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계항진을 호소하는 소아에서 경식도 심전도 검사의 유용성

        류수정,고재곤,김영휘,박인숙,Ryu, Su-Jeong,Ko, Jae Kon,Kim, Young Hwue,Park, In S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

        목 적 : 심전도상 빈맥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심계 항진을 호소하는 소아에서 빈맥의 유무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밝히는데 있어서 경식도 심전도 검사의 유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 심계 항진을 호소하는 소아에서 심실 조기 흥분 증후군이 없고 심장이 정상이면서 경식도 심전도 검사 전까지 심전도상 빈맥이 기록되지 않았던 67명을 대상으로 경식도 심전도 기록을 후향적으로 다시 검토하여 경식도 심방 조율을 통해서 빈맥이 유발되는 정도와 유발된 경우에는 그 기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결 과 : 심계항진을 호소하는 소아의 70.1%에서 경식도 심방조율을 통해서 빈맥을 유도할 수 있어서 빈맥이 심계항진의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빈맥은 대부분 빠른 심방 조율로 유도되었으며 21.3%에서는 isoproterenol을 사용한 후에 빈맥이 유발되었다. 6세 이상에서 보다 6세 미만의 소아에서 빈맥이 유도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P<0.05). 빈맥이 유발된 경우에는 그 기전을 검토해 보았고 빈맥의 기전은 부전도로로 인한 방실 회귀성 빈맥이 53.2%, 방실결절 회귀성 빈맥은 34.0%이었고, 나머지는 특발성 좌심실 빈맥이 12.8%이었다. 이들 중 10명에서 전기 생리 검사가 시행되었는데 빈맥의 기전은 1명을 제외하고 경식도 심전도 검사와 그 기전이 일치하였다. 결 론 : 경식도 심전도 검사는 심계항진을 호소하는 소아에서 빈맥의 유무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밝혀 치료에 대한 방침을 정할 수 있는 침습적이지 않고 간편하고 유용한 검사이다. Purpose : We intended to find out the role of transesophageal atrial pacing in evaluation of infants and children with palpitation of unknown origin. Methods : We tried transesophageal atrial pacing study in 69 infants and children with palpitation, in whom tachycardia wasn't documented in electrocardiogram and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records of transesophageal pacing and medical records of theses patients to find out the induction rate of tachycardia by transesophageal atrial pacing and the possible mechanism of tachycardia if induced. Results : In 70.1% infants and children with palpitation, tachycardia was induced, so we could conclude that tachycaridia was the cause of palpitation in these cases. In most cases, tachycardia was induced by rapid atrial pacing, and in 21% by using isoproterenol. Tachycardia induction rate was higher in <6-year-old children than ${\geq}6$-year-old children(P<0.05). In cases of the induced, we reviewed the mechanism of tachycardia. Of these induced tachycardias, 53.2% is atrioventricular reentry tachycardia, 34.0% were atrioventricular nodal reentry tachycardia, and 12.8% were idiopathic left ventricular tachycardia. Invasive electrophysiologic study was done to 10 patients of those induced. The results of electrophysiologic study and transesophageal pacing and recording were the same except for one patient. Conclusion : Transesophageal atrial pacing and recording is a less invasive, safe and useful method to find out the cause of palpitation and the mechanism of tachycardia in infants and children.

      • KCI등재

        소아 심장이식 후 림프증식성 질환의 진단을 위한 Epstein-Barr Virus 정량 검사의 유용성

        김준일 ( Joonil Kim ),이진아 ( Jina Lee ),김영휘 ( Young-hwue Kim ) 대한소아감염학회 201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4 No.1

        목적: 소아 심장이식 환자에서 림프증식성 질환(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PTLD]) 발생과 Epstein-Barr virus (EBV) 정량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PTLD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최근 9년간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에서 심장이식을 받은 18세 미만 환자 중 이식 후 최소 1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한 경우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40명의 심장이식 환자의 진단 시 나이의 중앙값은 11.5세(범위, 0.3-17.8세)였으며 이 중 3명에서 이식 후 4.3개월, 6.3개월 및 17개월째 PTLD가 발생하였다. 이식 후 혈중 EBV 정량 검사를 시 행한 28명 중 최소 1회 이상 EBV 바이러스혈증이 관찰된 경우는 7명이었으며, PTLD로 진단받은 환자 3명이 모두 ≥10,000 copies/mL의 EBV 바이러스혈증이 선행되어 있었다. PTLD 발생군은 PTLD 비발생군에 비해 어린 나이에 이식을 받았으며(P =0.021), 초기 및 최고 혈중 EBV 역가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소아 심장이식 환자에서 이식 당시 어린 연령 및 이식 후 EBV 바이러스혈증 동반 여부가 PTLD 발생과 관련이 있었다. 추후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서 소아 심장이식 환자에서 PTLD 발생을 적절히 예측할 수 있는 EBV 정량값의 지표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PTLD)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Epstein-Barr viral load and the development of PTLD in pediatric heart transplant recipients. Methods: We reviewed children aged <18 years who underwent heart transplant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blood Epstein-Barr virus (EBV) viremia at our institute from January 2006 to March 2015.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BV viral load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TLD. Results: Over 9 consecutive years, a total of 40 heart transplant recipients, were included. Among 28 children with available EBV viral load measurements, seven patients (25%) had EBV viremia only defined as at least one time of ≥457 copies/mL. PTLD occurred in three recipients (7.5%) 4.3, 6.3, and 17.0 months after transplant and all PTLD cases had preceding EBV viremia. The median age at transplant was 5.3 years (range, 0.5 to 6.0 years) in the PTLD group, compared with 11.9 years (range, 0.3 to 17.8 years) in the non-PTLD group (P =0.021). The median values of the peak EBV levels in the PTLD group were 3,452,170 copies/mL (range, 46,750 to 7,622,910 copies/mL); the peak EBV levels in the non-PTLD group were 3,112 copies/mL (range, 2,250 to 103,000 copies/mL). Conclusions: Younger age at transplant and presence of EBV viremia we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TLD in pediatric heart transplant recipients. A prospective study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the blood EBV load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PTLD in these patients.

      • Chemoport 제거 중 발생한 카테터 색전증

        송기병,남소현,김대연,김성철,김영휘,김인구,Song, Ki-Byung,Nam, So-Hyun,Kim, Dae-Yeon,Kim, Seong-Chul,Kim, Young-Hwue,Kim, In-Koo 대한소아외과학회 2006 소아외과 Vol.12 No.2

        Chemoport is widely used in pediatric surgery field. But various complications can occur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on or removal of chemoport. Surgeons must be familiar with the treatment of these complications. We had one catheter cuts off during chemoport removal, become a catheter embolism. Interventional radiologic removal was successful. Verifying the length of removed catheter and careful observation of the catheter tip during removal procedure is important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catheter embolus. Radiologic intervention was accessible to remove the retained catheter.

      • KCI등재

        소아에서 발현한 배뇨 후 실신 1례

        이선연,류수정,김덕수,김영휘,고태성,김재문,Lee, Sun Youn,Ryu, Su Jeong,Kim, Deok Soo,Kim, Young Hwue,Ko, Tae Sung,Kim, Jae Mo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2

        배뇨 후 실신은 신경 매개성 반사에 의한 실신으로 사태실신의 한 종류이며 건강한 남성에서 아침에 기립 배뇨시에 잘 일어난다. 실신의 원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배뇨후 실신의 진단을 위해 정확한 병력과 심전도, 운동부하검사, 심초음파, 기립경사검사, 뇌파, 뇌 자기공명영상, 요류 동태 검사 등이 사용된다. 배뇨후 실신의 기전은 부교감 신경계의 반사 자극으로 서맥과 말초혈관 확장이 일어나고 Valsalva 효과에 의해 심실로 정맥환류가 감소하게 되어서 대뇌 혈류감소가 일어나 실신하게 된다. 실신시 뇌파는 대뇌 혈류감소에 의해 고진폭의 서파와 평탄화 소견이 나타나게 되고 심한 허혈시에는 허혈성 경련을 일으킬 수도 있다. 저자들은 9세 남아로 기립배뇨시 실신을 보인 후 저혈압을 보이고 특징적인 뇌파소견을 보인 환아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Syncop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ave a common occurrence according for up to 15% before adulthood. Micturition syncope, a kind of situational syncope, can be considered a form of reflex syncope. It can typically occur in healthy young men after rising from bed in the early morning who experience sudden loss of consciousness during or immediately after urination. The mechanism of micturition syncope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but it has been suggested that vasovagal reflex mediated bradycardia and peripheral vasodilation and decreased venous return due to Valsalva effect and standing position lead to the decrease in cerebral blood flow resulting in syncope. The causes of syncope are variable. So complete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electrocardiography, exercise stress test, echocardiography, head-up tilt table test, electroencephalography(EEG),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 and urodynamic study should be required for the diagnosis of micturition syncope. There were several reports about micturition syncope. However, literature of micturition syncope at the pediatric age has rarely been reported in Korea so far. Therefore, we report a case of a 9-year-old boy with micturition syncope with typical EEG findings of high amplitude delta wave and flattening during syncope.

      • 신생아에 심한 심부전증을 일으킨 선천성 뇌동정맥 기형: 풍선 색전 요법을 시도한 1례

        박인숙,김영휘,홍창의,조영국,서대철,박영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1993 울산의대학술지 Vol.2 No.2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 is a rare cause of congestive heart failure in neonates and is known to carry a very poor prognosis even wish prompt recognition and aggressive treatment. We recently encountered a 2-day-old male neonate with huge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 who presented with intractable heart failure. Despite aggressive medical treatment and partial embolization with detachable balloon, baby died of severe hearts failure. Since there is no report of percutaneous balloon embolization in a neonate with this lesion in Korean literature, we wish to present our experience in one such neonate. Also we believ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olor Doppler findings in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 i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Staphylococcus lugdunensis에 의한 감염성 심내막염 1예

        최성호,박현구,변승운,구동회,강호석,장항제,김양수,우준희,김영휘,최상호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5

        Staphylococcus lugdunensis is a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CNS) that is commonly found on the human perineal skin. Contrary to other CNS, S. lugdunensis is a rare contaminant in cultures and has the potential to cause clinically significant infections, including infective endocarditis. Infective endocarditis due to S. lugdunensis have been known to resemble endocarditis due to S. aureus because of its aggressive clinical course and high mortality. We report a case of infective endocarditis caused by S. lugdunensis in a 21-year-old woman. She was cured of the infection with surgical and antibiotic therapy. S. lugdunensis에 의한 감염성 심내막염은 국내에서보고가 없었던 매우 드물지만 다양한 합병증과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감염증이다. 저자들은 S. lugdunensis가 수술적 치료와 항생제 치료로 완치된 감염성 심내막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