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다차원 신체자각척도(K-MAIA)

        김완석(Wan-Suk Gim),심교린(Kyo-Lin Sim),조옥경(Ok-Kyung Cho)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3

        본 연구는 Mehling et al.(2012)의 다차원 신체자각척도(MAI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Interoceptive Awareness; 이하MAIA)를 한국판으로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예비 연구와 두 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에서는 MAIA의 32문항을 번안한 척도를 심신통합적 수련을 하는 253명의 성인에게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합치도, 문항의 변별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수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심신통합적 수련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또 다른 295명의 성인 자료를 수집하여, 수정한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하위 요인의 신뢰도를 다시 분석하였다. 또한 이론적으로 관련이 있는 다른 척도들과의 상관계수를 검토하였고, 수련경험 기간과 만성질환 여부 및 성별과 나이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일반성인 223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요인구조를 재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6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32문항짜리 한국판 다차원 신체자각척도(K-MAIA)를 제시하였다. 이 최종척도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은 K-MAIA가 관련분야의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the 32-item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Interoceptive Awareness (Mehling, Price, Daubenmier, Acree, Bartmess & Stewart, 2012; MAIA), a 32-item Korean edition of MAIA was developed in a pilot study and validated in two studies. In a pilot study, the 32 items of MAIA were adapted to Korean language, then administered to 253 adults for item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n item discrimination, internal consistenc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cale was revised and reconstructed. In the study 1, the scale was administered to 295 adult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other related scales were examined. In addition, interoceptive awareness was compared among groups with varying experiences in training related to interoceptive awareness. In the study 2, the scale was administered to 223 adul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showed that the Korean edition of MAIA with a total of 32 items and six factors had sufficient reliability and validity, demonstrating a high reliability based on internal consistency of .94, theoretically consistent level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other scales, and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The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ons 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후보

        연민확장성이 연민붕괴에 미치는 영향

        이나라(Na Ra Lee),김완석(Wan-Suk Gim) 한국명상학회 2018 한국명상학회지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연민확장성이 연민붕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민확장 성은 연민의 대상이 가족과 같은 좁은 대상을 넘어 잘 모르는 다른 사람이나 존재로 까지 확 장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연민붕괴는 연민대상이 늘어나면 연민심과 도움의도, 도움행동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민붕괴가 연민확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전체적인 연민수준이 높은 대학생 중에서 연민확장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성해서 연민대상의 수(1명, 8명)에 따른 연민심과 도움의도, 도움행동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연민대상의 수에 따른 연민심과 기부의도의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기부행동의 경우, 저확장성 집단에서는 연민대상수에 따른 연민 붕괴가 나타났지만, 고확장성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까운 사람들에게 제한된 연민의 경우, 심리적인 연민심과 도움의도가 행동과 덜 일치하지만, 대상에 따른 연민 심의 차이가 적은 확장된 연민의 경우는 심리적인 연민심과 도움의도가 실제 행동과 더 일치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민의 대상을 확장하는 자비명상과 같은 수련이 이타행동에서 나타 나는 연민붕괴를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연구의 의 의를 논의하였다. Compassion extendability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object of compassion extends beyond a narrow object such as a family to another person or being that does not know it well. Compassion collapse is a phenomenon in which compassionate mind, help intention, and helping behavior decrease as the object of compassion increases. In this study, we tried to show that this compassion collapse can be affected by compassion extendability. Among the college students with high level of compassion, they were composed of high and low compassion extendability groups, and they were tested to measure compassionate mind, helping intention, and hel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object of companions (1, 8).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ympathy and don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mpassion objects in both groups. However, in the case of donation behavior, collapse of compassion by the number of compassion objects occurred in the low extendability group, but not in the high extendability group. This result suggests that psychological compassion and intention to help are less congruent with help behavior among people who s compassion extendability is low, but not in case of high compassion extendability people. And more. It is suggested that the training like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which extends the object of compassion may suppress the collapse of compassion in the action.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자기자비명상과 타인자비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박도현(Do-Hyeon Park),김완석(Wan-Suk Gim) 한국명상학회 2019 한국명상학회지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비명상의 시작 대상을 자기와 타인으로 달리하였을 때 자비심 계발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수치심처럼 부정적인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들은 특히 자기 자신에 대한 자비명상을 어려워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자비명상 대상의 순서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자비를 먼저 하는 자기자비명상 프로그램과 타인자비를 먼저 하는 타인자비명상 프로그램의 두 개의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참가자 71명을 모집하여 두 개의 집단에 무선적으로 할당하여, 8주간 두 개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비심은 그 대상에 따라 타인자비, 지인자비, 자기자비로 세분화하여 정의한 후, 프로그램 실시 전부터 시작하여 종료시까지 2주 간격으로 총 5회에 걸쳐 측정하였다. 결과는 수치심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에는 타인자비 프로그램집단이 자기자비 프로그램집단에 비해 타인자비 점수의 향상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치심이 낮은 사람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지인자비 및 자기자비 점수는 수치심 수준과 두 개의 프로그램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타인자비의 계발에서 자비명상 대상의 순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효과적일지를 다루었다. 본 연구결과는 높은 수치심과 같이 부정적인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에는 긍정적인 타인을 위주로 먼저 자비수행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제까지 자비명상 연구는 단순히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위주로 하였으나, 향후에는 이를 넘어서서 효과의 기제와 치료적 개입전략에 대한 연구로 나아가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ultivating of compassion when the object of Loving-kindness & Compassion Meditation(LCM) is different between self and others.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people with negative self-concepts, such as shame, have a difficulty on practicing LCM toward themselves, so we verified differences in the order of the objects of LCM. We designed two programs: a self-LCM program, which the participants practice LCM toward themselves first, and a other-LCM program, which the participants practice LCM toward positive others first. 71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f each programs designed for 8-weeks. The compassion was conceptualized three different scales, that is, compassion toward strangers and close others, and self-compassion, and measured five times at intervals of two weeks from pre to post of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ther-LCM program was more effective for the cultivating of compassion toward strangers for people with high sham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wo programs in compassion toward close others and self-compassion in term of the level of shame. We discussed what would be the order of object of LCM in the cultivating of compassion for strangers. Th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ith negative self-concept such as high shame, may be more effective when they practice LCM toward positive others first. In the future study of LCM, not only verifying the effect, but also finding the mechanism of effect and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strategy.

      • KCI등재후보

        마음챙김과 폭식행동: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성찬양(Chan-yang Sung),김완석(Wan-suk Gim) 한국명상학회 2018 한국명상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폭식 경향성을 보이는 대학생과 마음챙김에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집단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폭식행동과 마음챙김 그리고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에서는 폭식행동과 마음챙김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조절이 마음챙김과 폭식행동 사이를 매개한다고 가정한 완전 매개 모형 가설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챙김이 자기조절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폭식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음챙김이 폭식행동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으며 자기조절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마음챙김이 자기조절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자기조절력은 폭식행동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binge eating behaviors and mindfulness, and also to examine the efficacy of a group program for this population. The first study investigated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between binge eating behaviors and mindfulness.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12 university students and the results show that self-regulation works as a perfect mediate between mindfulness and binge eating behavi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elf regulation sequentially mediates mindfulness and thus indirectly influences binge eating behaviors. In other words, mindfulness increases the self-regulation level and this increased level decreases the binge eating behavior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후보

        명상 중 심박변이도의 변화 양상: 예비연구

        심교린(Sim Kyo-Lin),김완석(Gim Wan-Suk) 한국명상학회 2020 한국명상학회지 Vol.10 No.2

        명상은 최근 심신의학적 어려움에 대한 개입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명상이 스트레스 측정과 관련하여 자율신경계의 대표적 생리지표인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명상 중 시간 경과에 따른 심박변이도 변화 양상을 탐색하고, 명상경험에 따른 심박변이도 변화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신체적·심리적으로 건강한 대학생 총 39명(남 15명, 여자 24명)이었다. 명상경험자 집단은 9주 동안 명상에 대한 심리교육과 명상 실습을 경험한 대학생 19명, 비교집단은 9주 동안 심리교육에 참여했으며, 이전에 명상을 경험한 적이 없는 대학생 20명을 배치하였다. 실험 절차는 먼저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심박변이도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을 점검하고 5분 간 휴식을 취한 후, 녹음된 명상 안내문으로 신체 감각에 주의를 두고 머무는 정좌명상을 25분간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심박변이도 자료를 5분 단위로 분절하여 SDNN 지표를 산출하고, 다층모형의 위계적선형모형(HLM)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명상 중 SDNN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선형모형이 수용되었으며, 명상경험자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SDNN이 증가하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어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 등을 기술하였다. Meditation is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method of intervention for psychosomatic difficulties. This study is a pilot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meditation on the heart rate variability, a representative physiological indicator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relation to the measurement of stress. I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 college students who were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healthy (15 males and 24 females). The group of experienced meditation was assigned 19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education and meditation practice for 9 weeks, and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psychological education for 9 weeks, and 20 college students who had never experienced meditation before. In the experimental procedure, first, through a semi-structured interview, check items that may affect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variability, take a break for 5 minutes, and then perform a sitting meditation for 25 minutes, paying attention to the body sensations with a recorded meditation guide. Heart rate variability was continuously measured. The measured heart rate variability data was segmented in 5 minutes to calculate SDNN index, and analyzed by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technique of a multi-layered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a linear model in which SDN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meditation was accepted in both groups, and the degree of SDNN incr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ditation experience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Next, the significance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 KCI등재후보

        이완 능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마정이(Jung-yi Ma),김완석(Wan-Suk Gim) 한국명상학회 2021 한국명상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이완 용이성의 특질 수준을 평가하는 이완 능력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집중명상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써 이완 용이성을 제안한다. 연구 1에서 이완 용이성을 ‘사람들이 필요한 상황에서 자신의 몸과 마음을 쉽게 또는 빠르게 이완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완 용이성을 신체적 차원과 심리적 차원의 2요인 구조로 가정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한대로 이완 용이성은 2요인 구조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요인과 2요인 모형 중 2요인이 더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나 2요인 구조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완 용이성과 신체 자각, 긍정 정서, 삶의 만족의 상관이 정적으로 나타나 준거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완 능력 척도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of relaxation eas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scale that can measure the relaxation effect of intensive meditation, and developed and validated the items to measure it. In Study 1, ease of relaxation wa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people feel it is easy to relax their body and mind even when their body and mind are tense or rigid. Assuming a two-factor structur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as expected, a two-factor structure was found to be appropriate for the ease of relaxation scale. Also,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related variabl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with relaxation state, positive emo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and somatization was found, proving convergence and discriminatory validity. In Study 2,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wo-factor models were more suitable among the one-factor and two-factor models, confirming the adequacy of the two-factor structure. In addition, the use of the ease of relaxation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플로리시 척도(K-PERMA) 타당화 연구

        심교린(Sim Kyo-Lin),김완석(Gim Wan-Suk)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Seligman(2011)의 웰빙 이론에 기반하여 플로리시(Flourish) 개념을 측정하는 PERMA-Profiler(Butler와 Kern, 2016)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타당화하여 국내 긍정심리 관 련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척도의 번역-역번역 및 예비조사를 통해 한국판 플 로리시 척도(K-PERMA)를 완성하였고, 대학생과 일반성인 249명(남자 110명, 여자 139명) 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 중 114명에게 4주 후 반복 측정하였다. 이어서 척도의 기술통계, 신뢰도와 하 위 요인 간 상관을 분석하였고,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으 며,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관련 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척 도의 내적 합치도는 하위요인별로 .82~.90였으며, PERMA 총점에서 .95로 높게 나타났으 며, 4주 간격으로 시행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각 하위요인에서 .64~.85 사이였고, PERMA 총점에서 .78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형적합도는 χ²(df = 80, N = 249) = 194.97이었고(p < .001), CFI = .957, TLI = .938, RESEA = .086(90% 신 뢰구간, 0.72∼.10)으로 수용할만 하였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불안, 감사, 자기자비, 마음챙김과 같은 관련 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원척도 연구 결과 및 이론적 가정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한국판 플로리시 척도(K-PERMA)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로서 긍정심 리학 관련 연구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논의 및 결론에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척도 사용에서의 고려할 점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Seligman‘s (2011) study well-being theory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PERMA-Profiler(Butler, & Kern, 2016), which measures the concept of Flourish, into Korean and lay the groundwork for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y in Korea. It is noted that Korean version of the Flourish Scale(K-PERMA) was completed through translation-reverse translation and preliminary surveys. In this contex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and adults, total 249(110 males and 139 females). In order to calculate the test-retest reliability, 114 subjects were repeated 4 weeks later.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reliability and subfactors was analyzed. Late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correlation with relevant measures was analyz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raged from .82 to .90 for each subfactor, .95 for the PERMA total score, and the reliability of the test-retest were between .64 to .85 for each subfactor, .78 for the PERMA total score which was a good level. The model fi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χ² (df = 80, N = 249) = 194.97 (p <.001), CFI = .957, TLI = .938, RESEA = .086 (90% confidence interval, 0.72 to .10) was acceptable. Upon review,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with related measures such a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xiety, gratitude,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showed that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original study and theoretical assumptions.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Flourish Scale(K-PERMA) can be used in the field of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y, and is considered as a reliable and valid scale. Subsequently,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s describe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considerations of the use of the scale for future review.

      • KCI등재후보

        마음챙김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 : 매개변인으로 통증파국화와 신체자각을 중심으로

        심교린(Sim Kyo-Lin),김완석(Gim Wan-Suk) 한국명상학회 2021 한국명상학회지 Vol.11 No.2

        인간은 끊임없이 통증을 관리하고 조절하고자 노력해왔다. 특히 최근에는 외과적 처치와 약물의 사용과 같은 의학적 방법 뿐 아니라, 심신 통합적 관점에서 통증을 이해하고 조절하려는 시도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마음챙김에 기반한 중재들은 통증 뿐 아니라 삶의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들이 축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과 여기에 매개변인으로 통증파국화와 신체자각의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연구에서는 만성적인 통증을 보고하는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마음챙김에 기반한 표준화 프로그램인 K-MBSR이 신체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본 연구를 통해 문헌 고찰에 따른 마음챙김과 통증, 통증파국화, 신체자각의 관계에 대한 가정을 설정하고, 364명의 일반인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마음챙김, 경험하는 통증 강도, 통증파국화, 신체자각, 통증수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마음챙김은 통증파국화를 매개로 하여 통증강도를 감소시키고, 신체자각의 감각수용과 감각복귀를 통해 통증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을 잘 영위하는 활동 참여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챙김을 통한 자각의 증가로 통증 강도에 대한 자각이 증가하지만, 감각수용을 증진시키고 통증파국화를 감소시켜 전체적으로는 통증강도를 감소시키는 매커니즘을 양적 자료를 통해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Humans have consistently endeavored to manage and control pain; recently, attempts to understand and control pain from a mind-body integration perspective have become more common, rather than solely from medical methods such as surgical treatment and drug use. In particular, recent research shows that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have positive effects not only on pain but throughout various facets of individuals’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pain and how interoceptive awareness and pain catastrophizing function between mindfulness and pain. In a preliminary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Kore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K-MBSR)—a standardized program based on mindfulness—on interoceptive awareness in 50 elderly people reporting chronic pain. We then developed assumptions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mindfulness, pain action, pain catastrophizing, and interoceptive awareness and collected data via questionnaires sent to 364 general and university students.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confirm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Results show that mindfulness decreased the intensity of pain by mediating pain catastrophizing. It also increased “accept and return to body” in interoceptive awareness and improved participation in daily life activities despite pain. This paper provides meaningful quantitative evidence suggesting that an increase in awareness through mindfulness increases the awareness of the intensity of pain, but interoceptive awareness decreases pain catastrophizing and intensity of pain.

      • KCI등재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to Improve Maternal-Fetal Attachment

        Min-Jeong Kim(김민정),Wan-Suk Gim(김완석) 대한스트레스학회 2019 스트레스硏究 Vol.27 No.4

        임부들의 심리적 건강과 태아와의 건강한 관계는 주산기 적응에 중요하다. 본 연구는 모-태아애착 증진을 위해 대인관계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자비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효과 검증을 위해, 자비명상 실험집단 · 임부요가 비교집단ㆍ무처치 통제집단의 모-태아애착 · 긍정정서 · 마음챙김 · 긍정태동경험을 사전 · 사후 · 한달 후 추수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서 다른 집단들에 비해 사전, 사후에 모든 변인들의 더 유의미한 향상과 추수까지 효과가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임부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요인개선을 목표로 하는 기존 연구들과 비교하여, 유익한 심리적 자원을 육성했다는 것이다. 또한 모-태아애착 증진을 위한 자비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한 첫 번째 연구라는 점이다. Background: The psychological health of a pregnant woman and a healthy fetal relationship are important for perinatal adaptatio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LKCM), which are known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order to promote maternal-fetal attachment (MFA). Methods: We developed an LKCM curriculum and training program for pregnant women and assessed its efficacy for improving MFA, positive emotion, mindfulness, and positive fetal movement experience (PFME) through a pre-intervention, post-intervention, and one-month follow-up comparison with a yoga comparison group and an untreated control group. Results: The LKCM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MFA, positive emotion, mindfulness, and PFME than did the other groups at post-intervention and follow-up. Conclusions: Overall, this study confirmed that LKCM interventions can promote MFA, positive emotions, mindfulness, and PFME. Thu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erved to foster beneficial psychological resources compared to numerous studies aiming to improve deficits experienced by pregnant women. Additionally, this is the first full-scale study to develop a program based on specialized LKCM to enhance MFA during pregnancy and verify its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