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주식형펀드의 변동성 타이밍능력과 오류발견율

        김상배(Sangbae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1 經營硏究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가설검정방법(multiple hypothesis test)을 이용하여 국내 주식형펀드의 변동성 타이밍능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표본기간(2001년 1월 2일부터 2009년 6월 30일) 동안 거래되었던 모든 국내 주식형펀드들 가운데 1년 (252일) 이상존재한 주식형펀드(2,319개)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모든 표본펀드를 대상으로 3요인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제로타이밍 펀드, 타이밍능력이 있는 펀드 그리고 타이밍능력이 없는 펀드의 비율은 각각 69.6%, 27.7%, 2.8%로 나타났다. 그리고 FDR(false discovery rate)을 고려해 보았을 때, 전통적인 추정방법은 타이밍능력 있는 펀드의 수를 과대추정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부 모형을 적용하였을 경우, 시장정보 변수의 추가적인 도입은 타이밍 계수의 분포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타이밍 능력이 있는 포트폴리오의 성과측정치와 그렇지 않은 포트폴리오의 성과측정치를 비교하였을 때, 성과측정치 차이는 크지 않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변동성 타이밍 능력이 있는 펀드가 그렇지 않은 펀드에 비해 높은 성과를 달성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volatility timing ability in Korean equity funds by utilizing the multiple hypothesis test. We use 2,319 equity funds including live and defunct funds, which exist more than 252 day-period during sample period (January 1, 2001 to June 30, 2009). When adopting whole universe of our sample funds and using the three-factor model, we find that the percentages of zero-timing, skilled and unskilled funds are 69.6%, 27.7% and 2.8%, respectivel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standard approach does not include false discoveries in volatility timing ability. Therefore, it overestimates the number of skilled funds. When we adopt the conditional model, incorporating public information worsens volatility timing ability of Korean equity fund, causing the distribution of the volatility timing coefficients to shift to right. Finally,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atility timing ability and performance of Korean equity fund.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measures of skilled and not skilled portfolios is very small an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 KCI등재

        아파트매매가격지수와 아파트전세가격지수 사이의 선형 및 비선형 인과관계 분석

        김상배(Sangbae Kim),이승아(Seung-A Lee) 한국감정원 연구개발실 2021 부동산분석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아파트매매가격과 아파트전세가격을 대상으로 두 가격의 선형 및 비선형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KB부동산 Liiv ON에서 제공하는 아파트매매가격지수와 아파트전세가격지수를 활용하며, 표본기간은 1991년 3월부터 2021년 7월까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인과관계 검증방법으로 모형 설정의 오류를 회피할 수 있는 비모수적 방법(non-parametric method)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선형과 비선형 인과관계 검증 모두에서 두 가격은 양방향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시장의 국내외 거시경제 상황을 고려하고자 환율, 주가, 금리를 통제한 결과에서도 선형, 비선형 인과관계는 양방향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변량 GARCH 모형을 이용한 비선형 인과관계 검증에서는 아파트전세가격지수가 아파트매매가격지수를 인과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아파트전세가격의 변화에 대한 정보가 부동산시장에 먼저 반영되어 아파트매매가격의 예측에 도움을 줄 것을 의미하며 투자자의 투자결정과 정부의 부동산정책 수립 시 아파트전세가격의 움직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linear and a nonlinear causality between apartment sale prices and apartment jeonse prices in Korea. The non-parametric method for the nonlinear causality test was adopted to avoid model specification errors. Our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a feedback relationship between two prices is observed on both linear and nonlinear tests. When we included interest rates, stock prices and exchange rates to control the macroeconomic conditions, there was the feedback relationship between the apartment sale price index and the apartment jeonse price index on the both tests. However, the nonlinear test with the bivariate BEKK-GARCH model demonstrated that the apartment jeonse price index Granger-caused the apartment sale price index. This implied that the changes in apartment jeonse prices has an ability to predict apartment sale prices. Our results suggested that investors and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fluctuations in apartment jeonse prices for investment decisions and for establishing the real estate polici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외국인 지분율의 변화가 원/달러 환율과 KOSPI 지수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상배 ( Sangbae Kim ) 한국재무관리학회 2023 財務管理硏究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지분율의 변화가 원/달러 환율과 KOSPI지수 사이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CC GARCH류 모형을 이용하여 원/달러 환율과 KOSPI지수 사이의 동태적 상관관계를 추정하고, 추정된 상관계수와 외국인 지분율 변화의 관계를 분위수 회귀분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지분율의 상승과 하락이 상관관계에 비대칭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외국인 지분율이 상승한 경우와 하락한 경우로 구분하여 그 영향을 살펴본다. 추정결과, 외국인 지분율의 증가는 환율과 KOSPI지수 사이의 상관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에, 높은 분위에서 외국인지분율의 하락은 상관계수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 지분율이 상관계수에 미치는 영향이 비대칭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 an effect of the changes in foreign investment ratio on the correlation between Won/Dollar foreign exchange rate and KOSPI index. To do this, I use DCC GARCH models to estimate the dynamic correlation between the foreign exchange rate and KOSPI index, and adopt a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to consider the likelihood that the effects of foreign investment ratios might vary throughout the distribu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foreign exchange rate and KOSPI index. The sample period ranges from January 4, 2001 to June 30, 2022. From the empirical results, I find that while the increases in foreign investment ratios do not influence the dynamic correlation between foreign exchange rate and KOSPI index, the decreases in foreign investment ratios affect the correlation significantly negatively when the correlation is high. This suggests that the decreases in foreign investment ratio are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increases in foreign investment in determining the correlations when the correlations are high.

      • KCI우수등재

        정보ㆍ문화 산업과 미중 신흥권력 경쟁

        김상배(Sangbae Kim) 한국정치학회 2017 한국정치학회보 Vol.51 No.1

        이 글은 21세기 선도부문으로서 정보ㆍ문화 산업, 그중에서도 특히 영화산업에서 벌어지는 미중신흥권력 경쟁을 이해하는 ‘3단 문턱 경쟁’의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먼저, 기술경쟁의 양상을 보면 할리우드가 새로운 시장을 향한 변환의 전략을 모색하면서 여전히 글로벌 영화산업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국내 시장의 꾸준한 성장과 기술력 향상을 바탕으로 도전하고 있는 모습이다. 둘째, 표준경쟁의 관점에서 볼 때, 할리우드가 업계의 표준을 장악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국내 시장의 막대한 규모와 자본력을 내세워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려는 중국의 도전도 만만치 않다. 끝으로, 매력경쟁의 차원을 보면, 영화 콘텐츠의 내용적 매력을 발산하려는 영화 업계의 노력과 이를 지원하는 양국 정부의 정책과 제도 경쟁도 빼놓을 수 없다. 요컨대, 이 분야의 미중경쟁은 단순히 시장점유율이나 기술혁신을 놓고 벌이는 전통적인 경쟁을 넘어서 표준의 장악과 매력의 발산, 규모의 변수와 체제의 성격까지도 관련되는 신흥권력 경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쟁의 결과는, 기존의 세력전이 이론이 상정하는 것과 같이 권력이동의 단순구도에서 어느 한 나라의 단판승을 논하는 종류의 것이라기보다는,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개의 ‘네트워크 국가’가 서로 공생적인 경쟁을 펼치는 구도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This paper develops a theoretical framework of “triple-thresholds competition” to understand the U.S.-China competition for emerging powers in the information-culture industries as leading sectors in the 21st century, particularly paying attention to the case of movie industry. At the first threshold of ‘technological competition,’ leading global markets of the movie industry, Hollywood has driving itself to pioneer new market frontiers; China, exploiting the large scale of its domestic market, is continuously attempting to advance its technological capabilities for producing better movies. At the second threshold of “standard competition,” while Hollywood is still dominating de facto standards in the global movie business, China’s challenge is rapidly uprising, and pursuing for its own standards, based on the large scale of its capitals and people. At the final threshold of “soft power competition,” the United States and Chinese movie producers are competing for making their movie contents more attractive to their domestic and global audiences, and their governments, designing their public policies and other industrial institutions, are making efforts to support competitiveness of their movies. In short, the currently observing U.S.-China competition is not only an industrial competition of the traditional senses over market shares or technological innovation, but it is also a new mode of competition questing for emerging power, in other words, for business standards and soft power, and even for the effectiveness of their socio-political systems. In this perspective, the consequences of the new competition for emerging powers would not be a simple result of win or lose as a form of horizontal shift from one to the other nation, as depicted by the theory of power transition, rather they could be a complex configuration of “copetition,” which means a symbiosis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two “network states.”

      • KCI등재

        주가지수와 아파트가격지수 사이의 선형 및 비선형 인과관계 분석

        김상배(Sangbae Kim),정태훈(Taehun Jung) 한국무역연구원 2016 무역연구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near and nonlinear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ock price index and the apartment price index by adopting the linear Granger causality test and Hiemstra and Jones’ (1994) non-parametric nonlinear causality test. Our sample period ranges from January 2006 to May 2016.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stock price index Granger causes the apartment price index, but not vice versa. This result suggests the existence of the wealth effect in the Korean real estate and stock markets. When we include the business cycle dummy to consider the possible effect of the business cycle change, our finding is quantitatively similar. Finally, we examine whether or not our nonlinear causality results are driven by the volatility effect. To do so, we filtered our data using the multi-variate GARCH model. After filtering our data using the GARCH model, the Hiemstra and Jones test no longer provides evidence of significant nonlinear causality from the stock price index to the apartment price index, implying that the source of the nonlinear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ock price index and the apartment price index is the volatility effect.

      • KCI우수등재

        네트워크 권력의 세계정치

        김상배(Sangbae Kim) 한국정치학회 2008 한국정치학회보 Vol.42 No.4

        전통적으로 국제정치학에서 권력은 주로 국제정치의 주요 노드(node)인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물질적 자원의 보유라는 관점에서 파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드 기반의 물질적 권력 개념만으로는 최근 벌어지고 있는 권력정치의 변화를 제대로 포착할 수가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최근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에서 주목받고 있는‘네트워크이론’을 원용하여 탈(脫) 노드 차원의 권력 개념을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쉽고 간결한 개념의 힌트를 얻고자 하였다. 이 글이 제시하는 21세기 세계정치의 권력 개념은‘네트워크 권력’이다. 네트워크 권력은 노드 자체의 속성이나 노드가 보유하고 있는 자원이 아니라 노드들 간의 관계, 즉 네트워크에서 비롯되는 권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권력의 개념은 노드의 행위에서부터 비롯되었지만 역으로 노드를 제약하는 구조로도 작동하는 권력, 즉 행위자와 구조의 차원에서 동시에 작동하는 21세기 권력의 이중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은 행위자와 과정, 그리고 체제의 세 가지 차원에서 네트워크 권력의 복합적인 개념을 분석하였다. In the traditional theories of international politics, the concept of power has been understood in terms of material resources mainly possessed by the nation-states as major actors in international politics. Only with this concept of “actor-based material power,” however, we cannot grasp the nature of power politics that are transforming in the age of networks. In this context, this paper relies on the “network theory,” which has been presented in the field of natural and social science, and attempts to elicit some clues of an easy-but-concise concept of power in the age of networks. This paper suggests “network power” as a new concept of power for understanding world politics in the 21st century. The concept of network power does not predicated on the properties of nodes themselves or the resources that nodes possess. Rather, network power means the power originated from the relations among nodes - i.e., networks. This way of understanding power from the network perspective is very useful in capturing both dimensions of agent-based and structural power in the 21st centur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complex aspects of network power at the three levels of actor, process, and system.

      • KCI우수등재

        4차 산업혁명과 첨단 방위산업 경쟁: 신흥권력론으로 본 세계정치의 변환

        김상배(Sangbae Kim) 한국국제정치학회 2020 國際政治論叢 Vol.60 No.2

        최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첨단 방위산업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부국강병을 목표로 한 방위산업 경쟁은 근대 국제정치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 방위산업 경쟁은 새로운 변화의 조짐을 보여준다. 이 글은 신흥권력론의 시각을 원용하여, 첨단 방위산업 경쟁이 야기하는 세계정치의 변환을 세 가지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권력경쟁의 성격이라는 점에서, 최근 세계 주요국들이 벌이는 첨단 방위산업 경쟁은 디지털 부국강병 경쟁의 성격이외에도 표준경쟁이나 플랫폼 경쟁, 그리고 더 나아가 미래전의 수행방식을 주도하려는 담론경쟁의 성격도 띠고 있다. 둘째, 참여주체의 성격도 변화하여, 오늘날 군사기술 혁신 과정에서 국가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첨단 방위산업 경쟁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성격도 변화하고 있는데, 전통 방산기업들의 성격 변환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 분야의 신흥기업들의 참여가 새로이 이루어지고 있다. 끝으로, 세계정치의 질서 변환 차원에서도, 강대국들 간의 세력분포 변화뿐만 아니라 비강대국 또는 비국가 행위자들의 위상변화도 발생하고 있으며, 세계질서의 기저에 깔린 국제규범과 윤리 관념 및 정체성의 변화도 야기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The competition in the high-tech defense industry, which applied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recently been accelerating. The competition in the defense industry aimed at the so-called “Rich Nation, Strong Army” was one of the prominent features of modern international politics. But the recent high-tech defense industrial competi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ws new signs of change. Relying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emerging powers,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world politics caused by the competition in the high-tech defense industry at the three levels. First, the recent high-tech defense competition among the world’s major powers is not only about the competition for the Digital “Rich Nation, Strong Army” but also about standard competition or platform competition as a new mode of power competition and, moreover, the competition to lead the discourse of future warfare. Second, the nature of the participating actors has also changed, and the role of the state actor is relatively decreasing today in the process of military technology innovation. The nature of companies in the high-tech defense industry is also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efense companies are transforming and rather new companies in the fiel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emerging. Finally, the world political order is also changing, and taking place are the structural changes in power distribution and the status changes of middle powers or non-state actors. Furthermore, the high-tech defense industrial competition is also expected to result in changes in international norms, ethics and identity.

      • KCI우수등재

        사이버 안보의 미중관계

        김상배(KIM Sangbae) 한국정치학회 2015 한국정치학회보 Vol.49 No.1

        최근 사이버 안보의 문제가 21세기 미중관계의 현안으로 급속히 부상하고 있다. 이 글은 국제안보 분야 코펜하겐 학파의 안보화(securitization) 이론의 시각을 원용하여 현재 사이버 안보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이 벌이고 있는 경쟁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현재 사이버 안보의 미중관계는 세 가지 차원에서 본 안보화 과정의 차이가 단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첫째, 사이버 위협의 성격을 인식함에 있어서 미국이 주로 중국의 해커들에 의한 미국의 지식정보 자원에 대한 공격을 비난한다면, 중국은 미국 IT기업들의 기술패권을 중국의 사이버 안보에 대한 가장 큰 위협으로 간주한다. 둘째, 사이버 안보의 대상과 주체라는 점에서 미국이 주로 물리적 인프라의 안정성 유지와 개인의 인터넷 자유를 보호하는 데 관심이 있다면, 중국의 담론은 인터넷 상에서 유통되는 정보콘텐츠의 정치안전과 인터넷에 대한 검열과 규제를 수행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정책적 권리에 초점을 둔다. 끝으로, 사이버 세계질서의 구성이라는 점에서 미국의 담론이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글로벌 거버넌스의 모델을 강조한다면, 중국은 국가 행위자가 주도하는 전통적인 국제기구의 틀을 활용하자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사이버 안보담론의 차이에 내재해 있는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는 앞으로 양국이 사이버 안보의 국내외 질서를 구성하는 경쟁 과정에서 현실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Cyber security has rapidly emerged a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the U.S.-China relations of the 21st century. This paper relies on the perspective of securitization theory presented by the Copenhagen School in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and examines the dynamics of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the cyber security domain. U.S.-China relations in cyber security are currently reflected in the different securitization processes at the three levels. First, while the United States points to cyber threats by Chinese hackers’ attacks to its computer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resources, China securitizes technological hegemony of the U.S. multinational corporations as threats to its market and regime. Second, while the United States highlights cyber security at the individual level such as protection of privacy, human rights, and freedom of expression, China has been more concerned about Internet freedom at the national level through means to secure domestic political stability such as censorship and regulations. Finally, while the United States security discourses have been based on the neo-liberal visions for the world order in cyberspace, the Chinese discourses are composed of nationalist visions of state sovereignty in the world order. It is expected that the two world powers’ interests are possibly conflicting in building the future world order in the cyber security domain.

      • KCI등재

        정보화시대의 외교

        김상배(Sangbae Kim) 한국정치학회 2002 한국정치학회보 Vol.36 No.3

        정보화시대 외교분야의 혁명(RDA, Revolution in Diplomatic Affairs) 연구는 비즈니스분야의 혁명(RBA, Revolution in Business Affairs) 연구나 군사분야의 혁명(RMA,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RBA가 1960년대이래 전개되고 있으며 RMA도 1980년대 말부터 본격화되었던 데 반해 1990년대까지도 외교분야에서는 정보화가 지체되었던 현실이 이 분야의 연구가 부진한 가장 큰 원인일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세계정치의 차세대혁명으로서 RDA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서서히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확산은 외교과정에서 기술과 정보와 지식이 갖는 의미를 재고케 하였으며 더 나아가 외교의 내용과 형식을 양적ㆍ질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근대 외교의 기본전제들을 변화시킬 조짐마저 보여 주고 있다. 이 글은 정보화시대 세계정치의 내용과 본질을 탐색하는 개념적 작업의 일환으로서 정보혁명이 외교에 미치는 영향을 외교과정, 외교영역, 외교주체의 변화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특히 이 글은 정보화시대 외교의 변화를 개념화함에 있어 국제관계 론에서 제기되고 있는 권력(power)과 거버넌스(governance)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정보화시대 한국외교의 미래전략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Studies in the Revolution in Diplomatic Affairs (RDA) have lagged far behind those of the Revolution in Business Affairs (RBA) and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RMA). A major reason for this is the fact that the impact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had been delayed in diplomatic affairs until the late-1990s. RBA, on the other hand, began in the 1960s, while RMA was launched in the late-1980s. In recent years, however, diplomats and specialis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highlight the possibility of RDA as being the next generation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in world politics. In particular, the proliferation of the Internet makes us reconsider the significance of technology,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diplomatic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et to the diplomatic process may transform the premises of modem diplomacy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his context, relying on the theoretical resourc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such as theories of power and governance, this article explores the impact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on the changes in diplomatic affairs on three dimensions: 1) the diplomatic process, 2) issue areas in diplomacy, and 3) actors of diplomacy. This article aims to contribute in conceptualizing the changing nature of world politics in the information age, and to develop national strategies to cope with the structural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