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살자의 거주지 유형에 따른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김영욱(Kim, Young-Ook),김주영(Kim, Joo-Yo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6 No.1

        우리나라 자살률은 15년 동안 OECD 국가 중에 1위로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자살문제는 인간의 행태와 정신건강, 사회적 관계 등에 의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자살영향요인이 주거환경의 공간적 특성과 상관성이 있음을 가정한다. 그 동안 자살관련 연구는 사회ㆍ경제적 영향요인 분석에 집중하고 있으며, 공간적 특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자살자가 거주했던 주거공간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거주지 유형을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타 주거유형으로 나누고, 자살자 거주지 유형별로 자살률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 기준은 자살률, 거주지의 배치패턴에 의한 이웃 주민과의 연계성, 커뮤니티 시설 분포에 따른 공적 공간의 특성, 공간구조상의 위계성 등이다. 분석 결과, 자살률이 가장 높은 공간은 연립주택이며 그 다음으로 기타 주거유형, 단독주택, 아파트 순이다. 자살률이 높은 공간일수록 이웃 간의 연계성, 교류성, 접근성 등의 공간적 특성이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자살문제를 공간적인 측면에서 처음으로 접근하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에 자살문제를 감소하는 주거지역을 계획하거나 주거지 재생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uicide rate of Korea is the highest in the OECD. The problem results from complex issues such as mental health, poverty and social relationships. It is supposed that these factors of suicide are closely related to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However, previous studies approach suicide from the social and economic aspects but not from spatial aspec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suicides lived. We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rat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by housing type. The criteria of analysis is suicide rates, connectivity between the neighbours, securement of urban public space as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spatial hierarch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highest housing type in suicide rate is ‘row house’. The next highest housing type is of which are located in non-residential area, and followed by ‘detached house’, and ‘apartment complex’. It is concluded that the higher suicide rates are, the poorer spatial characteristic in terms of connectivity, community facilities, public spaces and accessi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that investigated suicid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 KCI등재

        멀티미디어 제작 실습에서의 촉각장치 활용에 관한 연구

        金永煜(Young-Ook Kim),金潤相(Yoon-Sang Kim) 대한전기학회 2008 전기학회논문지 Vol.57 No.7

        In this paper, utilizing a haptic display for 3D modeling practice is proposed. A haptic display called PHANTOM Omni providing 3D position as well as touch feeling is used to investigate how effectively the proposed practice work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s for 3D modeling.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e proposed practice can provide positive effect for 3D modeling: improving the task completion time and lowering task workload, thus increasing the us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영구임대아파트와 판자촌의 공간구조와 자살률 비교 연구

        김영욱(Kim, Young-Ook),김주영(Kim, Joo-Yo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임대아파트와 판자촌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와 자살률을 비교하고자 한다. 공간구조 분석은 스페이스신택스 이론을 활용하여 공간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자살률은 주거유형별 인구수 대비 자살자 수의 비율을 산출하여 분석한다. 자살률 분석 결과, 영구임대아파트의 자살률이 판자촌 보다 높게 나타난다. 반면, 공간구조 지표 중에 국부통합도는 판자촌이 더 양호하게 나타난다. 국부통합도는 이웃 공간 간의 통합 정도를 설명한다. 판자촌은 영구임대아파트에 비해 내ㆍ외부의 공간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긴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상대적으로 영구임대아파트는 내ㆍ외부의 공간 네트워크가 단절되거나 상호 격리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난다. 판자촌의 주민들은 영구임대아파트보다 열악한 경제상황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살률이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론은 영구임대아파트가 뒤르깽이 주장하는 사회통합도 형성이 어려운 공간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으며, 영구임대아파트 계획시 사회연결망 형성에 유리한 판자촌의 공간구조를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suicide rates in low-income residential areas. High-rise apartments of social housing and shanty towns are compared in detail. Space syntax analysis is applied to examine spatial configuration. Suicide rates are analyzed by the areas of the two housing typ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uicide rate is higher in High-rise apartments of social housing than that of shanty town. However, the ‘local integration’ is higher in shanty town than that of those apartments. Local integration represents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spatial networks between neighboring spaces. The high-rise apartments of social housing appear to have lower local integration, meaning loose social networks among neighbors. Many researches argue that the major influential factor of suicide is economic status, but this study provides different aspects. By considering an income level, people in shanty towns are economically poorer than residents of those apartments. However, the suicide rate in those apartments is higher, despite the higher income level than that of shanty town.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high-rise apartments of social housing have more vulnerable spatial networks to suicide than that of shanty towns.

      • KCI등재

        서울시 집단 무허가 불량 주거지의 형성과 변화에 따른 유형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김영욱(Kim, Young-Ook),신행우(Shin, Haeng-Woo),김민수(Kim, Min-Su)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7 No.3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전쟁 이후 집단 무허가 불량주거지의 형성 과정과 배경을 조사 · 분석하고, 주거지의 공간적 특성에 따른 유형화를 목적으로 한다. 집단 무허가 불량 주거지는 발생 배경과 주거지 형태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유형화가 가능하다. 첫째는 한국전쟁 이후 기존 주거지 또는 하천변 등에 자생적으로 발생한 초기 집단 무허가 불량 주거지이며, 둘째, 집단 이주 정착지 사업 등에 의해 발생한 집단 이주 정착지이다. 마지막 신발생 무허가 정착지는 집단이주 정착지 등 기존 무허가 주거지가 해체되면서 발생한 주거지로, 국 · 공유지를 점유했으며, 민간인 소유 토지를 점유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서울의 집단무허가 불량 주거지들의 형성과 변화를 추적하고, 현존하는 주거지의 공간적 특성 분석을 통해 과거와 현재까지의 집단 무허가 불량 주거지를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formation and change in shanty towns. Shanty towns in Seoul are investigated in detail. The results shows that we can categorize shanty towns according to their formation background, location, and typological characteristics. First generation shanty towns were located near existing residential areas or by streams after Korean War. Second generation shanty towns appeared through the re-location of large populations to shanty towns occupying hillsides in the outskirts of cities.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towns had a grid-like spatial network. Since the 1980’s, ‘new forms of shanty towns’ have existed. They appeared through the destruction of second generation shanty towns, and they were located on public property as well as in private property.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current literature regarding shanty towns by broadening the research scope and not necessarily being confine to a certain period or area.

      • 도시형태 기반 도로부문 CO₂ 배출량 추정

        김영욱(Young-Ook Kim),김경용(Kyoung-Yong Kim),박훈태(Hoon-Tae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본 연구는 도시 도로부문에서 발생하는 CO₂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가용의 통행 및 주행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망 형태, 건물 규모 및 건물 용도를 설명 변수 삼아 CO₂ 배출량을 추정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국내 23개 중소도시의 CO₂ 배출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검증해 보는 시도이다. 분석의 결과 본 연구 모델은 관찰 데이터의 약 79%를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보였으며, 특히 주행거리와 단위 거리당 CO₂ 배출량을 구분 추정함으로써 도시별 상이한 탄소저감 대응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가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 KCI우수등재

        고층아파트의 저층과 고층의 자살률 비교 연구

        김영욱(Kim, Young-Ook),지봉근(Ji, Bong-Geun),김주영(Kim, Joo-Young)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8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the effects of high-rise living on suicide rates. All the apartments in the City A and every suicide were examined in detail.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 database including tenure type and number of residents in all apartment complexes was created. Second, apartme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income groups of private apartments and social housing, and spatial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apartment were analysed. Third, differences in suicide rates were analysed for lower and upper levels in both apartment categories.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and lower levels of apartments with their spatial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and suicide rates was compared. The analysi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wer and upper floors living residents" suicide rates. It can be stated that the low-income residents are more sensitive to living in high-rise environment. Also, it suggests the need to improve the high-rise living environment of vulnerable social groups. In addition, spatial integration decrease in upper floors of high-rise buildings,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spatial configuration may affect residents’ pathological disorders or even suicidal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