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 차별 대우, 형제 상호작용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김언경(Kim Eon-ky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형제 차별 대우에 대한 어머니 인식, 실제 형제 상호작용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5개 유치원에 재학 중인 만 3-5세 형제 30쌍과 형제의 어머 니와 담임교사이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는 두 형제를 애정적 측면에서 차별 대우하지 않지만 두 형 제 중 윗형제에게는 통제적 측면에서 차별 대우한다고 인식하였다. 관찰한 형제 상호작용에서는 형제 간에 부정적 상호작용보다는 긍정적 상호작용과 혼자놀이를 더 많이 하는 편이었다. 둘째, 어머니가 두 형제를 애정적으로 차별 대우한다고 인식할수록 형제는 상호작용을 더 적게 하였고 상호작용하지 않는 행동을 더 많이 하였지만 통제적 차별 대우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형제간 상호 작용과 윗형제의 또래유능성 간에 유사한 특성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형제와 또래 관계의 특성은 서로 전이되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maternal perceptions about differential treatments toward siblings, the nature of interactions between siblings, and peer competence. Participants were 30 sibling dyads aged 3-5 enrolled in the same kindergarten,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perceived that they treated their children fairly with affectionate manners, but that they treated the older child more strictly and harshly. There were also more positive interactions and solitary play behaviors than negative interactions between siblings. Second, the more the mothers perceived that they favored one of the siblings, the less the siblings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the more the siblings showed solitary play behavio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perceptions about differential control treatments toward siblings and observed sibling interactions. Third, the nature of sibling inter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competence of older siblings.

      • KCI등재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탐구

        김언경(Kim, Eon-kyung),오아름(Oh, Ah-reum),오도희(Oh, Do-hui)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0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5 No.2

        본 연구는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외조모 3인의 내러티브를 통해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구하고 우리 사회에 널리 자리 잡아 가고 있는 황혼 육아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조모들은 황혼 육아에 참여하며 겪는 어려움과 이를 통해 느끼는 행복감과 감사함을 동시에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녀를 위하는 마음으로, 그리고 손자녀가 주는 기쁨에 만족해하며 이를 모두 극복하고 있었다. 둘째, 외조모들은 할머니라는 위치에 서 있으나 실제로 손자녀의 엄마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경험 안에서 좀 더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인정받는 부모와 동등한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대우받기를 기대하였다. 셋째,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더불어 외조모 가정과 자녀 부부의 일상생활 및 양육방식 등 손자녀를 매개로 가족들 사이에서 겪는 경험을 통해 가족의 화합을 이루고 의미 있는 가족 관계 형성을 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손자녀를 양육하는 외조모들에게 양육에 필요한 정확한 정보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양육 및 교육에 대한 지원, 기관 차원에서 외조모를 주양육자로 인식하고 접근하는 태도의 변화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grandmother’s experience while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and its meaning through the narrative of three grandmother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grandparental childcar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articipating in parenting at dusk, and the happiness and gratitude felt through them at the same time, the grandmothers were satisfied with the heart for their children and the joy of their grandchildren, overcoming them all. Second, the grandmothers were standing in the position of grandmother, but in the experience of actually playing the role of mother of grandchildren, they expected to be treated as a person who plays a role equal to a more subjective and positively recognized parent. Third, through the experience of caring grandchildre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 and children had become better in their daily lives and the family united and formed a more meaningful family relationship. Based on this, we suggest that if grandmothers are in charge of caring their grandchildren, education reflecting the changing times and support are necessary for grandmothers. In addition, we propose a change in the attitude of the institution that recognizes grandmothers as the main caregivers.

      • KCI등재

        유아기 형제간 사회적 놀이와 형제구조, 기질, 또래유능성의 관계

        김언경 ( Eon Kyung Kim ),엄정애 ( Jung Ae Oh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형제간 사회적 놀이와 형제구조, 기질, 또래유능성의 관계와 형제간 사회적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한다. 연구 대상은 같은 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형제 30쌍이며, 비구조화된 관찰 상황에서 형제 쌍의 사회적 놀이를 관찰하고, 기질(EAS)과 또래유능성(CBS)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형제간 사회적 놀이는 여자형제, 윗형제일수록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놀이를 하며 형제구조에 따라 일부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성, 수줍음과 정서성의 기질에 따라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기질은 형제간 사회적 놀이와 관련이 있었다. 셋째, 유아가 또래관계에서 부정적인 또래유능성을 가졌을 경우 형제간에 낮은 수준의 사회적 놀이를 하는 편이었다. 마지막으로 형제구조가 자매이고 첫째아이며 수줍어하지 않는 기질과 친사회적인 또래유능성이 형제간 사회적 놀이를 설명하는데 상대적 영향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의 사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놀이에 유아의 형제관계, 기질과 또래유능성과 같은 유아의 내, 외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각적인 측면에서 유아의 놀이를 이해하고 발달을 위한 환경과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s among a child`s social play behaviors with a sibling and the sibling`s birth order and gender, the child`s temperament, and peer competence and seeks out those variables which predict social play behaviors between siblings. Subjects were 30 sibling pairs in kindergartens located at Seoul. The sibling`s shared social play was observed during unstructured free-play time and coded with criteria established by McElwain & Volling(2005). The child`s temperament was rated by the mother using the EAS of Buss & Plomin(1984). Peer competence was rated by siblings` teacher using the CBS of Ladd & Profilet (1996).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1)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er level social play behaviors with a sibling when the sibling is a sister or is older; 2)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higher level social play behaviors and children`s sociability, activity and emotionality temperament; 3)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lower level social play behaviors and an aggressiveness behavior, an asocial behavior, and a hyperactive-distractible behavior among peer competence and lastly, 4) the results reveal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social play behaviors between sibling are sisters, an older sibling, a non-shyness temperament, or a prosocial behavior with peers.

      • KCI등재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동시성 분석

        김언경(Kim Eon Ky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나타난 특성을 동시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교사와 유아 쌍의 상호작용에 나타난 경향을 알아보고, 동시성이 유아의 성과 교사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시성이란 두 사람 간 상호작용의 과정을 보여주는 질적인 스타일을 의미하며 쌍의 맥락에서 상호호혜적, 공유적, 균형적 특성을 보여주는 개념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4세반 유아 40명과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보드게임, 블록놀이, 자유 놀이 상황에서 교사와 유아 간 놀이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와 유아가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 동시성이 나타난 편이지만 교사가 좀 더 주도하며 두 사람 간 동등한 수준의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 았다. 교사와 유아가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 긍정적 정서와 중립 정서를 주로 공유하였으며 교사가 더 많 은 시도를 하며 상호간에 균형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상대의 시도에 대해 두 사람 모두 긍정적으 로 순응하며 상호간에 균형을 이루는 경향이 나타났다. 유아보다 교사가 상호작용을 시도했을 때 더 지속 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교사와 유아는 상대방의 시도에 단순하게 반응만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같 은 주제로 2회 이상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동시성 중 정서 공유에서 성차가 있었으며 3~5년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상호호혜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동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by investigating the components of synchrony i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looking into the tendency of synchrony in accordance with child’s gender and teacher’s work experience. Synchrony means a qualitative interactional style between two persons. The concept includes qualitative features of interactions characterized by reciprocity, shared emotions, and balanced interactional attempts and responses between the two pers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4-year-old children and 20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classrooms in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o look into the interactional synchrony, one-to-one play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was observed in three kinds of situations: teaching a board game, building blocks, and free-play. The data was analyzed into reciprocity, sharing of emotion, and balance of mutual initiation and compliance, which are the components of synchrony, to examine the style of teacher-child interactional synchrony in dya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spects of synchronous interactions assumed that teachers and children mutually interacted and showed interrelationship, but this was not in perfect balance, and the participation was not equal. While interacting, teacher and child mostly shared positive and neutral emotions. The interactions initiating frequency differed so initiation lost balance, but compliance was well balanced. The interactions lasted longer when teacher initiated it than when the child did. But most of the interactions ended after one person was initiating and the other was complying to it, and interactions with two more complies with turnovers were a little. The sharing of positive and neutral emotions in synchrony show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ild's gender, and teachers with 3-5 years of work experience did the most synchronous interactions by interacting mutually and showing high quality interrelationship than other teachers with less or more work experience did.

      • 대학 교양교육에 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일고(一考)

        김언경 ( Kim Eon-kyeong ),김춘수 ( Kim Chun-soo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2 융합교양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공존하는 다양한 문화 중 하나인 농문화 속 수어에 대한 이해와 대학 교양교육에서 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일고(一考)이다. 2016년 2월에 ‘한국 수화언어법’이 제정되면서 수어가 농인이 사용하는 제1의 언어로 농인의 고유한 언어로서 한국어와 동등한 자격을 갖는 언어로 인정을 받았지만, 그 실효성에 있어서는 큰 역할이나 효과를 보지 못하다가 COVID19 감염증 보도 과정에서 농인들이 신속 정확하게 관련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확대 시행되었다. 또한 실시간 TV 정부 브리핑과정에서 수어 통역사의 위치 변화를 통해 농인들의 사회 위치가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이동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농인의 사회 참여와 청각장애 학생들의 통합교육 확대 및 고등교육 기회 확대에 따른 수어 통역 서비스의 요구가 점차 커지고, 전문성과 다양성이 요구되면서 수어 통역사의 역할과 수어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수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수어를 가르치는 곳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수어 교육에 대한 이해는 매우 개인적인 차원에서 머무는 것이 현실이고, 여전히 대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수어 교육은 개인의 취미 생활 등의 형태로 치부되며 환원되고, 모든 학생이 선택할 수 있는 ‘수어’ 교양강좌는 특수 목적을 가진 대학 이외에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톨릭 이념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는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수어 교육에 대한 인식이 없다는 것은 큰 문제이다. 이에 왜 대구가톨릭대학교에 수어 교육이 필요하며, 수어 교육의 방법에 대해 인근 대구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an understanding of sign language in Deaf culture, one of the various cultures that coexist in modern society, and the necessity of sig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With the enactment of the “Korean Sign Language Act” in February 2016, sign language was recognized as the first language used by farmers as a language equivalent to Korean, but it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or effect in its effectiveness, and expanded to allow the Deaf to receive related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position of the Deaf are moving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through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during the real-time TV government briefing. In addition, the demand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is growing due to the participation of the Deaf in society, the expans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and the interest and importance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are increasing. However, despite this interest, understanding of sign language education remains on a very personal level, and sig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still dismissed as a form of personal hobby and is rarely given to all students. In this situation, it is a big problem that there is no awareness of sign language education in Daegu Catholic University, which strives to spread Catholic ideology. Therefore, why sig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a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method of sig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case of nearby Daegu University.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 텍스트 연결망 분석

        김언경(Kim, Eon-Kyung),박신영(Park, Seen-You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시범 운영결과보고서를 활용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국가수준 교육과정 실행을 위해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및 전문성 향상에 필요한 내용과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교사의 실행력 강화를 위한 개정누리과정의 컨설팅 지원을 받으며 시범 운영한 23개 유치원의 운영결과보고서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텍스트 연결망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이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운영 경험이나타났다. 교육과정 이해 및 변화 준비와 관련하여 학습공동체, 놀이, 놀이중심이 주요어로 나타났다. 놀이지원과 관련하여 편성하기에서 주간교육계획안, 놀이시간, 유아가 주요어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습 실천하기와 관련하여 놀이공간, 유아, 놀이시간, 영역, 놀이가 주요어로 나타났고, 평가하기와 관련하여 교사계획, 유아놀이가 주요어로 나타났다. 동료교원, 가정, 지역사회와 함께하기에서는 학습공동체, 학부모가 주요어로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문서화된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서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향상 및 구체적인실행 전략과 방법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textual network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us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pilot operation report and examine what is necessary for improving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and professionalism in order to implement a national-level curriculum. The final reports of 23 kindergartens, which were operated the revised Nuri curriculum with consulting support in order to strengthen the decisiveness and executive power of teachers, were analyzed. A textual network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ach institution’s experience on operating the curriculum were based around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understandings of the curriculum. The main phrases connected to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and preparation for the change were “learning communities”, “play”, and “play-centeredness”. “Weekly education plans”, “play hours”, and “young children” were the main phrases connected to play support. “Play space”, “young children”, “play times”, “areas”, and “play” were the main words regarding teaching and learning. The words of “teaching plans” and “play” were connected to evaluation. “Learning communities” and “parents” were the main phrases connected to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families, and communities. The necessity of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their curriculum literacy and develop specific implementational strategies was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관계와 형제 및 형제 또래의 낯선 동성 유아와의 상호작용 간의 관련성

        김언경 ( Eon Kyung Kim ),김희진 ( Hee Jin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관계와 형제 및 형제 또래의 낯선 동성 유아와의 상호작용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유치원에 재학 중인 형제 30쌍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어머니에게는 형제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물어보는 설문을 실시하고, 상호작용은 형제간 놀이 상황과 형제와 비슷한 월령과 같은 성을 가진 낯선 유아와의 놀이 상황을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는 두 형제가 서로에게 유사한 수준으로 적대적인 행동을 하지만 질투나 친밀함은 아랫형제가 더 많이 하며 돌봄은 윗형제가 더 많이 한다고 응답하였다.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관계와 유치원에서 관찰한 형제간 상호작용은 일부 관련이 있었다. 형제와 상호작용할 때와 형제 또래의 동성 유아와 상호작용할 때 나타나는 패턴이 관련 있었는데, 이는 형제간 상호작용이 가정 밖에서 일어나는 형제 또래 유아와의 상호작용으로 전이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sibling relationships that mother perceived at home, the child``s interaction with a sibling, and that with an unfamiliar child who is same age and sex with one’s sibling. The subject were 30 sibling dyad aged 3 to 5 and their mothers. Each dyad enrolled in the same kindergarten. The mot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about sibling relationships and the child``s interaction with a sibling and that with an unfamiliar child were observed separ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perceived that siblings behaved antagonistically each other. However mothers perceived that the younger of siblings felt more jealous and appeared more closeness toward a sibling than the older, and the older of siblings took more care of one’s young sibling than the younger. Second, there were partly similar correlations between the child``s relationship with a sibling that mother perceived at home and one``s interactions with a sibling at a kindergarten. This means that their mother pretty accurately perceived relationships between siblings. Third, there were similar correlations between patterns of child``s interactions with a sibling and that with an unfamiliar child. This means that there was the transition from the interaction with a sibling to the interaction with an unfamiliar child to take place outside the home.

      • KCI등재

        유아의 수줍음 기질에 따라 놀이시간에 나타난 의사소통 양상과 또래놀이 가입행동 간의 관계

        김언경(Kim, Eon-kyung),박신영(Park, Seen-You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수줍음 기질 성향에 따라 놀이 시간 동안 나타난 의사소통 양상과 또래놀이 가입행동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4세 유아 52명이며, 담임교사에게 대상 유아의 수줍음 기질을조사한 후 놀이 상황에서 대상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과 또래놀이 가입행동을 관찰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줍음에 따라 언어, 비언어 시도와 대상에게 표현하는 전달의 명료성에서 집단 간차이를 보였다. 둘째, 수줍음이 많은 유아가 상대적으로 교사와 함께 놀이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배회하기시도를 많이 하고, 참여 시도에 대한 비유관, 무반응을 받았다. 반면 수줍음이 적은 유아는 놀이 전향이나공격적 시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 양상과 또래놀이 가입행동 간의 관계에는수줍음의 정도와 상관없이 부적절한 언어 시도와 무시나 거부와 같은 반응을 얻어낸 결과가 일부 유사하게나타났으나 사용하는 의사소통 전략, 또래놀이 가입행동 유형은 다른 관련성을 보였다. 기질적으로 수줍은유아의 의사소통 양상과 또래놀이 참여 시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을 지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patterns and their entry behaviors into a play group during free-play time according to their shy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2 4-year-old children. Data was collected on the children by observing their communication patterns and entry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firstly that based on shyness, children exhibited different levels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larity of their expressions. Secondly, shy children tended to play with the teacher or wandered without much interaction with others; attempts to participate in group activities often resulted in no actual reactions or responses to other children. In contrast, children who were less shy attempted to change the play they were engaged in directly or were more aggressive to their peers. Thirdly, based on these behavior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patterns and entry behaviors showed that they often had similar results, such as the use of inappropriate language in attempts to communicate or neglect and rejection from their peers. However,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used and the type of peer-play participation behavior that they displayed differed. The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patterns and their attempts to participate in play with their peers based on their shyness will help teachers guide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 능력 간의 관계

        김희진(Kim Hee jin),김언경(Kim Eon Ky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7 교육과학연구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ssociations betwee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Participants were forty four-year-old children and twenty teachers. To look into the interactional quality, one-to-one play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was observed and vignettes with pictures were used to examine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on assumed that teachers and children interacted mutually and had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but this was not in perfect balance, and the participation was not equal. While interacting, teacher and child shared mostly positive and neutral emotion. Second, the reciprocity and sharing of emotion in interactions correlated with the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Reciprocity correlated with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unshared emotions correlated with cogni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Shared neutral emotion correlated with responses of positive and negat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unshared emotion correlated with no strategy for problem solving.

      • KCI등재

        Molecular analysis of TMC1 gene in the Korean patients with nonsyndromic hearing loss

        Hyo‐Kyeong Kim,Yee Hyuk Kim,사공보름,권태준,오세경,Hye‐Jin Lee,Kyu‐Yup Lee,이상흔,김언경 한국유전학회 2011 Genes & Genomics Vol.33 No.2

        Hereditary nonsyndromic hearing loss (NSHL) is a highly heterogeneous disorder in humans. Mutations of the transmembrane channel‐like (TMC1) gene have been identified as the genetic cause for both autosomal recessive (DFNB7/11)and autosomal dominant (DFNA36) nonsyndromic hearing loss. To evaluate the spectrum and frequency of mutation(s)caused by TMC1 gene in the Korean population, we have performed sequencing analysis of the PCR products amplified from genomic DNA of each proband in 193 unrelated families showing 30 autosomal dominant and 163 autosomal recessive inheritance patterns. As a result, we identified eight different novel sequence variations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respectively. However, none of these showed co‐segregation of phenotype in the families. Therefore, our study suggests that the TMC1 gene is not the cause of nonsyndromic hearing loss in the Korea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