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5% Carbamide Peroxide가 심미수복재의 표면조도와 착색에 미치는 영향

        김수화 ( Soo Hwa Kim ),최혜숙 ( Hye Sook Choi ),노지연 ( Jj Yeon Roh ),김광만 ( Kwang Mahn K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3 치위생과학회지 Vol.13 No.2

        본 논문은 미백 후 수복재의 종류에 따른 표면변화를 관찰하고, 미백제에 의한 표면변화가 수복재의 착색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가미백제로 널리 사용되는 15% carbamide peroxide가 대표적인 심미수복재인 콤포지트 레진(composite resin, CR),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resin modified glass ionomer, RMGI), 글라스아이오노머(glass ionomer, GI)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백 후의 착색감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커피 용액에 일정 시간 보관한 후 수복재의 색 변화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백 전과 미백 후의 색변화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모든 재료에서 ΔL*, Δa*, Δb*, □E*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ΔE*와 ΔL*값은 RMGI, GI, CR 순으로 색변화가 많이 나타났고(p<0.05), Δa*값은 GI, RMGI, CR순으로 미백 후 감소하였으며, Δb*값은 RMGI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2. 미백 전과 미백 후 표면조도는 CR, RMGI, GI 모두 미백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RMGI가 미백 후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p<0.05). 3. 실험군과 대조군을 커피 용액에 착색시킨 후의 ΔE*값은 GI, RMGI, CR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나 GI와 RMGI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 미백을 한 실험군의 색 변화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ΔL*값은 GI와 RMGI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여 미백을 하고 착색한 경우 명도가 더욱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Δa*값보다 Δb*값의 증가가 훨씬 더 크고 뚜렷하였다. 4. 커피 용액 착색에 따른 시편의 표면 변화는 CR, RMGI, GI 모두 착색 전과 착색 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심미수복재의 색안정성은 심미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인이고, 치아미백 또한 심미를 목적으로 하는 술식이다. 따라서 치과에서는 수복재의 종류에 따라 미백제나 착색물에 대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술식을 제공받는 내원자들이 착색을 야기할 수 있는 음식이나 음료에 대해 인지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face change after 15% carbamide peroxide home bleaching to various restorative materials (composite resin [CR],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RMGI] and glass ionomer [GI]) and to observe the effect of surface condition of the materials on re-staining. Three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Filtek Z250, 3M, USA; Fuji II LC, GC, Japan; Fuji II, GC, Japan) were used in this study. Twenty specimens per material group were made and divided into two groups (bleached and control).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coffee after applying bleaching agent. The color change and surface roughnes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bleaching and after immersion in coffe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lor of all experiment groups was significantly changed after bleaching (p<0.05). RMGI was the greatest value of ΔE* and ΔL*. GI and CR groups were in ordering (p<0.05). The Δa* value was decreased GI, RMGI and CR. RMGI was on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Δb* value (p<0.05). 2. The surface roughness before and after bleach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 CR, RMGI and GI (p<0.05). 3. After staining with coffee, the value of ΔE* was increased in GI, RMGI and CR, furthermore GI and RMG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eaching groups (p<0.05). The ΔL* value of GI and RMG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4. The change of surface roughness after stain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groups (p>0.05). The maintenance of color stability in esthetic restoratio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perties. Tooth whitening is for the aesthetic. Therefore, dental professionals should notice to patients about re-staining after tooth whitening. They should give an instruction that how to prevent and which kinds of agents could be stained.

      • KCI등재
      • KCI등재

        비만과 스트레스가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수화 ( Soo Hwa Kim ),이선미 ( Sun Mi Lee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5 치위생과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obesity and stress on oral disease in Korean adults by using the data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627 adults at the age of 19 to 64,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dows ver.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Obesity was higher in men and the age of 40 to 64 than the other. And the group with lower education or lower income level tended to show significantly higher obesity (p<0.05). As for stress, women, the age of 19 to 39 and the subjects with higher academic career tended to indicate significantly higher stress (p<0.05). As for the effects of obesity on oral diseas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dy mass index (BMI) or waist-hip ratio (WHR) and oral disease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res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 (p<0.05). Even when the subjects with stress were obese or abdominally obe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disease (p>0.05). As to correlation among variables,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BMI and WHR, stress and TMD, masticatory problems and periodontal disease or TMD (p<0.05). About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besity, and stress on oral disease, age was the variable influencing TMD, and age and abdominal obesity were the variables influencing masticatory problems (p<0.05). In this society,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dividuals is fairly complex, and the concept of health including quality of life has more complex meaning than in the past. Various factors are influencing obesity and stress, and they are also influencing oral health and behaviors. Accordingly, it will be needed not only to make efforts to reduce obesity and stress but also to employ approach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o improve oral health.

      • KCI등재
      • KCI등재

        양치시설 설치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구강환경관리능력 및 구강건강관리 행태 변화

        김수화 ( Soo Hwa Kim ),황윤숙 ( Yoon Sook Hwang ),김광수 ( Kwang Soo Kim ),정재연 ( Jae Yeon Jung ),유영재 ( Young Jae Yoo ),임미희 ( Mi Hee L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3 치위생과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성동구에서 치아건강사업의 일환으로 관내 모든 초·중·고등학교에 양치시설을 확대설치 하기 결정 한 후 2012년 양치교실을 설치한 중학교의 양치 시설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에 양치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A중학교와 2012년 양치시설이 설치된 B중학교 l학년을 대상으로 구강환경관리능력 및 치아건강관리 행태의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MFT와 DMFS는 기존에 양치시실이 설치 운영되어 온 A중학교가 B중학교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CPI는 치아우식경험지수와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학교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code (0)은 높게 나타 났고code (2)는 낮게 나타났다(p < 0,05) 2. 양치시설이 설치되기 전, 양치시설 유무에 따른 PHP index검사에서는 양치시설이 있는 학교의 학생들이 구강환경관리능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양치시설 전·후에 따른 조사에서는 양치시설 설치 전보다 양치시설 설치 후에 구강환경관리능력 개선 정도가 유의하게 크게 나 타났다(p<0.01). 3. 양치시설 유무에 따른 치아건강관리 행태 비교에서는 지난 l주간 점심 후 칫솔질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경우는 양 지시영이 없었던 B중학교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1주간 점심 후 칫솔질 평균횟수는 양치시설이 있는 A중학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p<0.01) 점심 후 칫솔질을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화교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장소가 부족해서`` 항목은 A중학교보다 양치시설이 없는 B중 학교에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p<0.01) 4. 양치시성 설치 전후 치아건강관리 행태 변화에서는 l주간 점심 후 칫솔질을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경우가 설치 전보다 설치 후에 증가하였고, 1주간 점심 후 칫솔질 평균 횟수도 양치시설 설치 후에 미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 >0.05) 칫솔질을 하지 않는 이유 중‘장소가 부족해서는 설치 전보다 설치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1), ‘친구들이 하지 않아서``는 설치 전보다 설치후에 크게 증가하였다(p<0.05). 구강보건지식의 개선만으로는 임상적, 행동적 의의를 가지지 않는다. 청소년들의 행동변화를 유도하여 직접 참여하기 위해서는 학교나 가정 한 단체만으로는 불가능하다. 학교뿐만 아니라 정부기관의 정책과 재정적 지원, 지역사회 관련 교육기관들과 관련 단체들의 표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대한 협조 등이 청소년들의 올바른 구강건강관리를 습관화 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ooth-brushing facilities (TBF) at middle schools that installed TBF in 2012 as part of the oral health project in Seongdong-gu, Seoul. The subjects were the first graders at A middle school that installed TBF previously and B middle school that installed TBF in 2012. The results are as follows: DMFT, DMFS and CPI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y schools (p>0.05), but code (0) was higher and code (2) was low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p<0.05). As to PHP index, the students at A school with TBF indicated better oral hygiene (p<0.01). In the research on before and after installing TBF, the oral hygiene was improved significantly more after the installation than before (p <0.01). In the comparison on the oral health-related behavior, the percentage of not brushing after lunch was higher B school than A school and the frequency of toothbrushing after lunch was higher A school than B school (p<0.01). About the reasons why not to brush after lunch, there was difference in ``lack of the place`` as A school showed 2.6% while B school without TBF indicated 14.2% (p<0.01). About the changes of the oral health-related behavior before and after TBF installation, the percentage of not brushing after lunch increased from 78.7% to 83.8% after the installation. The average frequency of tooth-brushing after lunch for one week also decreased from 0.50 to 0.34 (p>0.05). Among the reasons why not to brush after lunch, ``lack of the place`` significantly reduced, but ``because other friends don``t do it`` increased greatly after the installation (p <0.05). Only with the improvement of oral health knowledge, we cannot expect either clinical or behavioral significance. Not only schools but policies of governmental agencies and financial support, cooperation of community-related group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will contribute altogether to helping teenagers to habitualize proper oral health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