 변수에 따라 인장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겹치기 용접 하여 KS B ISO 9018에 따라 시험편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각 조건에 따른 비드 외관을 관찰하였고 그에 따른 인장시험을 하여 용접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용접전류가 높을수록 깊은 용입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인장강도 측면에서는 모재부 파단으로 인해 일정 변수 이상부터는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용접전류 200A, 용접 전압 17V의 조건에서와 같이 전압에 비해 전류가 높으면 다량의 스패터가 발생하며 용접이 불안정하고 이로 인해 용접부 파단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전압이 높을수록 대체로 결함이 발생 되지 않을 정도의 비드외관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너무 높은 전압 또한 용접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너무 낮은 전류와 전압의 조건에서는 용접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아 인장강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그러나 용접이 가능한 용접 조건에서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전압과 이송속도가 증가하더라도 인장강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is study evaluated the tensile properties of SAPH440, a hot-rolled steel for automotive structural applications, based on GMAW lap welding, the welding current, the welding voltage, and the feed rate.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joint parameters of the GMAW process, for which specimens were fabricated according to KS B ISO 9018 by lap welding. The bead appearance was observed in each condition, and the weldability was evaluated by the tensile test. Higher the welding current resulted in a deeper weld, but the tensile strengt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hen the parameter was fixed due to the fracture of the base material. When the current was higher than the voltage, as in the case of a welding current of 200 A and welding voltage of 17 V, a large amount of spatter is generated, the welding is unstable, and the welded part breaks. Higher the voltage resulted in the bead not causing defects in general, and it also affected the weldability. If the current and voltage were too low, the welding was not performed normally, and the tensile strength could not be measured. However, as the current increased, the increase of the voltage and the feed rate did not affect the tensile strengt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열성경련으로 진단되었던 환아에서 우연히 발견된 허혈성 뇌증

        김원섭(Won Seop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4 No.1

        목 적 : 성인의 허혈성 뇌증의 원인과 소아에서의 허혈성 뇌증의 원인이 다르고 또 열성경련 중 복합 열성경련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또 이와 관련된 연구가 거의 없으므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충북대학교병원에서 복합 열성경련으로 진단된 환아 중 뇌 MRI를 시행한 환아 중 다발성 허혈성 뇌증으로 진단된 환아를 대상으로 발달장애, 간질 유무, 뇌파소견과 가족력, 과거력 및 산전후의 병력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열성경련 중 복합 열성경련을 보이는 환아 50례에서 뇌 MRI를 시행하여 다발성 허혈성 병변이 나타난 경우는 9례로 18%였는데 이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주산기에 문제를 보인 경우는 4례였다. 그중 미숙아 3명이었다. 산모가 전자간증이 있었던 경우가 1례 있었다. 열성경련의 가족력은 1명이 있었다. 임신주수는 평균 38주 정도로 대부분 만삭아 보다는 조금 일찍 출산한 것으로 보인다. 경련 형태는 부분경련을 보인 2명 이외에는 모두 전신 경련형태를 보였다. 열성경련이 경련지속 상태로 간 경우는 2례 있었다. 반복 열성경련을 보인 경우는 1례였고 경과 관찰도중 발달장애 2례였고 처음에는 이상이 없었으나 경과 외래로 관찰도중 간질로 이행한 경우는 1례였으며 학습장애를 보인 경우는 3례였다. 항경련제를 복용한 경우는 뇌파 상 이상 소견을 보인 경우는 1례와 반복된 복합 열성경련을 보인 1례로 모두 2례였다. 결 론: 이상의 소견으로 볼 때 본 조사의 증례수가 적어서 다른 군과의 비교가 어렵고 적은 증례로 통계학적 의미를 두기는 힘들어도, 출생력에 이상이 있거나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환아에서 열성경련 특히 복합 열성경련이 있을 경우 간질 여부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고, 추적 관찰 중 학습 장애나 기타 신경학적 이상 소견여부를 철저히 검사 후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고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Febrile seizures with ischemic encephalopathy were not mainly studied in children. Selected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and ischemic encephalopathy were studi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developmental delay and epilepsy. Methods : Nine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and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epilepsy and developmental delay. Results : Nine patients with atypical febrile seizures have multiple ischemic lesions in the brain MRI. The average gestational period was 38 weeks. Four children have minor perinatal problems. Among them, 3 children were born as premature and one received ventilator care because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 types of seizures were generalized seizures except two who showed partial type seizures. There were two cases of status epilepticus. During follow-ups, 3 children showed delayed development and academic difficulties. One patient were treated by antiepileptic drugs becuase of epilepsy during follow-up and one took valproic acid because of repeated atypical febrile convulsions. Concl usi on : Even though the number of the patients is guiet small, continous follow-ups of seizures and developmental status are needed in children with atypical febrile seizures with multifocal ischemic encephalopathy.

      • KCI등재

        KP505 프로펠러의 단독성능 시험을 위한 유동해석에 관한 연구

        이한섭(Han-Seop Lee),김민태(Min-Tae Kim),김원섭(Won-Seop Kim),이종훈(Jong-Hoon Lee),박상흡(Sang-Heup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9

        공동현상은 유체의 속도 변화에 의한 압력변화로 인해 유체 내에 빈 곳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고속의 액체유동에서 액체의 압력이 포화증기압 이하로 낮아져서 액체 내에 증기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 및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사용되어지는 유체기기에 대해 CFD 유동해석을 이용하여 선박용 프로펠러의 단독성능 해석기법의 타당성 확보 및 공동에 따른 유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FLUENT를 이용하여 전진비를 증가시키며 3차원 해석을 수행하고 MOERI의 실험 데이터와 비교분석하였다. 대형 컨테이너선용 KP505프로펠러의 사양을 기준으로 전진비에 따른 해석의 결과 전진비 0.7~0.8 구간에서 효율은 60% 수준으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압력면과 흡입면의 차이로 추력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프로펠러 표면보다는 이면부근에서 Bubble이 많이 생성될 것으로 추정되며 공동현상이 더 많이 발생할 것이라 추정되었다. 또한 전진비가 증가함에 따라 공동현상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추력계수와 토크계수는 MOERI 실험값과 비교했을 때 비교적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전진비 1을 제외하고 모두 5%이내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CFD로 프로펠러 단독 성능에 대한 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avita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empty spaces occur in a fluid due to changes in pressure and a velocity. When a liquid moves at a high speed, the pressure drops below the vapor pressure, and vapo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liquid. This study used CFD to analyze the flow of fluid machinery used in marine and offshore plants. The goals are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method for marine propellers in an open water test, to increase the forward ratio, and to use FLUENT to understand the flow pattern due to cavitation. A three-dimensional analysis was performe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from MOERI. The efficiency was highest at advance ratios of 0.7 - 0.8. Thrust was generated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surface and the suction surface, and it was estimated that bubbles would be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back side surface rather than the face side of the propeller, resulting in more cavitation. The cavitation decreased sharply as the advance ratio increased. The thrust and torque coefficient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MOERI experimental data except at the advance ratio of 1, which showed a difference of less than 5%.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FD can evaluate an open water propeller test.

      • KCI등재후보

        간질 중첩증으로 내원한 환아에서 발견된 뇌 정맥 기형 1례

        구현회(Hyun Hoe Koo),김원섭(Won Seop Kim),배일헌(Il Hun Pa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2

        저자들은 출생 후 정상 발달을 보였고 경련의 과거력이 없었던 4세 환아에서, 임상적으로 3시간 이상 지속되는 간질 중첩증을 보여 시행한 뇌파상 전두부와 측두부에서 때때로 나타나는 극파와 뇌혈관 조영술과 뇌 자기 공명 영상에서 정맥기형을 진단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Venous malformations has been shown to be the most common intracranial vascular malformation autopsy and clinical series. Cerebral venous malformation is associated with different frequnecies of epileptic seizures. Only in about 25% of cases are venous malformation diagnosed because of the occurrence of epileptic seizures. We report a case of 4 year-old female patient with status epilepticus caused by venous angioma in the right temporal lobe of the brain.

      • 뇌수막염이 의심된 영아에서 혈장 백혈구 중 단핵구 분율의 진단적 유용성

        이지호(Ji-Ho Lee),김원섭(Won Seop Kim),김용대(Yong-Dae Kim),이지혁(Ji Hyuk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1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1 No.3

        목 적:발열이 있는 1세 미만의 유아에서 요추천자 없이 뇌수막염을 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1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충북대학교병원에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1세 미만의 환아 124명을 뇌수막염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두 군간의 임상 양상과 혈액검사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 과: 30명의 뇌수막염군 환아들과 94명의 대조군 환아들의 혈액검사 소견에서 혈장 백혈구 중 단핵구의 분율이 뇌수막염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 외의 혈액검사 소견 및 임상 양상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혈장 백혈구 중 단핵구 분율은 뇌수막염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선별검사로 사용하기에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낮았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발열이 있는 유아에서 요추천자 없이 뇌수막염을 배제할 수 있는 지표로 삼을 혈액검사 소견 및 임상 양상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유아들에게 뇌수막염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는 보다 유용한 비침습적인 검사 방법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Purpose : To avoid a unnecessary lumbar puncture, we tried to find a useful tool for prediction of meningitis in infants. Methods : One hundred and twenty four patients underwent a lumbar puncture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 2011 to Dec 31, 2011. We divided them into 2 groups by the evidence of meningitis, and compared laboratory finding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Results : There were 30 patients for meningitis group and 94 patients for control group. Meningitis group revealed lower serum monocyte percentage (meningitis group 10.1±4.7%, control group 12.2±5.0%, P=0.049) than control group. Other laboratory finding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Serum monocyte percentage could help to predict meningitis in young infants, but it is not enough to replace a lumbar puncture. We therefore think that it requires a more accurate non-invasive diagnostic tool to detect meningitis.

      • KCI등재
      • 학령전기 보행 장애의 원인 중 양성 급성 소아기 근염의 의미

        이지호(Ji Ho Lee),김원섭(Won Seop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1

        목적: 길랑-바레 증후군과 같은 드물지만 심각한 질병에 대한 관심과 마찬가지로, 양성이지만 빈도가 높은 양성 급성 소아기 근염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양성 급성 소아기 근염 환아들의 임상 양상과 검사 소견을 보행장애를 일으키는 다른 원인질환과 비교하여, 침습적 검사 없이 이를 다른 질병군과 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보행장애를 주소로 충북대학교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환아는 총 68명이었고, 모두 입원하여 치료받았으며, 진단된 원인 질환은 양성 급성 소아기 근염, 길랑-바레 증후군, 일과성 활액막염, 그리고 화농성 관절염이었다. 양성 급성 소아기 근염군과 다른 세 질병군 사이의 임상 양상과 검사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성 급성 소아기 근염군을 다른 질병군과 구별할 수 있는 한 가지의 증상과 한 가지의 검사 소견이 있었다. 내원 4주 이내의 상기도 감염 여부와 아스파르트산 아미노기전이효소 (AST) 가 그것이다. AST가 45 IU/L 이상일 때를 양성 급성 소아기 근염 진단의 감별점으로 하였을 경우, 진단적 민감도는 94.4%, 특이도는 89.6%, 양성 예측도는 77.3%, 음성 예측도는 97.7%, 그리고 정확도는 90.9% 이었다. 결론: 양성 급성 소아기 근염은 학령전기 아동에게서 갑작스런 비외상성 보행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양성 일과성 병태로, 특히 남아이면서, 늦은 겨울부터 봄 사이에, 상기도 감염 증상과 발열이 동반된 경우에 양성 급성 소아기 근염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AST를 측정하여 45 IU/L 이상일 경우, 보행장애의 다른 원인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적인 침습적 검사를 시행할 필요성이 비교적 낮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o find a method that can differentiate benign acute childhood myositis from other diseases to avoid unnecessary invasive procedures. Method: Compared clinical manifest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among patients visited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sudden-onset gait disturbance from Jan 1, 2009 to Dec 31, 2013. Results: Upper respiratory symptoms within recent 4 weeks and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AST could help to make a decision to undergo some invasive procedures to rule out other causes of gait disturbance, with a cut-off value of 45 IU/L.

      • KCI등재후보

        소아 난치성 측두엽 간질 : 간질병소 국소화 및 수술적 치료

        김종신(Jong Shin Kim),김원섭(Won Seop Kim),김현미(Hyun Mi Kim),조강호(Kangho Jo),김기중(Ki Jung Kim),황용승(Young Seu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1

        연구배경 : 측두엽 간질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수술적 적응이 되며, 소아에서는 성인에 비해 수술적 적응이 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수술적 치료가 용이하다. 특히 측두엽 간질의 내과적 치료가 어렵고, 반복되는 발작이 뇌 발달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조기에 절제술을 시행함으로서 뇌의 재형성을 기대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측두엽 간질에 있어 발작병소의 국소화 및 편측화에 사용되는 검사들의 유용성, 발작형태, 수술후의 경과 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서울대병원 소아과에서 난치성 측두엽 간질로 진단 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거나 수술을 받을 예정인 1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작 기시부위는 발작형태, 발작간 및 발작시 뇌파, 뇌 자기공명영상, PET, 발작간 및 발작시 SPECT, 신경인지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결정하였다. 결과: 1) 발작양상 : 의식의 변화 9례(69%), 멍한 상태로 몸의 움직임이 없었던 경우 8례(62%), 자동증 7례(54%), 전조 4례(31%) 순이었고, 5례(38%)에서 이차성 전범화 발작이 있었다. 2) 뇌파 : 발작간 뇌파상 8례(62%)에서 국소화 및 편측화에 도움이 되었고, 발작시 뇌파상 12례(92%)에서 국소화된 부위와 동측에서 간질파가 기시하였다. 3) 뇌 영상 소견 : 뇌 자기공명영상은 10례(77%)에서 국소화된 부위와 동측에 병변을 보였다. 발작간 SPECT를 시행한 6례중 1례(17%)에서만 동측 측두엽에 혈류가 감소되었고, 발작 중 SPECT를 시행한 12례 중 8례(67%)에서 국소화 및 편측화에 도움이 되었다. PET를 시행한 11례 중 8례(73%)에서 국소화 및 편측화에 도움이 되었다. 4) 신경인지기능 : 7례에서 시행하여 편측화 또는 국소화 결정에 도움이 된 경우는 86%(6/7)였다. 5) 수술 결과: 표준적 측두엽 절제술 및 해마편도 절제술을 시행한 9례의 수술 후 발작의 경과는 Engel 분류 Class I 6례(67%), Class II, III, IV 각각 1례(11%)씩이었다. 결론 : 난치성 측두엽 간질의 수술 전 검사 중 편측화에는 뇌파가 유용하였으며, 신경인지검사, 뇌자기공명영상, PET, 발작시 SPECT 등은 편측화 또는 국소화 결정에 가치가 있었으나 발작간 SPECT는 유용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측두엽 절제술후의 발작의 경과는 양호하였으나, 소아간질의 치료에 대한 평가로 발달, 인지기능, 사회적응 등 다양한 면이 요구되므로 앞으로 더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Backgroud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ictal semiology, interictal and ictal electro-encephalography(EEG).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interictal and ict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and neuropsychometry for localization or lateralization of the ictal onset zone, and analyze the result of surgical treatment. Methods : We evaluated 13 children with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who are diagnosed at children’s hospit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January 1995 to August 1996. The ictal onset zone was determined by ictal semiology, electrophysiologic study, structural and functional neuroimaging, and neuropsychometry. Results: 1) Ictal semiology: Sixty-nine% of the studied children had change of consciousness, 62% had automatism, 31% had aura, 23% had contralateral versive movement, and 23% had contralateral dystonic posturing. Secondarily generalized seizure occurred in 38% of them 2) Interictal EEG showed localized or lateralized value in 8 cases(62%). In interictal EEG, 12 cases(92%) showed epileptiform discharges on the ipsilateral temporal lobe. 3)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ipsilateral temporal lobe lesion in 8 cases(62%), Interictal SPECT was performed in 6 cases, only one of them had decreased cerebral blood flow on the ipsilateral temporal lobe. Ictal SECT was done in all. 8 cases(67%) had localized or lateralized value. PET was performed in 11 cases, 8 cases(73%) of them had localized or lateralized value. 4) Neuropsychometry was performed in 7 cases, 6 cases(86%) of them had localized or lateralized value. 5) Nine patients underwent epileptic surgery, 6 of them had class I outcome and each one of the rest had class II, class III and class IV. Conclusions: Electroencephalography, neuropsychometry, MRI, ictal SPECT, and PET are valuable for localization and lateralization of the ictal onset zone, but interictal SPECT is valuless. The outcome after surgery is relatively good, but more extensive study including patient’s social, cognitive and emotional status will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