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변저류지가 있는 하도에서의 부정류 흐름 모의를 위한 HEC-RAS의 적용성 검토

        김서준,홍상진,윤병만,지운,Kim, Seo-Jun,Hong, Sang-Jin,Yoon, Byung-Man,Ji, Un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5

        하천에 설치되는 강변저류지의 효율적 설계를 위해서는 정확한 부정류 흐름 해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부정류 수치모의는 1차원 부정류 수치모형인 HEC-RAS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강변저류지가 있는 하도에서의 부정류 흐름에 대한 수리실험과 현장 모니터링 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에 HEC-RAS를 이용한 부정류 수치모의 결과의 신뢰도를 확신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정류 수리실험을 수행하여 강변저류지가 있는 하도에서의 HECRAS를 이용한 부정류 수치모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HEC-RAS 적용성 검토는 직선수로에 강변저류지가 설치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 부정류 수리실험을 실시하여 측정된 결과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특히, 강변저류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강변저류지의 저류용량이 충분하여 하도에서 강변저류지로 통하는 위어에 완전 횡월류 흐름만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변저류지가 설치되지 않은 직선수로에 대한 HEC-RAS의 수위 계산 결과는 최대 3% 오차를 유량은 최대 1% 오차를 보였으며, 강변저류지가 설치된 경우의 HEC-RAS 수위 계산 결과는 최대 4% 오차를 유량은 최대 2% 오차를 나타냈다.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precise analysis of unsteady flow for effective design of the side-weir detention basin installed in the river. Generally, the HEC-RAS program, which is a 1D unsteady numerical model, is mostly used to simulate the unsteady flow for riv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have confidence of unsteady flow results simulated by HEC-RAS due to the lack of experimental data and field monitoring data for the channel with a side-weir detention basi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or verify the simulation results calculated by HEC-RAS through the experiments for the open channel with a side-weir detention basin using specially-designed unsteady discharge-supply system. The experimental cases included unsteady flows in the straight channel with and without a side-weir detention basin. Especially, for the case with a detention basi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nsider only the free flow condition over the side-weir.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values of water level and discharge obtained from HEC-RAS coincided reasonably with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maximum error of 3% for water level and 1% for discharge in the case of the flow without the side-weir detention basin and 4% for water level and 2% for discharge with the side-weir detention basin.

      • KCI등재

        개수로에서의 부정류 수문곡선 재현을 위한 유량공급장치의 개발 및 정확도 분석

        김서준,김상혁,윤병만,지운,Kim, Seo-Jun,Kim, Sang-Hyuk,Yoon, Byung-Man,Ji, Un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8

        시간에 따른 하도의 수위 및 유량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수리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부정류 흐름 해석은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부정류 흐름 해석에는 수치모형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수치모형의 검 보정을 위한 현장 자료의 획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자료구축이 가능하더라도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측정 정확도를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수치모형의 검 보정을 위해 부정류 수리실험을 통해 획득되는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부정류 수문곡선을 실험에서 재현할 수 있는 유량공급장치를 개발하고자하며, 개발된 부정류 유량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수리실험 수로에서 재현되는 수문곡선과 목표 수문곡선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재현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 사각형 형태, 첨두유량 발생 시간이 짧은 삼각형 형태 및 일반적인 홍수 수문곡선 형태의 종(bell) 형태 수문곡선을 대상으로 재현 오차 및 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분석하였다. 재현 정확도 분석 결과, 사각형 형태의 수문곡선 재현 오차는 약 59% 정도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삼각형 형태의 수문곡선은 단일첨두와 이중첨두 형태 모두 약 10% 정도의 재현 오차가 나타났지만 홍수 수문곡선 형태인 종 모양의 수문곡선의 재현 오차는 최대 2%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alysis for unsteady flow is necessary to design the hydraulic structures affected by water level and discharge changes through time. The numerical model has been generally used for unsteady flow analysi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quire field data to calibrate and validate the numerical model. Even though it is possible to collect field data for some case, high cost and labor are required and sometime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fidence of measured data is very low. In this case, the experimental data for unsteady flow can be used to calibrate and validate the numerical model as an alternative. Therefore, the discharge-supply system which could generate various type of unsteady flow hydrograp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Also, the accuracy of the unsteady flow hydrograph generated by developed dischargesupply system in the experiment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arget hydrograph. Accuracy errors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ere analyzed for the rectangular-type hydrograph with sudden changes of flow, triangular-type hydrograph with short peak time, and bell-type flood hydrograph. As a result, the generating error of the discharge-supply system for the rectangular-type hydrograph was about 59% which was maximum error among various types. Also, it was represented that RMSE for the triangular-type hydrographs with single and double peaks were approximately corresponding to 10%. However, RMSE for the bell-type flood hydrograph was lower than 2%.

      • 바울서신의 ‘속죄’와 ‘화해’ 용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ίλαστήριον과 καταλλαγή의 해석의 문제를 중심으로 -

        김서준(Seo-Jun Kim) 대한성서공회 2020 성경원문연구 Vol.0 No.47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 terms ‘sokjoe’ and ‘hwahae’ (‘hwamok’) used in Korean Bible translations, particularly in Paul’s epistles. It first investigates the meanings of the Greek expressions behind ‘sokjoe’ and ‘hwahae’ (‘hwamok’), namely ἱλαστήριον, καταλλαγή, and καταλλάσσω, in light of their usage in various ancient writings available in Paul’s time.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it examines the theological meanings of those terms in Paul’s epistles to reconsider the validity of their Korean translations. With regard to the Korean translations of ἱλαστήριον in Rom 3:25, neither the New Korean Revised Version (NKRV) nor the Revised New Korean Standard Version (RNKSV) provides precise translation. A survey of the use of ἱλαστήριον in the Septuagint reveals that its central meaning is to cover, close, or wrap. It can also mean block or countervail. In the Septuagint, it refers to various objects that cover or wrap (Exo 25:17-22; 31:7; 35:12; 38:5,7 ff; Lev 16:2,13-15; Num 7:89; Eze 43:14,17,20; [Symmachus] Gen 6:16; Amo 9:1). In the context of Hellenistic religions, it refers to an object that functions to block divine wrath (Cos Nr. 80; Cos Nr. 347; Bullettino del Museo dell"Impero Romano Nr. 11) ; SEG LIV 796; Lindos 2. Inschriften, Nr. 425; Tempelchronik von Lindos B 49, Z. 48-50; Dio Chrysostomus, Or 11,121; Josephus, Ant, 16.182). In Rom 3:25 and 4 Maccabees 17:21-22, the same word is used in relation to the blood and the death of a person, which function to cover the sins of sinners and block God’s wrath. When Paul in Rom 3:25 mentions Jesus’ blood while presenting Jesus as ἱλαστήριον put forward by God, this word conveys the meaning of Christ’s death, namely that the blood shed by Christ is able to cover human sins or block/countervail divine wrath. A survey of the καταλλα-word group shows that i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ἱλασ-word group, and that it basically signifies the restoration of peace by ending hostility, namely reconciliation (‘hwahae’) rather than simply warm relationship among members (‘hwamok’). Paul uses καταλλαγή and καταλλάσσω to refer to the event of reconciliation between God and man through Christ Jesus. Just as δικαιοσύνη, frequently used by Paul, describes one aspect of salvation, καταλλαγή and καταλλάσσω also describe another aspect of salvation that God achieved through his Son, Jesus, namely that God resolved hostility between God and humanity through his Son, and that there is therefore no need to fear God’s wrathful judgment on sin and injustice. In summary, ἱλαστήριον, καταλλαγή, and καταλλάσσω in the Pauline epistles describe different aspects of the meaning of Jesus Christ"s death on the cross. While ἱλαστήριον directly communicates the role and the meaning of Christ’s death, καταλλαγή and καταλλάσσω refer to an event that results from his death. In view of this clear semantic distinction between ἱλαστήριον and καταλλαγή /καταλλάσσω, we are thus not justified to conflate the meanings of these two words, and use both ‘sokjoe’ and ‘hwamok’ for the translation of ἱλαστήριον. Furthermore, we need to remember the particular meanings of Christ’s death expressed by Paul’s specific choice of the words, ἱλαστήριον, καταλλαγή, and καταλλάσσω. It is by understanding these meanings clearly that we can come closer to the original representation of salvation that Paul communicated two thousand years ago.

      • 당인의 산수화 연구 - 주문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서준(Kim, Seo jun)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9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8 No.-

        당인(唐寅)(1470-1523)은 명대 중기 직업화가로 개성적이고 자유분방한 필법으로 산수(山水), 인물(人物), 화조(花鳥) 등 다양한 화목을 화폭에 담은 화가이다. 그는 천부적인 재능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회화세계를 구축하여 저명한 화가로서 명성을 펼쳤으며, 문장을 통달하여 서예가이자 시인의 역할을 겸비하였다. 그는 명망이 높은 소주의 문인들과 교유하며 작품세계를 넓혀나갔으며, 특히 산수화에 있어 오파, 절파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화풍을 이루었다. 이 논문은 당인의 생애에서 소주 문인들과의 교유관계를 분석하여 당인의 위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 기념화(記念畵) 및 축수도(祝壽圖), 별호도(別號圖)에서 보이는 주문자와 당인의 관계를 살펴보고 작품세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공공연하게 거론되었던 당인과 주신의 대필화 논쟁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당인의 생애와 소주 문인들과의 교유관계는 축윤명이 작성한 「당백호묘지명(唐伯虎墓誌銘)」과 당대 문사(文士)들의 문헌자료를 토대로 행적이 확인된다. 특히 당인과 각별하였던 문징명, 축윤명은 문집(文集)과 발문(跋文)에서 앞선 대가들의 회화에 대한 논의, 당인의 성품 등을 언급하였다. 이외에도 당대 문사들의 시문(詩文) 및 서신(書信)은 당인과 소주 문인과의 관련성을 추정할 수 있다. 당인의 산수화는 화가로서 명성을 알린 주요 화목이었다. 직업화가 신분으로서 그는 주문 제작된 산수화를 주로 그렸는데, 상업화 목적으로 그린 산수화 외에도 소주의 지식인들과 관련된 산수화를 그렸다. 이는 문인들과의 만남을 기념하는 기념화 및 축수도와 주문자의 아호(雅號)를 시각화한 별호도로 분류할 수 있다. 기념화와 축수도는 당인과 문인 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여준다. 그는 문회가 잦았던 소주 문인사회의 모습을 화폭에 나타냈는데, 문인관료의 노모 생일을 기념하는 그림을 그리거나, 문인과 함께 유람을 떠났던 곳을 추억하며 화폭에 담아냈다. 원대부터 주문자의 아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별호도는 당인만의 양식으로 그려진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1500년 이후 당인은 직업화가로서 많은 별호도를 그렸는데, 대부분 직간접적으로 교유하였던 문인 혹은 문인(士人)이 대상이었다. 이 시기 소주 화단에서의 별호도 장르는 주요 화목으로 자리 잡고 있었으며, 당인은 짙고 분방한 필묵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별호도 양식을 형성하였다. 그는 주요 경물들에 둘러싸인 가옥 안에 주문자를 배치하여 은자의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별호도와 함께 쓰인 제시 혹은 기문(記文)을 통해 당인은 주문자에 대한 존중의 뜻을 나타냈다. 당인의 회화는 많은 서화가와 연구자들에게 높은 평을 받아왔지만, 작품의 진위여부에 대해서 논란이 제기되어왔다. 흥미로운 점은 당인의 스승으로 일컬어지는 주신이 그를 대신하여 대필을 해주었다는 것이다. 이는 동시기 활동했던 문인과 후대의 수장가 혹은 서화가들의 문헌자료를 통해 오래 전부터 거론되어왔음을 보여준다. 당인과 동시기에 활동하였던 하량준(何良後)을 기점으로 강소서(姜紹書), 왕세정(王世貞) 등은 당인과 주신의 대필 및 연관성에 대해 언급하였고, 이후 많은 화론가 사이에서 연장선으로 대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특히 당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계산어은도(溪山漁隱圖)〉는 현재까지 진위여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작품이다. 전체적인 경물의 묘사는 당인과 주신 화풍의 유사성을 띠지만, 세부적인 표현법에서 차이가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동안 국내 미술사학계에서 당인에 관한 연구는 오파 혹은 명대 중기 직업화가 그룹에 포함되어 단편적으로 연구되어왔다. 이는 당인의 사회적 지위를 문인화가 혹은 직업화가로, 명확한 정의를 내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당인의 사회적 지위와 교류관계를 작품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과정을 통해 당인이 소주 사회에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우리의 의를 위해서 살아나셨다(롬 4:25b)” -예수의 부활과 그리스도인의 의(義)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서준(Kim, Seo-Jun) 한국신약학회 2020 신약논단 Vol.27 No.3

        본 논문은 로마서 4:25b에 나타난 예수의 부활과 그리스도인들의 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그 동안 연구에서 등한시된 δικαίωσις의 의미를 탐구하고, 로마서 4:25b 외에도 여러 본문에서 발견되는 예수의 부활과 그리스도인들의 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로마서 4:25b 뿐만 아니라 고린도전서 15:17; 로마서 6:1-11; 8:9-11; 고후 5:14-21에 공통적으로 예수의 부활이 믿는 자들의 새로운 정체성과 삶의 방향성의 근거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런 본문들이 로마서 4:25b에 나타난 명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바울은 예수의 죽음뿐만 아니라 예수의 부활도 성도의 의와 자주 연결시킨다. 즉, 그리스도인의 의를 논하면서 예수의 죽음만 언급하는 것은 충분치 않다. 바울에게 있어서 예수의 부활은 한편으로는 성도의 미래의 부활과 연관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적인 정체성과 삶의 변화와 관련된다. 예수의 부활과 성도의 부활, 혹은 새로운 삶 사이의 유비적인 관계는 예수에게 일어났던 사건이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일어나야 한다고 말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예수는 죄에 대해서 단번에 죽고, 하나님을 향해서 사셨다(롬 6:10). 이러한 예수의 부활사건은 성도들이 죄에서 벗어나 하나님을 위한 삶을 사는 존재가 되었다는 것의 선험적 모델이며, 마침내 그리스도의 부활과 영광에 참여할 것이라는 사실의 근거가 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 resurrection and the righteousness of believers in Romans 4:25b. To this end, this paper analyzes the analogical relationship among the resurrection of Jesus, righteousness as Christian’s Identity, and changed orientation of life in Romans 6:1-11, 8:1-11, 1 Corinthians 15:17-18 and 2 Corinthians 5:14-21. Based on the exegesis of these related texts, we can conclude that for Paul, the resurrection of Jesus as well as his death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identity of Christians, which is expressed in Paul’s term as the righteousness (δεδικαίωται [Rom 6:7]), δικαιοσύνη [Rom 8:10; 2Cor 5:21]). It is not entirely correct to say that the death of Jesus alone is the basis of the salvation of Christians. For Paul, the resurrection of Jesus is, on the one hand, related to the future resurrection of the believers, and on the other hand, is related to the present change of their identity and their way of life. Jesus Christ died for sin once for all and arose for God in glory, being recognized as the Son of God (Rom 6:10). This event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is the basis of and the paradigm for believers’ existential change and their new way of life.

      • KCI등재

        바울의 창조신학에 나타난 생태신학적 함의

        김서준(Kim, Seo-Jun)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1 신약연구 Vol.20 No.3

        본 논문은 바울의 창조신학에 나타난 생태신학적 함의와 윤리적실천을 위한 근거를 탐색하는 연구로서 바울서신에 나타나는 다양한창조에 대한 언급들을 주석적으로 다룬다. 기존의 바울서신을 대상으로 한 생태신학적 논의들은 주로 롬 8:19-23과 골 1:15-20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며, 인간중심적인 구원론과 세대주의 종말론을 중심으로 바울신학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바울의 종말론이 담고 있는 우주적지평에 대해서 주목하게 한 성과는 있으나 다소 비약적인 논리를 내세우거나 주석에 있어서 여러 문제들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창조신학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바울서신이 담고 있는생태신학적 의의를 논한다. 바울서신에는 하나님의 창조에 대한 조직적이고 일목요연한 장황한 설명은 찾아볼 수 없지만 그의 신학은기본적으로 유일신 하나님의 창조에 대한 신앙을 바탕으로 전개된다. 바울은 다양한 문맥 가운데, 인간과 자연을 창조하신 하나님의역사와 능력을 언급하며,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이 하나님의 창조세계로 가지고 있는 고유의 가치와 선함을 논한다. 그리고, 바울은 유대적 창조신학을 그리스도를 통한 만물의 창조, 화해, 종말론적 회복이라는 새로운 지평으로 확장시키는데, 이러한 그리스도를 통한 생명의 역사 가운데, 자연이 언제나 인간과 더불어 새로운 회복과 창조의 대상으로 언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바울서신에 나타나는 창조에 대한 이러한 다양한 언급들 가운데 피조물이 어떠한 가치를 담고 있으며, 어떠한 모습으로 서술되는지 탐색하면서 바울서신이 담고 있는 생태계 회복을 위한 유의미한 신학적 근거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ecological theological implications of Paul s creation theology and the basis for ecological ethical practice. Ecological theological discussions on the Pauline epistl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Romans 8:19-23 and Colossians 1:15-20, and have been made in a way that corrects or supplements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Paul s anthropocentric soteriology and dispensationalist eschatology. However, although these studies have had the achievement of drawing attention to the cosmic horizon contained in Paul s eschatology, they made logical leaps or showed several problems in their exegetical analysis. In this regard, this study discusses the ecological theological significance of Paul s epistles from a new perspective of creation theology. Although there is no systematic and detailed explanation of God s creation in Paul s epistles, his theology is basically developed from the belief in the creation of one God. In various contexts, Paul mentions the work and the power of God who created humans and nature, and discusses the inherent value and goodness of nature as well as humans as God s creation. In addition, Paul expands the Jewish creation theology into a new horizon of creation, reconciliation, and eschatological restoration of all things through Christ. This study seeks to offer theological grounds from Paul’s epistles for the restoration of the ecosystem by examining Paul’s various references to the creation and exploring the ways in which Paul describes the creation and communicates its value.

      • 이 시대에 드려야 할 합당한 예배

        김서준(Kim, Seo-Jun) 계명대학교 동서신학연구소 2021 동서신학 Vol.4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의 상황을 생각하면서 성도 및 교회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코로나19로 인한 다양한 도전에 대해서 신학적인 성찰이 있었지만 대부분 전염병에 대한 신학적인 사변, 혹은, 예배와 교육의 의미, 지속에 대한 고민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로마서 12:1-12에서 바울이 말하는 합당한 예배의 모습을 오늘날 시대에도 주는 메타윤리로 성찰하면서 위기에 처한 오늘날 교회에 줄 수 있는 메시지를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바울이 고난과 핍박, 경제적 어려움, 등, 위기에 처한 초대교회에 준 권면들의 기본 내용을 정리해보고, 그러한 내용들이 담고 있는 메시지가 상황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결국 오늘날 교회가 기억하고 나아가야할 방향임을 말하고자 한다. 크게 소통과 화합의 모델로서의 교회, 믿음과 소망의 중요성, 그리스도인의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권면들, 세상 가운데서의 교회의 태도, 네 부분으로 내용을 정리하여 성도 개인과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suggests the a direction for Christians in the Korean churches to move forward in the midst of the COVID-19 crisis. So far, there have been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various challenges posed by COVID-19, but most of them have been theological speculations about the epidemic, or explorations of the meaning and continuation of worship and church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article explains the message that can be given to churches in crisis based on the contents of proper worship and meta-ethics that Paul writes about in Romans 12:1-12. Summarizing the basic contents of the counsel that Paul gave to the Roman church in crisis, such as suffering, persecution, economic hardship, etc., it is argued that his message is one that the church in today’s times must remember and apply to move forward to the end, even if the our histor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are very different. Paul’s message for Korea churches today is summarized into in four parts: The church as a model of communication and harmony, the importance of faith and hope, various counsels in daily life of Christians, and the church's attitude in to the worl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individual members and the church to move for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