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언어 이론의 지리적 독해와 실천

        김순배(Sun Bae Kim)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문화 이론과 언어 이론을 신문화지리적으로 독해하여 공간과 장소에 실천하기 위한 인식론과 방법론의 대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지명연구의 문화정치적 실천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시론적으로 구축하려는 것이다. 지명연구의 문화정치적 접근을 위해 주목한 맑스주의 언어철학의 언어이론, 즉 볼로쉬노프(바흐친)의 이데올로기 기호론과 기호의 다액센트성, 그리고 페쇠의 유물론적 담론이론은 실제 지명이 생산 및 재생산되는 현실 사회관계 및 권력관계의 물질적 양상을 기초로 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지명이 그 삶을 유지하는 영역 내의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사회관계가 충실하게 분석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문화 및 언어이론이 신문화지리적으로 이해되고 실천되는 구체적인 문화 현장이자, 문화정치적 성격을 간직하고 있는 한국 지명 변천의 역동적이고 숨겨진 사례들에 대한 기초적인 지명 수집 및 학제적 분석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the epistemology and the methodology for spatial practices in terms of geographical reading on the cultural and language theory, especially from a perspective of new cultural geography, furthermore, to preliminarily construct a theoretical basis toward the cultural-political practices of toponymy. In particular, the language theory such as the ideological sign and the multiaccentuality of sign of Voloshinov (Bakhtin) in the Marxist linguistic philosophy, and the materialistic discourse theory of Pêcheux are based on the material aspect of the real social and power relations on which toponym has been produced and reproduced. Therefore, the cultural-political approaches of toponymy should be deeply investigated the material and spiritual social relations within diverse territories where toponyms have maintained their life. In addition, the dynamic and hidden cases related to toponymic changes in Korea that is a vivid culture field in which the cultural and language theory are geographically understood and practiced as well as the cultural-political phenomena intrinsic to those have to be basically collected and analysed with th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 KCI등재

        필사본『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충청북도편 지명 자료의 시론적 분석

        김순배(Sun Bae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1

        필사본 조선지지자료 의 학술적 가치는 한글로 표기된 고유 지명과 그와 대응되는 한자 지명이 전국적인 수준 으로 다량 수록되었다는 점이다. 이 문헌을 통해 우리나라 지명 변천의 언어학적인 특징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리학적인 명명 유연성과 당시 행정 구역 등을 추론할 수 있는 1차 자료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조선지 지자료 가 가지는 지명학적 가치에 주목하면서 아직 초보 단계에 머물고 있는 이 문헌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제고하 기 위해 기초적이고 시론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충청북도편을 중심으로 서지 사항과 내용 구성을 재검토하여 지 금까지 알려진 편찬 시기에 대한 지역적 편차 가능성과 내용 구성의 오류를 지적하였다. 또한 이 문헌에 수록된 지명 자료의 지명학적 가치를 촌락 지명의 표기 변화와 차자 표기 경향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The academic values of Joseon jiji jaryo (Geographical Documents of Joseon) are that native Korean toponyms corresponding with toponyms in Sino-Korean characters (hanzi 漢字) are abundantly recorded nationwide. Through analysing these documents it is able to examine the linguistic features of toponymic changes while reasoning about geographical named sources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as well as obtaining primary data. This article aims to preliminarily analyze these documents for encouraging academic studies which haven `t been investigated sufficiently since they was introduced into the academic world. Noticing the toponymic values of these documents I reexamined the bibliography and composing contents centering around the volume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in these documents. Consequently I pointed out the possibility of regional differences of compilation times and mistakes in the contents of these documents. In addition to that I proposed the toponymic values referring to the transcription changes of village toponyms and the tendencies of loan transcription.

      • KCI우수등재

        『티베트 원정기』의 지리들

        김순배(Sun-Bae Kim)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5

        본 글의 목적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활동한 스웨덴의 탐험가이자 지리학자인 스벤 헤딘의 『티베트 원정기』(1934)를 유명과 무명의 관점에서 소개하려는 것이다. 즉 그의 여행기에 숨어 있는 ‘무명’의 지리들을 정복하여 ‘유명’의 지리들을 구축하려 했던 그의 탐험가로서의 호기심과 제국주의적 시선 및 권력을 드러내어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그가 경험한 티베트 자연과 사람들의 삶과 죽음에 관한 유명과 무명의 지리들을 소개하였다. 첫째, ‘유명의 욕망으로서의 지리와 탐험’이라는 주제를 분석한 결과, 헤딘의 몸과 일대기, 그의 원정기속에는 ‘유명’과 ‘지식’을 갈망하는 인간 본연의 호기심과 제국주의적 모방의 근성이 아비투스로 간직되어 있다. 둘째, ‘유명의 지리들에 정복된 무명의 지리들’을 살펴본 결과, 헤딘이 명명하고 작성한 ‘유명’과 ‘앎’을 추구하는 지명과 지도들에는 ‘무명’의 티베트 자연과 문화를 정복하여 통제 가능하게 만들려는 ‘유명’의 욕망, 권력 관계, 통치성이 내재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티베트의 거대하고 거친 자연 환경은 그곳의 사람들을 ‘유명’과 ‘삶’ 보다는 ‘무명’과 ‘죽음’을 긍정하게 만들었고, 궁극적으로는 ‘삶’과 ‘죽음’, ‘유명’과 ‘무명’의 이항 대립을 허물어 양자 사이의 공존과 화해를 이끌도록 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A Conquest of Tibet (1934) written by the Swedish explorer and geographer, Sven Hedin who had been actively engaged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through the lens of ‘the named’ and ‘the nameless’. I critically examine his profound curiosity as an explorer as well as the imperialistic eyes and power with which he had not only tried to conquer ‘the nameless geographies’, but also to concurrently construct ‘the named geographies’ intrinsic to his travel writing, giving a geographical introduction that is related to ‘the named’ and ‘the nameless geographies’ in terms of ‘the life’ and ‘the death’ of land and people in Tibet which he had experienced. Through the first theme, that is, “Geographies and expedition as insatiable desires of ‘the named’”, I probe into how Hedin’s body, lifelong history, and travel writing conveyed a curious desire of human nature and mimetic imperialism which were reflective of a rigid habitus. In the second theme, “‘The nameless geographies’ conquered by ‘the named one’”, I suggest that his place names and maps sought to establish ‘the named’ and ‘awareness and knowledge’ had connoted the radical desires of ‘the named’, power relations, and governmentality which attempted to make Tibetan nature and culture of ‘the nameless’ legible, calculable, and governable. Lastly, I argue the enormous and harsh natural environment in Tibet had led Tibetans and Hedin to affirm and comprehend ‘the nameless’ and ‘the death’ more than ‘the named’ and ‘the life’. Ultimately, mother nature in Tibet induced the removal of the binarity and dichotomy between ‘the life’ and ‘the death’, also ‘the named’ and ‘the nameless’, and thus allowed both of them to coexist and to be reconciled.

      • KCI등재

        지명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김순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1

        지명의 지시와 구별 기능은 다양한 사회적 주체들의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를 재현하고 구성하는 수준으로 확대되어, 지명의 의미와 의미 생산을 둘러싼 상이한 주체들 간의 갈등과 경합에 주목하는 문화정치로 연결되기도 한다. 본 논문이 지향한 문화정치적 지명 연구는 한국 지명의 생성과 변천 과정을 통해 사회적 주체가 지니고 있는 이데올로기가 재현되고 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문화연구와 함께 신문화지리학의 문화정치적 연구가 형성되는데 주요한 토대가 된 미하일 바흐찐과 미셸 페쇠의 언어이론을 적용하여 한국 지명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지명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바흐찐의 이데올로기적 기호와 페쇠의 담론 이론이 지명 적용에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동일한 지명 유연성과 표기를 지닌 고유 지명이 그곳에 거주하는 상호 대립적인 사회적 주체의 특정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다양하게 변화되어 차별적인 이데올로기적 기호로 바뀌는 과정이 포착되었다. 이러한 지명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를 토대로 공주목 진관 구역에 소재하는 유고.불교.풍수 관련 지명들을 유형화하여, 지배적인 사회적 주체들에 의해 수행된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지명화 사례들의 다양한 갈래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Place names could distinguish the self-places from the other-places, and indicate both of them. The indicating and distinguishing functions of place names could also be extended to the level which is to represent and constitute the identity and ideology of the diverse social subjects and groups. This aspect is related to the cultural politics that is concerned with the conflicts and contestation among different social subjects over: the meaning and meaning production of place name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representing and constructing process of ideology which belongs to the certain social subjects through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place names in Korea. Particularly, the language theories both referred by Mikhail Bakhtin and Michel Pêcheux, and based on the formation of cultural politics were applicable to the cases of ideological sign in Korean place names. First of all, for investigating the aspects of ideological sign in Korean place names, I examined that Bakhtin’s ideological sign and Pêcheux’s discourse theory are able to apply to the study of place names. And then, I significantly identified the various processes that the native place names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each different ideological signs by diverse social Subjects and groups‘ Last of all, classifying the place names in Gongju-Mok Jingwan. Area by ideological feature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Fengshui, I analyz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aming the ideological place names which has been petformed by the dominant social subjects.

      • KCI우수등재

        지명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II)

        김순배(Sun-Bae Kim)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5

        지명의 의미와 변천은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이 소유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비중립적으로 개명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지명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과정과 우리나라 지명의 차자 표기 전통을 고려하여, ‘俗離山(속리산)’과 ‘牛腹洞(우복동)’ 지명의 원초 지명으로 추정되는 ‘<SUP>*</SUP>송이산’과 ‘<SUP>*</SUP>소굿골·<SUP>*</SUP>소눈골·<SUP>*</SUP>소복골’ 등이 불교 및 풍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과정을 거쳐 각각 불교 지명과 풍수 지명으로 음차 및 훈차 표기되어 기호화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속리산과 우복동 주변에 분포하는 주요 자연 지명과 인문 지명들은 대체로 순수한 고유지명 형태를 유지해 오거나, 혹은 고유 지명이 시대별로 유입해 온 다양한 사회 및 문화 집단들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천되기도 하였다. 특히 속리산과 우복동 지명은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과정의 궤적 속에서 변천되어 왔다. 즉 553년 법주사의 입지 이후 ‘속리산’ 지명은 불교도들에 의해 탈속적이고 불교적인 의미를 지닌 표기로 변용되었고, ‘우복동’ 지명은 조선 후기 풍수 도참사상의 영향과 풍수 지식인들의 형국론에 의해 풍수적으로 변천되었다. The meaning and transformation of place name could be biasedly renamed by certain ideology which social subjects hold.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transforming processes as ideological signs through from pure Korean names of ‘<SUP>*</SUP>Songnisan’ and ‘<SUP>*</SUP>Sogut-gol · <SUP>*</SUP>Sonun-gol · <SUP>*</SUP>Sobok-gol’ to ‘俗離山 Songnisan’ and ‘牛腹洞 Ubokdong’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of similar sounds and meanings. As a result of my research, main physical and human place names located around Sonisan and Ubokdong have not only maintained the original toponymic form as a pure Korean style, but also been transformed to various names through the processes of ideological signification by social groups from diverse dominant cultures. In particular, place names, Songnisan and Ubokdong have been ever changed through the ideological signification. In the final analysis, ‘Songnisan’ had been transformed to a Buddhist place name by Buddhists after Buddhist temple, Beopjusa was established in A.D. 553, and Ubokdong had also been renamed to a Fengshui place name influenced by geomancy and geomanc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하나의 산, 두 개의 이름 : 북악산/백악산과 남산/목멱산을 중심으로

        김순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2 문화 역사 지리 Vol.34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지명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산 이름의 변천 유형과 경합 현상을 북악산/백악산과 남산/목멱산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산 이름의 변천 유형을 분석한 결과 언어적 변천, 지리-문화적 변천, 그리고 정치-사회적 변천 유형과 각각의 하위 유형들로 구분되었다. 둘째, 일제강점기에 표기 변화된 산 이름에서는 5가지의 변화 경향, 즉 방위 지명의 증가, 3자식 지명의 증가, 후부 지명소의 통일, 쉽고 좋은 의미의 한자 표기, 그리고 지명소의 음운 도치 경향이 발견되었다. 셋째, 경합 지명인 북악산/백악산과 남산/목멱산을 대상으로 사례 조사한 결과, 조선시대에 공식 지명이었던 백악산과 목멱산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북악산과 남산으로 공식 지명이 뒤바뀌는 과정을 문헌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도 하나의 산에 두 개의 이름이 각각 혼용되면서 일정한 경합 지명으로 공존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상징 지명이 표상하는 소리와 의미가 정체성의 혼돈을 유발하면서 다양한 모습의 지명 경관으로 경험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oponymic changes and contestations which construct a toponymic landscape through analyzing mountain toponyms, Bugaksan / Baegaksan and Namsan / Mongmyeoksan. Firstly, there are three types in the changes of Korean Mountain names, that is, linguistic changes, geographical-cultural changes, and political-social changes. Secondly, it is found that there are five change patterns in terms of mountain names which include increases in Cardinal points toponyms, trisyllabic toponyms, standardization of the rear morpheme, inscribing Chinese characters with easy and good meanings, and inversion of toponymic morphe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onclusion, in relation to contested toponyms, the social status as an official and nonofficial name between the official names, Baegaksan and Mongmyeoksa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Bugaksan and Namsan as the formal name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been reversed. Consequently, until the present day, these two contested toponyms have coexisted with each other within a same place, and have been concurrently experienced as various namescapes and identities by social subjects who prefer their own symbolic toponym to the other dual name.

      • KCI등재

        지명의 스케일 정치

        김순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2

        지명 영역은 사회적 주체들이 실천하는 권력관계에 의해 끊임없이 경합되고 변동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지명 영역의 특성은 권력을 동반한 지명 영역의 확대와 축소에 주목하게 하며 자연스럽게 사회적, 정치적 구성물로서의 스케일과 스케일 정치 개념을 떠오르게 한다. 지명을 매개로 한 영역 경합의 과정에는 필연적으로 스케일 정치가 작동한다고 판단한 필자는 지명 영역의 스케일이 사회적이고 정치적으로 구축되는 과정과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이 자신들의 의도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그들이 지지하는 지명의 영역을 확대시키거나, 동시에 타자의 지명 영역을 잠식하여 그 스케일을 축소시키는 스케일 정치의 과정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주체가 권력관계를 통하여 특정한 지명 영역을 인위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과정이 담긴 스케일 하강과 상승 지명을 공주목 진관 지명을 사례로 분류할 수 있었고, 권력관계에 의해 지명 영역이 스케일 상승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면 지명, 읍 지명, 군현 지명이라는 세 개의 지명 영역 층위에서 확인하였다. 이 지명들의 스케일 상승 과정에는 해당 지명 영역에 거주하던 당시 일본인 거류민과 일부 조선인 유지 집단, 그리고 해당 촌락이 소유한 행정적, 경제적 중심성이 일정한 권력관계로 작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olitics of scale generally works on the processes of territorial contestation over place names. The contestation between place names represented and appropriated by social subjects is involved in the processes obtaining boundaries and territories in a definite geographical scale, while enlarging their territories of place names. These processes are just to construct the scale politically and socially. Furthermore, these are the processes regarding the politics of scale that specific social subjects intend to shrink and enlarge the existing scales, or generating new scales for attaining the purpose of themselves. Therefore, these processes can be analyzed by the the view-point the politics of scale implying scalar strategies, such as scaling down and scaling up. Consequently, there are the place names of enlarged territory called the place names of scaling up, and the place names of shrunk territory, i.e. the place names of scaling down accompanied by reorganizing administrative districts. Then I have performed some case studies on scaling up of place names?territory related to the territorialization of place names through the power relations. Especially, the power relations of Japanese residents, some Korean dominant groups, and central functions of specific villag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influence on the processes of territorialization.

      • KCI등재

        동해 지명의 의미‘들’과 영역‘들’의 변화

        김순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3 문화 역사 지리 Vol.25 No.3

        본 연구는 동해 지명에 간직된 다양한 의미‘들’을 유형화하고 각 지명이 지칭하는 영역‘들’의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동해 지명의 의미들에는 네 가지 층위, 즉 보통명사로서의 동해, 국명, 해명, 민족 해명이라는 유형들로 구분되며, 시대별, 유형별로 각 지명 의미들이 지칭하는 지명 영역이 하나로 고정되지 않고 꾸준히 변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체로 보통명사로서의 동해는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꾸준히 나타나다가 구한말 시기에 크게 증가한 후 해방이후 현대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국명으로서의 동해 지명은 삼국시대 이래 조선시대까지 꾸준히 기록되다가 구한말 시기에 이르러 보이지 않고 있다. 해명으로서의 동해 지명은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 전 시기에 걸쳐 다수의 형태로 존속하였다. 민족 해명의 경우는 조선시대까지 발견되지 않다가 구한말에 등장하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 명맥을 유지하다 해방 이후 현대에 크게 증가하였다. 네 가지 지명 의미들은 시대를 거치면서 각기 다양한 지명 영역을 가지고 있었다. 보통명사로서의 동해는 그것이 쓰인 용례에 따라 신라의 동쪽 바다, 조선 울진현의 동쪽 바다, 또는 구한말에는 아프리카의 동쪽 바다 등으로 각기 다른 지리적 범위를 지칭하였다. 국명으로서의 동해 영역은 시대에 따라 신라국 강역을 지칭하기도 하였고, 이후 고려국 혹은 조선국 영토를 가리키기도 하였다. 해명으로서의 동해 영역은 삼국시대 이래 현대로 오면서 다양한 영역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체로 현대로 오면서 점차 영역의 크기가 확대되었다. 특히 심국시대 초기 고구려의 동해 영역은 두만강 하구 혹은 함경도 해안이었으며, 신라의 경우 대종천 하구의 ‘동해구’, 즉 경북 경주시 양북면-감포읍 해안을 ‘동해’라 지칭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민족 해명으로서의 동해 지명 영역은 일반적으로 당대의 해명이 지칭하는 물리적인 영역과 일치하며 그 영역에 일정한 민족 정체성의 의미가 부여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meanings of the Name East Sea (Dong-hae) and analyse the each toponymic territories of the meanings of East Sea. Consequently, the meanings of East Sea are divided into four layers, such as common noun, the name of a country, sea name, and sea name with national identity. I identify that the toponymic territories designated by each its meanings have been constantly changed so far. In general, the record 'dong-hae'(東海) as a common noun had been steadily found in the old literatures, ancient documents, and old maps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Goryeo Dynasty (918-1392), and Joseon Dynasty (1392-1897), and then shown on the largest rise at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1897-1910).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45), its record has been disappeared in the present-day. The Name East Sea as country's name had not been shown in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after constantly recording throughout Joseon Dynasty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Name East Sea as sea name is the most general type, it has been recorded and called throughout all historical periods. In particular, The Name East Sea as a reflection of national identity had not been discovered to Joseon Dynasty, and then started to used and recorded in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and barely remained in existenc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finally it has largely increased nowadays since the National Liberation. The four meanings of East Sea have had the each diverse toponymic territories throughout historical periods. Especially, the territory of the Name East Sea as sea name has diversely shown us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in general, its territory has been gradually enlarged until now. Particularly, The East Sea territory of Goguryeo Kingdom in the early Three Kingdom Period corresponded to the mouth of Duman River or the seashore of Hamgyeong-do province, and early Silla Kingdom's East Sea territory corresponded to the mouth of Daejong Stream, 'Donghae-gu' (the mouth of East Sea, 東海口) located on the boundary between today's Yangbuk-myeon and Gampo-eup. Since then, according to the whole territory's change of two Kingdoms, the sea area named as East Sea had gradually expanded to southward or northward.

      • 산의 인문학적 가치와 지리적 의미에 대한 시론적 접근

        김순배(Kim, Sun-bae)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5 충청문화연구 Vol.14 No.-

        The mountain is a geographical foundation and basic environment in which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facts and knowledges as well as diverse imagination have developed and constructed. Therefore, we need to investigate the humanistic value and the geographical meanings of mountain in advance to understand Korean humanistic spirit and traditional culture. For realizing this topic,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humanistic value and geographical meanings of the mountain that is a prototype space and symbol to daily life, and that is the foundation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ormation in Korea through a case study on Kyeryong Mountain (鷄龍山). Especially, the geographical meanings as the space of magnanimity and coexistence are enshrined in Kyeryong Mountain which has the border as well transitional location and territory. Meanwhile, these border and transitional attributes are reflected in the ancient toponym of Kyeryong Mountain, such as ‘Kyesan (鷄山)’ which may mean ‘the eastern mountain (*saedal)’.

      • KCI등재

        [논문] 地名 變遷의 地域的 要因 : 16세기 이후 大田 지방의 漢字 地名을 사례로

        김순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4 문화 역사 지리 Vol.16 No.3

        본 연구는 지명 변천의 地域的 差異를 염두에 둔 間學問的 분야로서의 지명 연구를 추구하였으며, 지명 변천, 특히 漢字 地名 變遷에 나타나는 특정 및 유형을 지역의 성격 및 변화 등과 관련시켜 조사함으로서 地名 變遷에 담긴 地域的 要因의 양상과 양자 간의 밀접한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필자는 한자 지명 변천에 영향을 마친 구체적인 지역적 요인을 지역의 '社會ㆍ文化的 變化' , '行政ㆍ制度ㆍ 變化', '言話的 變化'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사회’ ㆍ문화적 변화와 지명 변천'에서는 지역을 구성하는 주민들의 理念, 宗敎 특성, 주민 상호 간에 작용하는 權力 關系 등에 의해 지명이 변천되는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 '행정ㆍ제도적 변화와 지명 변천' 에서는 국가 혹은 지방 스케일에서 시행된 행정 제도 및 역원 제도의 변화라는 지역적 요인이 지명 변천에 어떤 양태로 반영 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언어적 변화와 지명 변천'에서는 해당 지역 내의 고문서 기록 주체들에 의해 행해진 지명 차자 표기의 다양성이라는 지역적 요인으로 인해 한자 지명이 변천된 내용을 조사하였다. The way of studying a place name which is a lingmstic representation of human residential place should have respect for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Based on such a fundamental understanding, I analyzed regional factors which have had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place nam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concrete, the types of these regional factors could be divided according to Social-Cultural changes, Administrative-Systemic changes, and Linguistic changes in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