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말선초 시학사의 구도를 위하여 -방법으로서의 전고(典故)-

        김승룡 ( Kim Seung-ryong ),류재민 ( Ryu Jae-min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5

        이 글은 여말선초 시학사의 구도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 시학사의 구도는 하나의 線을 이루지만, 그것이 개별 작품을 통해 구체적으로 검증해 낼 수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더구나 여말선초는 일찍이 하나의 흐름으로 파악되어 본 적이 없는 바, 전철을 밟지 않고 새롭게 준비될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여말선초 시인으로 꼽히는 유방선을 중심에 놓고, 시학전통의 계승과 단절을 읽는 방법으로 `典故`를 주목하였다. 유방선은 고려말의 이색ㆍ이숭인ㆍ권근ㆍ변계량(`선배`)의 계보를 이어 받아, 서거정ㆍ 이승소ㆍ성간(`후배`) 등 조선초를 대표하는 문인들을 길러내었다. 유방선은 창작에 있어 표절 혐의를 받을 정도로 앞선 이들의 시문을 적극 차용했는데, 이는 그가 선배들의 시적 성취를 계승해 자신의 창작의 근거로 삼았음을 보여준다. 실제 작품을 통해 검증한 결과, 유방선이 선배의 시적 성취를 차용하여 후배에까지 전수된 시적 표현이 있는 반면, 후배에게 선택받지 못한 표현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한 시적 표현이 계승되고 단절되는 사이에서 유방선이 연결고리 역할을 했던 것이다. 한시에 있어 전고를 관류하는 핵심원리는 `번역`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들은 전고 를 번역함으로써 전고 출발지의 서사를 전유하였고, 이는 `또 하나의 전통`(`한국적 전고`)이 되어 그들의 창작을 풍요롭게 했다. 그 창작은 다시 `또 하나의 전고`가 되었고, 조선인들은 이 전고를 번역하여 그들의 시공간에서 창작하였다. 이처럼 전고의 계승과 단절은 새로운 전고의 창신과 파괴로 이어지면서 한반도의 시학사를 구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차후 `전고와 번역`을 화두로 하여 한국한시사의 맥락을 찾고, 그 시적 전통의 계승과 단절을 추적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newly construct history of poetics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In the event of understanding composition of the poetry history through the existing way, the big stream can be comprehended but it cannot be confirmed that it applies to individual works. Particularly, a new way is required for this since it has never been figured out as a single stream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This study will try to grasp the meaning of the succession and discontinuity of the poetic tradition through the `authentic precedent` based on a model of the poet, Yu Bang-Sun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Yu Bang-Sun inherited the genealogy of Lee Saek, Lee Sung-In, Kwon Geun, and Byeon Gye-Ryang in late Goryeo, and brought up the literary persons who are representing Seo Geo-Jeong, Lee Seung-So, Seong Gan in early Joseon. Yu Bang-Sun has actively borrowed the works of his predecessors, enough to be accused of plagiarism when creating poetry. This shows the basis of his own creation by succeeding in the poetic achievements of his predecessors. As a result of verifying through actual works, the poetic tradition borrowed by Yu Bang-Sun continued to the next generations and stopped at him. Yu Bang-Sun played the role of connecting link while the tradition of the poetry history was succeeded and discontinued. The core principle of the authentic precedent in terms of Chinese poem is "translation". Authentic precedent translated by Goryeo`s authors has become a `new tradition` (`Korean authentic precedent`) and enriched their creative work. The creations that were born in such way became `authentic precedent` again. The authors of Joseon made their own creations through translating this new authentic precedent. Thus, the history of Korean poetics was made up through succession and discontinuity of authentic precedent. It is desired that we will find out the context of history of Korean poetics and keep track of the succession and disconnection of the poetic tradition based on the keyword of `authentic precedent and transl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인체 질상피세포와 반응시킨 질편모충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김승룡,류재숙,Kim, Seung-Ryong,Ryu, Jae-Sook 한국현미경학회 2001 Applied microscopy Vol.31 No.3

        여성의 질에서 분리한 질편모충을 생리주기 $5\sim10$일 사이의 인체 질상피세포와 10 : 1의 비율로 $37^{\circ}C$ 항온기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질편모충의 형해를 관찰하였다. 정상 질편모충은 난원형 모양인데 비해 인체 질상피세포와 반응시킨 충체는 위족을 길게 내밀고 몸이 얇게 퍼져 아메바모양으로 변화하면서 질상피세포에 강하게 부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반면 HeLa세포에 부착된 질편모충은 난원형모양을 유지하면서 부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종합할 때 질편모충은 질상피세포에 부착할 때 질편모충의 생존에 유리한 아메바모양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morphological changes of Trichomonas vaginalis after contact with human vaginal epithelial cell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vaginal epithelial cells (VEC) (menstrual, days $5\sim10$) from normal women were mixed with T. vaginalis (VEC/trichomonads ratio of 1 : 10), and incubated for 30 min. The parasitic body was changed to a more elongated shape with pseudopodia or was flattened to ameboid transformation showing highly adherence to VEC.

      • KCI등재

        고려 후기 지식인의 아내 이야기 - 무신집권기부터 원 간섭기까지

        김승룡(Kim Seung-ry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4 동양한문학연구 Vol.20 No.-

          흔히 고려 후기는 신흥사대부(新興士大夫)의 성장과 맞물려 설명된다. 이들의 사회적 책임과 개혁, 경세의식(經世意識)과 우환의식(憂患意識), 그리고 정치적 성장에 초점이 맞춰지고, 사상적 실천에 주목하기 십상이 다. 또한 그것은 이들의 사회적 토대가 비귀족적(非貴族的)이라는 점에서 출발한다. 과연 그럴까? 본고는 고려 후기 지식인, 곧 신흥사대부의 세족적(世族的) 성격을 확인하기 위해 ‘아내 이야기’를 주목했다.   고려 후기, 특히 무신집권기(武臣執權期)와 원 간섭기(元干涉期)에 한정할 경우, ‘아내’는 말없는 가난한 아내, 헌신의 ‘어머니’를 거쳐 가문(家門) 안에 재배치된다. 특히 아내는 ‘가문’ 속에 공식적으로 ‘배치되면서’, 아내의 실존 자체와는 상관없이 ‘가문 속의 아름다운 사람’으로 변했다. 실재와는 상관없이 신성한 존재로 변한 것이다. 고려 후기 ‘아내’는 지식인의 세족적 욕망에 의해 ‘재구성’된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추론할 수 있다. 당시 고려 지식인은 더 이상 지방중소지주(地方中小地主) 출신의 비귀족은 아니었다. 이미 중앙귀족화(中央貴族化)한 세족(世族)을 꿈꾸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여말선초(麗末鮮初) 지식인을 거론할 때, 더 이상 세족과 비교되는 사대부로서의 ‘상상(想像)의 건전성’에 집착해서는 안 될 것이다.   The latter period of Koryo is explained and went in gear with growth of the rising gentry generally. The study is focused on their social charge and revolution, consciousness of administration, consciousness of trouble and political growth or is noticed with their ideological practice very well. And then it is started with point that their social base is anti-aristocratic. Is it true? This study has focused on ‘wife story’ in order to check the powerful character of rising gentry, the highbrow in the latter period of Koryo.   In the latter period of Koryo, especially it is concerned with period in military power and Yuan power, ‘wife’ is relocated in family taken over the silent wife and self-sacrificing mother. The wife, especially, is changed as ‘beautiful person in family’ regardless of wife"s existence of its own while it is ‘located’ in ‘family’ formally. It is changed as holy existence regardless of actual being. The ‘wife’ in the latter period of Koryo is ‘recomposed’ by ambition to power of highbrow.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ratiocinated with these. In those days, the highbrow of Koryo was not anti-aristocratic who comes from landowner of small and medium local area any more. They had dreamed on powerful aristocratic family centralized before. If so, when we take the highbrow at the end of Koryo and the beginning of Chosun up, we should not adhere to ‘healthiness of imagination’ that the gentry is compared with powerful family any more.

      • KCI등재후보

        頤齋 黃胤錫 연구의 추이와 과제 - ‘실학’에서 ‘일상’으로

        김승룡(Kim Seung-ry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5 No.-

          이 논문은 이재(?齋) 황윤석(黃胤錫)에 대한 연구가 그동안 어떻게 진행되어왔고, 앞으로 어떻게 가야 할 것인지를 가늠하기 위한 기초 정리작업이다.<BR>  황윤석은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영수(永?), 호는 이재(?齋), 서명산인(西溟散人), 운포주인(雲浦主人), 산뢰(山雷), 월송외사(越松外史) 등이 있다. 그는 일찍부터 학문에 뜻을 두었고 학문과 도를 지닌 통유(通儒)적인 지식인이었다. 특히 그가 10세부터 죽을 때까지 써내려간 일기인『이재난고(?齋亂稿)』는 모두 57권 12,518쪽의 방대한 양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한 인물의 생애 기록이라는 점과 함께 당대 사회상을 세세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이다.『이재난고』에 대한 연구를 통해 18세기 지식인의 삶의 한 단면을 복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BR>  황윤석에 대한 연구를 10년 단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53년 비로소 학계에 소개된 황윤석은, 1960년대에는 국어학적(운학적韻學的) 성취가 연구되었고, 1970년대에는 그를 실학적 인물의 계보로 파악하고 고증하는 작업이 진행되었고, 1980년대에 와서야『이재난고』가 정리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대에는 실학자로서의 자리를 잡게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 그를 생활사(生活史) 각도에서 발견하게 되었다.<BR>  그동안 황윤석은 ‘실학’의 범주 안에서 다루어져 왔지만, 과연 그것이 그의 진면목을 밝혔을지는 의문이다. 그가 남긴 자료가 보여주듯, 연구자가 ‘일상’의 눈과, 복수(複數)의 목소리를 인정하는 태도를 지닐 때, 온전한 그의 삶과 그를 둘러싼 시대가 포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current study is a basic arrangement work in order to examine how studies on Yijae Hwang Yun-seok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ir future direction.<BR>  The place of origin of Hwang Yun-seok is Pyeonghae and his Ja (adult name) is Yeongsu, and there are several Hos such as Yijae, Wunposuin, Sanroi, Wolsongoisa, etc. He was an intellectual who was good at every areas possessing learning and a moral doctrine, and conceived an ambition for learning since he was young. In particular, Yijaenango, his diary from at the age of 10 to his death, consists of enormous quantity of total 57 volumes and 12,518 pages. The book is an important material because it is a lifetime record of one person and reflects detailed aspects of life at that times. It is expected that a phase of life of an intellectual in the 18th century will be restored through studying Yijaenango.<BR>  The following are studies on Hwang Yun-seok in the unit of 10 years. He was introduced in the academic world in 1953 and his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the national language (prosodic) was studied in 1960s. Also in 1970s, researched began to study historical evidence considering him to be one of Silhak figures and in 1980s, arrangement of Yijaenango was started. Then, he was considered to be a Silhak researcher (a realist) in 1990s and again discovered from the viewpoint of life history in 2000s.<BR>  Although Hwang Yun-seok has been studied in the range of "Silhak" up to now, it is doubtable if the studies revealed his true character. As shown in his materials, it is seemed tat his entire life and the times will be caught only when researchers have eyes for "daily life" and recognize various opinions.

      • KCI등재
      • KCI등재

        경학 연구와 고전집석학(古典集釋學)의 가능성 -『예기(禮記),악기(樂記)』를 예(例)로 하여-

        김승룡 ( Seung Ryong Kim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2

        이 글은 경학연구에 있어서 집석적 이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경전에 대한 해석은 오랜 시간동안 축적되어 왔다. 해석의 축적과정을 통해 확보된 다양한 해석의 지층을 공시적으로 배열한 뒤, 지금-이곳에서 가장 의미 있는 해석을 찾아내는 것을 고전집석학이라고 부른다. 이 글은 『예기ㆍ악기』를 예로 하여 집석적 이해 가능성을 점검하고, 이를 통해 경학연구에 있어서 집석적 방법론을 제언하고자 한다. 『禮記ㆍ樂記』는 그동안 하나의 경학 텍스트로 다뤄지지 않았다.『악기』는 두 가지의 경학적 과제를 갖고 있었다. 첫째, 인간의 마음과 외물(外物)은 어떻게 감응하는가? 둘째, 악과 정치는 어떤 관계인가? 이들은 『악기』가 경학 텍스트로 형성될 당시의 정치적과제를 해명하기 위해 던져진 질문이었다. 『악기』는 그 질문에 대답을 하면서, 유가 이데올로기가 인간의 마음을 어떻게 다스려나갈 것인가에 대하여 준비되었다. 『악기』에 대한 해석은 오랜 동안 축적되었다. 이들은 각 시대마다 요구된 해석적 질문에 대한 대답이었다. 그럼 21세기를 지나는 지금, 우리의 경학적 과제는 무엇일까? 『악기』는 어떻게 대답할 것인가? 이 글은 『악기』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진 않는다. 그럼에도 우리는 『악기』가지향하는 인간의 욕망과 감정에 대한 긍정, 합리화되지 않은 마음의 인정은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음을 지적해두고자 한다. 우리는 이에 대한 정연한 대답을 마련하기 위해『악기』에 대한 통시적 해석들을 공시적으로 재배열하고 이들 사이를 균형 있게 바라볼필요가 있다. 시간의 공간화를 통해서 해석의 평등성을 확보하는 순간, 경학 연구 주체의 시각은 균형 잡히기 시작할 것이다. 그즈음 집석적 이해는 하나의 방법에 그치지않고, 하나의 ‘학’으로의 위상을 확보하고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a classicscritical annotation study on the Confucian Classics. The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scriptures has accumulated for a long time. Each interpretation piled up and formed a layer. Then, arrange the layer synchronously and find the most suitable interpretation for here and now. This called ‘a Classics-critical annotation study’. This study is to check the possibility of critical annotation understanding through Liji(禮記)ㆍYueji(樂記).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Classics-critical annotation. Liji has three themes. First, How to communicate between inside- mind and outside-world? Second, What relationship between vice and politics? Third, Is the vice truthful? Through these themes, Liji gives rely to question-‘How will Confucian ideology control human mind? If so, What should Liji do in 21st century? This study does not aim for answering this question. This is only one example. We need to look interpretations of Liji in a balance way. We have to ensure equality of interpretation through spatialized time. Then, classicscritical annotation study will become ‘a real study’.

      • KCI등재

        한문교육의 인성증진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김승룡 ( Kim Seung-ryong ),채한 ( Chae Han ),이민경 ( Lee Min-ky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7

        이 논문은 한문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인성증진과의 관계 속에서 찾고 그것을 과학적으로 객관적 검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문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Garnefski(2002)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검사(CERQ)를 연구 도구로 활용하여 한문교육의 인성증진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절차는 한문교육을 시작할 때 사전측정을 진행하고 교육이 종료된 시점에 사후측정을 진행하였다. 연구 피험자는 교양한문이라는 낮은 수준의 한문교육을 받는 집단을 대조군으로, 『논어』 강독이라는 높은 수준의 한문교육을 받는 집단을 실험군으로 설정하였으며 대조군과 실험군의 검사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낮은 수준의 한문교육(교양한문)에 의해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높은 수준의 한문교육(『논어』 강독)에 의해서는 유의한 인성증진 효과를 지닌다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부적응적 전략의 사용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적응적 전략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비록 이 결과를 일반화 시키는 데에는 몇몇 한계점이 있으나 그럼에도 본 연구는 당위적 선언과 막연한 가능성만을 제시하였던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인성증진과 관련된 한문교육의 효과를 객관적인 측정과 통계적 근거 제시를 통해 최초로 확인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한문교육이 인성의 발달과 성숙, 그리고 정신건강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며, 인문학교양 교육의 질적 향상과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ducating traditional classics on character development using well validated objective measure, since mere possibilities of it have been presented previously and not demonstrated through objective examination. The character development induced by two different levels of traditional classics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of Garnefski(2002) which measures maladaptive and adaptive cognitive strategies for regulating emotion. The CERQ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ho learned the Analects of Confucius w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who attended mandatory general education course for traditional classics and Chinese charact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CERQ score in control group, however the use of maladaptive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The use of adaptive strategies were also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provided reliable confirmation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by teaching traditional classics for the first time using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deliver foundations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traditional classics education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mental health and biopsychological well-being. Implications for improvising practical plans for promoting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human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백서의 시상하부 및 뇌하수체에서 POMC Gene의 발현에 관한 연구

        김승룡(Seung Ryong Kim),조수현(Soo Hyun Cho),김경태(Kyung Tai Kim),조삼현(Sam Hyun Cho),황윤영(Youn Yeung Hwang),문형(Hyung Moon)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pro-opiomelanocortin (POMC) gene 은 생식생리에 관여하는 다양한 신경 내분비적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주된 생성장소는 뇌하수체와 시상하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OMC gene은 그 발현 강도가 낮은 유전자 (low copy gene)롤 알려져 있기 때문에 in situ hybridization 술기를 이용한 그 발현의 조사는 상당히 까다로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백서의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의 POMC gene의 기저발현을 조사하여 그 해부학적 발현 양상을 연구하여, 향후 관련된 생식생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난소가 제거된 Spraque-Dawley 암컷 백서의 심장을 4% paraformaldehyde 용액을 관류시켜 뇌 속의 mRNA를 보존하면서 희생시킨 뒤, 뇌를 적출하여 고정시킨 뒤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를 파라핀 포매하여, 시상하부는 시상절편을, 뇌하수체는 수평절편을 만들었다. 그후 백서의 POMC c-DNA (550 base pair insert)를 이용하여 35S를 부착시킨 antisense RNA probe를 제작하여, 이를 뇌조직 절편과 in situ hybridization 반응을 시켰다. 대조군으로는 상대되는 절편에 sense RNA probe로 같은 조건하에서 반응을 시켰다. 그후 절편 슬라이드에 emulsion 용액을 도포하여 emulsion autoradiography를 시킨 뒤, 그 신호는 현미경하에서 판독하였다. 해부학적 위치의 판독은 Paxinos와 Watson의 기준을 따랐다. 결과: POMC mRNA의 기저발현은 뇌하수체의 중간엽에서 가장 강하게 검출되었다. 그보다는 약하지만 비교적 고른 발현이 뇌하수체의 전엽에서 검출되었다. 시상하부의 경우에는 arcuate nucleus 전 지역에서 그 발현이 검출되었으나, arcuate nucleus 전면(rostral area; bregma -2.80 ㎜) 에서의 발현은 상대적으로 약하였고, 그 이후 bregma -3.30 ㎜에서 -4.30 ㎜ 사이의 arcuate nucleus 지역에서는 고른 발현양상을 보였다. 결론: 일반적으로 POMC gene은 low copy gene으로 알려져 있어 그 기저발현의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나, 본 연구 결과 뇌하수체 및 시상하부에서 in situ hybridization에 의하여 그 기저 발현은 검출될 수 있는 수준의 것으로 조사되었다. arcuate nucleus에서의 POMC gene의 발현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그에 대한 subpopulation의 neuron의 반응도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in situ hybridization model은 향후 생식생리의 POMC gene의 발현 연구에서 해부학적 지식을 얻는 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Proopiomelanocortin (POMC) gene is involved in various neuroendocrine reproductive activities and its principal areas of expression are hypothalamus and pituitary gland. However, as it is known as low copy gene, detection of its expression by in situ hybridization is challenging.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basal expression of POMC mRNA and anatomic localization of its expression in rat hypothalamus and pituitary gland as a preliminary study for related reproductive endocrine researches. Methods: Hypothalamus and pituitary gland of ovariectomized female Spraque-Dawley rat (weight: 250-300 g) was obtained by decapitation with preservation of POMC mRNA by cardiac perfusion of 4% paraformaldehyde. Then, coronal sections of hypothalamus and horizontal sections of pituitary gland were made after paraffin embedding. For in situ hybridization, 35S-labeled antisense RNA probe was used and after in situ hybridization reaction and serial washing procedure, detection of its signal was made by emulsion autoradiography of slide and dark field microscopic examination was done for photographic documentation. Anatomic localization of various nucleus of hypothalamus was done by method proposed by Paxinos and Watson1. Results: Strong expression signal of POMC mRNA was detected in the intermediate lobe of pituitary gland. Less strong, but evenly distributed signals were also detected in the anterior lobe of pituitary gland. In hypothalamic sections, entire area of arcuate nucleus from rostral to caudal direction (between bregma -2.80 ㎜ to bregma -4.30 ㎜ area) showed clear and strong signal of POMC mRNA expression. Conclusion: Though POMC gene is known as low copy gene, its basal mRNA expression in pituitary gland and hypothalamus in ovariectomized rat were detectable by in situ hybridization technique. As subpopulation of arcuate nucleus are under complex differential regulation, this in situ hybridization model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various regulatory factors on expression of POMC gene in the specific anatomic area of hypothalamus and pituitary gland.

      • KCI등재

        일반논문 : 관포(灌圃) 어득강(魚得江) 시세계의 한 국면 -자아와 공간을 중심으로-

        김승룡 ( Seung Ryong Kim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2 한국고전연구 Vol.0 No.25

        본고는 어득강(魚得江, 성종1, 1470~명종5, 1550. 향년 81세, 자는 자유子游,호는 혼돈산인混沌山人, 관포灌圃)의 한시가 지닌 국면 가운데 자아를 드러내는 공간을 주목하여 그의 시를 읽어보고자 한다. 이황은 그의 사람됨으로 망기(忘機)·해학(諧謔)·연하락(煙霞樂)를 지적하고, 시에 있어서 세상의 속티가 없는 순박한 모습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뿐만 아니라 그는 어득강의 시집을 편차 짓고 발문을 썼으며 간행까지 사림의 책임으로 자임하였다. 그의 안내에 따라 살펴본 어득강은 산빛을 닮은 청수(淸瘦)한 지식인으로서, 벼슬을 상징하는 홀(笏)을 되돌려주고 자연과 하나되는 즐거움을 꾀하였다. 그러나 속세를 피하여 살 수 없었던 그는, 세속적 공간에 그것을 넘어서는 이상을 담아 경계적 공간이 ``도원(道院)``을 구성한다. ``도원``에는 속세의 기반과 탈속의 욕망이 착종되어 있는 ``한(閑)``의 공간이었다. 나아가 자신의 최종 우거처였던 혼돈촌에 ``관포당(灌圃堂)``을 통해욕망으로부터 자재로운 공간을 창조한다. 이곳에서 어떤 세상의 호명에도 흔들리지 않는 주체의 자의식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차후 이황을 비롯한 당대 사림이 어득강에 대하여 보낸 경의를 재점검하여, 어득강 한시의 전모와 미적특징을 확인하는 일이 과제로 남는다.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the Chinese poetry written by Kwan-Po(灌圃) Eo Deuk Kang(魚得江), especially remarked its space revealing the sense of self. Yi Hwang indicated that his humanity was selfless, humorous, and he loved nature. Also He stated that his poem was pure without any secular dirt. Besides, he published his poems and he is responsible for that. In fact, Eo Deuk Kang was innocent intellectual who is as like as mountain color. He retured his holl(笏) which symbolized a government post and tried to take pleasure which is in accord with the nature. However, he couldn`t escape from earthly existence, he compromised his ideal space ``Dowon`` in mundane world. Dowon is peaceful space where secular and unworldly desires are mixed up. Furthermore, Eo Deuk Kang created an space of freedom from desire by using ``Kwan-Po-Dang(灌圃堂)`` In this place, He tried to get undisturbed main agent. From now on, It is a task that examine Eo Deuk Kang`s overall chinese poetry and identify his aesthetic features.

      • KCI등재

        폐경 여성의 난소종양 염전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승룡(Seung Ryong Kim),조수현(Soo Hyun Cho),김경태(Kyung Tai Kim),문형(Hyung Moon),황윤영(Youn Yeung Hwang),신중식(Joong Sik Shin),문영진(Young Jin Moo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7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 여성에서 발생한 난소 종양 염전의 임상병리학적 분석을 하기 위하여 시도 되었다. 연구방법 : 1989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부속기 염전으로 수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중 폐경기 이후의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임상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기간 중 본원에서 수술 받은 전체 자궁부속기 염전 94예 중 폐경 후 발생한 난소 종양 염전의 비율은 20예로 21.3%로 나타났다. 환자들의 연령은 52~90세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연령은 63.5±9.0세 이었고 폐경 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16.5±10.3 년으로 나타났다. 출산경력은 3회에서 10회까지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출산경력은 5.4±2.0이었다. 하복부 동통이 가장 흔한 주소였으며 복부 종괴 촉지 혹은 종괴로 진단 받은 경우가 다음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약 20%는 하복부 동통을 호소하지 않았다. 난소 종양 염전의 위치는 우측이 11예 좌측이 9예로 비슷하였고 염전의 횟수는 2회(760˚)가 가장 많았다. 종양의 크기는 직경이 5cm에서부터 30cm까지 였으며 가장 많은 크기는 8예에서 6~10cm 사이의 크기였다. 대다수의 환자에서 전자궁적출술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염전 되었던 난소 종양은 조직학적으로 다양하였으며 가장 많은 종류는 5예에서 낭성 기형종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폐경 여성에서 난소 종양의 염전은 전체 염전 환자의 약 20%정도를 차지하였으며 폐경 여성에서 하복부 통증이 있을 경우 자궁부속기 염전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 염전되었던 난소 종양은 조직학적으로 대부분 양성이었다. 폐경 이후 발생한 염전의 수술방법은 일반적으로 전자궁적출술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을 실시하지만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는 보다 광범위한 수술을 필요로 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torsion of the ovarian tumor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0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a postoperative diagnosis of torsion of the ovarian tumor i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8. Results : The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torsion of the ovarian tumor constitute 20/94 (21.3%) of all adnexal torsion patients encountered during this period. The mean (±SD) age of the 20 patients was 63.5±9.0 years, with a range of 52-90 years. The mean time since menopause was 16.5±10.3 years, with a range of 1-39 years. The mean parity was 5.4±2.0 (range of 3-10). Lower abdominal pain (65%)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ing symptom, palpable mass(20%) or diagnosed mass(15%) being the second. But, in 20% of cases there was no lower abdominal pain. The torsion occurred at the right side in 11cases (55%) and at the left side in 9 cases. The most frequent degree of torsion was those cases that was rotated twice (720˚). The neoplasms undergoing torsion ranged in diameter between 5cm and 30cm and the most prevalent size was 6 to 10 cm (8 cases). Most of the patients (17cases) were treated by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The tumors that produce torsion varied histologically and the most common type was cystic teratoma (in 5 cases), simple cyst(in 3 cases), serous cystadenoma(in 2 cases), mucinous cystadenoma(in 2 cases). Conclusion : In our study, ovarian tumor torsion occurring in postmenopausal patients constituted approximately 20% of all torsion patients, therefore adnexal tors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a postmenopausal woman presents with lower abdominal pain. When torsion is diagnose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is the usual treatment for postmenopausal patients. Histologically, in more than 90% of cases, the tumors that produce torsion were benign. If cancer is evident, more extensive surgery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