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近代朝鲜移民对中国东北地区水田农业发展的影响(1875~1945)

        金?(김영) 이주사학회 2017 Homo Migrans Vol.17 No.-

        김영의 〈근대 중국 동북 지역 벼농사 발달에 대한 조선인 이주민의 영향 연구〉 이란 논문은 근대 중국 동북지역의 벼농사는 장장 200여 년간 계속된 봉쇄령이 점차 폐지되는 와중에, 관내 이민의 밭농사 중심의 농업 개발의 기반 위에서, 선진적인 냉지 벼농사 기술과 경험을 가진 조선인 이주민들이 중국 동북 지역으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개시되고 파급되었으며, 그들은 줄곧 이 지역 수전농업자원 개발의 주요 노동력과 직접 담당자들이기도 하였다. 근대 동북지역 벼농사는 뒤늦게 19세기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벼농사 개발 과정에서 수준 높은 벼농사 기술과 경험을 가진 조선인 이주민에 의해 추진되었고 이들 조선인 이주민은 조선에서의 도작법을 도입하고 활용하면서 거듭되는 실패를 겪으며 중국 동북지역 각지 실정에 알맞는 냉지 도작법을 찾아냈고 줄곧 담당해 왔기 때문에 이 곳의 벼농사는 기나긴 발전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 70년(1875~1945) 의 짧은 기간에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다. 1945년 일제통치로부터 해방될 때 벼는 이미 동북 지역 6대 작물 중의 하나로 급성장 하였으며 수전은 동북 지역의 최북단 일부 지역을 제외한 동북 전역에 분포되었고 동북지역 수자원 개발이 조선인 이주민들의 벼 재배와 함께 개시되고 발전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로 수리 시설 개발은 점차 농업 발전에 없어서는 안 될 기본 조건으로 부상되어 갔다. 중국동북지역 벼농사가 발달하던 시기는 일제의 조선 식민지화, 일제의 중국 동북지역에 대한 침략세력의 침투와 점령, 전면적인 대륙침략전쟁시기와 겹치고 있었다. 일제는 대륙침략에 줄곧 벼농사에 종사하는 조선인 이주민을 이용하는 정책을 펴왔기 때문에 주로 조선인 이주민이 담당하고 있었던 벼농사는 중국 국가 안전을 위험하는 우려도 사기도 하여 벼농사는 복잡한 모순과 시련을 겪으며 발전해 갈 수 밖에 없었다. 위만주국시기 일제는 중국인을 주로 밭농사에 종사시키고, 일본인과 조선인 이주민이 벼농사에 종사하도록 하는 노동의 민족적 분담현상을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하였기 때문에1945년 일본이 투항했을 때 현지 중국인들은 여전히 벼 재배에 대한 경험과 기술이 부족하였다. 중국동북지역 벼농사가 전체 농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그다지 크지 않아 이 지역 농업발전 전반에 대한 영향력이 일정한 한계가 있겠지만, 이 문제에 대한 연구는 중국동북지역 농업 근대화의 독특한 특징 및 중국 조선족 형성에 관한 문제연구를 한층 깊이 하도록 한다. Study on Influence of Korean immigrants in Modern Times on Agricultural Development of Paddy Fields in China Northeast Area written by Jin Ying demonstrates that modern paddy agriculture in Northeast area, after 200-year long seclusion from outside world, was brought in by Korean immigrants with the advanced cold-area rice farming techniques and expertise in the process of cross-border immigration to Northeast area and developed on basis of inland migrants’ dry land farming techniques. Korean immigrants had always been the main labor force and direct players in the development of paddy agricultural resources in China Northeast area. In spite of the late start of modern paddy agriculture in Northeast area, rice had become the sixth most important crop during a short period of 70 years (1875-1945), thanks to the Korean immigrants with the advanced techniques who utilized rice cultivation method brought from Korea in the practice of rice farming, and innovatively created and spread the techniques and expertise of hardy single cropping Japonica rice cultivation that are applicable everywhere in Northeast area. Paddy fields can be seen in any part of the Northeast except the northernmost. Irrigation development had become the essential basis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Northeast area. However, paddy agriculture also experienced obstructions and interruptions because of threatening issues to the China’s national security during Japan’s imperialist invasion to and occupation of the Northeast when Japan expanded its interests in the Northeast with the immigration of Koreans and with rice planting by Korean immigrants. In the period of the puppet state of Manchuria, Japanese authority forcibly demanded that paddy agriculture should only be practiced by Japanese and Koreans. This led to the fact that local Chinese lacked the expertise and techniques of rice farming of paddy fields even after Japan’s surrender in 1945. The study on this issue will be of assistance to profoundly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 of agricultural modernization of China Northeast area, and will help to lead the study on the formation of Korean nationality in China to depth.

      • KCI등재후보

        근대전환기 지식인의 이국체험과 세계관의 변화—연암 박지원의 경우

        김영 한국고전연구학회 2008 한국고전연구 Vol.0 No.17

        This study is purposed to review Park Ji-won's changed world view after his travel to China by examining Yol-Ha Journal(열하일기), a travelogue on China. As it was extraordinarily rare, only a few people could afford to travel abroad at the Chosun dynasty. However, owing to the advent of Yeon-Hang-Sa(연행사), a diplomatic mission dispatched to China, an oversees traveling has been rising in its size and frequency at the late of Chosun dynasty, a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Middle age to the Modern in Korea. It was Park Ji-won's idea that the Chosun society would be more retarded without a reformation of public consciousness of the people: Chosun should learn how to adapt herself to a new environment of the world change and import a new culture of the Ching dynasty, as it were, China under development and enlightenment. For this reason, he insisted on a new study of the Ching's advanced culture and science, what is called, "Studies on the North"(북학의). He argued that an immediate adaptation of the Ching's advanced culture would make Chosun enable to reform herself in every aspect. When he traveled to China in 1780, hence, he recorded every single aspect of his entire experience in China. His close attention on the advanced technology and culture of China were fully appertained to his Yol-Ha Journal. It was not only his experience and research on the advanced culture of China that we can find in his book. Along with his interest on material civilization of China, we can also find his concern on the condition of grass people and intellectuals of China. He tried to exchange more ideas with Chinese scholars and pay more attention to the grass people as much as possible. He also bought a lot of books during his voyage. His correspondences and exchanges of opinions with Chinese scholars contributed to his deep understanding on the outside and his realistic formation of the world view. 이 글은 조선후기 북학파 문인 박지원의 중국여행을 재검토하여 근대전환기 지식인의 이국체험과 세계관의 변화 문제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느 시대에나 여행은 있어왔지만, 전근대사회에서 해외여행은 특별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특별한 기회였다.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되던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 이러한 해외여행의 규모와 횟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그것은 주로 연행사와 통신사의 등장으로 말미암은 것이었다. 그 중 연행사의 중국행은 청나라가 수도를 심양에서 연경으로 옮긴 때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때부터 시작된 연행은 개항까지 계속된다. 박지원은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되고 있던 18세기를 살면서 조선이라는 폐쇄된 공간을 벗어나 당시의 최고 문명국인 청나라를 방문하여 많은 것을 견문한 뒤 그 이국체험을 탁월한 필치로 기록하여 ≪열하일기≫라는 걸작을 남겼다. 연암이 청나라의 발달한 문물을 개방적 진취성을 가지고 수용한 것은 그가 강조한 호문(好問)과 선학(善學)을 스스로 실천한 것이라 하겠고, 그것을 조선 현실에 적용한 것은 지변(知變)과 창신(創新)의 실례를 보인 것이라 하겠다. 그런데 연암이 이렇게 그의 이국체험을 탁월한 성과로 결실 맺을 수 있었던 것은 사전 준비와 뚜렷한 문제의식 때문이었다. 연암은 주지하다시피 북학파 동지들과 수시로 만나 조선현실의 개혁방안을 논의하면서 문제의식을 가다듬었고, 먼저 중국을 갔다 온 홍대용, 박제가, 이덕무로부터 많은 정보를 습득하면서 연행의 기회가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던 상태였다. 말하자면 여행계획과 집필구상이 이미 끝나고 실제 여행을 통한 확인절차와 집필만 남아 있었던 것이다. ≪열하일기≫를 보면 중국을 가서 무엇을 관찰하고 무엇을 물어볼 것이며, 어디를 들러 무슨 책을 구입할 것인지, 그리고 중국의 지식인들과 어떤 이야기를 나눌 것인지에 대한 사전 준비가 철저하였음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철저한 사전 준비와 연행 후 꼼꼼한 자료보강을 거쳐 ≪열하일기≫라는 걸작이 완성된 것이다. 이렇게 연암이 올바른 문제의식을 설정하고 성공적인 연행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선배들의 연행경험과 북학파 동지들과의 토론에 힘입은 바가 크며, 연암의 의식과 세계관을 새롭게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청나라 지식인과의 교유 및 중국서적에 대한 광범한 섭렵이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런 의미에서 ≪열하일기≫는 개방적이고 현실주의적인 사유방식을 한 문인의 야심작인 동시에 18세기 동아시아 문명의 소통과 지식인의 교류의 결과물이라고 할 것이다.

      • [특집/기술해설] WiBro 시스템 기술

        김영,안지환,황승구 대한전자공학회 2005 텔레콤 Vol.21 No.1

        중 저속 이동 환경하에서 언제, 어디서나 ADSL급의 속도로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탄생한 WiBro시스템은 2003년부터 ETRI를 중심으로 개발에 착수하여 2006년도 상반기에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WiBro도입 배경, WiBro기술의 특징에 대해서 기술하고, ETRI에서 개발중인 WiBro시스템의 구조에 대해서 기술한다.

      • KCI우수등재

        大學캠퍼스 立地類型과 周邊地域의 土地利用分析에 따른 大學村의 計劃方向에 關한 硏究

        김영,하창현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8

        This paper aims to enhance overall functions of campus village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based on future-oriented land use by analyzing locational land use types in each university neighborhoo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pattern and the potential problems, we examined the present land uses of the neighborhoods in three university campuses in Jinju city. For this study, we presented spatial patterns on the maps applied by ArcView GIS as a graphic technique after implementing field surveys and questionnaire ones. The results of this are summarized as: First, land use in university neighborhood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and use, location, and development factors. Around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CSNU), the main land use type is a mix-used one as in subarban and new development area: commercial, residential, and institutional buildings such as school and private academies are recently agglomerated. Around Jinju National University(JNU), the commercial land use is typical as an extended development area of inner city(close to city center) and commercial building occupies the university town around the campus as well as traffic junction nearby: the campus is encompassed mainly by commercial buildings, small restaurants/shops, and a express bus terminal. However, arou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JNUE) the typical land use is residential one as an inner city type: most building are occupied by old single detached houses, new one-room flats for college students or small apartments with tidy shops because of a tendency to development staggering, through those are expected to redevelopment. Second, in university campus neighborhood, most of land uses consist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ones, but educational and cultural uses(facilities) are very rare. This trend illustrate that the campus village have not settled as educational and cultural center, but have been occupied by mix-used land uses existing as a part of the city. Third, the land uses in university neighborhood predominantly differ in following three factors: the location of campus, the scale of campus or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function/type of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ose depend on the university types: the first university type for comprehensive and higher education profession(GSNU), the second type for mixed and professional profession(JNU), and the third type for elementary and medium educational profession only(JNUE). Around JNUE, most(71%) are included in residential area whereas around GSNU(58%) and JNU(45%) some are included in residential area. In conclusion, more comprehensive/systematic land use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around JNU, and vitalizations of the neighborhood around JNUE currently occupied for mainly educational land use. For the future planning guidelines of campus neighborhood, the suggestions are also required in the process of student housing construction and new campus village development reviewing educational, cultural, and physical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 Development of dynamic pricing solution for supply chain optimization in refinery industry

        김영,박민환,박선원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1

        The large scale and the complexity of transportation system have raised supply chain optimization in the refinery industry as a critical issue, and accordingly, many companies have given great efforts to build the systems for minimizing transportation costs throughout the supply chain. Meanwhile, weobserved that not only the transportation cost but also price elasticity is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Therefore, profit could be improved by pricing strategically considering the price elasticity.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 dynamic pricing solution to suggest a way of improving a supply chain optimization 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