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세종의 인사(人事) 실제 - 한어(漢語) 전문가 김하(金何)를 중심으로 -

        김순남(Kim, Soon Nam)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5 No.-

        본 연구는 본 논문은 김하의 사례를 통해 세종이 구사한 인사 방식의 실제를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김하는 조선 세종대 활약한 한어 전문가였다. 세종은 김하의 한어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재상도 장수도 아니며 이학을 교육하는 임무에 종사할 뿐인 그를 기복 했다. 김하는 강상죄로 얽을 수 있는 아버지 상중의 부적절한 처신으로 관료 생활 내내 대간의 비판에 직면했다. 그러나 세종은 국가의 중대사를 맡겨야 한다며 끝까지 임용했다. 김하는 종사관·서장관·정사로서 거의 20여 회 북경을 오고 갔다. 그때마다 세종의 뜻에 부합해 활약했다. 김하의 사례는 세종이 구사한 인사 방식의 일단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역량을 우선으로 하는 인사를 함으로써 국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Kim-Ha was an expert in Chinese, who worked for King Sejong(the period of reign:1418-1450). The Chinese language spoken by Kim-Ha was highly skilled and elegant, so no alternative could be found in Joseon at that time. King Sejong highly valued Kim-Ha"s Chinese language ability. So, when his father died in 1435 (the 17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King Sejong appointed him in a very short time (less than 100 days after his father’s death : 3 years funeral period for his deceased father was required at that time). Kim-Ha was not a general nor a prime minister, but only engaged in the mission of educating Chinese language. So his case was very unusual. Kim-Ha had faced public criticism throughout his bureaucratic career for his inappropriate actions. His behavior of committing adultery with a Gisaeng, Joseon geisha, during his father"s funeral could have been regarded as a crime of undutifulness. He breached the Joseon"s Human Ethics(Kang Sang, 綱常). Such acts were an unforgivable sin in the Confucian state of Joseon. King Sejong agonized between morality and ability. Finally King Sejong decided to punish him slightly. The name of the crime was not breaking undutifulness but breaking the order of concubine. King Sejong said that Kim-Ha should be in charge of important national missions. King Sejong believed that Kim-Ha"s ability in Chinese language would be helpful for diplomatic policies and relationship with Ming dynasty. In fact King Sejong sent him to Ming as an envoy whenever needed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Geonju Jurchen. Whenever he went to Beijing to deal with diplomatic matters, Kim-Ha translated well and met King Sejong"s will. The case of Kim-Ha shows some aspects of King Sejong"s personnel policy which he used to accomplish the nation"s important mission. King Sejong was a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ate administration by utilizing personnel policy that prioritized capabilities. Thanks to this flexible way of personnel policy, it can be said that King Sejong"s era could be compared to so-called "Emperor Yo and Sun"s reign of peace".

      • KCI등재

        일반논문 : 기초학력 책임지도를 위한 조직 수준별 책무 분석

        김순남 ( Soon Nam Kim ),이병환 ( Byung Hwan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기초학력 책임지도 정책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조직 수준별 책무를 분석한다. 여기에서 조직 수준이란 기초학력 책임지도가 직접 이루어지고 있는 단위 학교와 학교의 지원 조직체제로서 교육청 및 국가를 말한다. 기초학력은 개인의 인간다운 생활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기초학력은 원만한 사회 적응을 위한 최소 충족 요소이기 때문에 단위 학교를 비롯한 유관 기관에서는 기초학력 결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당위성이 성립된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기초학력 책임지도를 위한 조직 수준별 책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수준에서는 교육청 수준의 학습부진 학생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인적·물적·재정적 자원을 확보·지원해야 한다. 둘째, 각 지역의 교육청은 학교에서 효과적으로 기초학력 지도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각종 교육적 자원을 개발·제공해야 하며, 교육청 단위로 학습부진 학생 비율 및 그 증감정도에 대한 점검과 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단위 학교는 기초학력 책임지도가 직접 수행되는 공간으로 국가와 교육청의 행·재정적 지원을 통해 국가 수준의 학년 단계별필수 이수 기준에 도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학교의 구성원들이 학생들의 기초학력 책임지도를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 지침을 이해하고 이를 제대로 실천하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 기초학력 책임지도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조직 수준별 책무 확보 못지않게 조직 수준별 운영 시스템 확보가 중요하다. 국가와 교육청 및 단위 학교가 정책 수행을 위한 연계망을 확보하고 조직 수준별 협조 체제가 가동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ccountability of organizational levels so as to establish a basic learning ability guidance policy. In this article, organizational levels are in relation to schools,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nation. Basic learning 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guarantee human dignity and worth. For the retardation students in learning, a good teaching and supporting from schools,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nation is of vital importance for the equal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nation must strive to a establish learning retardation students support system. 2. The Offices of Education must offer many resources to make effective learning retardation student guidances. 3. Schools must strive to secure essential learning courses of retardation students. Ultimately, these three organizations must have the willingness to understand detailed guidelines of basic learning education and to put it practice. The accountability of organizational levels on the role of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and nation for the retardation students is of vital importance in Korea.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비대면 수업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성과분석 연구

        김순남(Kim, Soon Nam)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언택시대 대학 비대면 수업으로 실시한 교양교육 수업에서 학생들이 대학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업전후 2회의 자기평가를 통해 그 성과를 분석하고 비대면 수업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소속 대학에서 개설된 교수자의 교양과목 2개 강좌 2개반씩 총 4개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다. 연구 방법은 교수자가 먼저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설명 자료를 만들고, 직업기초능력의 10개 요인과 34개 요소에 대해 Lykert식 5점 척도를 활용한 진단지를 개발하였다. 수업 첫 주 사전진단 평가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을 설명하고 제작한 직업기초능력 진단지를 사이버캠퍼스에 올렸다. 학생들이 이를 다운 받아 자기 평가하여 진단지를 작성한 후 교수 메일로 보냈다. 똑 같은 방식으로 수업 마지막 주에도 사후 평가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조사를 하여 수업 전후 직업기초능력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수업전후 자기평가 결과는 10개의 직업기초능력 및 34개의 하위요소들은 .001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년별 및 교과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불어 조사한 비대면 동영상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효과적이라는 반응은 31%, 비효과적 이라는 반응은 69%로 나타났다. 비대면 동영상 수업 유형의 장점으로는 반복 청취가 67.7%, 시간 활용이 22.9%로 높게 나타났으며, 단점으로는 주별과제 부담이 44.3%, 교수학생 관계형성 미흡이 20.6%, 수강생 소통 부족이 17.5%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의 적당한 비율에 대해서는 20%이상 50%미만 구간에 대해 49.4%로 가장 높게 반응하였다. 이상의 학생들의 수업전후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결과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를 근거로 학생, 교수, 대학과 국가 수준의 향후 정책을 제안하였다. 학생은 국가직업기초능력 자기 진단과 성과 관리를 주기적으로 시행 관리해야하며 교수는 교양교육 과목을 통한 국가직업기초능력 신장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대학은 사이버시스템 업그레이드와 국가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발 및 관리시스템 정착이 필요하고, 국가는 사이버시스템 성능 강화를 위한 재정지원 확대와 국가직업기초능력을 신장하는 교양교육 운영 매뉴얼 및 우수사례집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 of instruction and the implication of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basic competency evaluation of non-face instruction in the “untact” era.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he theorectical analysis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and the different analysi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elf-evaluation survey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enrolled in two Leadership instructional programs and two interpersonal relations instructional programs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at Shinhan Universit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of th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0.01 level in all 10 vocational basic competency categories and 34 sub-ele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it came to the grade and subject of the students. In addition, in the survey on non-face-to-face video classes, 31%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effective, while 69% said such classes were ineffective. The advantages of the untact video classes were 67.7% for repeated listening and 22.9% for tim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students, the disadvantages of the untact video classes were as follows: 44.3% for the burden felt by weekly tasks, 20.6% for the lack of rapport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s, and 17.5% for the lack of student communication. As for the appropriate ratio of untact classes, 49.4% responded that a proper ratio would be in the range of 20% to 50%. Based on the above students self-evaluation result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lass, and the results of opinion surveys regarding untact classes, future policies are proposed at the student, professor, university, and national level. Students need to self-diagnose and manage their vocational basic competency. Also, professors need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ency ability, and strengthen their untact online class capabilities. Universities need to upgrade their cyber systems, establish a curriculum development program, and develop management systems to improv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The state needs to expand its financial support to strengthen the performance of cyber systems and to develop a manual for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s well as to compile a collection of best practices to enhanc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 KCI등재

        학교평가 단계 중심의 메타평가 논리와 준거 탐색

        김순남 ( Soon Nam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3 중등교육연구 Vol.51 No.1

        ``학교평가 단계 중심의 학교평가 준거체제 탐색``이라는 본 연구를 통해 30개의 준거체제를 설정하였다. 이 준거체제는 문헌 고찰을 통해 학교평가의 학교평가를 메타평가하기 위해 당위적 측면에서 설정한 것이다. 먼저, 학교평가의 단계를 기획 단계, 자체평가 단계, 방문평가 단계, 결과보고 단계 등으로 설정하였다. 각 단계별로 학교평가의 메타평가 준거를 설정하였다. 첫 단계인 기획 단계의 준거로 열 개의 준거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평가자 양적 충족성, 평가자 전문성, 학교현황 진단의 충분성, 목적 설정의 타당성, 방법 설정의 적절성, 준거의 타당성, 기준 판단 근거의 명확성, 절차의 타당성, 연수 프로그램의 충실성 등이다. 이러한 기획단계의 메타평가 준거는 학교평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평가 자원 요소와 평가 설계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평가 기획 단계를 평가할 수 있는 준거체제로 설정되었다. 일반적으로 학교평가 실제에서 평가 기획이 잘 되어야 다음 단계인 평가 수행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평가 기획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평가 주관 기관에서 평가 기획단계가 끝나면 형성적 기획 단계의 메타평가를 통해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데 이 준거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단계인 자체평가 단계의 준거로 다섯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자체평가 지원조성의 적절성, 자체평가 기획의 적절성, 자체평가 참여의 적절성, 자체평가의 정확성, 자체평가 활용의 적절성 등이다. 이러한 자체평가 단계의 메타 평가는 평가 주관 기관의 자체평가 유도 요소와 단위 학교의 자체평가 수행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두 기관의 기능이 적절한지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단위학교의 자체평가에 대한 기획, 운영, 활용에 대한 준거들이 설정되어 단위학교의 자체평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준거체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단계인 방문평가 단계의 준거로 일곱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서면평가의 적절성, 학교 특성 분석의 충실성, 자료 요구와 출처의 명확성, 자료 수집 방법의 적절성, 평가 수행의 윤리성, 자료 수집의 적절성, 평가의 객관성, 평가의 공정성 등이다. 이러한 준거들은 방문평가의 삼 요소를 과정별로 학교 특성분석, 정보 수집 및 정보 판단으로 나누어 방문 단계의 평가가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가를 평가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다. 넷째 단계인 결과보고 단계의 준거로 세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평가 결과의 신뢰성, 학교간 결과 평정의 공정성, 보고서의 충실성 등이다. 이 준거는 평가 결과 요소와 보고서 요소로 구성되었다. 평가 결과가 신뢰로운 지, 학교간에 공정한 지를 평가하고 대해 보고서를 충실하게 작성하였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다섯째 단계인 활용 단계의 준거로 네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평가 결과의 공개성, 평가결과의 활용성, 학생?교직원에의 영향성, 메타평가 활용의 적절성 등이다. 이는 평가 결과의 활용 요소와 메타평가 요소로 구분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학교평가 단계 중심의 메타평가 준거체제의 유용성은 첫째, 평가 주체자들이 평가수행의 과정에서 지켜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각 단계별 평가과정에서 실제로 학교평가를 메타평가 할 수 있는 준거로 이용될 수 있다. 셋째, 평가자체를 평가하는 ``메타평가 수행의 적절성``을 포함하므로 학교평가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넷째, 학교평가 활용 측면을 메타평가의 한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학교교육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론에서 제시한 PSVRU 메타평가 모형과 준거체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설정된 학교평가의 메타평가 준거체제를 다른 프로그램 평가의 메타평가 준거와 비교해 볼 때, ERS 준거와는 단계별 준거체제라는 점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4가지 이념별로 접근한 JC 준거와는 접근 방법상의 차이는 있지만 몇 가지 준거가 공통으로 설정되어 있다. 바로 ``메타평가의 적절성``이바로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논의된 나머지 프로그램 평가의 메타평가 준거인 AEA 준거, JDRP 준거, OSE 준거, GAO 준거 등은 일부 영역만을 평가의 준거로 삼고 있어 본 연구의 준거와 달리 접근한 준거들이라 할 수 있다. 평가 활동 자체에 대한 평가인 메타평가는 이제 필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아직 메타평가에 대한 논의는 실천적으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메타평가에 대한 활성화 작업이란 측면과 메타평가 준거의 탐색적 연구라는 측면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eta-evaluation criteria system for school evaluation. A literary study were preformed for the study. The model PSVRU as a school-evaluating model was chosen for establishing the criteria by steps. The meta-evaluation model PSVRU is consists of such evaluation-steps as planning step, self-evaluation step, visiting-evaluation step, reporting-result step and utility-evaluation step. In the school evaluating planning step, there are 10 criteria such as the sufficiency of evaluator group, the professionalism of evaluator, the sufficiency of finance, the sufficiency of school examination, the validity of purpose, the validity of evaluation standards, the clearness of judging the evaluation standards, the validity of establishing evaluation method, the validity of establishing procedure and the utility of evaluation program. The self-evaluating step which consists of 5 criteria includes the appropriateness of supporting the self-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self-evaluating planning,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the accuracy of self-evaluation and the utility of the result of self- evaluation. The visiting-evaluating step have 8 criteria: the relevance of paper-evaluation, the truthfulness of analysing school situation, the clearness of information collect and resource, the relevance of evaluation-practicing method, the ethics of evaluation practice, the sufficiency of collecting information,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practice and the impartialism of information judgement. The step of reporting result are the relevance of evaluation results, the impartialism of evaluation results rating, and the sufficiency of evaluation report. In the utilization step, there are the openness of evaluation result, the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 the effect of evaluation result and the property of meta-evaluation.(Kyungpook National Univ.)

      • KCI등재후보

        Batten Disease 6례의 임상적 고찰

        김순남(Soon Nam Kim),이준수(Joon Soo Lee),차병호(Byung Ho Cha),고창준(Chang Jun Coe) 대한소아신경학회 199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1

        Batten diseas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NCL) is the term describing a group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of which the major pathognomonic feature is the accumulation of autofluorescent lipopigment in various tissues including neurons. This study presents the clinical features of 6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Batten disease by means of skin biopsy and electron microscopic evaluation from March. 1989 to March 1994.

      • KCI등재

        조선 세종대 강상(綱常) 윤리 강조의 실상

        김순남(Kim, Soon Nam)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69 No.-

        본 연구는 조선 세종대 강상 윤리 강조의 실태 파악을 통해 조선의 유교화과정을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건국 초의 격변을 거쳐 이루어진 정치적 안정을 토대로 특히 세종대에는 삼강오상의 강상 윤리가 강조되었다. 강상윤리가 상하의 지배 질서를 공고화하기 위한 통치 이념으로 기능했기 때문이었다. 이를 위해 군신-부자-부부의 모범적인 사례를 발굴하여 정문·복호·서용 등으로 포장하고, 『삼강행실』의 편찬과 반포를 통해 계도하고 교육했다. 또한 불충-불효-부정의 패륜자에 대해서는 율에 따라 능지처사·참형 등 강경하게 처벌했다. 세종대의 이런 과정을 거쳐 강상 윤리는 사회의 통제 규범으로 강력하게 뿌리내려 갔다. 그 결과 조선의 유교화는 더욱 진전되었다. Right after the country was founded, Joseon pursued a Confucian state. Especially King Sejong and ruling government officials had emphasized the Human Ethics(Kang Sang, 綱常) such as Three Principles(Sam Kang, 三綱) and Five Morals(Oh Sang, 五常) of human. They recognized that the Confucianism would be functioned as a governing ideology. And they believed that those policies would be helpful to establish the ruling order based on vertical relationships between many kinds of social classes. Based on the political stabi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a dominant governing system through the upheavals from King Taejo to King Taejong’s era, King Sejong and ruling government officials had accomplished their purpose. The achievement was the result of joint work of King Sejong, who was friendly with his books and never let go of them, and his officials who were convinced of Confucian ideology. During King Sejong’s era, the Human Ethics(Kang Sang, 綱常) were accepted as a ruling ideology to consolidate the ruling order in the many kinds of vertical relationships. There were special favors to a son honoring his parents and to a wife keeping her fidelity. For example, red doors were put up in front of the house(Jeongmun, 旌門), taxes were reduced·(Bogho, 復戶) or some people were appointed as a government official(Seoyong, 敍用). King Sejong composed and disseminated 『Sam Kang Haeng Sil, 三綱行實』. King Sejong wanted to implement a world of Ancient Ideal Society(Sam Dae Ji Chi, 三代至治) to Joseon society. On the other hand, disloyalty, disregard and injustice were severely punished by law. The punishment were quartering, beheading and hanging. Through this process of emphasis on Ethics during King Sejong’s era, the Human Ethics(Kang Sang, 綱常) was strongly rooted as a social control norm. As a result, Confucianism in Joseon had progressed further.

      • KCI등재
      • 교육청 학교 창의성 교육 비교 연구

        김순남 ( Kim Soon-nam ),권현정 ( Kwon Hyun-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교육문화연구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evel of school based the creativity education, especially with seven metropolitan city in Korea, and propose the educational political task.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surve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of seven metropolitan city in Korea was the subject. And two research domain are as follows : school environment domain, instruction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environmental domain,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as endeavor to improve creativity education, and the effects of that movement was great, especially emphasized in administration and school level. The class environment for creative education was poor in all six Office of Education, but Daegu was above average. Nevertheless, it needs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physical environment in all Office of Education. Other in instruction domain, the pressing tasks for enhancement creativity are reduce contents of the curriculum, reduce student numbers of per class, creativity teaching-learning data development and supply, and training of creativity development teacher. In the face of professionalism, teachers perceive their professionalism low. As the above results, political tasks for creativity education are more effective supports to teaching-learning technique, development the in-service and pre-service training program, enhancement of relevancy of curriculum, reduce of student numbers of per class, creativity teaching-learning data development and supply,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teacher themselves.

      • KCI등재

        朝鮮 世祖代 體察使 韓明澮에 대하여

        김순남(Kim Soon-nam)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3

        世祖는 폭력적이고 강제적인 과정을 거쳐 즉위하였기 때문에 그에 대한 반발에 직면하여 지방의 통제와 감시에 주력하였다. 이에 동왕 2년부터 정난 · 좌익공신에 연거푸 책봉된 한명회를 체찰사로 지방에 파견하여 주로 북방 방비와 같은 국방 · 군사적 임무에 주력하면서 해당 지역 백성들에 대한 위무활동은 물론 지방 수령과 향리 등에 대한 검핵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한명회의 체찰지역은 남북방 전역에 걸쳐 있었고 체찰 기간은 1년의 ⅓에 이르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던 바, 이는 체찰사제의 강화로 이어졌다. 특히 한명회의 체찰 활동은 해당 지역 수령에 대한 직접적인 처벌로 이어지거나 인사에 영향을 미쳐 그들을 통제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고, 관찰사와 도절제사 역시 그 대상으로 삼을 수 있었다. 이러한 세조대 체찰사 한명회의 활동으로 이 시기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강화하고 지방에 대한 장악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 초기 함길도의 세전관하(世傳管下)

        김순남(KIM SOON NAM)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5

        본 논문은 조선 초기 함길도의 세전관하를 통해 조선 역사의 다양성을 통일적으로 승화시킨 발전 양상을 추적하고자 한 것이다. 조선의 동북방에 위치한 함길도에는 고려조 이래로 토착인과 여진인이 더불어 살았다. 때문에 이곳에는 고려․조선 원거인과 향화야인들이 어울려 살면서 형성된 독특한 사회습속들이 있었다. 이곳의 토호나 야인추장이 양민을 관하에 두고 사적으로 점유하면서 대대로 노비처럼 부렸던 세전관하도 그 하나였다. 세전관하는 양민으로서 국가의 역을 져야 했지만 군호를 이루지 않고 협호로 존재하면서 군역 자원에 충당되지 않았다. 조선 정부도 함길도의 이런 상황을 파악했지만 연원이 깊고 오래되어 나름대로 기능했기 때문에 일거에 추쇄하지 못했다. 세조대까지도 계속된 이 문제는 1467년(세조13) 5월 함길도에서 일어난 지방 반란인 이시애의 난을 계기로 해결의 방향이 정해졌다. 성종은 세전관하가 지방 반란의 물리력으로 기능했다고 판단했다. 때문에 종래의 사적인 종속 관계를 끊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여겼다. 이에 국가가 군역 자원을 직접 파악하는 남방의 체제에 맞추어 함길도의 특수성도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하면서 세전관하는 일체 추쇄하도록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