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레기 매립장 주변 농촌 주민들의 삶의 질 연구

        이명경,최준열,김인경,조영아,김영신,정혜진,김리나,이영규,조영태,Lee, Myung-Kyung,Choi, Jun-Yeol,Kim, In-Kyoung,Cho, Yeong-Ah,Kim, Young-Shin,Jung, Hye-Jin,Kim, Li-Na,Lee, Young-Kyu,Cho, Young-Tae 대한예방의학회 2006 예방의학회지 Vol.39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a garbage dumping site has real and negati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QOL) for the nearby residents. The net effects of the residential distance from the garbage dumping site and from the garbage truck route were investigated for five domains of the QOL. Methods: Two hundred fifty seven Shin-dong Myeon residents, Chun-cheon Si, participated in a self-administrated survey. The Shin-dong Myeon garbage dumping site began operating in 1996. ANCOV A with generalized linear model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Descriptive analyses show that a residence nearby a garbage dumping sit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of the QOL. The residential distance from the garbage truck route does not exert any significant effect on various domains of QOL, except for the environmental domain. O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residents living near the garbage dumping site tended to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QOL in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However, the distance from the garbage truck route did not show a significant nor substantial effect on the QOL.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ontrol variables are associated with a number of the QOL domains, and their patterns are consistent with the general expectation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garbage dumping site is considered to be an environmental hazard among the nearby residents according to the lower scores on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of the QOL.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residents' QOL, and they may help politicians and policy makers make decisions for appropriate interventions.

      • RFID 종량제용기 시스템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및 배출특성 분석

        김영신 ( Yeong-shin Kim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 종량제 방식 중에 하나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기반 음식물류폐기물 관리시스템 중 개별계량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음식물류폐기물 배출량을 조사하여 원단위를 파악하고자 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2년 이상 된 아파트 3곳을 조사하여 원단위를 분석하엿다. 그 결과, 아파트 2년간 1인당 1일 평균 원단위 발생량은 2016년에서 0.140kg/인/일, 2017년에 0.134kg/인/일로 산출되었으며, 2년 평균은 0.137kg/인/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봄<겨울<가을<여름의 순을 보였으며, 1년차보다 2년 차에 더 적은 원단위를 나타내었다.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원단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공급면적이 작을수록 높은 원단위를 보였다. 지금까지 생활수준이 높으면 발생량이 높다는 것과는 반대의 결과이며, 역으로 전술한 것과 같이 1인가구 등에서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과 같다. 본 결과 값들은 RFID 시스템에 기록된 2년간의 실질 데이터를 조사 및 분석한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로서 향후 음식물류폐기물 정책 수립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혐기성소화조 투입 유기물 성상변화에 따른 혐기성 소화효율 연구

        김영신 ( Yeong-shin Kim ),조준연 ( Jun-yeon Cho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여 안정적인 중온소화를 진행하기에 환경적 어려움이 있다. 혐기성 소화조의 안정적인 소화를 위하여 가온 에너지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에 적합한 소형혐기성 시설의 개발을 위하여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인 돈분뇨와 음식물류폐기물을 전처리 과정 없이 고액분리만을 통하여 액상의 고농도유기물만을 혐기성소화조에서 에너지원인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Pilot Plant의 성능과 소화효율을 분석하였다. 혐기성 소화조의 가온을 위하여 겉에는 호기성 소화조를 설치하여 호기 발효열을 혐기성 소화 가온 에너지로 이용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이 호기성 소화조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을 이용, 호기성 분해를 통해 퇴비를 생산하였으며, 이 과정 중 발생한 분해열(최대 75℃)을 이용, 혐기성 소화조를 가온하였다. 혐기성 소화의 성분 변화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분석하기 위하여 혐기성소화조에 투입되는 유기물(VS)농도, 원료배합(돈분뇨 중 분성분이 30%, 뇨성분이 70%) 등 운전조건의 변화에 따른 유기물(VS) 제거율, CODcr 제거율, 바이오가스 생산량 및 메탄농도, 유기물용적부하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량 등을 분석 하였다. 음식물류 폐기물과 돈분뇨 혼합비에 따라 CASE 1, CASE 2, CASE 3로 분류하였으며, CASE 1의 비율은 음식물류 폐기물 8kg과 돈분뇨 20L, CASE 2 음식물류 폐기물 10kg과 돈분뇨 20L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호기성 발효조의 평균 온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50℃~70℃로 나타났으며, 호기성 발효조의 발효열이 높을수록 혐기성 소화조의 온도 또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 혐기성 소화조의 온도는 평균적으로 38℃로 중온소화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혐기 소화의 경우 투입원료의 유기물(VS)량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CASE1에서 유기물(VS)은 평균 6.09%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0.29~0.31㎥/day로 나타났다. CASE 2는 유기물(VS)평균 농도가 7.7%, 바이오가스 발생량이 0.325㎥/day로 나타났다. CASE1, 2 각각의 CODcr, 유기물(VS) 평균 제거율은 CASE 1이 56%, 76.61%, CASE2가 62%, 81.86%로 분석되었다. 메탄 함유량 또한 60~77%로 측정되어 연료로써의 가치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호기성 산화열을 혐기성 소화의 가온 에너지로서 사용하는 방식의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현재 운영하는 혐기성 소화 시설만이 아닌 마을단위의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소규모 시설로서도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좀 더 효율적인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혐기성소화조 투입 유기물 성상변화에 따른 혐기성 소화효율 연구

        김영신 ( Yeong-shin Kim ),조준연 ( Jun-yeon Cho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심포지움 Vol.2016 No.2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여 안정적인 중온소화를 진행하기에 환경적 어려움이 있다. 혐기성 소화조의 안정적인 소화를 위하여 가온 에너지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에 적합한 소형혐기성 시설의 개발을 위하여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인 돈분뇨와 음식물류폐기물을 전처리 과정 없이 고액분리만을 통하여 액상의 고농도유기물만을 혐기성소화조에서 에너지원인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Pilot Plant의 성능과 소화효율을 분석하였다. 혐기성 소화조의 가온을 위하여 겉에는 호기성 소화조를 설치하여 호기 발효열을 혐기성 소화 가온 에너지로 이용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이 호기성 소화조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을 이용, 호기성 분해를 통해 퇴비를 생산하였으며, 이 과정 중 발생한 분해열(최대 75℃)을 이용, 혐기성 소화조를 가온하였다. 혐기성 소화의 성분 변화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분석하기 위하여 혐기성소화조에 투입되는 유기물(VS)농도, 원료배합(돈분뇨 중 분성분이 30%, 뇨성분이 70%) 등 운전조건의 변화에 따른 유기물(VS) 제거율, CODcr 제거율, 바이오가스 생산량 및 메탄농도, 유기물용적부하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량 등을 분석 하였다. 음식물류 폐기물과 돈분뇨 혼합비에 따라 CASE 1, CASE 2, CASE 3로 분류하였으며, CASE 1의 비율은 음식물류 폐기물 8kg과 돈분뇨 20L, CASE 2 음식물류 폐기물 10kg과 돈분뇨 20L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호기성 발효조의 평균 온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50℃~70℃로 나타났으며, 호기성 발효조의 발효열이 높을수록 혐기성 소화조의 온도 또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 혐기성 소화조의 온도는 평균적으로 38℃로 중온소화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혐기 소화의 경우 투입원료의 유기물(VS)량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CASE1에서 유기물(VS)은 평균 6.09%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0.29~0.31㎥/day로 나타났다. CASE 2는 유기물(VS)평균 농도가 7.7%, 바이오가스 발생량이 0.325㎥/day로 나타났다. CASE1, 2 각각의 CODcr, 유기물(VS) 평균 제거율은 CASE 1이 56%, 76.61%, CASE2가 62%, 81.86%로 분석되었다. 메탄 함유량 또한 60~77%로 측정되어 연료로써의 가치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호기성 산화열을 혐기성 소화의 가온 에너지로서 사용하는 방식의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현재 운영하는 혐기성 소화 시설만이 아닌 마을단위의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소규모 시설로서도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좀 더 효율적인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엽채류의 유통단계 분석을 통한 부산물 발생량 추정에 관한 연구

        김영신 ( Yeong-shin Kim ),조은해 ( Eun-hae Cho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과채류의 부산물 및 폐기물은 발생원에 따라 혹은 유통경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출되는데, 수거 방법에 따라 결국 최종지에서는 가장 저급의 형태로 모이게 된다. 다량의 부산물이 균질하게 발생하는 채소류의 경우 재활용 가치가 크나 현재로서는 유통경로에 부산물량을 나타낸 자료가 없어 그 활용에 제약이 따르고 있다. 과채류 부산물은 농식품의 범주에서 감모 및 폐기 대상이며, 폐기물 법상 동ㆍ식물성 잔재물의 범주안에서는 잔재물이다. 과채류의 감모 및 폐기는 과채류의 생산, 유통, 가공, 소비과정의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되고 폐기 과정에서 경제적ㆍ사회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감모 및 폐기 실태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채소류 중 가장 많은 생산량을 차지하고 있는 엽채류(14품목)를 대상으로 생산에서부터 최종 소비자까지의 전체 과정을 유통경로 별 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별 유통량을 파악하여 유통경로 단계별 부산물 량을 예측하였다. 각 단계별로 생산량 검색 및 확인, 유통 경로 별 물량 비중 확인, 유통경로에 따른 유통량 파악, 유통경로 별 부산물 원단위 파악, 부산물 량 산정, 최종 회수 가능한 부산물 량 파악의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엽채류(14품목)는 2017년 기준 3,038,947 톤이 생산지에서부터 총 9단계를 거쳐 소비지까지 유통되었다. 산지유통인 단계로 82.5 %, 생산자단체로 14.0 % 거래되었으며, 저장량 9.0 % 이었다. 최종적으로 회수 가능한 부산물의 양은 509,379 톤/년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총 생산량 대비 16.76 %에 해당하는 양이다. 단계별로는 산지유통인 단계에서의 회수 가능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김치 공장 등의 대량수요처에서의 회수 가능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초석으로 유통단계 별 통계자료가 정형화 되면 각 단계별 재활용 자원의 이용 및 관련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유기성 폐자원 에너지화 국내ㆍ외 기술 및 시장 동향 연구

        김영신(Yeong-Shin Kim),배재근(Chae-Gun Phae) 유기성자원학회 2019 유기성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춘계

        유기성폐자원은 동식물성(생물) 유래의 생분해 가능한 물질로서 재생하여 이용이가능한 것으로 정의가 가능하며, 유기성폐자원을 각 관련법에서 정의된 분류에 따라 구분할 경우 유기성오니류, 동식물성잔재물, 왕겨 및 쌀겨, 폐목재류, 폐섬유, 음식물류폐기물 및 처리물, 폐사료, 폐식용유, 폐지류, 가축분뇨, 매립가스, 하수슬러지, 분뇨로 범위 규정이 가능하다. 국가 통계로 집계되는 유기성 폐자원의 총 발생량은 2016년 기중 220,663톤/일로나타났으며 이중 가축분뇨가 가장 많은 80.4%를 차지하고, 유기성오니류가 8.1%, 음식물류폐기물이 7.6%이며, 처리방법은 재활용이 73.4%, 매립 및 소각 5%, 기타21.3%로 처리되고 있다. 유기성폐자원의 발생량은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6년 기준 사업계에서 발생되는 양이 약 59%, 생활계에서 발생하는 양이 약 4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12년~2016년)의 유기성폐자원 종류별 발생 경향을 살펴보면 폐수처리오니와 사업계 음식물류폐기물은 감소, 하수처리오니와 생활계 음식물류폐기물, 분뇨처리오니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성폐자원 에너지화 기술로는 바이오가스화, 열화학적 가수분해, DBS 공법, 음식물류폐기물 하수통합처리, 고형연료화, 열분해 기술 등이 있으며, 바이오가스화시설은 2016년말 기준으로 90개소가 운영중이며 전년대비 증가추세에 있다. 전 세계 폐자원에너지화 분야의 시장 규모는 열적 방식 시장(고형연료기술, 가스화기술 등)이 압도적 비중으로 지속되고 있으며, 바이오가스화 등 생물학적 기술을 적용한 에너지화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8.8%로 전망하고 있다.

      • 과채류 부산물 발생원에 따른 업종별 분류를 통한 물질흐름 분석

        김영신 ( Yeong-shin Kim ),이종수 ( Jong-soo Lee ),김도완 ( Do-wan Kim ),조창민 ( Chang-min Cho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과채류 부산물은 과일과 야채류의 생산, 저장, 유통,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서 요리 전에 발생되며, 생 쓰레기, 남은 음식물 등으로 구분이 되기도 한다. 요리 전 발생되는 과채류 부산물은 수분함량과 염분 농도가 낮다는 점에서 별도로 분리된다면 처리가 용이 할 수 있으나. 현행 수집운반 체계에서는 과채류 부산물의 별도 분리배출과 자원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현행 과채류부산물의 발생부터 처리까지의 업종별 분류에 따라 물질흐름을 분석해보고 이에 따른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을 도출해 보았다. 업종별 분류는 한국산업표준분류(2017, 제10차 개정)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도출하는 업종은 과채류 부산물이 배출되는 발생원 기준으로 하였다. 코드별로 중분류 6개, 소분류 10개, 세분류 17개, 세세분류 38개의 업종이 도출되었으며, 중분류 6개 업종은 농업(코드 01),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코드 52), 식료품 제조업(코드10), 도매 및 상품 중개업(코드 46), 소매업; 자동차제외(코드 47), 음식점 및 주점업(코드 56)으로 분류되었다. 소분류 10개 업종은 상위 중분류 업종에서 세분화된 업종으로 작물 재배업(코드 11) 등 10개 업종이며, 소분류에서는 다시 17개의 업종 세분류되고, 세분류항목에서는 다시 38개의 업종으로 세세분류되었다. 상위 중분류 6개 업종을 대상으로 크게 물질흐름을 분석하였으며, 발생부터 최종 처리단계까지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G 농수산 공영도매시장에서 발생되는 과채류 부산물의 발생특성분석

        김영신 ( Yeong-shin Kim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6 No.1

        Raw garbage discarded in the form of food waste is a valuable resource, but detailed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on its amount. In this paper, we executed a field survey of G market and analyzed the accumulated data to estimate the amount of waste discarded due to the low value of commodities in the public wholesale market classified as weight reduction in duty business sites. The amount of fruit and vegetable by-products generated within the G market was 30,076 kg per day on average, and the sales volume was the lowest in January and the highest in July. Sales volume was the lowest in January and the largest in July. Chinese cabbage by-product production was 14,831 kg/day, cabbage by-product production was 1,483 kg/day, and lettuce by-product production was 2,076 kg/day, resulting in a total of 18,390 kg/day. The amount of seasonal emergence was greatest in summer, followed by spring, fall, and winter. The average number of waste transports to the transfer station was 17 times. The sales volume in the market had little effect on by-product production, and the seasonal effect was the largest.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conclude that raw garbage from wholesale markets should be considered a worthwhile resource supply.

      • Polyomavirus 감염의 요 세포학적 소견 - 1예 보고 -

        권미선,김영신,이교영,최영진,강창석,심상인,Kwon, Mi-Seon,Kim, Young-Shin,Lee, Kyo-Young,Choi, Yeong-Jin,Kang, Chang-Suk,Shim, Sang-In 대한세포병리학회 1996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7 No.2

        The principal significance of the urothelial changes caused by polyomavirus activation is in an erroneous diagnosis of urothelial cancer; however, the clue to their benign nature is the smooth structureless nuclear configuration and the relative paucity of affected cells. Though virologic studies and electron microscopy are usually needed to firmly establish the diagnosis, cytology is the most readily available and rapid means of establishing a presumptive diagnosis of human polyomavirus infection. A urine specimen of a 24-year-old man with hemorrhagic cystitis beginning two months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or acute myeloblastic leukemia(M2) was submitted for cytologic evaluation. Cytologic findings revealed a few inclusion-bearing epithelial cells intermingled with erythrocytes, neutrophils, lymphocytes, and macrophages. Most of the inclusion-bearing fells had large, round to ovoid nuclei almost completely filled with homogeneous dark, basophilic inclusion. The chromatin was clumped along the periphery and the cytoplasm was mostly degenerated. The other cells exhibited irregular inclusions attached to the nuclear membrane surrounded by an indistinct halo. Thes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polyomavirus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