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ISCIESCOPUS

        BCNF 릴레이션 생성에 관한 연구

        김욱,한상만,송영기,Kim, Uk,Han, Sang-Man,Song, Yeong-G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7 전자통신 Vol.9 No.3

        주어진 릴레이션 스킴(relation scheme)을 이에 관련된 함수적 종속(functional dependency)들을 가지고 분해하여 Boyce-Codd 정규형(Boyce-Codd normal form)에 속하는 릴레이션 스키머(schema)로 정규화(normalization)시키는 기존의 분해 알고리즘(decomposition algorithm)은 구현해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다. 본 고에서는 기존의 알고리즘 구현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이를 토대로 Boyce-Codd 정규형 릴레이션 스킴을 생성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 알고리즘을 UNIX 환경하에 C 언어로 구현한 후 임의의 자료를 수행하여 얻어진 릴레이션 스키머와 기존의 알고리즘에 의해 얻어진 릴레이션 스키머를 비교분석하였다.

      • KCI등재

        콩 생식생장단계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흡즙에 의한 콩 종실 피해

        정진교,윤종탁,임대준,박종호,김욱한,Jung, Jin-Kyo,Youn, Jong-Tag,Im, Dae-Joon,Park, Jong-Ho,Kim, Uk-H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4

        콩 생식생장 단계별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접종하거나, 침으로 꼬투리를 치르는 인위적 가해를 통해 콩 종자 피해를 조사하였다. 착협기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리재 성충을 섭식시켰을 때, 빈 꼬투리와 종자로 전혀 발육하지 못한 판형종자의 생성비율이 종실비대성기에서의 가해보다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 종실비대성기에 섭식시켰을 때는 종자모양은 거의 정상적이나 종피에 피해흔적이 뚜렷한 종자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종자모양이 많이 변형되거나 불완전하게 성숙한 기형종자의 비율은 처리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다른 종자형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착협시 피해에서 생성된 판 종자의 83%, 종실비대성기에 생성된 피해흔적이 있는 종자의 91%에서 종자 표면 위에 실험곤충의 빨대피막이 관찰되었다. 개화기 섭식은 피해종자 생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않았다. 종실비대성기와 성숙기에 침을 이용하여 콩 꼬투리를 찔러 물리적인 가해를 하였을 때, 수확기에 건전한 종자들을 발견할 수 없었고, 피해gms적이 있는 종자의 비율이 기형종자 보다 많았다. 종실비대성기에 침으로 찌른 회수가 많은 경우 판형종자와 기형종자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피해흔적 종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는데 무게감소 비율은 적게 찌른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켰다. 그러나 성숙기 인위적 가해에서는 수확종자의 무게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Soybean seed injury was analyzed in the experiments that soybean pods were allowed to be sucked by adults of the bean bug, R. clavatus, and were picked with a specimen pin. While attack by the bean bug at podding stage of soybean caused the increase of empty pods and completely-undeveloped seeds, attack at full seed stage caused the increase of seeds wi distinct injury mark on seed-coat. The ratio of deformed seed was lower than those of injury-marked seed and undeveloped seed when attacked during all stages. In at full bloom stage hardly produced injury-marked seeds and deformed seeds. When the injured seeds were dyed with acid-fuchsine solution, stylet sheaths of R. clavatus formed on seed-coat were observed in 83% of undeveloped seeds formed under attack during podding stage and in 91% of injury-marked seeds formed during full seed stage. In pods injured with a specimen pin at full seed and full maturity stages, no healthy seeds could be obtained from the pods. And the more picked at full seed stage, the more deformed seeds were produced and the higher weight reduction of injury-marked seed occurred. However, pin-injury at full maturity stage didn't give rise to weight reduction of seeds.

      • KCI등재

        연구보문 : 속 찬 줄기 특성 밀의 총체사료 이용 가치 연구

        박형호 ( Hyoung Ho Park ),김대욱 ( Dae Wook Kim ),황종진 ( Jong Jin Whang ),허화영 ( Hwa Young Heo ),김정곤 ( Jung Gon Kim ),권영업 ( Young Up Kwon ),김욱한 ( Uk Han Kim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0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2 No.4

        1. Solid인 그루밀, 우리밀, 탑동밀, 진품밀 및 hollow인 진품밀 solid A, 진품밀 solid B, 고분밀, 은파밀의 밀 8품종의 줄기 특성과 총체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수수, 간장 및 줄기 직경을 고려한 줄기의 체적당 건물중에서는 solid type의 건물중이 무거웠으나 간장 및 줄기의 직경은 solid형이 작아서 stem당 무게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거나 오히려 가벼웠으며, 수수는 더 많아 단위 면적당의 건물중에는 차이가 없었다. 2. 직경이 비슷할 경우, 줄기와 잎을 포함한 tiller당 건물중은 solid인 4품종 평균이 더 무거웠고 hollow인 진품밀 및 진품밀의 solid형 near-iso-genic line 들의 건물중도 유의성은 없으나 solid형이 더 무거웠다. 3. 진품밀 및 Jin sol A 및 Jin sol B의 잎과 이삭을 제외한 줄기의 건물중은 5월 11일에는 차이가 없으나 5월 31일에는 solid형이 더 무거워 solid에 의한 건물중 증대효과는 생육 말기에 이르러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orm the effects of solid stemmed characteristics on total dry weight production in wheat as a haylage cro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dry weight and total stem only dry weight between the two stem types, although the dry weights per unit cubic was heavier in solid type than hollow type. It seemed that shorter plant height and thicker stem diameter diminished dry weight increase of solid type. Stem dry weights with similar diameter on solid type was also heavier than hollow stem. The content of crude lipid of solid stem was higher than hollow, but crude fiber was low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n CP, ADF and NDF contents and RFV also. The dry weights of 30 stems of Jinpummil and it`s near-iso-genic lines at two time point, May 11th and 31st indicate that later haylage harvest is to be profitable for solid type.

      • KCI등재

        Artificial Heart Control

        엄경식,안재목,조영호,박용남,조한상,김욱,김원곤,노준량,원태희,김희찬,민병구,Eom, Gyeong-Sik,An, Jae-Mok,Jo, Yeong-Ho,Park, Yong-Nam,Jo, Han-Sang,Kim, Uk-Eun,Kim, Won-Gon,No, Jun-Ryang,Won, Tae-Hui,Kim, Hui-Chan,Min, Byeong-Gu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and Biological Engin 1999 의공학회지 Vol.20 No.6

        심장은 생명의 가장 중요한 장기 중 하나이며, 이 중요성은 인공심장의 연구를 불러일으켰다. 본 고에서는 전세계적으로 연구되는 인공 심장 제어의 방법론, 추세 그리고 현 상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인공 심장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인 인공 심장 제어는 자연 심장의 역할을 최대한 모방하여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각종 생리적 제어 인자를 얻기에는 센서 기술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인공 심장을 위한 많은 제어 변수가 연구되었으나, 단지 몇 가지만 실제로 적용되는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왜 다른 요인들이 제외되었으며 무엇이 현재 제어 방식의 선택 기준으로 고려되었는지를 설명한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인공 심장의 제어에 앞서서 자연 심장의 제어를 짧게 설명하고, 5개의 대표적인 인공 심장 제어 연구 조직을 선정하여 소개와 정리를 하였다.

      • KCI등재

        벼 재배지 논물의 수질특성과 Chl-a 변동 요인의 통계적 분석

        배희수 ( Hui Su Bae ),장현수 ( Hyeonsoo Jang ),황재복 ( Jaebok Hwang ),안승현 ( Seung Hyeon Ahn ),윤종탁 ( Jong Tak Youn ),김욱한 ( Uk Han Kim ),배범수 ( Beomsoo Bae ) 한국환경과학회 2019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8 No.11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influence on environmental factors between paddy water chemical properties and Chl-a concentration (algae biomass index) using water samples collected in June for 3 years at rice paddy fiel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s in DO(-0.366) and pH(-0.141). In contrast,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ed in COD(+0.431) and TOC(+0.422).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3 factors were obtained and indicated that PC1 were Ca, K, Mg cation, PC2 were TOC, T-P, PO<sub>4</sub><sup>3-</sup>-P and DO, and PC3 were T-N and NH<sub>4</sub><sup>+</sup>-N. As a result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for chl-a concentration, the total amount of explanation was 20.6%, PC2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chl-a concentration and PC1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PC3 has a negative correlation. In conclusion, carbon and phosporous content are the main factors for the increase algae blooms of rice paddy.

      • pT1N3 위암

        안대호,권성준,윤효영,송영진,목영재,한상욱,김욱,Ahn, Dae-Ho,Kwon, Sung-Joon,Yun, Hyo-Yung,Song, Young-Jin,Mok, Young-Jae,Han, Sang-Uk,Kim, Wook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2

        목적: 위내시경의 보급으로 조기위암의 빈도가 증가하고 축소치료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는 장점도 있으나 림프절 곽청의 측면에서 제한점이 있다. 림프절 전이를 동반하는 조기위암의 대부분은 UICC-TNM 분류의 N1 또는 N2이지만 드물게 N3의 보고도 있다. pT1N3 위암은 증례보고는 있지만 review논문은 없어서 특성을 이해하거나 치료방침을 세우기가 어렵고 UICC-TNM에서 4기로 예후가 나쁜 위암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객관적인 증거는 없다. 저자들은 국내 6개 대학에서 9예의 pT1N3 위암 치험예를 모아서 문헌 고찰과 함께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차병원,한양의대,충북의대,고려의대 구로병원, 아주의대, 가톨릭의대 성가병원의 6개 병원에서 기간은 서로 다르지만 의무기록 분석이 가능하였던 기간동안 수술을 받았던 2,772예의 조기위암 중에서 UICC-TNM의 pT1N3 위암 9예를 분석하였다. 비교 대조군은 분당 차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210예의 조기위암 환자이다. 결과: 9예는 전체 조기 위암 2,772예의 0.32%이며 남자는 3명, 여자는 6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7세였다. 점막암이 2예, 점막하층암이 7예이고 전이된 림프절의 수는 18에서 52개로 평균 27개였다. 5예는 표층 팽창형으로 대조군에 비해서 많았고 종양의 크기도 N3군이 N0, N1, N2군보다 컸다. 7예에서 림프관 침윤이 있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1예는 대동맥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어서 비치유 절제가 되었고 2예에서 조기재발이 있는 등 예후가 불량하였다. 결론: pT1N3 위암의 위험 인자로는 여성, 점막하층암, 종양의 크기, 림프관 침윤을 들 수 있다. pT1N3 위암의 존재는 조기위암의 축소 치료 시 주의를 요하며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항암 보조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Various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echniques, such as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a laparoscopic gastrectomy, are becoming common practice for som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EGC) defined in terms of the depth of invasion being limited to the mucosa or submucosa. However, there are rar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with massive lymph-node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6 university hospitals of Korea, 2,772 EGC cases were resected during the various period of analysis (1,432 cases of mucosal cancer and 1,340 of submucosal cancer). Results: As control data, we used the data from a single institute, CHA University Hospital. There were nin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9/2,772, 0.32%) with N3 lymph node metastasis defined by more than 15 lymph nodes being metastasized according to the UICC-TNM classification (pT1N3, stage IV). Two cases were mucosal cancer (2/1,432, 0.1 4%), and seven cases were submucosal cancer (7/1,340, 0.52%). Metastasized lymph nodes varied in number from 18 to 52. There were three male and six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7. This is a totally reversed sex ratio compared to the usual gastric cancer or EGC. Among the total of 9 EGC patients, there were 5 who had superficial spreading carcinomas with surface areas larger than $25\;cm^2$. This is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compared to the general EGC population. When we compared the tumor size according to the LN status, the N3 group was definitely larger than the other groups. 78% of the pT1N3 cases showed lymphatic invasion, which is very high compared to the 4.7% in general EGC cases. Among the 9 cases, 6 patients had too short a follow-up period to evaluate the correct prognosis, but there was one patient with a non-curative resection and two patients with early recurrence. Although the sample size is small and the follow-up period is short, we can expect a very poor prognosis when we consider the common prognosis of EGC that is widely known and accepted.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can a conclude that the risk factors for pT1N3 gastric cancer are female patients, submucosal invasion, larger tumor size, and lymphatic invasion. However rare, the existence of pT1N3 gastric cancer need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especially during the diagnosis. Furthermore,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EGC needs to be chosen with great precaution. Since the prognosis of pT1N3 gastric cancer is expected to be poor, aggressive adjuvant chemotherapy may be necessary.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109-113)

      • KCI등재

        근위 척골 이면성 골절에서의 구상돌기 역행성 나사 고정을 통한 주두 금속판 고정술의 수술 결과

        변성은(Seong-Eun Byun),이호재(Ho-Jae Lee),김준현(Junhyun Kim),이상준(Sang-June Lee),김욱(Uk Kim),한수홍(Soo-Hong H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5

        목적: 근위 척골 이면성 골절은 주두 골절에 구상돌기 골절이 동반된 골절이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골절에 대해 저자들이 적용한 술기의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이면성 골절로 수술 받은 15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예에서 주두 골절의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 및 금속판의 나사 구멍을 통하여 역행적으로 삽입된 나사를 통한 구상돌기 골절 고정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적 평가에서 골유합 및 관절면 불일치, 임상적 평가에서 최종 추시 시 운동 범위,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및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기간 18.6개월로 전체 예에서 추시 방사선 사진상 골유합을 보여주었고, 2 ㎜ 이상의 관절면 불일치를 보인 예는 없었다. 최종 추시 시 평균 관절 운동 범위는 128<SUP>o</SUP>, Mayo elbow score는 92.14점이었으며 DASH score는 7.11점이었다. 합병증으로 1예에서 이소성 골화가 확인되었으나 기능적인 제한이 없어 추가 치료를 요하지는 않았다. 결론: 주두 골절에 구상돌기 골절이 동반된 이면성 골절에서 해부학적 잠김 금속판과 금속판 나사 구멍을 통한 역행적 나사 고정술은 방사선적 및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유용한 술기로 생각된다. Purpose: Bifocal fracture of the proximal ulna is a fracture of the olecranon accompanied by fracture of the coronoid proces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of the author’s technique in bifocal fracture of the proximal ulna.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patients (10 men, 5 women) treated at CHA Bundang Medical Center from April 2006 to October 2014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underwent internal fixation using a locking compression plate (LCP) with retrograde screw fixation of the coronoid process through a screw hole of the plat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2.6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6 months. Comminuted coronoid fractures with hard to screw fixation, complex injuries combined with open damage, and complete ligament rupture were excluded. Fracture union and articular congruity were examined on the follow-up radiographs. Range of motion,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nd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ere evaluated for functional analysis. Results: Fracture union was achieved and articular step off was less than 2 mm in all patients on the follow-up radiographs. The mean value of modified Mayo elbow score was 92.14 (80–100) and DASH score was 7.11 at last follow-up. The mean range of motion of elbow was 128o. There was one case of small heterotopic ossification as a radiographic complication which had no functional deficit. Conclusion: Internal fixation of bifocal multifragmentary articular fractures of the proximal ulna with anatomically contoured LCP olecranon plate and retrograde long screws could be a recommendable surgical procedure.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contoured plate with retrograde coronoid process screw fixation can produce good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in bifocal fractures of the proximal ulna. We recommend this procedure in this type of fracture.

      • KCI등재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원위 경골 관절내 골절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의 유용성

        변성은 ( Seong Eun Byun ),이상준 ( Sang June Lee ),김욱 ( Uk Kim ),최영락 ( Young Rak Choi ),한수홍 ( Soo Hong Han ),김병국 ( Byong Guk Kim ) 대한골절학회 2016 대한골절학회지 Vol.29 No.2

        목 적: 경골 간부 골절 중 나선상 골절은 경골 원위 관절내 골절이 동반되는 빈도가 높으나 단순방사선 검사만으로 발견되지않아 적절히 치료하지 못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mputed tomography (CT)에서만 확인 가능하였던원위 경골 관절내 동반 골절의 양상 및 수술적 고정의 적응에 해당하였거나 시행했던 경우를 분석하여, 경골 간부 나선형 골절에서 발목관절 CT 촬영의 필요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 전 족관절 단순방사선 검사 및 CT를 시행한 95예의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을 대상으로 CT에서만 진단된동반 원위 경골 관절내 골절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 중 수술적 고정의 적응에 해당하였거나 수술적 고정을 시행한 증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원위 경골의 관절내 골절이 62예에서 확인되었다. 복합골절을 포함한 52예의 후과 골절 중 20예는 단순방사선 검사로 진단되었고, 이 중 16예가 수술적 고정의 적응증이 되었으며, 14예에서 시행되었다. CT로 진단된 32예의 후과 골절 중 26예에서 수술적 고정의 적응증이 되었고, 이 중 18예에서 시행되었다. 결 론: CT는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에서 동반골절의 진단율을 높이며, 진단된 후과 골절의 경우 수술적 고정이 시행된 빈도가 높아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에서 CT의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mputed tomography (CT) for spiral tibia shaft fracture by analyzing associated distal tibia intra-articular fractures diagnosed by CT only which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were fixed. Materials and Methods: Ninety-five spiral tibia shaft fractures with preoperative ankle plain radiographs and CT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incidence and type of associated distal tibia articular fractures were evaluated by reviewing ankle plain radiography and CT. The number of fractures diagnosed by CT that correspond with the indication of fixation and that were actually fixed were analyzed. Results: Among 95 spiral tibia shaft fractures, 62 cases (65.3%) were associated with distal tibia intra-articular fracture. There were 37 cases of posterior malleolar fracture, 5 cases of avulsion fracture of the distal anterior tibiofibular ligament, 5 cases of medial malleolar fracture, and 15 cases of complex fracture. Among 52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including complex fracture, 20 cases were diagnosed by ankle plain radiograph. Of these 20 cases, 16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80.0%)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14 cases were actually fixed with a screw. Among 32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diagnosed by CT only, 26 cases (81.3%)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18 cases (56.3%) were fixed by screw. Conclusion: Approximately 50% of associated fractures were diagnosed by CT only and more than 80% of associated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among these fractures, 18 cases (56.3%) were actually fixed by screw. This result suggests that CT is useful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tal tibia intra-articular fracture associated with spiral tibia shaft fracture.

      • KCI등재

        미생물에 의한 섬유질과 리그닌 유도체의 혐기적 분해

        김소자,김욱한 한국식품영양학회 199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4 No.1

        Lignocellulose and lignolic compounds were absolutely given much weight in the biosphere, and their degradation was essential for continuous biological carbon circulation, whereas aerobic cellulolytic microorganism dissolved the cellulose into their elements in the first stage, strict anaerobic cellulolytic microorganism's role was taken a increasing interest through the recent research. It was reviewed that anaerobic microbial degradation process of lignocellulose and its derivatives (celljlose, lignin, oligolignol and monoaromatic compound), and function of anaerobic microorganism on the environmental ec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