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송과체부 종양에서 시험적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연실(Yeon Shil Kim),유미령(Mi Ryung Ryu),정수미(Su Mi Chung),김문찬(Moon Chan Kim),윤세철(Sei Chul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뇌중심부에 위치한 종양의 치료에 수술적 절제는 높은 치사율과 합병증을 동반한다. 조직학적 진단을 얻지 못한 뇌중심부 종양의 치료로 20∼30 Gy의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방사선에 대한 반응 정도로 조직학적 유형을 예상하여 적절한 치료 방침을 정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조직학적 진단 없이 영상적 진단 하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송과체부 종양환자 30명의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방사선치료의 유용성 및 방사선치료로 치유 가능한 종양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3년 3월부터 1995년 8월까지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송과체부 종양으로 조직학적 진단을 얻지 못하고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연령범위는 7∼69세(중앙값 16세)였으며 종양의 위치는 송과선(pineal gland) 18명(60%), 뇌하수체상부(suprasellar) 4명(13.3%), 송과선과 뇌하수체상부(pineal gland & suprasella) 2명(6.7%), 송과선와 주변 뇌실(pineal gland and paraventricle) 6명(20%)이었다. 20∼30 Gy/ 2∼3주의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CT 혹은 MRI를 추적 검사하여 방사선 반응성에 따라 최종 치료방침 및 방사선조사범위를 다시 결정하였다. 총방사선치료선량 범위는 40.8∼59.4 Gy였으며(중앙값 : 50.4 Gy) 환자들의 중앙추적 기간은 36.5개월이었다(4∼172개월). 결 과 : 시험적 방사선치료 후 28명(93.3%)의 환자에서 임상증상이 호전 혹은 안정되었고 영상학적 검사상 19명(63.3%)에서 부분관해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전체환자의 2년 생존률과 5년 생존률은 각각 66.7%, 55.1%였다. 시험적 방사선치료 후 임상 증상, 방사선 영상학적 반응정도에 따른 생존률의 차이는 없었다. 연령, 원발종양의 위치, 활동수행정도(KPS≥70), 방사선치료 종료 후 최종 반응정도, 방사선조사야가 단변량분석에서 생존률과 무병생존률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였다(p<0.05). 결 론 :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63.3%의 환자에서 영상학적으로 종양의 반응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뇌중심부 종양의 임상적 조직학적 양상은 매우 복잡 다양하여 초기 방사선 반응성만으로 조직학적 진단의 유추 및 완치여부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향후에는 이와 같은 종양에서 1차적 시험적 방사선치료의 적용보다는 좀더 정확하고 비침습적인 조직학적 진단방법의 개발과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assess the treatment results of 30 patients with pineal region tumors who were underwent radiation therapy under the diagnosis by either CT or MRI. There was no histological verification. We analyzed the prognostic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 free survival (DFS) rates.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30 patients with pineal region tumors were treated between March 1983 and August 1995. After a trial radiation therapy of 20∼30 Gy/2∼3 weeks, the patients were evaluated for their clinical response and radiological response by either CT or MRI and the final treatment direction was then decided. According to their response to the trial radiation therapy and the involved site, radiation treatment was given in various fields i.e., local, ventricle, whole brain and craniospinal field. The radiation dose ranged from 40.8 to 59.4 Gy (Median 50.4 Gy). The median follow up was 36.5 months (4∼172 months). Results : An improvement or stability in the clinical symptoms was observed in 28 patients (93.3%) after the trial RT. Nineteen patients (63.3%) showed a partial or complete response by CT or MRI. The two-year and five-year survival rates of the patients were 66.7% and 55.1%,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radiological response was abserved after the trial RT.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the primary site, the performance status (KPS≥70), the degree of response after completing RT and the RT field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s (p<0.05). Conclusion :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eal region tumors are quite complex and divers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histological diagnosis and the possibility of radiocurability only with the initial response to RT. We think that the development of less invasive histological diagnostic techniques and tailored treatment to the histological type of each tumor are needed.

      • SCOPUSKCI등재

        연부조직육종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결과

        김연실(Yeon Shil Kim),장홍석(Hong Seok Jang),윤세철(Sei Chul Yoon),유미령(Mi Ryeong Ryu),강기문(Ki Moon Kang),정수미(Su Mi Chung),김훈교(Hoon Kyo Kim),강용구(Yong Koo K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목 적 : 최근들어 연부 조직 육종의 치료방법이 광범위 구획절제에서 사지기능을 보존하는 제한적 수술과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의 다병용치료로 변환되고 있으며 광범위 수술과 유사한 치료성적을 거두고 있다. 저자들은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연부 조직 육종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 및 실패 양상을 알아보고 관련된 예후 인자를 분석하여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환자는 1983년부터 1994년까지 치료한 60명이었고 모두 추적관찰이 가능했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50개월이었다. 원발병소는 상·하지가 35례(58%)로 가장 많았고 체간 12례(20%), 두경부 7례(12%)였으며 병리학적 유형에 따른 구분은 악성섬유구종 14례(23%),지방육종이 10례(17%), 악성신경섬유종 7례(12%) 등 이었다. 전체환자중 6례를 제외하고는 조직학적등급의 분석이 가능했고 grade I, II, III가 각각 27례(45%), 3례(5%), 24례(40%)였다. 수술적 절제는 19례(32%)에서 광범위절제, 36례(60%)에서 변연절제, 5례(8%)에서 국소절제를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선량은 28.8- 80Gy였고 25례에서 방사선치료와 함께 항암화학 요법을 병용하였다. 결 과 : 최종분석 시 실패 양상은 국소재발이 20례(25%), 원격전이 7례(12%), 국소재발과 원격전이를 동반한 경우가 14례(23%)였다. 원격전이한 환자는 구제치료와 상관 없이 모두 사망하였고 국소재발한 환자중 5명이 구제치료에 성공하여 무병생존하였다. 전체환자의 2년 및 5년 국소제어률은 68.0%와 48.7%로 비교적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국소제어율에 영향을 미친 예후인자는 조직학적 유형, AJCC 병기, 조직학적 등급, 수술의 범위, 수술절연 침범 유무 및 잔존종양 정도, 림프절 전이 유무(p <0.05)였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률과 5년 무병생존률은 각각 60.4%, 36.6%였고 평균 생존기간은 89개월이었다. 단변량 분석에 의한 생존률에 영향을 미친 예후인자로는 조직학적 유형, AJCC 병기, 림프절 전이 유무, 조직학적 등급, 수술절연 침범 유무와 잔존 종양 정도 였다. 결 론 :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 연부 조직 육종에서 제한적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로 비록 저조한 국소제어률을 보였으나 사지 절단 혹은 광범위 구획절제와 비교시 유사한 생존률을 얻었다. Purpose : The major goal of the therapy in the soft tissue sarcoma is to control both local and distant tumor. However, the technique of obtaining local control has chang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few decades from more aggressive surgery to combined therapy including conservative surgery and radiation and/or chemotherapy.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treatment results of the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f soft tissue sarcoma and its prognostic factor.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March 1983 and June 1994, 60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 were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Complete follow up was possible for all patints with median follow up duration 50 months (range 6 - 162 months). There were 28 male and 32 female patients. Their age ranged from 6 to 83 with a median of 44 years. Extremity (58%) was the most frequent site of occurrence followed by trunk (20%) and head and neck (12%). Histologically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23%), liposarcoma (17%), malignant schwannoma (12%) constitute 52% of the patients. Daily radiation therapy designed to treat all areas at a risk for tumor spread upto dose of 4500-5000 cGy. A shrinking field technique was then used and total 55-65 Gy was delivered to tumor bed. Twenty-five patients (42%) received chemotherapy with various regimen in the postoperative period. Results : Total 4 1 patients failed either with local recurrence or with distant metastasis. There were 29 patients(48%) of local recurrence. Four patients (7%) developed simultaneous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and 8 patients (13%) developed only distant metastasis. Local recurrence rate was rather higher than of other reported serie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of gross residual, recurrent cases after previous operation, trunk and head and neck prima ry. This feature is like ly explanation for the decreased loca l control rate . Five of 29 patients who fa iled only loca lly were salvaged by re- excis ion and/or re- irradiation and rema ined free of disease . Factors affecting loca l control include histologic type , grade, stage , extent of operation and surgica l ma rgin involvement, lymph node metastas is (p <0.05). All 21 patients who fa iled distantly are dead with progress ive disease at the time of this report. Our overall survival results are similar to those of larger series . Actuarial 5 year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survival were 60.4 %, 36.6% respectively. Grade, stage (being close association with grade), residual disease (negative ma rgin, microscopic, gross) were significant as a predictor of survival in our series (p <0.05). Conclusion : Combined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btained 5 year survival rate comparable to that of radical surgery.

      • KCI등재후보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의 방사선보호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김연실(Yeon Shil Kim),윤세철(Sei Chul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3

        목적 :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분비하는 대표적인 성장인자로 섬유아세포뿐 아니라 간질조직과 골수 및 다른 상피 근원세포의 성장에도 관여하며 방사선보호제 역할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방사선보호제로서의 bFGF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간엽조직 기원(mesenchymal origin)인 마우스육종 180 종양세포를 생쥐 대퇴부 피하에 이식하고 bFGF를 투여한 후 전신방사선조사(6, 8, 10 Gy)하여 생쥐의 생존률을 조사하고 bFGF (3, 6 ㎍/쥐)의 방사선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동시에 이식한 마우스 180 고형종양을 국소방사선조사한 후 bFGF가 종양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bFGF에 의한 방사선보호효과의 기전을 이해 하고자 소장점막, 골수, 폐조직 및 이식종양조직에 대한 병리 조직학적 검사와 DNA terminal transferase nick-end labeling assay 방법으로 아포프토시스(apoptosis) 빈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방사선조사단독군에 비해 방사선조사와 6 ㎍ bFGF 투여병행군에서 생쥐의 골수치사를 감소시켜 생존률이 증가되었다(p0.05). 6) 양성대조군과 bFGF단독투여군 비교시 bFGF투여에 의한 종양성장은 관찰되지 않았으며(p>0.05) 방사선조사단독군과 방사선조사와 6 ㎍ bFGF 투여병행군에서도 종양성장곡선의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 이상의 결과로 bFGF는 소장점막 및 골수세포에 방사선보호효과가 있었으며 그 기전은 조혈모세포 및 소장낭선세포의 성장 및 재생을 촉진하고 조기에 방사선으로 유도된 아포프토시스를 감소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In order to understand in vivo radiation damage modifying of bFGF on jejunal mucosa, bone marrow and the effect of bFGF on the growth of transplanted mouse sarcoma 180 tumor in mice. Materials and Methods : Mice were treated with 6 ㎍ of bFGF at 24 hours and 4 hours before exposing to 600 cGy, 800 cGy and 1,000 cGy total body irradiation (TBI), and then exposed to 3,000 cGy local radiation therapy on the tumor bearing thigh. Survival and tumor growth curve were plotted in radiation alone group and combined group of bFGF and irradiation (RT). Histologic examination was performed in another experimental group. Experimental groups consisted of normal control, tumor control, RT (radiation therapy) alone, 6 ㎍ bFGF alone, combined group of 3 ㎍ bFGF and irradiation (RT), combined group of 6 ㎍ bFGF and irradiation (RT). Histologic examination was peformed with H-E staining in marrow, jejunal mucosa, lung and sarcoma 180 bearing tumor. Radiation induced apoptosis was determined in each group with the DNA terminal transferase nick-end labeling method (ApopTag S7100-kit, Intergen Co.)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6 ㎍ bFGF given before TBI significantly improved the survival of lethally irradiated mice. bFGF would protect against lethal bone marrow syndrome. 2) 6 ㎍ bFGF treated group showed a significant higher crypt depth and microvilli length than RT alone group (p0.05). 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istopathologic findings of lung and mouse sarcoma 180 tumor between radiation alone group and bFGF treated group.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 that bFGF protects small bowel and bone marrow from acute radiation damage without promoting the inoculated tumor growth in C3H mice. Improved recovery of early responding normal tissue and reduced number of radiation induced apoptosis may be possible mechanism of radioprotective effect of bFGF.

      • KCI등재

        4D RT에서 PET/CT Image를 이용한 Metabolic Target Volume 적용의 유용성 평가

        김창욱,천금성,허경훈,김연실,장홍석,정원균,서태석,Kim, Chang-Uk,Chun, Keum-Sung,Huh, Kyung-Hoon,Kim, Yeon-Shil,Jang, Hong-Seok,Jung, Won-Gyun,Xing, Lei,Suh, Tae-Su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0 의학물리 Vol.21 No.2

        본 연구는 호흡 정보를 갖고 있는 PET 영상의 표준섭취계수(SUV: standard uptake value)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편리한 호흡동조 방사선치료의 metabolic target volume (MTV) 적용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를 위해 4D 팬텀에 임의의 인공산물을 만들어 PET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최대 SUV를 기준으로 임의로 설정한 50%, 30%, 그리고 5%의 SUV에서의 VOIs (Volumes Of Interest)와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를 위한 4D-CT를 통해 획득한 호흡위상백분율에서 설정한 GTV (Gross Target Volume)을 비교하였다. 4D-CT를 통해 얻은 총합 GTV와 PET 영상의 30% SUV로 얻은 VOI와의 비교는 50%의 SUV로 얻은 VOI의 비교 결과보다 종(Longitudinal) 방향에서의 오차가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4D 총합 CTV와 가장 일치하는 PET 영상은 5% SUV로 얻은 VOI로 관찰되었다. 4D PET/CT에서 전체 호흡의 25% 흡기에서 25% 호기까지 호흡위상백분율 영상의 30% SUV로 얻은 VOI는 IGRT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에 적용되는 4D-CT의 동일한 호흡위상백분율 영상에서 설정한 GTV와 비교한 결과, 최대 0.5 cm 이하로 잘 일치하였으며 4D PET의 5% SUV로 얻은 VOI의 경우 모든 방향에서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IGRT의 MTV 적용에 있어서 일반 PET 영상의 이용보다 4D PET 영상의 적용이 더 유용함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현재 핵의학과에서 인체종양의 VOI를 30% SUV로 권고하고 있지만 30% 이하의 주변 SUV와 구분되는 최소 SUV를 선택해 적용한다면, 더욱 유용한 MTV 적용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feasibility of applying MTV (Metabolic Target Volume) to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for more accurate treatment using various SUV (Standard Uptake Value) from PET images. We compared VOI (Volume of Interest) images from 50%, 30% and 5% SUV (standard uptake volume) from PET scan of an artificial target with GTV (Gross Tumor Volume) images defined by percentage of respiratory phase from 4D-CT scan for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VOI of 30% SUV is reduced noticeably comparing with that of 50% SUV in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otal GTV of 4D-CT image. Difference of VOI of 30% SUV from 4D-PET image defined by respiratory phase from 25% inhalation to 25% exhalation, and GTV from 4D-CT with the same phase is shown below 0.6 cm in maximum. Thus, it is better to use 4D-PET images than conventional PET images for applying MTV to gated RT. From the result that VOI of 5% SUV from 4D-PET agrees well with reference image of 4D-CT in all direction, and the recommendation from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at 30% SUV be advised for defining tumor range, it is found that using less than 30%SUV will be more accurate and practical to apply MTV for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 SCOPUSKCI등재

        간외 폐쇄성 황달 환자에서 고식적 방사선치료의 결과

        계철승(Chul-Seung Kay),장홍석(Hong-Suk Jang),김성환(Sung-Hwan Kim),유미령(Mi-Ryeong Ryu),김연실(Yeon-Shil Kim),정수미(Su-Mi Chung),윤세철(Sei-Chul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3

        목 적 : 수술이 불가능한 복강내 악성 종양으로 간외 폐쇄성 황달이 있는 환자에서 시행한 고식적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84년 4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근치적 절제술이 불가능한 복강내 악성 종양으로 인한 간외 폐쇄성 황달로 본 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72명의 환자들 중 방사선조사량이 10 Gy 미만이었던 13명을 제외한 59명의 환자들에 대하 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이 된 환자들은 위암이 21명(35.6%), 췌장암이 12명(20.3%), 간외 담도암이 15명 (18.6%), 기타 종양이 11명(18.6%)이었다.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경우는 31명(52.5%)이었으며, 이들 중 27명(87.1%)이 선 암이었다. 외관상 황달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는 47명(79.7%), 간기능 검사상 황달이 발견된 경우는 12명(20.3%)이었다. 복통은 29명(49.2%)의 환자에서 동반되었다. 경피적 담도배액술을 시행했던 경우는 24명(40.6%)이었으며, 항암화학요법 이 병행된 경우는 32명(54%)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6 혹은 10 MV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였고, 총 방 사선조사량은 10.8∼55.8 Gy(중앙값 37.8 Gy)였다. 결 과 : 전체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7.80±1.15 개월이었다. 고식적 방사선치료의 반응률에 대해서는 황달의 경우, 경피적 담도배액술을 시행한 환자와 시행하지 않은 환자를 비교해 보았을 때 반응률은 각각 81.8%와 66.7%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치료 후 1∼2주사이의 혈중 총빌리루빈의 감소 비율이나 혈중 총빌리루빈치가 50%까지 감소하는데 걸리는 기간, 그리고 총빌리루빈치가 정상화되는 데까지 걸리는 기간등 황달이 회복되는 정도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통증의 경우에는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가 방사선 단독치료에 비하여 통증의 완화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p<0.05). 그러나 경피적 담도배액술을 시행했던 경우에는 오히려 통증의 반응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환자의 나이, 성별, 질환, 조직학적인 차이에 따른 방사선치료 결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생존율 분석에서는 Karnofski Performance Stat us (KPS)에 따른 환자의 임상 수행 능력이 높았던 경우(KPS>70)와 총방사선조사량이 35 Gy 이상이었던 경우에 생존율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p<0.05), 또한 증상의 완화가 이루어진 경우에 생존율이 증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p<0.05).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경피적 담도배액술을 시행한 경우 세균성 담관염이 12명(50%)에서 나타났으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에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외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함으로써 복강내 악성종양으로 인한 폐쇄성 황달로 인한 증상들을 완화시킬수 있었으며, 대상이 된 환자들 모두가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였음에도 불구하고 임상 수행 능력이 높았던 경우, 35 Gy 이상의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 그리고 치료 후 증상의 완화가 있었던 경우에 생존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환자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고식적 치료들과 여러 가지 방사선치료의 기법들을 적절하게 운용함으로써 증상의 완화는 물론 생존율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이에 대해서는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xternal radiation therapy and the prognostic factor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rapeutic results of malignant extrahepatic biliary obstruction (EHBO). Methods and Materials : We analyzed the results of t he external radiation therapy in 59 patients of inoperable malignant EHBO who had been treated with more than 10 Gy of external radiation therapy from April 1984 to December 1996. There were 21 stomach cancer (35.6%), 12 pancreas cancer (20.3%), 15 extrahe patic biliary cancer (18.6%) and 11 another cancer (18.6%). Their pathologies were confirmed in 31 patients (52.5%). They divided into 27 adenocarcinoma and 4 nonadenocarcinoma. Their chief complaints were jaundice in 47 patients (79.7%) and abdominal pain in 15 patients (49.2%). Twelve patients had slightly increased bilirubin level in liver function test without jaundice. We treated twenty four patients (40.6%) with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and 32 patients (54%) with systemic chem otherapy (CT). We performed external radiation therapy (ERT) upto 10.8∼55.8 Gy (median 37.8 Gy) with palliative aim. Results : Overall median survival duration was 7.80±1.15 months. The response rates of jaundice were 81.8% in PTBD group and 66.7% in non - PTBD gro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improving rate of jaun d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decreased ratio of total bilirubin level. But abdominal pain was more decreased in CT group than non-CT group (p<0.05).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were high performance status (Karnofski Performance Status >70), total radiation dose more than 35 Gy and good response of pain after therapy. There were increased in bacterial cholagitis in PTBD group and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in CT group. Conclusion : External radiotheapy could improve jaundice and abdomi nal pain in malignant EHBO patients. Overall survival duration was prolonged in patients with higher performance status and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more than 35 Gy of total radiation dose. In the future, we expect not only better palliative role but also the prolongation of survival of using the ERT combined with other treatment method. But to achieve certain conclusion, we need futher study consisted with many kinds of treatment methods including new technologies in RT.

      • SCOPUSKCI등재

        수술 후 국소재발한 자궁경부암에서의 방사선치료 성적

        유미령(Mi Ryeong Ryu),계철승(Chul Seung Kay),강기문(Ki Moon Kang),김연실(Yeon Shil Kim),정수미(Su Mi Chung),남궁성은(Sung Eun Namkoong),윤세철(Sei Chul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3

        목 적 : 근치적 수술 후 국소재발한 자궁경부암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및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3년 10월부터 1996년 7월까지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FIGO병기 I, II 자궁경부암의 근치적 수술 후 국소재발한 환자 중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53명을 대상으로 치료결과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33세에서 69세 사이(중앙값 53세)였으며, 병리조직학적 분류로는 편평상피암이 45명(84.9%), 선암이 7명(13.2%), 편평상피선암이 1명(1.9%)이었다. 수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은 2 개월에서 25년 사이로 평균 34.4 개월이었다. 재발한 병소의 위치에 따라서 질 절제단(vaginal stump )이 41명(77.4%), 골반외벽(pelvic side wall)이 12명(22.6%)이었고, 재발한 병소를 크기에 따라 나누었을 때 3cm 이하인 경우가 43명(81.1%), 3 cm보다 큰 경우가 10명(18.9%)이었다. 방사선치료는 대부분 환자에서 전골반에 외부 방사선치료를 하루 1.8 Gy 의 양으로 주 5회씩 치료하여 46.8∼50.4 Gy 까지 치료한 후, 18명(34%)에서는 병소부위에 외 부방사선치료를, 24명(45.3%)의 환자에서는 강내근접치료를 각각 추가하여 총방사선량 46.8∼111 Gy(중앙값 70.2 Gy)까지 치료하였다. 추적조사 기간은 2 개월에서 153 개월 사이(중앙값 35 개월)였다. 결 과 : 방사선치료후 초기관해율은 66% (35/53) 이었고, 이 중 6명(17.1%)에서 방사선치료후 7 개월에서 116 개월사이(평균 47.7 개월)에 다시 국소재발하여 전체환자의 국소재발율은 45.3%였다.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78.9%였으며, 원격전이율은 10% (5/50)로 발생부위별로는 폐 2명, 뇌 1명, 원격 임파절 2명이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수술후 재발까지의 기간( p=0.0055), 재발 병소의 크기( p=0.0039), 방사선치료에 대한 초기반응 유무( p=0.0428) 등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외에 초기 병기, 연령, 조직학적 유형, 재발병소의 위치, 방사선 조사량, 약물치료 유무 등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방사선치료의 합병증은 10명(20%)에서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경미하거나 중등도의 하부위장관 또는 비뇨기계, 피부 합병 증이었고, 한명이 강내 방사선치료 직후 폐전색증으로 사망하였다. 결 론 : 근치적 수술 후 국소재발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는 매우 효과적이며, 수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 재발병소의 크기, 방사선치료에 대한 초기반응 등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Purpose : To evaluate prognostic factors and survival rates of the patients who received radiation therapy for locally recurrent uterine cervical cancer after curative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October 1983 and July 1996, fifty three patients who received radiation therapy for locally recurrent cervical cancer after curative surgery at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Age at diagn osis ranged from 33 to 69 years (median 53 years). Path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forty five (84.9%)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 seven (13.2%) patients had adenocarcinoma, and one (1.9%) patient had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The interval between hysterectomy and tumor recurrence ranged from 2 months to 25 years (mean 34.4 months). The recurrent sites were vaginal stump in 41 patients (77.4%) and pelvic side wall in 12 patients (22.6%). Recurrent tumor size was devided into two groups : less than 3 cm in 43 patients (81.1%) and more than 3cm in 10 patients (18.9%). External beam irradiation of whole pelvis was done first up to 46.8 Gy to 50.4 Gy in 5 weeks to 6 weeks, followed by either external beam boost to the recurrent site in 18 patient s (34%) or intracavitary irradiation in 24 patients (45.3%). Total dose of radiation ranged from 46.8 Gy to 111 Gy (median 70.2 Gy).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2 to 153 months with a median of 35 months. Results : Overall response rate was 66% (35/53). Among them, six patients (17.1%) relapsed between 7 months and 116 months after radiation therapy (mean 47.7 months). Therefore overall recurrence rate was 45.3%. Overall five-year actuarial survival rate was 78.9% and distant failure rate was 10% (5/50).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rate were interval between primary surgery and tumor recurrence ( p=0.0055), recurrent tumor size (p=0.0039), and initial response to radiation therapy (p=0.0428).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10 (20%) patients, which included mild to moderate lower gastrointestinal, genitourinary, or skin manifestations. One patient died of pulmonary embolism just after intracavitary irradiation. Conclusion : Radiation therapy is the effective treatment for the patients with locally recurrent cervical cancer after curative surge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al between primary surgery and tumor recurrence, recurrrent tumor size, and initial response to radiation therapy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recur rent cervical cancer.

      • KCI등재후보

        The Efficiency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Intracranial Oligodendrogliomas : Factors Influencing the Prognosis

        윤세철(Sei Chul Yoon),계철승(Chul Seung Kay),정수미(Su Mi Chung),유미령(Mi Ryung Ryu),김연실(Yeon Shil Kim),홍용길(Yong Kil Hong),김문찬(Moon Chan Kim),강준기(Joon Ki K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3

        목적 : 희돌기교종은 천천히 자라는 낮은 빈도의 뇌 종양으로서 수술로 치유되지만 완전절제가 어려워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추천되고 있다. 희돌기교종 환자의 방사선치료후 생존율과 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들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3년 3월 부터 1997년 12월 까지 177개월 동안에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조직학적 진단이 확진된 총 42예(남:여 = 25:17)의 희돌기교종 환자에 대한 방사선치료를 실시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180 cGy/일, 주 5회 씩, 총 조사선량 39.6~75.6 Gy (중앙값 54 Gy)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5~62세(중앙값 39세)에 분포하였으며 추적조사 기간은 8~152개월(평균 63.4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 종료일을 기준으로 생존율(Kaplan-Meier법)과 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방사선치료후 5년 생존율(5YSR)은 65.3% 이었다(중앙값 90개월). 종양의 수술적 제거를 실시한 경우가 조직 생검 만을 한 경우 보다 생존율이 좋았으며(5YSR; 69.9% vs 26.7% p0.05). 결론 : 희돌기교종 환자의 방사선치료는 국소적으로 병소부위에 수술후 4주 이내에 실시하여 생존율 증가를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전통적인 분할 방사선치료 시 총 방사선조사선량이 60 Gy 이상은 생존율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urpose : Oligodendrogliomas (ODG) are a rare, slow growing, tumor in the brain, which can be cured by complete surgical resection, but as yet it is not known if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RT) is essential, We analyzed the treatment results of patients with irradiated ODG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RT in terms of survival rates and other influencing prognostic factors. Methods and Materials : Between March 1983 and December 1997, 42 patients with ODG were treated with RT at our hospital. The RT was peformed dally at a dose of 1.8~2.0 Gy, at 5 fractions per week, to a total dose of between 39.6 Gy and 64.8 Gy (mean 53.3 Gy). The ages of the patients ranged between 5 and 62 years, with a median age of 39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3.4 months (8-152 months). The Kaplan-Meier method was used to assess the survival, and 5 year survival rates (5-YSR). Log rank tests and Cox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fine the significance of prognostic factors. Results : The majority of ODG in this study were located in the cerebral hemisphere (83.3%). ODG are slightly more common in men than women, and commonly occurs in middle age, between the 3rd and 4th decades. It has been recommended that RT is commenced within 4 weeks following surgery (5-YSR; 86% vs. 49%; p0.05). Conclusion : A local involved field irradiation with conventional fractionation, commencing within 4 weeks following surgical excision of the tumor, was beneficial for the 5-YSR, but a total radiation dose exceeding 60 Gy did not improve the 5-YSR.

      • 트라스투주맙 치료에 반응을 보인 HER2/neu 양성 전이성 타액관 암종 1예

        공봉한(Bong Han Kong),이지은(Jieun Lee),최상수(Sang-Su Choi),박진희(Jinhee Park),김연실(Yeon Shil Kim),김민식(Min-Sik Kim),이연수(Youn-Soo Lee):이지연(Ji-Yeon Lee):홍숙희(Sook Hee Hong),강진형(Jin Hyoung Ka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4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0 No.2

        Salivary duct carcinoma(SDC) is rare malignancy,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1-3% of all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Systemic chemotherapy has been used for stage IV SDC, but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stan-dard treatment. SDC is histologically similar to ductal carcinoma of breast and often overexpress HER2/neu, hence HER2/neu targeted therapy could be one of treatment options. A 75-year-old Arabian man was diagnosed as SDC of right parotid gland with extensive metastases. He received oral 5-FU as palliative chemotherapy, but he was intolerable to oral chemotherapy due to severe oral mucositis. Considering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tu-mor tissue showing strong positive for HER2/neu, we decided to administer an anti-HER2/neu antibody, trastu-zumab. Follow-up CT scans before the third dose of trastuzumab demonstrated remarkable regression of multiple metastases as well as primary tumor. This case suggests that HER2/neu targeted therapy may be a potential thera-peutic option for the SDC patient with overexpression of HER2/neu.

      • KCI등재

        증례 : 혈액종양 ; 비인두암 환자 중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 후 발생한 단순 헤르페스 뇌염

        최혜진 ( Hye Jin Choi ),이지은 ( Ji Eun Lee ),홍숙희 ( Suk Hee Hong ),전은경 ( Eun Kyung Jeon ),이시원 ( Sea Won Lee ),김연실 ( Yeon Shil Kim ),강진형 ( Jin Hyoung Kang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8 No.5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 또는 전뇌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하는 환자의 경우 면역 반응의 저하로 인하여 HSE가 발병할 확률이 증가하며 임상증상 및 검사 소견이 비특이적이다. 따라서 발열 및 의식 변화가 나타나는 환자에서는 HSE를 감별진단 중 하나로 고려해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즉각적인 항바이러스 치료에 좋은 반응을 보였으며 비교적 양호한 임상경과를 보인,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 시행 중에 병발한 HSE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erpes simplex encephalitis (HSE) is a rare viral encephalitis in adults. A high (70%) mortality rate with serious complications has been reported even after active, appropriate management. The association between HSE and immune suppression is unclear, but there are case reports of cancer patients in which HSE concomitantly developed after whole brain radiation or high-dose steroid treatment.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of these patients are atypical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Although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s reveal typical HSE findings, cerebrospinal fluid (CSF) analysis might be normal in cancer patients. We report a case of HSE in a 48-year-old male diagnosed with nasopharyngeal cancer and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This patient had a normal cell count in CSF, but HSE was finally diagnosed from posi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 results. After administration of acyclovir and systemic steroid treatment, the patient had a good clinical course with few neurologic sequelae. (Korean J Med 2015;88:602-6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