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극한환경에서의 소형풍력발전 실증운전

        김석우(Kim Seokwoo),경남호(Kyong Nam-Ho)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6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26 No.4

        10㎾ wind turbine has been successfully commissioned at the King Sejong station in April, 2006. The wind turbine installed is a part of the R&D program for developing a solid wind/diesel hybrid power control system for a remote area such as Antarctica.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develop an anti-icing and de-icing technologies for a small wind turbine rated under 50㎾. Since its commissioning, the turbine has generated about 500㎾h for 47days without any system faults. Although sufficient data have not been obtained yet, any trouble has not occurred in the wind/diesel hybrid system based on the current analysis. Concerning on the environmental impact by the wind turbine operation, the turbine is installed within the station boundary in order to meet the Madrid protocol. Therefore, wind turbine operation meets the international requirements for preservation of antarctic ecosystem.

      • KCI등재

        경제위기와 ODA 정책 변화: 이탈리아와 그리스 사례 비교

        김석우 ( Seokwoo Kim ),김영완 ( Youngwan Kim ),이지선 ( Jisun Yi ) 한국세계지역학회 2020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8 No.2

        2008년 국제금융위기 이후 유럽연합 회원국이자 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인 이탈리아와 그리스는 경제위기라는 공통의 위기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위기는 이탈리아와 그리스의 국제개발협력 정책에도 영향을 끼쳤고, 공적개발원조(ODA) 규모와 내용 상 변화를 가져왔다. 이탈리아와 그리스는 유사한 수준의 경제위기를 경험하였으나, 해당 국가들의 ODA 정책 상 그 세부적 변화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탈리아는 양자원조의 규모를 유지한 반면, 그리스는 다자원조의 비율을 크게 증가시키고 양자원조의 비율을 대폭 축소시켰다. 이탈리아의 대 EU 다자원조 비율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화는 관측되지 않았던 반면, 그리스의 대 EU 다자원조 비율은 눈에 띄게 높아졌다. 이러한 정책 변화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이탈리아와 그리스의 경제적 규모 차이, 난민위기로 인한 정치적 차이, 역사적 ODA 정책 차이와 EU 내 외교적 영향력 차이라는 네가지의 요인들을 바탕으로 두 국가의 경제위기 상황에서의 ODA 정책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들 요인들 중 EU와의 외교적 관계 및 영향력 차이가 두 국가의 ODA 정책 내 상 차이를 설명하는 중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진행 중인 국제적 위기 상황속에서, 본 연구는 공여국들의 국내외적인 요인들이 위기 후 각 국가의 ODA 정책에 어떠한 변화를 유도할지에 대한 분석의 기초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Italy and Greece, the member countries of the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of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ave been affected by economic crises. Despite the similarities in their crisis experiences, we observe that their ODA policies have taken different paths. Italy has maintained the level of bilateral aid and multilateral contributions to the EU, whereas Greece has rapidly increased its contributions to the EU in absolute terms. To explain the different aid trajectories,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le causes of such differences in terms of economic size, political dynamics from the refugee crisis, history of development cooperation, an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EU. Among these factors, the country’s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EU appears to play a most significant role. Given that donor countries are affected by economic hardships in recent years,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donors’ behavior under the crisis concern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 KCI우수등재

        무역전쟁의 운명 :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적용

        김석우(Seokwoo Kim) 한국정치학회 2021 한국정치학회보 Vol.55 No.5

        미국은 중국과의 전략적 경쟁과 강대국 경쟁을 표명하면서 무역전쟁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의 불공정 무역관행, 환율조작, 기술 탈취, 무역관련 인권침해 등을 비난하면서 중국과 무역전쟁을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정책은 대중국 포용정책의 실패, 미중 간 권력 배분의 변화, 미국 시민들의 대중국인식 변화 등의 요인들에 기인하고 있다. 이러한 무역전쟁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이 글은 무역관련 정치경제 이론들 중 미국 국내 정치에 초점을 맞추는 무역이론, 양자 간 무역관계에 관한 이론, 그리고 국제체제적 수준의 이론 등을 설명하고, 이러한 이론들을 미중 간 무역전쟁에 적용하고 있다. 미국 국내정치에 초점을 맞추는 이론은 미국 각 개인의 경제적 상황과 인식에 초점을 맞추는 이론, 내부발생적 무역 이론, 미국 대통령의 무역자유주의 이론, 정당 간 무역정책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는 이론들을 포함한다. 양자 간 무역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은 죄수들의 딜레마, 반복 게임, 비대칭 게임이론, 무역-안보 연계이론 등을 포함한다. 국제체제적 수준의 이론은 패권안정이론과 세력전이이론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한 이론들 중 개인의 경제적 상황과 인식에 초점을 맞추는 이론과 내부발생적 관세이론, 그리고 미중 간 권력분배의 변화에 관한 패권안정이론이 미중 간 무역전쟁을 설명하는데 가장 타당한 이론들이라고 판단되고, 따라서 무역전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복합적 이론적 설명과 적용이 필요하다. The US government has undergone trade war with China by clearly expressing strategic competition and great-power competition. The US government initiated this trade war with China, criticizing unfair trade practices, exchange rate manipulation, technology theft, and trade-related human rights violation of China. Failure of US engagement policy, change in distribution of power between US and China, and deteriorating US citizens" perception on China contributed to the trade war. To explain this trade war, this study explains and applied different trade theories at domestic, bilateral and international systemic levels. Domestic political economic theories include theories on economic position and perception of US citizens, endogenous trade theory, presidential trade liberalism theory, and inter-party trade competition theory. Bilateral level trade theories include Prisoners" Dilemma, repeated game theory, asymmetric game theory and trade-security linkage theory. International systemic theories include hegemonic stability theory and power transition theory. Some of these theories, especially individual interest perception, endogenous tariff theory and systemic theories have more theoretical relevance and validity in explaining the trade war between US and China.

      • KCI등재

        한국 ODA 정책의 기원: 경쟁가설과 경험적 분석

        김석우(Seokwoo Kim)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2

        한국 ODA 정책에 관한 많은 기존의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자난 30여 년간의 한국 ODA 규모와 추이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글은 이러한 연구를 시도하 려고 한다. 한국 ODA 정책의 근원은 연구하기 위하여 6가지 다른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첫째는 이익 가설이다. 이 가설은 한국 정부가 특정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ODA 정책을 변화시켰다고 주장한다. 두 번째 가설은 해외 압력 가설이다. 이 가설은 한국 정부가 세계 사회의 요구와 압력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ODA 규모를 증가시 켜왔다고 주장한다. 세 번째 가설은 능력 가설이다. 이 가설은 한국 정부가 단순히 ODA를 증대시킬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면서 자연스럽게 ODA 규모를 증가시켜 왔다고 주장한다. 네 번째 가설은 경쟁 가설이다. 이 가설은 인접 국가들과의 경쟁 과정 속에서 한국 정부의 ODA 정책의 기원을 발견하려고 한다. 다섯 번째 가설은 이념 가설이다. 이 가설은 한국 정책결정자들의 인식, 지식과 이념의 변화가 한국 ODA 정책 변화의 핵심이었다고 주장한다. 여섯 번째 가설은 국내정치 가설이다. 이 가설은 한국 사회에서 ODA 관련 인식공동체의 등장이 한국 ODA 정책의 변화를 이끌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가설들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 회귀 분석을 시도하였다. 경험적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익, 해외 압력, 능력, 이념, 그리고 국내 정치적 요인들이 한국 ODA 정책 변화를 부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한된 자료와 한국 ODA 정책의 짧은 역사로 인하여, 이러한 경험적 결과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고, 더 많은 다른 국가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Despite increasing literatures on Korean ODA policies,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changes in the total Korean ODA volume and trend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This study tries to fill that research gap. In a way to try to explain origins of the Korean ODA policy, six competing hypotheses are created. First is the interest hypothesis. This hypothesis argu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changed its ODA policy to pursue certain interests. The second hypothesis is the foreign pressure hypothesis. This hypothesis argu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increased its foreign aid volume to meet increasing demand and pressure from the global society. The third hypothesis is the capacity hypothesis. This hypothesis argu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able to increase its foreign aid just because it has become more able to do so. The fourth hypothesis is the competition hypothesis. This hypothesis tries to find the origin of Korean ODA policies in competi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e fifth hypothesis is the ideology hypothesis. This hypothesis argues that change in perception, knowledge and ideology of Korean policy makers plays a decisive role in changing Korean ODA policies. The sixth hypothesis is the domestic politics hypothesis. This hypothesis argues that emergence of aid-related epistemic community in the Korean society has changed Korean ODA policies. Based upon the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is paper concludes that interest, foreign pressure, capacity, ideology, and domestic political factors can partially explain origins of Korean ODA policies. However, because of limited data and short period of Korean ODA giving history, this conclusion is tentative, and more comparative researches are recommended.

      • KCI우수등재

        ODA 정책의 국내 요인

        김석우(Seokwoo Kim),박현정(Hyunjeong Park) 한국정치학회 2016 한국정치학회보 Vol.50 No.1

        OECD 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들의 GNI 대비 원조 비율은 모두 다르다. 한국과 미국처럼 매우 낮은 비율을 보이는 국가들도 있고, 반면에 스웨덴과 노르웨이처럼 매우 높은 비율을 보이는 국가들도 있다. 이러한 차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국제체제적 차원에서의 설명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이 글은 국내 정치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서 이러한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이 글은 국내 복지정책의 차이가 해외원조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국내에서 복지지출 비율이 높은 국가가 해외원조 비율도 높다는 것이다. 국가들이 국내적으로 가지고 있는 관습, 규범, 제도가 외연화 과정을 거쳐서 외교정책과 대외원조 정책에도 반영된다는 것이다. 국가가 가지고 있는 예산의 제한이라는 측면을 보면, 이러한 주장은 상식과는 상반된 것이다. 왜냐하면 제한된 예산을 가지고 있는 정부는 국내 복지정책을 위한 비용과 해외원조 공여 비용을 경쟁재로 간주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내 복지정책이 높은 국가일수록 해외원조 비율도 높다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횡단면 시계열 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GNI 대비 ODA 비율을 종속 변수로 하고, 국내 복지정책 비율을 설명 변수로 포함한 회귀분석 모델을 시도하였다. 이 모델에 국가의 경제 규모, 경제발전 수준, 무역량, 과거 식민지 수 등 여러 통제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회귀분석 결과는 이 글에서 제시한 가설을 지지하는 것이었다. 즉, 국내 복지정책이 외연화되어 해외원조 정책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었다. The ODA/GNI ratios among OECD DAC countries are all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are countries such a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hich have relatively low ODA/GNI ratio, while there are also countries such as Sweden and Norway which have relatively high ODA/GNI ratio. How can we explain this difference? Pointing out limitations of theoretical explanations from international systemic level of analysis, this study tries to find source of this difference within domestic polit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rgues that differences in domestic social policies can explain differences in foreign aid behaviors among OECD DAC countries. That i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high domestic social welfare ratio is causally related to the high ODA/GNI ratio among donor countries. Customs, norms and institutions in domestic politics are reflected in foreign policies and more specifically foreign aid policies through externalization process. This argument is contrary to the common sense, because governments faced with limited budget may be forced to choose between provision of more domestic welfare benefits and provision of more foreign aid. To prove the hypothesis of “more domestic welfare benefits lead to more foreign aid”, this study tried pooled times series regression analyses. For the models of regression analyse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ODA/GNI ratio, and the explanatory variable is the social welfare spendings/GDP ratio. Other variables such as the economic siz, the economic development level, the export volume, and the number of former colonies possession are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s as control variables. The regression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It has been proved that more domestic welfare benefits lead to more foreign aid provisions.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파트너십에 관한 이론적 논의

        김석우 ( Seokwoo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1 글로벌정치연구 Vol.14 No.2

        국제개발협력에서 파트너십에 관한 논의와 주장이 크게 증가하였다. MDGs와 SDGs의 중요 목표에도 파트너십이 포함되어져 있다. 공여 목적의 변화, 원조효과성 논의, 재원 확대 필요성, 글로벌 거버넌스 논의, 원조 분절화 문제,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국제개발협력 등과 연관되어 파트너십 논의가 활발해진 것이다. 국제개발협력 파트너십이 규범적 가치를 가지고 있고 주요 목표로 설정되어 있지만, 경험적으로는 여러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파트너십에 관한 더 많은 이론적 경험적 논의와 분석을 위해서는 파트너십의 유형, 역사, 성격, 장단점 등을 설명하는 작업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파트너십이 등장한 배경, 파트너십과 관련된 중요 이슈 설명, 그리고 포괄적 파트너십 모델의 제시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파트너십에 대한 논의는 많지만, 이에 관한 경험적 분석은 매우 부족하다. 파트너십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와 파트너십과 개발협력 결과를 연결시키는 인과관계성을 증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한 파트너십 형성과 파트너십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와 통계연구 등을 통하여 학문적 축적과 일반화 시도가 필요하다. 파트너십에 대한 규범적 주장과 경험적 실행 간의 간극을 줄이는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society has observed rapidling increasing discussion on partnership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artnership itself was included in both MDGs and SDGs. Several factors contributed to active discusson on partnership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uch as change in aid goals, aid effectiveness discussion, need for increase in development finance, global governance discussion, aid fragmentation discussion, and emergence of new types of development cooperation. Even though partnership has its normative value and is regarded as one major goal in development cooperation, it also has some limitations. To promote more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 and study on partnership, we need to analyze types, history, characteristics and strength-weakness of partnership.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diverse aspects related to partnership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o provid a ‘comprehensive partnership’ model. Despite increasing discussion on partnership, there lack empirical studies on the issue. Measurement issues and causality problem are limiting factors for lack of empirical studies. Academic accumulation through case studies and statistical analyses and academic attempt for generalization are needed in future researches. More works to reduce the gap between normative arguments and empirical verifications are needed.

      • KCI등재

        난류강도가 소형 풍력발전기 출력에 미치는 영향

        김석우(Kim, Seokwoo)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3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3 No.6

        Energy generation from an instrumented Skystream 3.7 small wind turbin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mbient turbulence levels on wind turbine power output performance. It is widely known that elevated ambient turbulence level results in decreased energy production, especially for large sized wind turbine. However, over the entire wind speed range from cut into the rated wind speed, the measured energy generation increased as ambient turbulence levels elevated. The impact degree of turbulence levels on power generation was reduced as measured wind speed approached to the rated wind speed of 13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