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클립을 이용한 눈깜빡임과 시각적 주의력과의 상관성 연구

        김성경,강민,강건주,박수지,신영석,장동표,Kim, Sung Kyung,Kang, Min,Kang, Geon Ju,Park, Sujie,Shin, Young Seok,Jang, Dong Pyo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4 의공학회지 Vol.35 No.4

        Generally, human eye blink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gnitive state or visual attention such as attentional requirements on visual stimuli. Thes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eye blinks are related to explicit visual attention using blink rate, pattern and blink timing across subjects. However, these results have been obtained in a well-controlled experimental settings. So, it would prove difficult to investigate human's natural response in a continuous and realistic situation. In our study, we measured the eye blink intervals while participants viewed a movie clip. And we analyzed the blink interval data for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ttention and eye blink intervals. 24 participants took part in two experimental sessions, first session to measure the IEBI while viewing the movie clip and second session to conduct a memory performance test using a self-questionnaire, which were spaced 3 weeks apart.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ly higher memory performance at long IEBI period than short IEBI period while watching a movie clip(t = 3.257, df = 17, p < 0.005, 2-tailed). In addition, memory performance sco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EBI value(spearman's rho = 0.40, N = 36, p < 0.01, 2-tailed). Our results suggest that IEBI is used to measure or assess visual attention while wiewing the movie that it is capable of simulating aspects of real-life experiences by visual attention. Thus, we expect IEBI to be used to measure or assess our visual attention, cognition, further emotion about not only movies, advertisements and other cultural contents but also cognitive science.

      • KCI등재

        ‘민족-영화’ 개념의 변천 : ‘조선영화’에서 ‘코리안시네마’까지

        김성경 ( Kim Sung-kyu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7 탐라문화 Vol.0 No.56

        이 글은 ‘영화’를 실체로 정의하는 것에서 한걸음 벗어나 ‘개념’으로 접근하려는 시도이다. ‘영화’라는 문화기술적 매체가 조선으로 수입되면서 함께 전파된 ‘영화’라는 개념의 궤적을 추적함으로써, 기술 혁신에서 서사 매체, 그리고 문화 산업으로의 전환된 ‘영화’의 개념적 경로를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이라는 지정학적 위치에서의 ‘영화’는 영화가 수입된 시기부터 지금까지 보편적 ‘영화’, 즉 영화의 기준이 되어 버린 할리우드와의 대립과 모방 사이에서 개념적 분화가 계속되고 있다. 예컨대 '영화' 수입 초기에는 형식과 형태는 모방 대상으로 하면서도 내용이나 서사에서는 '차이'를 강조하며 ‘조선영화’, ‘국산영화’, ‘방화’ 등의 개념을 구축하였다면, 20세기 말부터는 내용이나 서사의 차이 또한 희미해지고 오히려 산업적 가치에 주목하여 ‘한국’ 경제의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으로서 ‘한국영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조하는 ‘코리안시네마’ 등의 개념이 등장하게 된다. 개념사적 방법을 통해 ‘민족-영화’의 개념을 살펴보는 것은 식민-독립-전쟁-산업화-민주화 등의 역사적 국면을 거친 현재 한국에서 ‘영화’의 역사적 기원과 변천 과정을 통시적으로 접근하려는 시도이며, 동시에 역사적으로 구성되는 ‘민족-영화’ 개념의 불균등성과 불완정성을 확인하려는 작업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approach ‘film’ as a concept. As ‘film’ was imported to Choseon as a cultural medium, the concept of film was also transmitted to Korean peninsular from Japan. That is, film as a concept has gone through the trajectories of being a symbol of modernity, narrative medium, and finally culture industry. It has to be said that the concept of ‘film’ in Korea has been located in the dichotomy between Hollywood, the universal form of film, and local film. Film in Korea constructed itself as mimicry of Hollywood in terms of form and style in the beginning of the film history whereas it also formulated distinctive features in narrative and content by emphasizing ‘differences’ from the Hollywood. However, in recent years, those differences have faded away. Rather Korean film tries to construct its own identity from its industrial strength in both domestic and global market. Given this, conceptual history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how ‘ethnic/national-film’ and its conceptual meanings have been developing in each historical conjuncture of the colonial, independence,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 KCI등재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원거리 모성

        김성경(Kim, Sung Ky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7 문화와 사회 Vol.23 No.-

        이 글은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모성을 친밀성과 수치심이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통해서 분석한다. 1990년대 중반 북한의 식량난을 기점으로 북한 여성의 역할은 전통적인 ‘어머니(mother)’에서 ‘가족부양자(breadwinner)’로 변화되었다. 본 글은 중국과 한국으로 이주해 온 북한 여성이 공간적 거리와 합법과 불법의 경계를 어떤 방식으로 넘나들며, 자녀와의 친밀성을 재구성하는지 살펴본다. 이동하는 북한 여성과 본국(혹은 제3국)의 자녀 사이에는 초국적 연결망이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모성’, 즉 원거리 모성 실천을 구성해낸다. 하지만 전통적 모성이데올로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북한 여성은 공간적으로 자녀와 함께 하지 못한다는 죄의식을 경제적 부양으로 보상하려하고, 송금을 통해서 자존감이나 자긍심을 (재)구성한다. 북한 여성의 또 다른 삶의 전략은 자녀와의 거리두기 혹은 무관심과 같은 전복적이면서도 해체적인 모성 실천을 통해 일반적인 ‘어머니’가 아닌 새로운 정체성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 여성이 특정 방식의 대안적 모성 실천을 수행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북에 혹은 제3국에 남겨둔 자녀의 삶을 자신의 책임으로 받아들이면서 수치심으로의 감정 전이를 경험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동하는 북한 여성이 느끼는 수치심과 같은 도덕 감정은 그녀들이 윤리적 존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예견한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motherhood of mobile North Korean women in terms of intimacy and sense of shame. At the point of the economic crisis so-called the Arduous March in the mid of 1990s, the role of North Korean women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mother to breadwinner. In this context, this paper would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North Korean migrant mothers reconstruct intimacy with their children by intersecting the boundary between legality and illegality and geographical territories. It has to be said that there are layered transnational networks between North Korean migrant mothers and children back home, and the women tend to formulate a new type of motherhood, that is distant motherhood. However, traditional motherhood ideology let them have the feeling of guilty towards their distant children. In order to cover up the gap between their reality and motherhood ideology, North Korean migrant mothers compensate their absence with financi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and remittance, in this context, has become a significant symbol for their pride. Anther mothering practice would be ‘emotionally distancing’ or indifference towards their children that could be interpreted as a new form of identity distinguished from being ‘traditional mother’. This research argues for the emotional transition to the sense of shame from merely alternative mothering practices among North Korean migrant mothers. It would suggest that mobile North Korean mothers and their morality especially the sense of shame bring possibilities for them to become an ethical being.

      • KCI등재

        내용분석에 따른 우리나라 가출청소년 관련 연구동향 연구: 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2001-2010)

        김성경 ( Sung Kyung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가출청소년 관련 논문을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한국학술정보의 검색사이트에서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여 총 43개 학술지의 98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용분석법에 따라 연구내용, 연구대상자, 연구방법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그 분석틀에 따라 연구대상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내용 분석틀은 4개 영역, 10개 유형으로 개발되었고, 연구대상자 분석틀은 7개 유형, 연구방법 분석틀은 6개 유형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지난 10년간 논문에서 연구내용은 개입 영역 37.8%, 원인 영역 29.1%, 문제 영역26.0%, 기타 7.1%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가출 및 재가출의 원인,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정서문제 및 정신건강, 시설 운영 및 평가 순으로 연구가 이뤄졌고, 연구대상자는 쉼터 청소년, 일반 청소년, 일반청소년+쉼터청소년, 서비스 제공자 순으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설명적 연구, 질적 연구, 통계DB분석, 실험연구 및 문헌연구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가출청소년 연구의 경향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 및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98 articles on runaway youth to conduct a content analysis in Korean journals from 2001 to 2010. 98 articles of 43 journals met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review. The article focuses on the attempts to identify what topics and methods have been employed or neglected in Korean journals over the past ten yea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analysis by content categories indicates journal articles have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auses of becoming a runaway and offering service provision. Korean articles reveal more interests in addressing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youth with homelessness experiences, as compared to non-runaway youth. Second, the analysis of sampling frames shows the articles have utilized ‘shelter youth sampling’ and ‘household samples or student samples’. Finally, the result of analysis by research methods indicates that ‘descriptive design’ is the most utilized research method. These findings highlight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김성경(Sung Kyung Kim) 한국사회학회 2013 韓國社會學 Vol.47 No.1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의 월경을 문화적으로 접근하여 이들의 이동과 북·중 경계지역의 다층적 관계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월경을 감행한 대부분의 북한주민이 경계지역 출신이었다는 점을 주목하고, 이들에게 있어 북·중 경계지역은 국경으로 구획된 것이 아니라 일상의 공간(들)으로 작동하였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경계지역 북한주민은 북·중 경계지역을 관통하는 다양한 삶의 경험을 통해 그들만의 장소 감각을 구축하여 이 지역을 자신들의 정체성의 ?장소?로 실천하고 있다. 즉 북한주민은 신체를 통해 북·중 경계지역을 감각하였고, 이를 통해 구축된 친 밀감을 바탕으로 한 장소 감각은 이들의 대량 탈북의 동인이 되기도 하고, 이후 이들이 불법적인 신분에도 불구하고 경계지역에 정주하게 한 배경이 된다. 하지만 장소로의 북·중 경계지역은 행위주체에 따라 다르게 감각되기도 하는데 특히 탈북여성은 불법적인 신분과 더불어 ?여성?으로의 불평등한 공간의 배열과 젠더화된 장소 감각을 구축하게 된다. 이렇듯 북한이탈주민의 이주와 북·중 경계지역이라는 공간의 다층적 관계를 감각하는 ?장소?라는 개념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이주를 추동했던 경계지역의 문화적 자원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궁극적으로는 북한이라는 공간을 수많은 일상의 공간(들)로 이루어진 변화와 과정의 가능성이 있는 ?장소?로 다시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ultifaceted relationships between mobility and space in the case of North Koreans’ border crossing and the cultural meanings attached to the North Korean-Chinese borderland. Most North Korean bordercrossers originated from within the borderland which in itself allows insight to its composition as a mosaic of everyday spaces rather than a clearly structured and heterogeneous space divided on the basis of national territory. North Korean residents in the borderland tend to construct their own sense of place that dissects the borderland with multiple connections and networks. In this process, it has to be argued that the North Korean in the borderland constructs her/his own sense of place through the embodiment of space. That is, North Korean intimately senses borderland space via his/her body which in turn can be understood as an underpinning explanation of mass border crossing and the re-embedding of cultural backgrounds following settlement on the Chinese side of the borderland despite the illegal status of North Korean bordercrossers. However, the borderland as ‘place’ can be sen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gency of the bordercrosser especially as most female North Korean bordercrosser face the double-obstacle of being identified not only as ‘illegal migrants’ but also as ‘women’ in the borderland. Therefore, the borderland as a ‘place’ for North Korean bordercrosser contains multi-layered and gendered spaces that are often unequal, unbalanced, and heterogeneous. To conclude, to explore the multifaceted relationships between North Korean bordercrosser’ mobility and the borderland with the framework of ‘the sensed place’ can help us to recognize the borderland as a cultural resource for North Koreans’ mass border crossing and ultimately to suggest the (re)examining of North Korea as constructed through diverse everyday spaces that contain the possibilities of changes and processes as ‘place’.

      • 북한 정치체제와 마음의 습속

        김성경 ( Kim Sung Kyung )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8 세계정치 Vol.29 No.-

        이 연구는 북한의 정치체제와 조응하는 북한주민의 ‘마 음의 습속’에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지도자와 인민의 소통을 목적으로 한 신소제도, 더 나아가 지도자의 권위를 강조한 주체사상이 만들어내는 북한주민의 마음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신소(伸訴) 제도란 억울한 사연을 권력자에게 고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북한체제의 제도를 의미하며, 주체사상은 수령에 대한 절대적 충성을 바탕으로 한 이념과 종교적 의례를 특징으로 한다. 북한은 ‘우리식 사회주의’, ‘김일성주의’ 등의 슬로건을 앞 세우며 수령의 절대적 위치와 무오류성 등을 강조해왔다. 예컨대 주체사상의 수령론,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그리고 『당의 유일사상체계확립의 10대 원칙』은 수령에 대한 특정한 태도와 인식을 북한주민의 습속의 일부분으로 자리하게 했다. 또한 조직생활과 규율체계는 동료와 이웃 등의 관계보다는 당이나 수령과의 직접적 관계를 우선시하게 하였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집단 내의 수평적 관계를 확산 시키기도 했다. 한편 최근 김정은의 3대 세습과 시장화 등의 사회 변화를 경험하게 되면서 북한주민의 마음에 균열 조짐이 포착되기도 하지만 국가 형성 이래 구축된 마음의 습속은 쉽사리 대체될 수 없어 북한 사회 내 급격한 변혁이나 체계의 붕괴를 막아서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치‘체제’에서 머물지 않고 주민들의 몸에 새겨진 도덕률로서의 마음의 습속은 지금의 북한사회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이후 변화의 향방과 폭을 결정짓는 사회적 힘의 일부분이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those ‘habits of the hearts’ among North Korean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ystem of North Korea. In particular, North Koreans’ hearts and minds are facilitated with Sinso, a peculiar political institution for the direct com munication between the Suryong and the people. Juche ideology, the political ideology of North Korea, also contributes to construct the current sets of North Koreans’ habits of the heart. With the high impacts of Juche ideology, North Koreans construct their distinctive habits of the heart so as to regulate everyday life. For example, North Koreans highly value the leader over others in all aspects although they may not have the chance to meet him at all in their lifetime. Although the leader remains in a symbolic world, North Koreans feel a connection to him by practicing various institutions and rituals as analyzed in the case of Sinso. However, recent changes in society such as marketization have great impacts on North Koreans’ hearts and minds, but their habits of hearts as a norm are not radically transformed as the political system and its operation remain the same. Rather North Koreans’ habits of the heart function to sustain the status quo of North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한국 영화산업의 신자유주의 체제화: 2000년대 이후의 한국 영화산업의 정치경제학

        김성경 ( Sung Kyung Kim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1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19 No.-

        지난 수십 년간 신자유주의적 지구화는 인간의 일상생활부터 사회구조까지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문화의 여러 영역에서도 포착되는데, 문화적 가치 측면에서 보호받아온 영화가 시장으로 편입되어 철저하게 경쟁과 자본의 논리에 의해 작동하게 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 영화산업은 지구화, 지역화 그리고 민족주의라는 다층적 구조를 횡단하며 내적으로는 메이저 중심의 독과점 체제를 구축하였고, 외적으로는 이익을 좇아 해외시장을 공략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영화의 문제점과 한계를 2000년대 이후의 한국영화 신자유주의 체제화 과정 탐색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특히 본고는 영화산업내외의 다양한 주체[산업, 정책(국가), 관객, 텍스트]들의 관계분석을 통해 한국 영화산업이 어떻게 신자유주의화되었는지를 정리하고, 거시적으로 현 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해보고자 한다. Over the last decades neo-liberal globalization has transformed many aspects of society: from the everyday lives of individuals to social structures. It is within culture that we can discover the scale of change at a global level. Film is undoubtedly one element of culture that has become incorporated into the sphere of market through the logic of free-competition and capitalism. In this process the Korean film industry is located within the multilayered structures of globalization, regionalization and nationalism, and crosses the boundaries of all three. As a result, the Korean film industry has been domestically colonised by the monopoly of some major companies (CJ, Orion, Lotte) and has also aggressively moved into foreign markets in its pursuit of profit. Given this situation,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problems and limits of the Korean film industry by tracing its history since 2000. In particular, this work focuses on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ubjects (industry, policy, audience, and text) in the neoliberalization process of the Korean film industry. By doing this, this research hopes to provide effective alternatives to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Korean film industry at a macro level.

      • 한반도 평화 불/가능성과 멸망의 정동

        김성경 ( Kim Sung-kyung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3 평화들 PEACES Vol.2 No.2

        이 글은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가중되고 있는 평화 무감각에 주목하면서 그것의 이면에서 작동하는 북한을 향한 식민주의적 시각을 문제시한다. 생존주의와 경제주의가 사회 전반을 장악한 한국 사회는 더 이상 ‘가난하고 전근대적인’ 북한과의 협력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북한이 사람들의 무의식 수준에서 열등하거나 야만적인 존재로 감각되면서 평화를 함께 만들어가야 하는 동등한 주체로 인식되지 못한다.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목표로 한 정부의 통일정책조차 북한을 남한의 번영을 위한 ‘자원’ 혹은 ‘시장’으로 파악하기도 했다. 더욱 문제적인 것은 극단적인 경쟁 사회가 초래한 멸망의 정동이 확산되고 미래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강화되면서 한반도 평화와 같은 역사적 과업에 대한 냉소적 무관심이 전방위적으로 유포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이 글은 멸망의 정동이 현재의 사회적 조건의 해체와 전혀 다른 패러다임을 추동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함으로써 이것을 희망의 가능성으로 재위치시키고자 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미래에 대한 비관주의적 정동을 어떻게 현재의 가능성으로 재전유할 수 있는가의 문제일 것이다.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escalating desensitization towards peace within neoliberal South Korea, illuminating the unconscious adoption of a colonialist perspective towards North Korea. In a milieu where survivalism and economism reign supreme, cooperation with ‘the impoverished and pre-modern’ North is no longer a societal priority. The subconscious perception of North Korea as inferior or barbaric impedes the conception of it as an equal partner in the pursuit of peace. Despite the government’s purported emphasis on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is predominantly viewed as a “resource” or “market” for South Korea’s prosperity. The prevailing pessimism about the future is exacerbated by the pervasive apocalyptic sentiment stemming from intense societal competitiveness, fostering a cynical indifference to historical imperatives such as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Nevertheless, this article endeavors to reinterpret the prevailing apocalyptic sentiment as a potential wellspring of new hope, aspiring to establish a different paradigm and dismantle existing social conditions. Ultimately, the focal point is on transforming pessimism about the future into opportunities for the present.

      • KCI등재

        2014 인천아시안게임 남북 여자축구 관람기

        김성경(Sung Kyung K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문화와 사회 Vol.18 No.-

        이 연구는 한국으로 이주해 온 탈북자의 ‘마음’의 단면을 문화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2011년부터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탈북자 가족과 연구자는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여자 축구 준결승전을 경기장에서 직접 관람하였다. 축구 국가대항 경기는 축구의 대중성과 국가를 대표하는 두 팀의 대결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국가 정체성이 발현되는 장이 되어 왔다. 특히 남과 북으로 분단된 채 대치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북을 떠나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 가족과 연구자가 남북 대항 축구 경기를 통해 느끼고, 경험하고, 서로 교류한 단상을 살펴보는 것은 분단된 마음의 지형을 읽어내려는 시도가 된다. 본 논문은 자아 문화기술지적 연구 방법을 차용하여 탈북자가 어떻게 한국이라는 이주국에서 ‘국가’, ‘민족’과 ‘이주’ 사이를 넘나들면서 자신들의 ‘마음’을 구축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대치하고 있는 남과 북이 축구를 매개로 다시 한 번 ‘대결’을 펼치는 상황에서 상당 기간 동안 북한 출신 주민과의 관계를 맺어온 ‘연구자’는 또 어떤 ‘마음’인지를 함께 탐색하는 것이 본 글의 목적이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a particular facet of North Korean defectors’ mind in a more cultural perspective while they watch a national football match. I, the researcher, have been building on clos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n defector family since 2011. In 2014, during the Incheon Asian Game, we went to see the women’s football match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 and this is a short essay about the trip to watch the game. Football is one of the most popular sports, and national football match would be a cultural field where national identity could be (re) emerged due to its battle style features. Given the division system and legacy of the Cold War in Korean peninsula, this article hopes to provide thick-descriptions on how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researcher feel and experience the game engaging with autoethnographic method. By doing this, this article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ways North Korean defectors (re)construct their minds in the process of conflicts and negotiations in the intersection of ‘nation’, ‘ethnicity’ and ‘migration’. Moreover, it would trace the trajectories of the researcher’s mind based on the long-term interaction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family.

      • KCI우수등재

        공동주택 내 온열환경 제어기준을 통한 냉방기기 운전 시 거주자 쾌적성에 관한 연구

        김성경(Kim, Sung-Kyung),홍원화(Hong, Won-Hwa),류지혜(Ryu, Ji-Hye) 대한건축학회 2017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3 No.11

        For modern people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doors, the comfort of the indoor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High energy use for maintaining comfort in summer is becoming a problem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oes not satisfy residents’ comfort.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use of air-conditioner and enhancing comfort, an experi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survey of the various indexes of evaluation of indoor areas and the residents’ questionnaires. All control criteria experiments are conducted six times per hour every ten minutes and 84 data are collected and analyzed per day for 4 days in a row. The operating patterns of the air-conditioner derived from control by control criteria is analyzed with the residents’ comfort. As a result, rather than controlling only a single control criteria, it indicates that there is a need for mutual supplementation between indexes of evaluat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analyze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of air-conditioner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control criteria for decreasing use of air-conditioner and the improving resident‘s comfort by means of a control experiment by the control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