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은혜의 심리학: 거듭난 심령의 성장 질서

        김수연 ( Sue Yeon Kim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9 복음과 상담 Vol.12 No.-

        은혜에 대한 개혁주의 신학의 전제 아래, 인간의 심리적 인격적 영적인 측면에서 전 생애에 걸친 성장의 원리를 개괄하였다. 이에 Erik Erikson의 전 생애에 걸친 인성발달론의 구도 속에서 William W. Meissner의 은혜의 내적 선물로서 주어지는 인격 특성론 및 James E. Loder의 이중부정이라는 영의 역동적 논리를 이론적 기초로 삼았다. 거듭난 심령의 성장에 있어서 제기되는 핵심주제들을 전 생애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바, 내적 성장의 위기들, 위기극복의 과정, 이를 도우시는 은혜의 내용 및 변화역동, 성장의 열매, 나아가 삶의 과제에 책임 있게 반응하지 못한 결과로 나타나는 병리 등으로 구조화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내적 성장의 질서에 대한 개괄은“네가 어디 있느냐”라는 질문을 던지시는 하나님 앞에 우리가 어디 있는지 고백함으로써 은혜를 구하는 자리로 안내하는 인생지도(life map)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역설하였다. The spiritual growth is outlined in context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the whole life span. W. Meissner`s view on grace as personality trait and J. Loder` s double negation as the logic of spirit are reviewed in the framework of E. Erikson`s personality developmental theory. Themes on the spiritual growth are structured in terms of personality developmental crisis, its overcoming processes, pathologies, dynamics of helping grace and its fruits. The map of internal growth in the whole life span might hopefully function as a guide to praying for the Grace by confessing where we are when God asks “where are you?”

      • KCI등재

        고주파 자궁근종 용해술 후 만삭 질식분만의

        김수연 ( Sue Yeon Kim ),황성진 ( Sung Jin Hwang ),천근영 ( Chun Gun Yong ),김진홍 ( Jin Hong Kim ),김장흡 ( Jang Heub Kim ),조현희 ( Hyun Hee Ch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9

        Radiofrequency (RF) myolysis is a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by create thermal energy in targeted uterine fibroid and cause the aseptic necrosis of leiomyoma cells. Unlike hysterectomy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common treatment of uterine leiomyoma, RF myolysis can preserve the uterus, and unlike myomectomy which can preserve the uterus but requires the hospitalization and general anesthesia, it can be performed as outpatient procedure using only sedation for pain relief without additional need for medication. There are many published studies reporting the pregnancy complications and outcomes after myomectomy, but few studies regarding pregnancy and myolysis are available. We have experienced a full term vaginal delivery after RF myolysis of subserosal myoma and hereby we report our case with a brief review.

      • KCI등재

        동료평가가 초등과학영재의 개방적 탐구 개선에 끼치는 영향

        김수연 ( Sue-yeon Kim ),전영석 ( Youngseok Jhu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가 동료평가 후에 개방적 탐구를 수행할 때 어떠한 양상으로 개선이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시 강서교육지원청 영재원 과학분야 소속 학생들은 총 3회에 걸쳐 개방적 탐구와 동료평가를 실시하고 탐구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학생들의 개방적 탐구는 초등학생의 개방적 탐구 활동 평가 준거에 의해 평가되었다. 이후 동료평가 활동 모습과 비교하여 세 번에 걸친 개방적 탐구가 개선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동료평가 활동 시 피드백이 빈번하거나 하나의 피드백에 대하여 오랜 시간 여러 의견이 오고갔던 평가 준거의 경우 평가 점수가 향상하였지만 피드백이 활발히 오고가지 않았던 평가 영역의 점수는 대부분 비슷하거나 소폭 향상하였다. 둘째, 초등과학영재가 동료평가를 통해 개방적 탐구 수행을 개선하는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유형은 자신의 모둠이 받은 피드백을 수용하고 적용하는 유형이었고, 두 번째 유형은 다른 모둠이 받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본인의 탐구를 반성하여 개선이 이루어지는 유형이었으며, 마지막 유형은 별다른 피드백 없이도 다른 모둠의 개방적 탐구 발표를 듣는 것만으로도 스스로 반성이 이루어지는 유형이었다. 셋째, 초등과학영재가 동료평가를 할 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에는 5가지 유형이 있었다. 즉, 탐구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피드백, 깊이 생각하지 않고도 동료의 탐구에서 부족한 점을 지적하는 피드백, 탐구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피드백, 탐구의 과학적·논리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피드백,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피드백등이었다. 이 중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피드백 유형이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동료평가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확산적 사고를 촉진하는 다섯 번째 피드백 유형은 드물게 나타나 교사의 지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improvement in performing open inquiry after peer review. In this study, gifted fifth-grade students performed open inquiry and review of each other as peers after the inquiry. Students` inquiries were evaluated and the influences of the feedback from the peer review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inquiry performanc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ree key points were discovered: First, the evaluation score increased with frequent feedback or long discussions. On the other hand, with less feedback, the evaluation score didn`t rise. Second, there were three types of improvement in inquiry related to peer review: No. 1 was improvement after feedback given by themselves. No. 2 was reflection of feedback given to other groups. As a last type, No. 3 was that the students learned from other groups` presentation without any feedback and improved their inquiry. Third, there were five kinds of giving feedback; (1) feedback understanding the inquiry correctly, (2) insufficiency of peer`s inquiry without deep thought. (3) on the usefulness of the inquiry, (4) on the scientific and logic validity through critical thinking, and (5) how to develop the inquiry. In these kinds of feedback, the fourth kind of feedback (4) occurred most frequently but the fifth (5) occurred rarely. It means peer review helps students develop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give peers feedback of the fifth kind.

      • KCI등재

        유소년부터 노년까지, 체조 페스티벌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김수연(Kim, Sue-Yeon),원영신(Won, young-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다양한 세대가 팀을 이뤄 체조 페스티벌에 참여한 사례를 통해 참여 경험의 의미를 사회적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9년도에 연세대학교에서 개최된 ‘Active-aging 건강운동 페스티벌’ 참여자 중 유소년⋅청년⋅장년⋅노년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기반으로 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참여자들의 체조 페스티벌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이를 참여 과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체조 페스티벌’이라는 행사를 기준으로 이를 준비하는 과정과 현장에서 참여한 이야기 그리고 참여 이후의 소감으로 구분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페스티벌 준비과정’은 ‘한데 모이기’, ‘함께 연습하기’, ‘익숙해지기’ 범주로 구분되었으며, ‘페스티벌 진행 이야기’는 ‘현장 연습’, ‘다른 팀 구경하기’, ‘무대 위에서’로 대표되었다. ‘페스티벌이 끝나고’는 ‘다시 만난 공연 이야기’, ‘아쉬움과 의지’로 분석되었다. 결론 페스티벌 참여 경험은 연구 참여자들의 특별한 경험⋅새로운 발견⋅긍정적 변화⋅정신적 성장을 이끌어 낸 ‘기회’가 되었으며, ‘다양한 세대’가 함께 ‘페스티벌’ 형식의 행사에 참여한 경험이 이와 같은 결과에 보다 좋은 영향력을 행사한 원인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체조페스티벌과 같은 행사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의미 및 정기적인 대회 개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experiences through examples of various generations participating in a health exercise festival as a team.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based on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the children/youth/adults/elderly participants of the ‘Active-aging Health Exercise Festival’ held at Yonsei University in 2019. Resul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n the exercise festival, thi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rocess. Based on the event called ‘exercise festival’, it is divided into the process of preparing it, the story of participation in the field, and the impressions after the participation, and it is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festival preparation process’, ‘festival progress story’, and ‘after the festival is over’, and its meaning is interpreted.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became an ‘opportunity’ that led to the special experiences, new discoveries, positive changes, and mental growth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in which people of “diverse generations” participated in events in the form of “festival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se results. Based on this, the meaning of participating in events such as gymnastics festivals and the necessity of holding regular competi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소년부터 노년까지, 체조페스티벌 참여에 따른 세대교류 경험 연구

        김수연(Sue-Yeon Kim),원영신(Young-Shin Won)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5

        본 연구는 유소년부터 노년까지, 체조 페스티벌 참여로 인한 세대교류 경험은 어떠한지 이해하고, 각 세대별로 이것이 의미하는 바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조 페스티벌 참여에 따른 세대교류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세대교류 경험의 의미는 각 세대별로 어떠한 특성이 있는가?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에서 2019년도에 개최된 ‘Active-aging 건강운동 페스티벌’ 참여자 중 다양한 세대가 참여한 두 팀을 선정하여 유소년⋅청년⋅중장년⋅노년 참여자 총 18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의 세대교류 경험의 의미는 ‘함께 하는 기쁨’, ‘배려 혹은 물러남’, ‘인식의 전환’의 세 가지 상위 범주를 통해 대표 되었으며, 이 결과가 각 세대에게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유소년 참여자들에게는 긍정적 사회적지지 경험의 기회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자기 자신과 사회 구성원들에게 긍정적 인식을 형성할 수 있게 된 교육적 의미가 있다. 청년 참여자들에게는 나이 많은 참여자들과 동등한 입장에서의 활동함을 통해 사회 경험의 틀을 확장하는 기회가 되었다. 중⋅장년 참여자들은 다른 세대 참여자들을 배려하는 자세를 보였으며, 이는 세대 간 중간자적 입장에서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노년 참여자들에게는 연령을 제약으로 인식하지 않고 사회참여를 감사한 마음으로 지속하여 성취감을 얻게 된 긍정적 의미가 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세대 별 교류의 사회적 의미를 논의하였으며, 세대교류 기회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generational exchange experiences through physical activities of various generations from youth to the elderly in a social contex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the generation exchange experience of the gymnastics festival for the participants? Second, if you interpret the meaning of generational exchange for each generatio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Therefore, two teams from various generation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Active-aging Health Exercise Festival’ held in 2019 at Yonsei University,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8 participants in children/youth/adults/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the generational exchang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was represented through three upper categories: ‘joy to be together’, ‘care or withdrawal’, and ‘transition of perception’, and the meaning of this result for each generation was analyze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became an ‘opportunity’ that led to the special experiences, new discoveries, positive changes, and mental growth of the study participants. Based on thi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quality of the integrated 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generational exchange, and for this, events such as exercise festivals should be held regularly.

      • 초,중,고 학생의 과학 정의적 영역 성취도 비교 분석

        김수연 ( Sue Yeon Kim ),김효남 ( Hyo Nam Kim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과교육연구 Vol.16 No.-

        이 연구는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과학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특성을 알아보고, 더 나아가 초·중·고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과학적 인식, 흥미, 태도를 함양하여 앞으로의 과학 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2월에 초중고 학생 595을 대상으로 과학의 정의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 정의적 특성의 평균 점수가 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2학년으로 올라가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하락한 후 고등학교 1학년에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5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은 과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중학교 2학년에서는 과학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로 진학하면서 과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성취 점수가 낮아지는 것을 보면 학생들에게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와 태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과학교육과정에서 내용과 방향에 대한 개선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 흥미, 태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을 모색하며 과학의 성취 수준에 대한 계속적인 분석을 통해 과학 교육의 질적 향상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achievement of science affective domain. Achieve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rades and gender was analyzed. The number of students who responded the questionnaire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was 595, consisted of 172 elementary school students, 193 middle school students and 23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ame city. The students answered were 302 boys and 293 girls. The questionnaire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developed by Hyo-Nam Kim and her colleagues was us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cognition of science, interest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86.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fth graders showed the highest achieve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and the tenth graders were follow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e lowest achieve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aim. Second, the boys showed higher achieve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than girls. To maintain interest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 of students 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is necessary. Especially to increase girl`s and middle schoolers` achieve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science teaching should consider affective domain of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자녀의 발레 콩쿠르를 지원하는 학부모의 인식 : 문화센터의 유아동 발레 작품반 참여 사례 연구

        김수연(Kim, Sue-Yeon),원영신(Won, Young-Shin),정원정(Chung, Won-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문화센터의 발레 작품반 수업을 통해 콩쿠르에 참여한 유아 및 아동의 사례를 선정하여, 취미로 발레를 배우면서 콩쿠르까지 참여하게 된 과정의 경험과 의미에 대해 학부모의 인식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서울소재 H백화점 문화센터 작품반에 참여하는 유아 및 아동의 학부모 5명을 대상으로 단체면담 및 개별심층면담을 통한 질석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사례 별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의미를 해석하였다. 결과 문화센터의 발레 수업 참여 배경으로는 취미로 발레를 배우기에 충분한 교육기관, 학부모의 시간을 활용하기에 적절한 공간, 신체활동의 일환으로 선택한 발레, 예쁜 몸·바른 자세 다지기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작품반 활동을 통한 콩쿠르 참여 경험의 의미는 부모 주도 선택에서 자녀 주도적 활동으로의 이행, ‘보여지는 나’를 위한 자녀의 즐거운 노력, 선생님 덕분에 찾아온 기회, 품 안의 자식, 무대 위 우뚝 선 모습을 바라봄, 우물 안 개구리라도 괜찮아 결과가 도출되었다. 자녀의 발레 콩쿠르를 지원하는 학부모의 인식은 유아동기 교과목으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는 발레, 콩쿠르 참여로 인한 자녀의 성과 : 도전정신과 자신감, 취미 또는 전공의 결정 요인 : 자녀의 재능과 의지·타고난 몸·엄마의 지원 여건의 결과가 나타났다. 학부모에게 있어서 자녀의 발레를 지원하는 것의 의미는 자녀를 위한 시간적 투자 및 활용적 특면, 예체능 교육 지원 및 대리만족, 자녀의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기회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첫째, 현재 공교육 기관에서 시행되는 특별활동이 학부모들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문화센터와 같은 기관에서는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유아 및 아동에게 예체능 교육을 지도함에 있어, 교육 내용 뿐 아니라 참여자의 동기를 부여하고 새롭게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장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에게 있어서 입시에 필요한 교과목 뿐 아니라 예체능 및 취미 활동까지 포함한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사회 전반의 인식이 개선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학부모에게 있어 자녀의 발레를 지원하는 것은 자녀의 어린 시절을 좋은 경험으로 채워주고 싶은 부모의 마음이자 적극적인 소통의 양육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녀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cases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through the ballet art class at the Cultural Center, an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parents about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process of learning ballet as a hobby and their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Methods This study applied a qualitative case metho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and meanings of parents who support their children s ballet competition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five parents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work class at the a private Cutural Center in Seoul. Results Cultural center s background for participation in ballet classes is as follows: An educational institution sufficient to learn ballet as a hobby, An appropriate space to use the parents time, A ballet selected as part of physical activity, A beautiful body and good fit, and the results of tightening posture. As for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through work class activities: The transition from parent-led selection to child-led activities, Children s joyful efforts for ‘the visible myself’, Opportunities that came thanks to teachers, Looking out to be pround of the children on the stage, It was okay to have ‘a frog in the well’. Parents perceptions of supporting their children s ballet competitions: Ballet that has sufficient value as 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Children s achievements from participation in the competition: challenge spirit and confidence, Hhobbies or major determinants: child s talent and the will, the innate body, and support of the mother. And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For parents, the meaning of supporting the child s ballet:It is an investment in a time dimension and it is also useful, Support for arts and sports education and vicarious satisfaction, An opportunity to discover and understand another aspect of the child.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so that the special activities currently implemented in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can meet the needs of parents, and institutions such as cultural centers must make continuous efforts to provide quality educational services. Second, in instructing arts and sports education to infants and childr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not only educational content but also a place to motivate participant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new challenges. Third, the overall perception of society should be improved so that students can enjoy leisure activities including not only subjects required for entrance exams, but also arts and sports and hobbies,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for this. Fourth, for parents, supporting their children s ballet can be said to be a parent s desire to fulfill their children s childhood with good experiences and a nurturing process of active communication, and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hat they can better understand their children.

      • KCI등재

        공부하는 엄마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경험

        김수연(Sue-Yeon Kim),박휴경(Hyu-Kyoung Park),원영신(Young-Shin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는 체육계열 엄마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경험을 분석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방법 이를 위해 박사과정 재학 당시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다섯 명의 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과 비구조화된 면담을 이용하여 2차례 심층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법으로 분석하여 반복적 검토 과정을 거치며 범주화하였으며, 해석적 분석을 통해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결과 엄마 대학원생의 경험은 다음 세 가지 주제로 대표되었다. 첫째, 학위취득과정에서 다중역할을 수행함에 따른 고충과 대처방안을 분석하였다. 먼저 이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자녀와 관련된 문제이며, 어려움을 겪게 되는 주요 원인은 부족한 시간과 부정적 정서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생존전략에는 주변의 지원 여부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계열 엄마 대학원생으로의 경험은 체육계열 대학원의 특성(이론과 실기 병행⋅남성 비중 높음⋅엄마 대학원생 비율 낮음⋅대학원외 업무 많음⋅공동 프로젝트 많음⋅선후배 위계 문화)에 따른 고충과 대처방안을 분석하여 ‘도움과 노력으로 쌓아가는 작은 성공’으로 범주화하였다. 셋째, ‘공부하는 엄마’의 의미는 ‘자녀에게 비춰지는 긍정적 면모’, ‘양육자로서의 긍정적 측면’, ‘자녀의 이해가 필요한 부분’, ‘자녀에 대한 우려 극복하기’의 네 가지 측면으로 해석되었으며, 특히 자녀의 교육적 측면에서의 긍정적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공부하는 엄마 대학원생들의 학위취득과정은 많은 고충에도 불구하고 성취할만한 가치가 있음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있는 도전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주변의 도움을 받으며 감당할 수 없는 부분은 포기하고 현실을 받아들이는 과정 속에서 자신만의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 어려움을 극복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갈등요인을 줄일 수 있도록 실제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학계의 발전 및 양성 평등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is research analyzed the physical education mother graduate student’s multiple role performance experience that raise her child. Methods For this research, 5 participants with their experience of rais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their doctor course were recruited, and perform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Results Mother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were represented by following three topic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mother graduate students’ greatest concerns were matters related to their children (no trust-worthy person to care for their children, mother’s vacancy), and the main cause of their difficulties was insufficient time (situational contexts, insufficient support from people around them), and the factor reinforcing their difficulties was negative emotions (uncertain future, the identity conflict between ‘mom’ and ‘graduate student’, and fear of negative gaze from people around them).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mother graduate students’ survival strateg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support from people around them. Second, the experiences as PE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small success built with help and effort” Third, the meaning of ‘studying mother’ had a meaning encompass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is was interpreted in four aspects of ‘positive aspect considered by their children’. ‘positive aspect as parent (main care-giver)’, ‘part requiring the children’s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concerns about their children’, and especially, positive influence of studying mother on their children was identified in the children’s educational aspect. Conclusions Studying mother graduate students’ degree acquisition process can be understood as a challenge having more meaningful in that it is worth to achieve despite plentiful hardships, and it could find that mother graduate students were overcoming difficulties in finding their own efficient ways in the process of giving up what they could not handle while being helped from people around them, and accepting real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