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위부 위암에서 위절제술 후 위재건술식에 따른 잔위기능 및 영양 증상학적 삶의 질 비교

        김성근,김영균,허윤정,송교영,김진조,진형민,김욱,박조현,박승만,임근우,김승남,전해명,Kim, Sung Geun,Kim, Young Kyun,Heo, Youn Jung,Song, Kyo Young,Kim, Jin Jo,Jin, Hyung Min,Kim, Wook,Park, Cho Hyun,Park, Seung Man,Lim, Keun Woo,Kim, Seu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목적: 하부 위암의 절제술 후 각각의 재건술에 따른 환자의 위배출시간과 영양상태, 덤핑 증후군의 발생정도를 비교하여 환자의 증상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원위부 위암으로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2003년 1월 한 달간 외래에서 술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환자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십이지장문합술을 받은 환자(이하 B-I군)는 51명, 위공장문합술을 받은 환자(이하 B-II군)는 71명이었다. 위배출검사는 동위원소 검사법을 이용하여 T1/2값을 얻어 비교하였고, 식사 횟수와 양, 체중감소 정도를 비교하였다. 수술 후 복부증상을 비교하였으며, 덤핑증후군은 Sigstad score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의 T1/2값은 B-I군에서 지연되어 있었다($159.4{\pm}31.0min$). 12개월 후에는 B-I군의 위배출시간이 빨라져 B-I군과 B-II군 사이의 위배출 시간의 차이가 없어졌다. 식사 횟수는 각 군 간의 차이가 없었고 일회식사량은 수술 전과 비교해 보았을 때 6개월째는 각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12개월에는 B-I군이 B-II군에 비해 식사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38). 수술 후 체중은 B-I군이 B-II군에 비해 체중감소가 의미있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3). Sigstad dumping score는 B-I군에서 6개월째에는 7.6점, 12개월째에는 3.4점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덤핑 증후군의 빈도가 감소하나 B-II군에서는 시간의 경과해도 덤핑 증후군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원위부 위암환자에서 근치적 수술이 가능한 한도에서는 Billroth I 술식이 체중감소가 적고, 복부 증상도 적게 나타났으며 덤핑증후군의 빈도도 낮아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B-II 술식보다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roper reconstruction technique to use after a distal subtotal gastrectomy for a gastric carcinoma, there has been a subject for debated what is the proper reconstruction techniq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gastricemptying time and the quality of life following both B-I and B-II reconstructions after a distal gastrectomy for a gastric aden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122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distal gastrectomy for a gastric adenocarcinoma between June 1999 and July 2002 at our hospital. 51 patients underwent B-I group, and 71 patients underwent B-II group. To evaluate the gastric-emptying time, we analyzed the T1/2 time by means of radionuclide scintigraphy using a gamma camera after ingestion of an $^{99m}Tc$-tin-colloid steamed egg. The nutritional status was measured by the weight change. Postgastrectomy syndrome was evaluated using an abdominal symptoms survey. Dumping syndrome was measured using the Sigstad dumping score. Results: The gastric-emptying time was somewhat delayed in the B-I group after a 6 month perio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fter 12 month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less weight loss in the B-I group than in the B-II group (P=0.023). Fewer abdominal symptoms were occurred in the B-I group than in the B-II group. Dumping syndrome occurred less frequently in the B-I group than in the B-II group (P=0.013). Conclusion: In our study, the Billroth I reconstruction led to less weight loss, a better nutritional status, and a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e Billroth II reconstruction. We concluded that after a distal subtotal gastrectomy, the Billroth I reconstruction would be considered when the procedure is oncologically suitable.

      • SCOPUSKCI등재

        Randomwalk 이론을 이용한 Web 기반 동영상 프로그램의 개발

        김성근,김주래,우규환,Kim, Sung Geun,Kim, Ju Rae,Woo, Kyu Whan 대한화학회 1999 대한화학회지 Vol.43 No.4

        본 연구에서는 Randomwalk 이론을 이용하여 동영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보통 화학 교과는 원자, 분자와 같은 입자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아 이에 관한 학생들의 오개념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Randomwalk 이론을 도입한 동영상으로 분자 운동을 표현한 본 프로그램은 실제 분자 운동의 과정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JAVA 언어를 사용하여 Web 상에 프로그램을 구현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들 프로그램은 두가지의 프로그램으로 짜여져 있다. 하나는'Diffusion' 프로그램이며, 입자의 확산 과정을 실제와 같이 동영상으로 구현되도록 하였다. 또 다른 하나는 'Randomwalk' 프로그램으로 입자의 운동 과정에 대한 궤적을 표현함으로써 분자 운동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In this study, the simulation program using the randomwalk model is developed. Generally, students in the chemistry class have some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motion of atomic particles or molecules. And then, they have many mis-conceptions about the motion of molecules. This program expressed by the computer simulations using the randomwalk theory may help students to understand visually the process of molecular motion. This program can be used easily, because it is based on Web by application of JAVA languages. The program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Diffusion' program, expressing the process of molecular diffusion as a computer simulation. Another is 'Randomwalk' program, expressing the trajectory of molecular motion to help the students to follow the random motion virtually.

      • 한국인에서 DNMT3b 유전자 다형성과 위암의 감수성

        김성근,정헌,김신선,전경화,송교영,김진조,진형민,김욱,박조현,박승만,임근우,김승남,전해명,Kim, Sung Geun,Jung, Hun,Kim, Sin Sun,Jeon, Kyung Hwa,Song, Kyo Young,Kim, Jin Jo,Jin, Hyung Min,Kim, Wook,Park, Cho Hyun,Park, Seung Man,Lim, Keun Wo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목적: DNA 메틸화는 암 발생과정에 있어 중요한 기전 중 하나이다. DNA 메틸화는 DNMT (DNA methyltransferase)에 의해 매개되는데 이중 DNMT3b가 암세포에서 주로 암억제 유전자의 메틸화 정도롤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DNMT3b 유전자의 촉진자의 다형성과 한국인에서 위암발생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2월에서 2002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위암으로 진단받고 위 절제술을 받은 사람 중에서 176명과 같은 기간동안 내시경 검사를 시행했던 사람들 중 위암과 관련이 없는 경우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DNMT3b 촉진자 다형성은 연쇄효소중합반응과 제한분절 길이 다형성 분석으로 유전형을 관찰하였다. 위암 환자에서 대립유전자 및 유전자형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런 다형성이 한국인에서 위암의 감수성을 증가시키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결과: DNMT3b 촉진자의 유전형은 환자군에서 14.8% (CC), 71.6% (CT), 13.6% (TT)를 보였고, 대조군에서 40% (CC), 42.9% (CT), 17.1% (TT)를 보였다. CT 이종접합체군에서 약 4.5배(OR 2.13; 95% CI, 2.324~8.803), TT 동종접합체군에서는 약 2.2배(교차비 1.42; 95% 신뢰구간, 0.899~5.165)의 위암발생률의 증가를 보였다. T 변이체 전체로는 약 3.8배의 위험률 증가를 보였다(교차비 1.88; 95%신뢰구간 2.040~7.251). 위암의 병기나 조직학적 소견,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DNMT3b 촉진자의 다형성은 T 변이체에서 한국인에서 위암 발생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다형성과 위암의 병기, 조직학적 유형,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는 관련이 없었다. Purpose: DNA methylation is an important epigenetic factor in tumorigenesis. We hypothesized that polymorphism of the promoter of the DNA methyltransferase 3b (DNMT3b) genes, which are responsible for regulating the methylation status of tumor suppressor gene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to determine the role of this polymorphism of the promoter of DNA methyltransferase 3b (DNMT3b) genes in gastric cancer, we genotyped 176 cases and 70 control subjects. To determine the genotype, we used a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ssay. We compared alleles and genotyp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revealed an association of DNMT3b promoter polymorphism with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Results: Genotype frequencies were 14.8% (Cytosine-Cytosine), 71.6% (Cytosine-Thymine), and 13.6% (Thymine- Thymine) in the case patients and 40.0% (Cytosine-Cytosine), 42.9% (Cytosine-Thymine), and 17.1% (Thymine-Thymine) in the control subjects, respectively. Compared with CC homozygotes, CT heterozygotes had a 4.523-fold increased risk (OR, 2.13; 95% CI, 2.324~8.803), and the TT homozygotes had a 2.154-fold elevated risk (OR, 1.42; 95% CI, 0.899~85.165). For the T variant genotype (CT+TT), there was a 3.846-fold increased risk (OR, 1.88; 95% CI, 2.040~7.251). However, no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the genotype distributions of both polymorphisms according to histopathology, stage of stomach cancer. The Ssame results were observed with Helicobacter infection. Conclusion: DNMT3b promoter polymorphism, especially the T variant genotype, i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thean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 KCI등재

        항암화학요법치료 중 발생하는 오심과 구토의 관리

        김성근(Sung Geun Kim) 대한종양외과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8 No.1

        서론 : 항암화학요법 치료시 환자가 가장 두려워하는 증상이 오심, 구토이다. 또한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주고 치료의 연속성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항암제 유발 오심, 구토(chemotherapy induced nausea and vomiting, CINV)의 관리 및 치료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론 : CINV의 발생에는 serotonin 수용체, neurokinin-1 수용체 등 많은 수용체와 신경전달 물질이 관여하며 중추신경계의 구토중추의 자극에 의해 유발된다. 이러한 CINV는 급성, 지연성, 예기성 CINV로 구분되며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돌파성, 난치성 CINV가 발생하기도 한다. CINV를 유발하는 정도에 따라 항암화학요법제제는 고위험성, 중등도위험성, 저위험성, 최소위험성으로 나뉜다. 표준 진료지침에 따라 고위험성, 중등도위험성 항암제의 경우 예방과 치료가 필요하며 저위험성, 최소위험성 항암제의 경우 증상에 따라 치료하게 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약제로는 과거 metoclopramide와 dexamethasone이 쓰였으나 최근에는 5-HT3 수용체 길항제와 NK-1 수용체 길항제가 주로 쓰인다. 결론 : CINV는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하는 환자의 치료 순응성을 낮추는 가장 큰 요인이다. 이를 잘 관리하고 치료함으로써 적절한 치료를 지속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하며 삶의 질의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향후 CINV의 관리의 주 목표는 오심의 관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COVID-19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효과의 탐색 - 공간정보를 고려한 SEPIR모형의 활용 -

        김성근 ( Sung-geun Kim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3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의 효과를 분석해내기 위하여 본 연구는 공간정보를 고려한 SIR 모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였다.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무엇보다 시민들의 정책순응에 기초한 정책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이러한 정책순응의 정도와 COVID-19의 확산정도를 구현하는 모형을 구성하고 추정한 결과 시민들의 정책순응 정도는 COVID-19의 확산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왔지만, 이러한 효과는 이동량의 감소가 아니라 직접적인 접촉의 감소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발견하였으며, 정책적으로 개입가능한 변수로서 확진자 검사 확률이 다른 모형의 모수들과 관계없이 강건하고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다는 점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COVID-19의 부정적 결과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은 무엇보다 시민들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줄이는데 초점을 두어야 하며, 덧붙여 확진자 검사확률의 제고를 위한 접촉추적 정책의 지속적 집행이 요구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impact of social distancing policy for COVID-19, a spatially explicit SIR model is utilized. Deducing from the fact that social distancing policy can only be effective under citizen compliance, the model is designed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ompliance and COVID-19 spread. From the simul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citizen compliance significantly affect the spread of disease, not by bringing down population mobility, but by diminishing personal contacts. and the probability of testing a infected person, which can be modified by policy intervention, is robustly effective variable for reduced disease transmission. Thus, it is argued that the focus of COVID-19 should be both minimizing personal contacts, and contact tracing for improving the probability of testing infected.

      • 사회통합지수의 지역간 차이와 지역별 사회통합 증진방안 연구

        김성근 ( Kim Sung-geun ) 한국행정연구원 2018 기본연구과제 Vol.2018 No.-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본 연구는 사회통합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지식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사회통합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 연구가 국제비교에 집중되어 있다는 깨달음에서 출발하였음. ○ 사회통합 관련 국제비교는 현재 우리의 상황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필요한 연구이긴 하지만 국제비교에서 얻을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매우 간접적이고, 대부분 상당히 광범위한 영역에 관한 것이라 직접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얻기가 어려운 현실임. □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사회통합을 측정을 참고하여 사회통합 개념을 구체화하는 작업부터 시작하였음. ○ 이 과정에서 사회적 포용(social inclusion),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사회의 질(social quality), 사회적 보호(social protection), 역능성 (capability) 등 다양한 하위 개념들에 대한 논의를 확인할 수 있었음 ○ 문제는 이러한 개념들 간 구분이 쉽지 않고, 각각의 하위 경험적 지표들을 확인해 보면 사실상 개념들의 구분이 상당히 어려워진다는 점임 ○ 이 모든 개념들을 포괄하면 이론적으로 타당성이 높은 지표를 구성할 수는 있지만, 사실상 사회현상과 관련된 거의 모든 변수를 포함해야 하는 사실에 직면함 □ 본 연구는 사회통합의 개념을 최대한 좁히고, 주관적 인식을 측정한 지표가 아닌 객관적 지표들만을 활용한다는 목표 하에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다양한 이론적 차원과 경험적 지표들을 정리하였음. ○ 이는 무엇보다도 지역별 사회통합지표를 도출한다는 목표 때문이었는데, 측정하려는 대상 지역 규모가 작아질수록 주관적 인식에 관한 지표는 취득이 어려울 뿐 아니라 그 의미도 모호해지기 때문임. 2. 이론적 검토 □ 사회통합을 어떻게 정의할 것이냐에 대한 이론적·현실적 논의들은 수렴되는 경향을 보이지 않고 있음. ○ 여러 학자들의 논의를 종합한 최근의 사회통합지표 관련 연구들에서도 단일의 개념 합치적 지표를 구성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움. ○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정책적으로 유용성이 높은 지표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개념적 차원들을 축약한 하나의 완결된 지표로 통합하는 것과는 다른 방향의 접근이 필요함. ○ 사회통합 개념의 범위를 설정할 때 가능한 이념적 가치지향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측면에서만 측정해야 한다는 견해들이 나오기 시작하였음. □ 본 연구는 사회통합 측정을 위한 지표들은 크게 사회적 포용과 사회적 자본의 두 가지 하위 개념에 상호배타적으로 포함시키고자 하였음. ○ 사회적 포용 영역은 사회적 배제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고 있고, 조건을 나타내는 지표들과 도달된 상태를 측정하는 지표들로 구분하여 측정되어 왔음 - 이때 조건과 관련된 지표들은 객관적인 측면에서 측정되었고, 상태를 측정하는 지표들은 사회구성원들의 주관적인 평가에 근거하여 측정되었음. ○ 사회적 자본 역시 조건지표와 상태지표로 구성되어 있고, 전자의 경우 기존 연구들은 사회구성원의 참여에 관련한 여러 가지 측정 지표들을 제시하였음. - 사회적 자본에 포함되는 상태 지표들은 주로 ‘신뢰’라는 규범적 가치를 개개인의 평가를 통해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음. □ 지역사회 단위의 사회통합지수 관련 연구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음 ○ 많은 연구들이 지역사회통합 지표를 개발하고, 실제 지표의 수치를 구하는 과정에서 주로 광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였음 ○ 지역사회통합지표가 개발되고 측정되는 과정에서 기존 연구들은 주관적인 지표에 대한 활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지속적으로 강조 3. 연구설계 □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정리한 자료를 관련 전문가들과의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회통합을 사회적 포용과 사회적 자본의 2개의 차원으로 구성하였고, 총 17개의 경험지표를 도출하였음. ○ 사회적 포용에는 노동, 소득, 건강, 주거, 가족, 복지, 지역이라는 하위 차원을 포함시킴. - 노동 차원은 경제활동참가율과 장애인 고용률, 소득차원은 기초생활 보장제도 수급자비율, 건강차원은 연간 미충족의료율, EQ-5D 주거 차원은 주택월세 통합가격지수, 가족차원에는 노인단독가구비율, 복지 차원에는 일반회계 중 복지예산 비중, 지역차원에는 재정자립도 지표를 포함시킴. ○ 사회적 자본에는 참여, 관용, 신뢰, 기타의 하위차원을 포함시킴 - 참여 차원은 제 6회 지방선거 투표율, 각종사회활동 참가율, 관용차원은 부양인구비, 정신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신뢰차원은 조이혼율, 맞춤형 복지비 예산비중, 기타 차원은 순이동인구, 1인가구 비율지표를 포함시킴 □ 지역 사회통합지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분석의 명확성과 해석의 용이성을 위하여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에서 주로 사용하는 변수선택 모형을 활용하여 17개의 지표 중 6개의 지표를 선택하였음. ○ 변수선택모형은 17개 지표들의 모든 조합을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수행하여 모델의 데이터 적합성을 고려하여 변수를 선택하는 방법임. ○ 최종분석에서 사용된 지표는 사회적 포용 차원에서 경제활동참가율,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비율, 사회복지예산비중, 재정자립도와 사회적 자본 차원에서 투표율, 사회적 활동 참가율의 6개 지표임 4. 분석결과 □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도출된 서열변수로 구성된 지역 사회통합지표를 지도상에 나타내고 공간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사회통합 조건에 있어 유사하거나 상이한 수준의 지역들 군집을 구분하였음. ○ 대도시 주변과 강원도 지역에서 사회통합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들이 모여있는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음 ○ 서울과 맞닿아있는 수도권 지역과 서울은 특별한 차이 없이 균등한 지역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서울과 맞닿아있지 않은 경기지역이나 충남지역의 경우는 대체로 사회통합 수준이 높은 지역에 둘러싸여 있는, 사회통합지표가 낮은 지역의 군집이 발견되기도 함 □ 앞서 소개한 6개 지표 중 하나의 지표 수치가 변할 때 전반적인 사회통합지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분석을 시도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경제활동참가율 지표는 사회통합에도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인 분포에 고른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 - 경제적 활동 참가율이 증가했다고 가정했을 때, 경제적 활동 참가율이 일정한 수준 이하로 나타나는 지역들의 경우 사회통합지표가 급격한 변화를 경험함. ○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을 변화시켜본 결과, 전반적인 사회통합의 균등화를 가져오는데 가장 직접적인 효과를 미침 - 특별히 광역시 이외의 넓은 농촌 지역에서 이 지표의 변화는 사회통합지수를 상당히 균등화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을 변화시켜본 결과, 전반적인 사회통합의 균등화를 가져오는데 가장 직접적인 효과를 미침 - 특별히 광역시 이외의 넓은 농촌 지역에서 이 지표의 변화는 사회통합지수를 상당히 균등화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을 변화시켜본 결과, 전반적인 사회통합의 균등화를 가져오는데 가장 직접적인 효과를 미침 - 특별히 광역시 이외의 넓은 농촌 지역에서 이 지표의 변화는 사회통합지수를 상당히 균등화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을 변화시켜본 결과, 전반적인 사회통합의 균등화를 가져오는데 가장 직접적인 효과를 미침 - 특별히 광역시 이외의 넓은 농촌 지역에서 이 지표의 변화는 사회통합지수를 상당히 균등화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을 변화시켜본 결과, 전반적인 사회통합의 균등화를 가져오는데 가장 직접적인 효과를 미침 - 특별히 광역시 이외의 넓은 농촌 지역에서 이 지표의 변화는 사회통합지수를 상당히 균등화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을 변화시켜본 결과, 전반적인 사회통합의 균등화를 가져오는데 가장 직접적인 효과를 미침 - 특별히 광역시 이외의 넓은 농촌 지역에서 이 지표의 변화는 사회통합지수를 상당히 균등화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을 변화시켜본 결과, 전반적인 사회통합의 균등화를 가져오는데 가장 직접적인 효과를 미침 - 특별히 광역시 이외의 넓은 농촌 지역에서 이 지표의 변화는 사회통합지수를 상당히 균등화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을 변화시켜본 결과, 전반적인 사회통합의 균등화를 가져오는데 가장 직접적인 효과를 미침 - 특별히 광역시 이외의 넓은 농촌 지역에서 이 지표의 변화는 사회통합지수를 상당히 균등화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을 변화시켜본 결과, 전반적인 사회통합의 균등화를 가져오는데 가장 직접적인 효과를 미침 - 특별히 광역시 이외의 넓은 농촌 지역에서 이 지표의 변화는 사회통합지수를 상당히 균등화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을 변화시켜본 결과, 전반적인 사회통합의 균등화를 가져오는데 가장 직접적인 효과를 미침 - 특별히 광역시 이외의 넓은 농촌 지역에서 이 지표의 변화는 사회통 합지수를 상당히 균등화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 사회복지예산의 비중이라는 지표를 변화시켜본 결과 사회통합조건이 안 좋은 조건에 있는 지역에서만 사회통합조건이 크게 변화하였고, 여타의 지역은 변화가 없었음. ○ 재정자립도의 경우 직접적인 지표의 변화가 없는 지역에서도 사회통합지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변화의 폭도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남 ○ 투표율의 경우 주로 사회통합지표가 상당히 낮은 지역의 경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반면, 전반적인 사회통합지표의 개선에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음 ○ 사회적 활동 참여율은 주로 전반적인 사회통합의 수준을 평준화시키는 식으로 작동하였는데, 사회통합의 수준이 낮은 쪽에서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음. ○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사회통합 수준이 그 하위 지표들의 선형적 결합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라는 점을 보여줌 □ 다음으로 본 연구는 사회통합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고,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인 문제라고 지적되는 자살률의 지역적 차이를 설명하는데 사회통합지표를 활용해보고자 시도하였음. ○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적 자본, 사회적 포용, 인구학적 변수 차원으로 나누고, 사회적 자본은 정신병사망률, 조이혼율, 우울증 발현율의 변수로 사회적 포용은 노인부양비, 고용률의 변수로, 인구학적 요인 차원의 변수는 평균연령, 1인가구, 건강삶의질, 고령인구비율로 구성하여, 공간회귀분석에 투입하였음 - 회귀분석 모형은 공간더빈모형(sptial Durbin model)을 활용하고,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지역사회통합지표를 명목변수로 전환하여 투입하였음. ○ 분석결과, 사회통합이 높은 지역에서는 자살률이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나 사회통합지표는 자살률과 부적이면서도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다는 점을 보여주었음. ○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은 지표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발견은 본 연구의 이론적, 경험적 토대가 타당성을 갖는다는 점을 보여줌. 5. 개선방안 □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하여 각 지역의 사회통합 수준을 보다 평준화시키는 데에는 사회복지 예산 비중, 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이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줌 - 사회복지 예산 비중이 높고, 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이 낮다는 것은 그 지역사회가 전반적인 사람들의 삶의 질(well-being)을 개선하는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둔다는 의미와 상통하는 것이기 때문임. □ 시민들의 적극적 참여 조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 경제적 활동 참가율, 사회적 활동 참가율, 투표율은 사회통합수준이 낮은 지역의 사회통합수준을 높이는데 효과적임. ○ 경제적 활동 참가율을 증진하기 위해 경제적 활동을 계속할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음 - 일자리에 초점을 두기보다 실질적으로 사람들이 가용한 자원을 얼마나 있는가에 주목해야 함. ○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한 이용 가능성 이외에 지방선거의 중요성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보다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음. ○ 사회적 활동 참가율의 경우는 광범위한 측면에서 사회적 활동 참여를 장려해야 하고, 장기적으로는 사람들의 참여역량 증진을 목적으로 해야 하겠지만, 단기적으로는 각종 시민사회단체의 열악한 조직 및 운영의 개선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자율성 확대 ○ 재정자립도는 전반적인 사회통합정도를 높이는데 상대적으로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음 ○ 재정자립도가 단순히 지방세가 일반회계에서 차지하는 비중만이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가 거기 사는 주민들의 욕구에 맞게 재정을 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측정하는 지표라는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가 활용할 수 있는 재정 권한을 점차적으로 인정해나가는 작업이 필요함. □ 지역 중심 정책초점의 필요성 ○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있어 중앙정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더라도 그 정책대상을 파악하는 차원에서는 지역 중심의 사고를 가질 필요가 있음 ○ 지역 중심의 정책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각 지역의 특성을 측정한 통계치가 체계적으로 생산되고 관리될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해, 현재 존재하는 통계청, 지방통계청과의 협업을 강화하면서도 지자체 스스로의 통계 전담조직과 인력, 예산을 확보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매우 중요함 Although more studies are needed in Korean society, where social cohesion seems to be recognized as an essential element for social development, many attempts to measure social cohesion have paid attention to international comparison almost exclusively. However, in order to make a policy that facilitates social cohesion more effectively, it is certain that we need more than international comparison. What is required for good social cohesion-inducing policy, in other words, is a measurement of social cohesion with an embedded geographical dimension, because social cohesion ultimately has to begin with physical proximity. This study thus attempts to determine a social cohesion measurement for 250 regional governments. To make a theoretical framework, we reviewed previous research on social cohesion measurement, and found that many overlapping concepts, such as social inclusion, social capital, social quality, or capability, are used to measure the construct. But, more importantly, it was realized that an endeavor to incorporate all these concepts was not a productive exercise, because clear theoretical distinction among them was extremely hard. So, it was concluded that a better approach is to construct a measurement that is less theoretically consistent, but more empirically justifiable, especially focusing on objective indicators. For constructing a regional social cohesion index, 17 indicators were chosen over two dimensions of social cohesion - social inclusion and social capital, considering their contributions to measuring each concept. After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variable selection in a latent profile analysis, the number was paired down to six, and these six indicators - economic participation rat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beneficiary ratio, the budget proportion of social policy in each regional government, financial independence, voting ratio, and social participation rate - are used to construct social cohesion indicators by latent profile analysis, which makes it possible to calculate a composite index from a group of indicators without going through the discussion on relative weights for each indicator. Using this newly constructed index, a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is firstly conducted to find that there are several clusters of social cohesion, in which regions with low social cohesion index are concentrated. Secondly, a simple simulation study is done, in which each indicator in the index is assumed to be increased by approximately 5%, in order to show the new index’s performance. In the simulation, it was found that each indicator contributes to changes in the social cohesion index in a nonlinear way, and concluded that different approaches are needed for a proper policy implementation for social cohesion improvement in different regions. Finally, to demonstrate the theoretical validity of the index, a spatial econometric analysis for suicide rate was done, since suicide is considered to be closely connected to social cohesion, according to Durkheim’s findings. By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cohesion index is a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that negatively affects the phenomenon. It cannot be deemed conclusive, but it can still be said that the exercise, at least, points to the fact that the new index is a good candidate for precise measurement of regional social cohesion. As a conclusion, four policy suggestions are discussed: 1) polic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needs to be reinforced, 2) conditions for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in both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should be facilitated, 3) more financial discretion for regional government is required, and 4) more region-focused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is crucial.

      • KCI등재

        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 후 간 기능의 변화

        김성근(Sung Geun Kim),송교영(Kyo Young Song),김승남(Seung Nam Kim),박조현(Cho Hyun Park) 대한외과학회 2007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2 No.1

        Purpose: There is concern about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n hepatic function due to increased intraabdominal pressure during pneumoperitoneum. The changes in hepatic function following a laparoscopy 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and conventional open distal gastrectomy (ODG) for gastric cancer were compared. Methods: Between July 2004 and May 2005, 60 patients diagnosed with early gastric cancer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30 each having undergone LADG and ODG were studied. The levels of alkaline phosphatase (ALP), total bilirubin (TB), aspartate transferase (AST) and alanine transferase (ALT)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t 24 and 72 hour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age, sex, body mass index and preoperative hepatic function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operative times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the LADG than the ODG group (298 vs. 184 minutes, P<0.000). There was no postoperative hepatic failure or mortality in either group. The levels of ALP decreased, but those of total bilirubin remained unchanged from the preoperative baselines in both group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a LADG, the levels of AST and ALT increased 3.7 and 3.5 fold 24 hours after surgery, whereas after an ODG, the levels of AST and ALT increased 1.9 and 1.5 fold. In the LADG group, the levels of AST and AL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ODG group (P<0.05), but returned close to the baseline levels within 72 hours. On the third postoperative da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AST and ALT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After a LADG, the levels of hepatic transaminases were immediately elevated, but returned to normal levels within 72 hours. A LADG with prolonged pneumoperitoneum is considered safe in patients with normal liver function prior to the operation. In addition, to evaluate the safety of a LADG in the patients with decreased hepatic function, a large scaled randomized prospective trial will be required.

      • KCI등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업무부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기반 연구

        김성근(Kim, Sung-Geun) 서울행정학회 2017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8 No.1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과중한 업무부담에 대한 정책대응은 계속되어 왔지만, 정작 그 업무부담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질적인 논의는 많지 않았다. 하지만 사회복지 업무는 계속해서 증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이 업무부담을 보다 세밀하게 추적하여 더 효과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동주민센터에 근무하는 전담공무원들과의 면담결과를 근거이론에 기반해 분석하여, 이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업무부담이란 어떤 것인가를 정확하게 묘사하려고 시도하였다. 서울지역과 서울 이외 지역 전담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서울지역의 경우 사회복지 서비스 대상자들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같이 근무하는 일반행정직 공무원들과의 상호작용이 업무부담과 가장 강하게 연결되는 요소로 나타났으며, 서울 이외 지역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입장이 일반행정직과 같지않다는 점에 대한 이해가 별로 없다는 점에서 출발하여 업무를 진행하는 상황 자체에서 겪는 어려움이 업무부담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은 무엇보다도 이들 업무의 질적인 성격, 즉 서비스 대상자들과의 면대면 상호작용과 다른 일반행정직 공무원과의 관계 등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별도의 서비스제공 조직을 설계하는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A lot of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severe workload of public social workers, and many policies are initiated to ameliorate the problem. However, relatively few information has been disseminated on what exactly the burden means to the social workers themselves, other than the quantitative aspect of their job. By an analysi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I try to describe how the social workers perceive their work and how they relate the perception to different aspects of their job environment. It turns out that the public social workers in Seoul area see both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and the clients and between them and other colleagues holding general administrative duties as an important source of job burden. On the other hand, I find that the workers in area other than Seoul think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m and people in general administration, and it is not well acknowledged. Both of th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make a more effective policy intervention, it is required to make a more qualitative change in the social service administration, specifically in the wa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orkers and clients, or their colleagues, should take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