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의 서사 교육 시론 - 『영원한 이방인』을 중심으로

        김용재 국어문학회 2011 국어문학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present the methods of the narrativ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age. The reason why the narrative text is able to be the topic centered in the multi-cultual understanding education is that the plot of narration is similar to the form of life and it causes the reciprocal action easily. In this research the multi-cultural factor is investigated based on the literary work 『Native Speaker』 by Chang-Rae Lee. This novel shows the process of finding the self-identity of Henry. Especially the cross section of American society is indicated through the language and the culture. In case of using this literary work is based on the cultural education understanding the text(counter-factual thinking),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experience(divergent thinking), investigating the negotiation of social community(corresponded thinking) should be considered. 이 논문의 목적은 다문화 시대의 서사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서사 텍스트가 다문화 이해교육의 중심제재가 될 수 있는 이유는 서사의플롯이 삶의 형식과 닮아있어 가치의 교호작용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재미작가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Native Speaker)을 텍스트로 삼아 다문화교육 요소를 탐색하였다. 이 소설에서는 헨리(‘나’)의 자기정체성 찾기 과정을 보여준다. 특히 ‘언어’와 ‘문화’를 통해 미국사회의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이 작품을 제재로 다문화 교육을 한다면, 텍스트이해(사실적 사고)--개인 경험과 연관(확산적 사고)--사회공동체의 교섭 작용탐구(대응적 사고)과정을 통해 새로운 세계 인식으로 나아가야 한다.

      • SCOPUSKCI등재

        요소수지합판(尿素樹脂合板)의 증량에 관한 연구

        김용재,이필우,김은변 한국목재공학회 1976 목재공학 Vol.4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adaptability of barley flour, potato flour and white ash as extender and filler of urea-formaldehyde resin for plywood as a substitute material of wheat flour. The extenders and filler used at this study were extended by several groups of percentages. Shear strength, moisture contents, and specific gravities were compared among tested group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I) Wet and dry shear strength of plywoods extended by 10% barley flour, 30% potato flour, and wheat flours were shown better results than non extended plywoods.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ywoods extended until 50% barley flours and non extended plywoods. 3) Shear strength of plywoods extended by 50% potato and 100% barley flours were shown worse result than non extended. 4) Dry and wet shear strength of plywoods extended by white ash were shown worst result. 5) The plywoods extended by potato flours were shown nat only better shear strength, but also considered more profitable cost for extending.

      • Browning's "Pippa Passes" : The Incarnation of Human Love

        金容材 충남대학교 1980 언어·문학연구 Vol.- No.2

        Browning의 시적 관심은 인간성 회복의 기본요건에 있었다. Victoria 조종교와 과학문의 격화된 논쟁을 시에 투석하려는 견해를 물론 지니고 있었지만, 그는 인간활동의 복잡한 결합보다는 인간의식의 생명력을 찾는데 전력투구했던 것이다. 인간생의 현주소를 찾고 그 곳에 내제하는 의미를 시대적 사명으로 깨우쳐 주려는 노력, 이것이 그의 시적 사명이었다.

      • KCI등재

        諸註釋을 통해 본 『論語』 經文의 解釋學的 理解[7-1] — 「述而」를 중심으로 —

        김용재 동양철학연구회 2017 東洋哲學硏究 Vol.89 No.-

        This paper is the 7th one of a research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seeking the diversity and objectivity in several interpretations of the original text (經文) of “The Analects (論語)”. The editorial system of The Analects (論語) is described as a temporary and irregular collage, but when examined closely, it is found that it has its own texture. In the first part of 7th (述而), the recollection of Confucius’s life is described. As a basis for this, a pronoun, which symbolizes the first person who refers to Confucius, is used as a subject in sentences. In addition, Confucius has many articles of his own character Also, among the whole sentences, there are a lot of sentences that express Confucius as third person. This is like a scene in which a student of Confucius reflects Confucius’s impression by objectifying Confucius. A total of six disciples of Confucius appeared in the beginning of the seventh. The disciples were all disciples who taught when Confucius was alive. So, six of Confucius’s disciples are more aware of Confucius’s life than anyone else. Therefore, the seventh sentence has the most empirical content.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e first 15 sentences among the 37 sentences in the seventh chapter. 이 글은 『論語』 經文에 관한 해석의 다양성과 객관성을 찾아본다는 취지하에 연구를 시작한 것으로서, 그 일곱 번째에 해당된다. 따라서 本考는 『論語』第七에 관하여, (ⅰ)「述而」篇의 체제와 구조적 특징, (ⅱ)諸註釋에 근거한 「述而」篇 경문 해석의 다양성 등을 고찰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論語』의 편집 체제가 일시적이고 불규칙적인 꼴라쥬와 같다고 評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나름대로의 짜임새를 갖추고 있음이 발견된다. 「公冶長」 제5편이 주로 孔子의 弟子들이나 先代의 인물들에 대한 評論이 主를 이루었다면, 「雍也」 제6편은 공자의 弟子와 門人들에 대한 인물별 특징을 전반부 14개의 경문에 배치하였고, 후반부 14개의 경문에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敎訓과 箴言的 성격의 글로 구성해 놓음으로써 그 분량마저 균형을 맞춰놓았음을 알 수 있었다. 「述而」편 역시 예외는 아니다. 앞의 「公也長」과 「雍也」가 주로 타인들에 대한 評述과 斷想이라면, 「述而」는 ‘공자 자신’의 인생에 대한 述懷를 엿볼 수 있는 경문들이 대부분이다. 이의 근거로 「述而」편의 경문 중, 1인칭을 상징하는 ‘我’⋅‘吾’⋅‘予’로 시작하는 문장이 相當數이며, 孔子 자신의 이름인 ‘丘’로 시작하는 문장도 간혹 나타난다. 총 37개의 經文에서 이렇게 1인칭 시점으로 기술되어 있다는 것은 「述而」편이 갖는 독특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며, 이 외에도 孔子 자신에 대한 自述的 성격의 글로 간주될만한 것도 여러 개 존재한다. 또한 37개의 經文 가운데 28개는 “子曰”로 시작하고 있고, 나머지 9개의 경문은 “子”로 시작함으로써 공자를 3인칭으로 객관화시켜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공자의 弟子나 門人들이 공자를 객관화시켜 그의 대한 인상을 회고하는 장면이나 다름없다. 한편, 「술이」편에 등장하는 제자로는 ‘안연’⋅‘자로’⋅‘자공’⋅‘염유’⋅‘공서화’⋅‘무마기’가 있는데, 대부분이 공자의 직전제자로서 공자 생존 당시의 삶에 대하여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본편(「述而」)의 내용이 실증적 성격을 지닌 경문으로도 看做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고에서는 「술이」편 경문 37개 중, 앞부분 15개의 경문을 우선적으로 추려내어 그 구조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하곡 정제두의 體用論 분석 : 「良知體用圖」를 중심으로

        김용재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40 No.-

        본 논문은 兩亂이후 기존의 사상체계와는 相異한 이론을 제시했던 하곡 정제두의 철학사상을 '體룬? 범주에 입각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고가 '체용'을 논제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體用' 범주가 당시의 儒者들에게는 자신의 사상적 견해를 피력하기 위해 빌린 사유방식 이거나 논리방법 이었고, 본질적으로 '체용'을 통하여 그 사상적 기저에 깔려있는 세계관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하곡 정제두는 자신의 철학적 견해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그의 師友였던 민이승과의 서간문에 圖와 圖說을 남겼는데, 이것이 곧 「良知體用圖」라는 자료로 남게 되었다. 본고는 이 「양지체용도」를 중심으로 (i)圖에 대한 구조적 탐색과 (ii)體用論의 논리적 전개에 천착하였다. 한국유학을 큰 틀로 보면 주자학적 성리철학 개념들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사물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마음의 이치를 일부로 다루었는데 반하여, 하곡은 사람의 '마음'[心]에 초점을 맞추어 사람의 주체적 역량을 강조하는 학설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는데, 이러한 그의 학설은 당시의 '先知後行'의 학풍 보다는 '知行合一'을 강조함으로써 儒者들의 反主知主義 및 實踐指向的 학풍을 고취시킨 것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하곡이 '良知體用圖'를 통해 朱子와는 달리 '인간'의주체적 역동성과 활발성을 중심으로 일원론적 관점에서 '心性'과 '義理'를 통일시킨 학설임을 강조한다. 心性과 義理는 또 하나의 체용 범주가 되는 것이고, 인간에 내재되어 있는 본체로서의 良知는 현상계에 작용으로 나타나는 義理之學의 현실에 곧장 투영될 때만이 그 道學的 가치를 구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philosophical thought of Hagok who presented a different theory from existing one in 17th-18t century, when Korean Thinking world was changing drastically, on the ground of principle and application' category. Under the social and spiritual disorder in the seventeenth century Korea, caused by two foreign invades, his unique scholarly attitude and theories not only re-examined the studies of his predecessors but also opened up a new and creative horison for the study of Confucianism Throughout Rangjicheyongdo Hagok tried to unite xinxing and yili from the view point of monism focusing on human subjective activeness and liveliness a part form Zhuzi. Xinxing and yili become another category and liangzias substance which is immanent in humans can be said that it embodies its moral philosophical value only when it is projected into the reality of the world of yili, expressed by action of phenomenal world. In the case of Ha-gok, according to my investigation of his works on Rangjicheyongdo, it merely appears that the teachings of WangYangMing is a spontaneous stage in the course of the transition from the study of Zhu-Xi to the philosophy of mind. Ha-gok's attitudes toward the Confucianism may well be regarded a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Yangming school and certainly will serve as the foundation for modern researchers to progress with disputes over and arguments on the philosophy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