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Radiation Therapy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김원동,박찬일,김광현,Kim, Won-Dong,Park, Charn-Il,Kim, Kwang-Hyu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2 No.1

        1979년 3월부터 1989년 7월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55명의 환자가 이하선에 생긴 악성종양으로 치료를 받았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후향성조사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8명의 환자는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재발한 경우로 방사선 치료만 받았으며 나머지 47명에게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추가하였다. 이 환자들의 중앙추적기간은 48개월이었다. 조직학적으로는 mucoepidermoid ca가 25명으로 제일 많았으며 malignant mixed tumor와 adenoid cystic ca가 각각 12명, 6명이었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국소치유율은 10년에 65.7%였으며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합한 군이 방사선 단독 치료군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71.8% 대 28.6%). 조직학적 grade 및 종양의 크기, 임파절의 전이 여부가 국소치유율을 결정하는 요인이었으며 안면신경의 절제유무는 국소치유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원격전이는 환자의 23.6%에서 일어났으며 주로 high grade 병변에서 폐를 침범하였다. 전체생존율은 10년에 72.2%였으며 5년이후에는 plateau를 이루었다. 무병생존율은 10년에 49.4%였으며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합한 군과 low grade 병변에서 좀 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이하선 악성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이하선 절제술과 적절한 방사선치료를 병합함으로써 수술 혹은 방사선 단독 치료군보다 국소치유율의 향상 및 안면신경의 기능유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격전이시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항암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55 patients with malignant parotid tumor who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between March, 1979 and July, 1989. Of these patients, 8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RT) alone and 47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mbined operation and radiation therapy(OP + RT). The follow-up period of the survivors ranged from 1 to 129 months with a median of 48 months. The common histologic types were mucoepidermoid carcinoma (25 cases), malignant mixed tumor(12 cases), adenoid cystic carcinoma(6 cases). The 5 and 10 year local control rate were 69.8% and 65.7% in all patients. In OP+RT group,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local control were histologic grade, tumor size, lymph node metastasis. Resection of facial nerve did not affect the local control rate significantly(p=0.129). Distant metastasis developed in 23.6% of patients, mostly to the lung. Actuarial overall survival rate was 72.2% at 10 years and formed plateau after 5 years. Disease-free (NED) survival rate was 49.4% at 10 years and was better achieved in OP+RT group and low grade lesions. Based on our result, a well planned postoperative RT following parotidectomy is highly efficacious in controlling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and preservation of facial nerve.

      • 원전 사용후연료 저장 및 공론화

        김원동,Kim, Won-Dong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07 원자력산업 Vol.27 No.4

        한국수력원자력(주)는 20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원전에서 발생되는 전기로 우리나라 총전력의 약 40%를 담당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사용후연료가 발생하게 된다. 사용후연료는 재활용 여부에 따라 자원 또는 폐기물로 간주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사용후연료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방침이 정해지지 않아 이의 저장 시설이 필요하며 현재 원자력발전소 내 사용후연료 저장조와 건식 저장 시설에 임시 저장하고 있다. 사용후연료는 2006년 말 기준으로 8,670톤이 저장되어 있고, 발전소 내에 설치된 기존 시설의 저장 능력이 포화되는 것에 대비하여 조밀 저장대 설치, 호기 간 이송, 공동 저장, 습식 저장 시설 확장 및 건식 저장 시설 추가 건설을 통해 단계적으로 저장 능력을 확장하여 2016년까지 발생되는 사용후연료를 저장할 계획이다. 그러나 제253차 원자력위원회(2004. 12. 17)에서 2016년 이후 사용후연료 관리 방침에 대해서는 중간 저장 시설의 건설 등을 포함하여 충분한 논의를 거쳐 국민적 공감대하에서 추진하기로 결정됨에 따라 현재 공론화 방안 연구와 대내외적인 공론화가 진행되고 있다.

      • SCOPUSKCI등재

        Early Bowel Complications Following Radiotherapy of Uterine Cervi)( Carcinoma

        김원동,Kim, Won-Dong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적 : 저자는 자궁경부암으로 외부 방사선치료와 고선량 강내치료를 받은 신선 증례에서 급성 장관 방사선 합병증에 대하여 관찰하고 이와 연관된 여러 인자들을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4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6례를 대상으로 급성 장관 합병증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환자는 본과의 치료원칙에 따라 4cm 미만의, 병기 IB1 와 IIA 경우는 41.4Gy의 체외조사후 30Gy의 강내조사를 A점 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이외에는 50.4Gy의 체외조사후 24Gy의 강내조사를 실시하였다. 급성 장관 합병증의 기준으로는 EORTC/RTOG morbidity criteria를 이용하였으며 이 기준에 따라 치료 첫날부터 90일까지 발생한 합병증을 급성으로 간주하였다. 급성 합병증의 빈도 및 경중을 파악하였으며 급성 장관 합병증과 연관된 여러 치료전 임상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단변수 분석과 다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총 66 명의 환자 중 30명(46$\%$)에서 급성 장관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그 중 25명(38$\%$)은 grade 1, 2의 경미한 합병증이었으며 4명(6$\%$)은 grade 3, 1명(2$\%$)은 grade 4의 중증 합병증이었다. 거의 모든 합병증은 방사선 치료 시작 3주 후에 발생하였으며 누적 발생빈도는 10주에 41$\%$였다. 고연령과 복부 및 골반부 수술 과거력이 급성 장관 합병증과 유관한 인자였으며 3명의 환자에서는 급성 장관 합병증으로 전체 치료기간이 약 2주 증가하였으며 결국 3명 모두 골반 내 재발을 경험하였다. 결론 : 46$\%$의 환자가 급성 장관 합병증을 경험하였으며 대부분은 경미하여 임상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았다. 다만 고연령 및 수술병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급성 장관 합병증으로 인하여 방사선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compliance)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적극적인 주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early bowel complications in cervix cancer patients, following external radiotherapy (ERT and high dose rate intracavitary radiation (HDR ICR). Factors affecting the risk of developing early bowel complications and its incidence are analyzed and discussed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is the retrospective review of 66 patients who received radiotherapy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994 to December 1998. The patients underwent 41.4 or 50.4 Gy ERT according to FIGO stage and tumor size, then A point dose was boosted to 71.4 or 74.4 Gy using a remotely controlled afterloading Buchler HDR ICR. The EORTC/RTOG morbidity criteria were used to grade early bowel complications, which are valid from day 1, the commencement of therapy, through day 90. The actuarial incidence, severity of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and clinical pretreatment factors relevant to complications were found through univariate (Wilcoxon) and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alysis. Results : Of the 66 patients, 30 patients (46$\%$) developed early bowel complications; 25 patients (38$\%$) with grade 1 or 2, 4 patients (0$\%$) with grade 3 and 1 patient (2$\%$) with grade 4. The complications usually began to occur 3 weeks after the commencement of radiotherapy. The actuarial incidence of early bowel complications was 41$\%$ at 10 weeks. The early bowel complications were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an old age and a history of previous abdomino-pelvic surgery. All three patients who had a protracted overall treatment time (about 2 weeks) due to severe bowel complication, suffered from pelvic recurrences. Conclusion : Forty six percent of patients experienced early bowel complications, most of which were grade 1 or 2 and relieved spontaneously or by medication. The patients with an old age or a previous surgery have a high probability of early complications and they may be less compliant with planned radiotherapy. So more careful precaution is necessary for these patients.

      • KCI등재

        서비스산업의 추세와 특징

        김원동(KIM Won-Dong) 지역사회학회 2010 지역사회학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강원도 산업구조의 변화 추세와 특징 및 과제를 서비스산업에 초점을 맞춰 세계 주요 국가들의 경우와 비교해 가며 체계적으로 탐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제 협력개발기구, 통계청, 산업동향 보고, 선행연구 등에서 제공되는 산업통계 자료들을 재가공해 한국과 여타 국가들의 서비스산업 구조를 시계열적으로 비교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재구성하는 기초 작업에 공을 들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서비스산업의 고용규모는 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 회원국들의 평균 수준에 근접해졌지만 생산성 격차는 여전히 큰 편이다. 둘째, 한국산업 전체의 생산성은 높은 성장 증가율에 힘입어 미국이나 일본과의 격차를 좁혔지만 제조업 대비 서비스산업의 생산성은 낮다. 국내적으로도 한국 서비스업의 생산성은 제조업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셋째, 한국 서비스산업에서도 생산자서비스와 사회서비스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사회서비스의 비중은 세계 주요 국가들에 비해 아직 작다. 넷째, 한국 도소매⋅음식숙박업의 비중은 감소세를 보이면서도 여전히 가장 큰 부문이다. 문제는 한국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생산성이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주요 회원국들은 물론이고 국내의 다른 서비스업종에 비해서도 낮다는데 있다. 다섯째, 서비스산업의 자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세부 업 종별 혁신의 노력과 더불어 사회서비스 부문의 일자리 확대를 위한 사회적 합의의 도출, 제조업과 연계된 생산자서비스업과 유통서비스업에 대한 투자 등에도 주목해야 한다. 강원도는 제조업의 기반이 약한데다 서비스산업의 세부업종별 전국 대비 생산성은 전반적으로 더 낮아 이런 방향의 노력과 정부의 정책적 배려가 더욱 절실하다. This paper was aimed at exploring systematically the trends,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industrial restructuring in Korea and Gangwon-Do province compared with those of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Especially,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service industries in OECD countries including Korea. This study has made great efforts to totally reconstruct industrial data provided by OEC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dustrial trend reports, earlier studies and so on for comparing service sectors in Korea with those in the other countries diachronically.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ven though service sector employment in Korea has approached at almost average level in OECD major countries, gap in productivity between Korea and them is still large. Secondly, due to the high growth in overall industrial productivity, Korea has gradually closed the gap with the USA and Japan. However, the productivity gap between them in service sector is large compared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ternally, the productivity in service sector is at a low level compared to that in manufacturing industry, too. Thirdly, the share of producer services and social services continued to increase in korean service industry, but the share of social services still remains small in overall industrial structure compared to that of major nations in the world. Fourthly, the portions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restaurants and hotels have been declining gradually in recent years, but still remains as the largest sector in korean industry. However, productivity of them is much lower than those of OECD major countries and other service sectors at home. This is very serious situation. Fifthly, we have to purse social consensus for job creation in social services, investment increase in producer services and some distributive services closely connected with manufacturing industry together with efforts for productivity enhancement of service industry itself through innovations of service subsectors. This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realities of service subsectors much more urgently in Gangwon-Do provice than the other regions. Government has to politically support this kind of efforts, too.

      • KCI등재

        영국인의 국가정체성: `군주정`과 `정체성의 연속성` 문제를 중심으로

        김원동 ( Won Dong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6 담론 201 Vol.19 No.4

        이 연구는 먼저 영국 군주정과 왕실의례의 의미를 국가정체성의 관점에서 탐색해 보고자 했다. 연구에 의하면, 영국 군주정은 영국인의 일상적 삶에서 작동해 온 국가정체성의 실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역사적 실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국인들은 이를 매개로 같은 영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공유해 온 것이다. 또한, 영국인의 국가정체성 연구는 정체성 의식에 스며들 수 있는 전통의 연속성에 대한 과장이나 왜곡의 유혹을 경계해야 함을 일깨워주었다. 이 연구에서는 영국인들이 민족적 구성의 상이함과 그간의 국내외적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가정체성을 공통된 삶의 기반으로 삼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았다. 영국인들은 군주정을 비롯한 여러 상징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국가정체성을 폭넓게 공유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군주와 왕실의 역할, 국가정체성의 구성 내용에 있어서는 시대와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변화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monarchy and royal ritual in the light of the perspective of national identity. British monarchy turned out to be a historical case of national identity that had exerted an important effect on British daily life. The British have shared national identity as the same people through them. This study also reminds us to previse an exaggeration or a distortion of continuity of tradition that might permeate into the identity. The second and third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whether or not the British have shared national identity by several symbols including monarchy to this day in spite of different ethnic composition and changes at home and abroad. The study shows that the British still have widely shared national identity. It is also found that roles of the monarch and royal family, and components of national identity have been changing according to changes of the times and environment.

      • KCI등재

        미국 포틀랜드지역의 농민시장 운영 실태에 관한 사례 연구

        김원동(Won Dong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08 農村社會 Vol.18 No.2

        미국의 농민시장이 국내 학계 일각에서도 관심을 끌고 있다. 위기에 처한 한국 농업의 활로 모색에 무엇인가 시사하는 바가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 글도 기본적으로 같은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물론 접근방법은 기존의 연구들과 차이가 있다. 선행 연구들로 인해 미국 농민시장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는 이미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보기 때문에, 지역사례연구를 통해 미국의 농민시장이 현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현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특히, 저소득층의 농민시장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연방정부 프로그램들의 핵심 내용과 의의 및 한계를 포틀랜드지역의 농민시장 현황과 관련지어 검토해 보았다. 이 글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본문에서의 분석에 기초해 포틀랜드지역 농민시장의 특징들이 한국 농업의 위기타개를 위해 제공하는 시사점들을 도출해 보고자 했다. 포틀랜드지역의 농민시장은 미국 전역의 농민시장 성장세보다 훨씬 급속하게 성장해 왔다. 2008년 9월 현재 15개가 시 전역에 분산되어 운영되고 있고, 지역에서 생산된 신선하고 안전하면서도 고품질의 농산물을 인근 주민들에게 제철에 공급하고 있다. 장터가 열리는 요일과 시간은 고객의 접근편의성을 고려해 매우 다양하게 정해져 있는 편이다. 또 농민시장은 복합적인 사회적 기능을 수행해 오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즉 농민시장은 지역에서 재배된 양질의 농산물이 거래되는 경제적 장소일 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휴식공간이자 도농(都農) 주민의 일체감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공동체 통합의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다. 한편, 미국 연방정부는 저소득층 노인 및 여성 등의 농민시장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들을 운영해 오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보조금의 액수 자체가 소액이라 아직 소기의 정책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농민시장을 통한 공동체의 형성과 교류 과정에 저소득층을 동참시키고자 하는 착상은 주목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이와 같이 농민시장의 다양한 기능, 지역농산물의 품질상의 경쟁력, 지역농민과 농민시장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관심, 저소득층의 농민시장 이용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배려, 고객의 편의와 이용의 극대화를 겨냥한 시장운영의 유연성 등은 우리에게 농민시장의 중요성을 일깨워줌과 동시에 농민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유익한 시사점들을 제공해 준다. The growth of farmers` markets in the U.S. has attracted some researchers` attention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This attention derives from the expectation that American farmers` markets may give suggestions for Korean agriculture about the coming crisis. This paper has fundamentally the same critical mind as the Korean researchers`. However, the approach of this study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of the earlier studie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farmers` markets in the City of Portland, Oregon are concretely operating now on the basis of an overview of farmers` markets in general. Especially, it reviews what the cor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federal government`s programs for promoting the use of farmers` markets by low-income seniors and women are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conditions of farmers` markets in the Portland area. I`ve tried in the final section of this paper to draw suggestion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farmers` markets in the City of Portland for finding a way out of difficulties in Korean agriculture. The number of farmers` markets in the City of Portland has increased more rapidly than those in the whole country, on the average. Fifteen markets are operating in September 2008 in the entire area of the city, and mainly providing people living or working in areas near markets with locally produced fresh fruits and vegetables. Markets are open on slightly different days and times for the convenience of customers` access to them. This study shows that farmers` markets can have complex social functions. Namely, they`ve played a role as a space for community integration as well as an economic place dealing with locally grown high-quality produce. On the other hand, the U.S. federal government manages several programs for supporting the use of farmers` markets by low-income families. But a government subsidy is a small sum and is not enough to obtain the desired results. Nevertheless, this study ranks the idea of including the low-income families in the process of community-formation and social interaction by the medium of the farmers` markets very high. The review and analyses of farmers` markets in the City of Portland remind us of importance of farmers` markets and make useful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our agriculture. They are complex functions of farmers` markets, a competitive quality of locally grown agricultural products, local residents` concerns over local farmers and farmers` markets, care through government policy for helping the use of farmers` markets by low-income families, flexibility of market-operation aiming at customers` convenience, and maximization of the use of the markets, and so forth.

      • KCI등재

        영국의 첨단기술 클러스터

        김원동(Kim, Won Dong),박준식(Park, Joon Sik) 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학 Vol.19 No.1

        영국은 캐머런 내각의 출범 이후로 첨단기술 클러스터 정책을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미래의 국가경쟁력 담보를 위한 핵심 의제로 채택하여 추진해 오고 있다. 처음에는 런던의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시작했지만 차츰 그 영역을 확장하여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클러스터 거점을 육성하고 상호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세계적인 첨단기술 국가를 구현하려는 프로젝트로 진화했다. 클러스터 정책 추진 과정에서 확인된 해외 인재의 유치를 위한 이민 비자제도의 개선, 대학의 역할중시, 디지털 경제 부문 일자리의 급증, 디지털 부문 노동자들의 높은 생산성과 임금 수준, 지역별로 특화된 클러스터의 육성과 지역경제의 성장 등은 영국의 클러스터 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전망을 하게 하는 요인들이다. 하지만 영국 정부가 첨단기술 클러스터의 성공적인 안착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적지 않다. 이를테면, 북부지역의 교통 인프라를 비롯한 사업 환경의 상대적 낙후성과 그 귀결로서의 남북지역 간 성장 격차, 북부지역의 신생 창업 기업이나 기존 업체들에 대한 국내외 투자자들의 소극적인 태도, 런던의 경쟁력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는 런던지역의 치솟는 사무실 임대료와 거주비, 브렉시트가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럽연합 회원국 출신 인재 유치에서의 어려움, 첨단기술 부문 외국인 고급 노동력의 런던 편중 등이 그것이다. 영국이 ‘하나의 첨단기술 국가’라는 비전의 실현을 향해 얼마나 안정감 있게 순항할 수 있을지는 앞서 언급한 성장 잠재력의 극대화와 현안의 해결 여하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Since the commencement of the Cameron Cabinet, Britain has been promoting hi-tech cluster policy as a key agenda for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the future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Even though the policy started at the East London, it has gradually expanded its areas of application and finally evolved into a global hi-tech nation project through fosterage of nationwide cluster bases and establishment of a close and powerful network among them. In the promotion process of the cluster policy, we found out some factors that might make a positive evaluations and have an expectation of the UK cluster policy. They are an the improvement of the immigrant visa system for attracting global talent living abroad, an emphasis on the role of the university, a rapid growth of new jobs in the digital economy sector, the high productivity and wage level of the digital sector workers, the nurture of specialized clusters region by region and the growth of the local economy, and so on. However, there are also many challenges that the UK government needs to surely resolve for the successful destination of its hi-tech clusters and their sustainable growth. For example, they are a relative backwardness of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the northern region and the growth gap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as a result of it, a domestic and foreign investors’ passive attitude to the start-ups and existing companies in the northern region, a soaring office rent and housing cost hindering London’s competitiveness, the anticipated difficulties in attracting talent from European Union Member States due to the Brexit, and concentration to London of the foreign labor in hi-tech sector. The UK government’s realization of a Tech Nation vision will depend on her capability to maximize the above-mentioned growth potential and resolve the pending issues.

      • KCI등재

        브렉시트 이후 영국 농민시장의 지속가능성 탐색

        김원동(Kim, Won D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21 農村社會 Vol.31 No.1

        이 논문의 목적은 브렉시트 이후 영국 농민시장의 지속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이 같은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해 영국의 런던, 에든버러, 벨파스트와 아일랜드의 더블린을 방문하여 농민 판매인, 농민시장 관계자, 소비자 등과 주로 농민시장에서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또 세부 영역의 연구 주제들과 연관된 통계자료들에 근거해 면접조사에 내재된 한계를 보완하고자 했다. 연구에 의하면, 영국은 먹거리 자급율이 매우 낮고, 최근까지도 먹거리 교역 문제에 있어 유럽연합 회원국들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영국사회는 브렉시트로 인해 먹거리 문제에 좀 더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영국의 농업과 먹거리 전반에 밀려온 이러한 현실과는 달리 농민과 농민시장 관계자 및 소비자들은 적어도 영국 농민시장의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는 낙관적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한 긍정적 전망을 뒷받침하는 여러 근거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이론적·실천적 함의 또한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농민시장이 양질의 먹거리를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것, 농민시장의 지속가능성을 구조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영국정부가 특히 농민시장 참여 농민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영농활동에 종사하는 모든 농민들을 위한 지원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농민시장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전환을 유도하는 정부 차원의 정책 수립과 시민사회의 운동이 요구된다는 것 등이 그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ustainability of the British farmers" market in the post-Brexit age. To do this, I visited London, Edinburgh, Belfast in the UK and Dublin, Ireland, where I’d done in-depth interviews with local farmer-vendors, market manager and coordinator and consumers mainly at farmers" markets. I tried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inherent in interview method on the basis of statistics related to the detailed topics of the study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is study, Britain was heavily dependent on the European Union, because of very low self-sufficiency in food. It was evidently found in recent statistics about food trade with EU member states. In this context, we can say that post-Brexit British society now confronts much more serious food problem than before, which should be surely solved. As opposed to the reality of British agriculture and food in general, farmers, market manager and coordinator and consumers showed optimistic prospect about the sustainability of the British farmers" market. Several evidences supporting that kind of positive perspective were found out in the study, too. Three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could be deriv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rmer’s market could be a clue for securing quality food in a sustainable way. Second, to support the sustainability of farmers’ market structurally, the UK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subsidy system for all of small farmers engaging in environmentally-friendly farming as well as farmers participating in farmers’ market as urgently as possible. Third,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farmers’ market, we also need to set up social policies and develop civil movements for changing most of consumers’ consciousness of eco-friendly food.

      • KCI등재후보

        브렉시트 이후 다민족국가로서의 영국의 지속가능성 : 영국인의 ‘민족정체성’과 ‘국가정체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원동(Kim, Won Dong)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학문 Vol.32 No.-

        This paper aims to achieve two main goals. One is to explore how residents in four major regions of the UK perceive their identities and what characteristics they have in the light of both their national identity and State identity. The other is to look into Britain’s sustainability as a multi-national state in the post-Brexit era from the same perspectiv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ose who found their identity in national identity rather than State identity have decreased, those with British identity have mostly increased since 1999. Second, even though internal split among the British revealed in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several issues surrounding Brexit, there were much more positive empirical evidences than negative ones for Britain’s sustainability in the post-Brexit era. Third, it was the possession of British citizenship, and respect for their institutions and legal systems rather than such factors as religion or sharing of tradition that the British had emphasized as indicators of British identity. This phenomenon implies that British identity has gradually evolved into a rational way emphasizing civic traits in line with social change in the UK. Fourth, the British need to make sure that their State identity functions as a strong basis for cohesion supporting sustainability as a multi-national state, coexisting with national identities in four regions.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caution themselves against transforming that into a kind of exclusive and egoistic n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