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상임금 관련 근로기준법 개정의 필요성 - 2016. 5. 30. 발의된 근로기준법 일부개정법률안 중심으로

        김원곤 ( Kim Wongon ) 경성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경성법학 Vol.25 No.-

        통상임금이 근로자가 사용자와 사이에 법정근로시간의 범위에서 정한 근로시간을 초과하는 근로를 제공할 때 가산임금 등을 산정하는 기준임금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것은 당연히 근로자가 소정근로시간에 통상적으로 제공하는 근로의 가치를 금전적으로 평가한 것이어야 하고, 또한 근로자가 실제로 연장근로 등을 제공하기 전에 미리 확정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사용자와 근로자는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제공되는 연장근로 등에 대한 비용 또는 보상의 정도를 예측하여 연장근로 등의 제공 여부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고, 실제 연장근로 등이 제공된 때에는 사전에 확정된 통상임금을 기초로 하여 가산임금을 곧바로 산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2013. 12. 18. 대법원 전원합의체판결은 향후 하급심 판결이나 다른 유사한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에서 중요한 법리적 기준 또는 법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개별 사례에 대한 판결이므로 그 내용의 일부는 명확하지 아니한 점도 있기 때문에 다른 사건들에 대해서도 일관되게 적용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해석상의 새로운 쟁점이 부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본질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무상의 혼란과 관련 피해의 방지 및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합리적인 개선방안이 필요하며, 그러한 개선방안의 하나로서 통상임금 제도의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입법의 필요성은 2016. 5. 30. 근로기준법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2000028)이 발의되게 되었고 위 일부개정법률안은 근로기준법시행령에서 모법의 적용이 없이 규정되어 있던 통상임금을 근로기준법의 정의와 관련된 규정에 명시하므로 인해 통상임금의 개념 및 법적근거를 명확히 하고, 법 적용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이번 근로기준법 일부개정 시도는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다만 추후 통상임금과 관련된 규정이 법률로 명시된다고 할지라도 각종 수당에 대한 통상임금 인정여부에 대한 법해석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고, 또한 이러한 통상임금 관련 법률 분쟁을 줄이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로기준법시행령 및 시행규칙의 개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In case the employee works more than the work hours on which workers and their employers have made an agreement within the limit of work hours, considering ordinary wages are base pay used to calculate overtime allowances etc., they should represent the monetary value of work ordinarily done during the prescribed working hours set out in the labor contract and ordinary wages should also be predetermined before the employee actually work overtime. By doing so, both employers and employees predict the extent of payments or compensation for providing services beyond his/her prescribed working hours, which can be used to make decisions as to whether to work overtime, and thereby they are able to calculate overtime allowances immediately based on ordinary wages that is determined in advance when the employee actually work overtime. Although the ruling delivered by the full bench of the Supreme Court on December 18, 2013 may give the juridical standards or legal guidelines in the lower Courts ruling henceforth or the Supreme Court ruling on other similar cases, it is challenging to be applied consistently on every other cases since some of the content is not clear enough due to the fact that it is a decision on a specific case. Furthermore there is a fundamental limit in that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it becomes a new interpretation issue. Hence, in order to avoid relative damages and such confusion in practice and fix a rather complicated problem more reasonable improvements are needed and, in other words, as one of such measures the ordinary wage system is in need of legislative improvements. In this respect of the need for legislation, the partially revised legislative bill of the Labor Standards Act was issued on May 30, 2016 (No. 200028) which stipulates that ordinary wage that had been stipulated with no application of the mother law in enforcement decree of the Labor Standards Law is clarified in the definition of the Labor Standards Law and related regulations. Accordingly this attempt for partial revision of The Labor Standards Act represents a fairly significant meaning by the reason of bringing out the definition of ordinary wage and its legal ground distinctly and driving the predictability of legal application. Even if rules and regulations regarding ordinary wage were stated in the law, there would still remain the interpretative problem of whether or not ordinary wages in respect of all sorts of allowances are approved. Consequently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Labor Standards Law and amendment of enforcement regulation are of significant importance to prevent and reduce legal disputes associated with ordinary wage.

      • 일본의 할증임금에 대한 입법례

        김원곤 ( Kim Wongon ) 경성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경성법학 Vol.26 No.-

        우리나라 통상임금은 근로기준법시행령의 규정 안에 그 개념 및 산정범위와 관련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 아니하고, 판례는 이러한 시행령상의 추상적인 기준을 전제로 개별적인 판단을 하고 있으므로 본질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무상의 혼란과 관련 피해의 방지 및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합리적인 개선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개선방안의 하나로서 통상임금의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같이 통상임금의 입법 필요성을 강조함에 있어 우리나라와 매우 유사한 법체계를 가지고 있는 일본의 할증임금 법리를 참조할 수 있다. 일본의 근로기준법에는 할증임금에 대한 명문의 정의 규정은 없다. 다만 우리나라의 시간외근로 등에 대한 가산임금의 산정기초가 되는 통상임금과 같은 가산임금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이는 우리의 규율 형태와 유사하다. 여기서 시간외근로 등의 경우 가산임금을 계산함에 있어서 노동기준법은 우리나라와 달리 시간외근로 등의 가산금의 산정기초가 되는 「통상의 근로시간의 임금계산액」, 즉 소정근로시간에 대한 임금에 대하여 명문으로 제외대상 수당 등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점이 우리나라 근로기준법과 다른 큰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이같이 일본의 경우 근로자의 개별적인 사유로 인하여 할증임금의 기준액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할증임금 제외대상 임금을 열거방식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의 통상임금에 대한 근로기준법을 개정할 경우에도 일본의 경우와 같이 위임규정을 두어, 통상임금에 제외하는 임금의 범위를 그동안의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및 판례 등으로 정립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그뿐 아니라 통상임금에 산입하는 임금의 범위도 명시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사용자와 임금을 지급받는 근로자들에게 통상임금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더 높이고, 통상임금 해당 또는 제외되는 항목에 대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근로기준법을 일부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Under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Labor Standards Act, the concept and the assessment range of the ordinary wage is not been specifically written, and also the courts’ precedents, which defining the standards of the ordinary wage, are given relying on their abstraction. Therefore, the standards of the ordinary wage is uncertain. In order to resolve issues arising from this uncertainty, there must be a reasonable plans for its improvement. A legislation amendment is one of the plans. From this emphasis on the amendment of the legislation in relation to the ordinary wage, Japan’s legal principle of the additional allowance can be reviewed as Japan’s legal system is similar to Korea. Under Japan’s Labor Standards Act, there is no specific section which defines the additional allowance. However, Japan’s Labor Standards Act has a section that defines the basis for calculation of the additional payment in relation to overtime work. This is similar to Korea’s ordinary wage system which embraces the fundamental of the additional payment. Herein, the basis for calculation in relation to the overtime work, Japan’s Labor Act defined it as 「calculated wage from the overall length of work」under the section, in other words, Japan’s Labor Act defines, in express terms, the exclusion clause of the allowance in relation to prescribed working hour. This is a crucial difference to Korea’s Labor Standards Act. In this way, Japan’s Labor Act has enumerated sections of the ranges of additional allowance and exclusions to prevent the changes of the standard amount due to individual reasons which is outstanding. For the amendment of Korea’s Labor Standards Act in relation to the ordinary wage, it is necessary to make delegation provisions like Japan so it can include exclusion range of the ordinary wage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and it can also specifically rearrange information written under the precedents given by the High Court. Further, the range of wages that are within the ordinary wage also can be written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so it can improve prediction for the employers and employees who is giving and receiving wages under the ordinary wage system. Therefore, the amendment of the Labor Standards Act is crucial to make employers and employees easy for them to understand and foresee inclusion and exclusion of wages under the ordinary wage system.

      • 차량 구조 모델의 통계적 보정을 통한 피로 균열 발생 지점 추정

        김원곤(Wongon Kim),이규석(Guesuk Lee),손혜정(Hyejeong Son),김태진(Taejin Kim),윤병동(Byeng D. Youn) 대한기계학회 201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8 No.12

        This paper presents automotive structural finite element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based on the fatigue and quasi static loading test. Through the experiment, the plain principal strains on automotive structure surface at 4 points and displacement at the loading point are measured under quasi static and dynamic (fatigue) loading. The fatigue test is undergoing until visible fatigue crack initiation. In calibration procedures, Genetic Algorithm is used to optimize the statistical parameters of input uncertain variables to minimize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ponses under quasi static loading. After Calibration, the hot spot where the maximum von-mises stress occurred elements location is not deterministic. The hot spot results are validated in a qualitative manner using fatigue experiment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