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의에 대한 트라시마코스의 ‘주장(logos)’과 ‘생각(doxa)’

        김상돈 ( Kim¸ Sangdon ) 한국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4 No.1

        트라시마코스는 플라톤의 『국가』, 제1권에서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다.”라고 주장한다. 많은 학자들이 트라시마코스의 주장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논문은 트라시마코스의 주장을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정의에 대한 그의 ‘주장(logos)’과 ‘생각(doxa)’을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의에 대한 트라시마코스의 주장과는 다른 그의 생각이 있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은 소크라테스다. 소크라테스는 트라시마코스의 주장과 모순되는 그의 생각을 근거로 그의 주장을 논박한다. 본 논문은 트라시마코스의 주장과 소크라테스의 검토 및 논박 과정을 정밀히 분석하여 트라시마코스의 주장 속에 숨어 있는 그의 생각의 실체를 정확히 밝히고자 한다. 정의에 대한 트라시마코스의 주장과는 달리 그의 생각은 상식적 정의관을 대변한다. 하지만 그의 상식적 정의관은 현실에서 좌절되고 왜곡된다. 그래서 그는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며 부정의한 사람이 정의로운 사람보다 더 행복하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정의에 대한 트라시마코스의 주장과 생각의 구별은 소크라테스와 트라시마코스의 논쟁의 해석을 위해서 그리고 플라톤의 『국가』의 전체 내용의 해석을 위해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Thrasymachus insists that “justice is the profit of the stronger” in Plato’s Republic.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his insistence on different perspectives.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necessary for us to distinguish between his insistence, logos and his opinion, doxa about justice for the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rasymachus’ insistence. It is Socrates who catches and reveals Thrasymachus’ opinion about justice. Socrates disputes Thrasymachus’ insistence by pointing out the contradiction, that is, para doxa within his insistence. This paper illuminates Thrasymachus’ opinion about justice by scrutinizing the debates between Socrates and Thrasymachus. Thrasymachus’ opinion about justice represents and accords with common sense about justice. In Thrasymachus’ eyes, common sense about justice has been frustrated and justice as the stronger’s profit triumphs it. So, Thrasymachus cannot help but insist that justice is the profit of the stronger. The distinction between Thrasymachus’ argument, logos and his opinion, doxa about justice will play the key role in interpretation of Plato’s Republic as a whole.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적 친애

        김상돈 ( Kim¸ Sangdo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31 No.1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친애(philia)는 쾌락에 근거한 친애, 이익에 근거한 친애, 덕에 근거한 친애, 세 종류가 있다. 이 중에서 쾌락에 근거한 친애와 덕에 근거한 친애는 시민적 친애가 될 수 없다. 본 논문은 이익에 근거한 친애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민의 화합과 결속을 위해 입법자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 시민적 친애임을 주장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국가는 덕을 추구하는 공동체인 동시에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공동체다. 공동의 이익이 없다면 국가는 존립할 수 없으며, 정의는 곧 시민 전체의 공동의 이익이기 때문에 정의 실현을 위한 법은 공동의 이익을 위해 제정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수의 시민들이 친구가 될 수 있는 근거는 공동의 이익이라고 보았으며, 이익을 초월한 혹은 무관한 친애는 덕을 갖춘 소수의 ‘좋은 인간’ 사이에서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치제제에서 친애가 있는 만큼 정의가 있고, 정의가 있는 만큼 친애가 있다.”는 말의 진정한 의미를 파악하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적 친애는 시민적 정의와 공존하는 친애이어야만 하며 그것은 이익에 근거한 친애다. According Aristotle, there are three kinds of friendship. Friendship based on pleasure, friendship based on usefulness or profit and friendship based on virtue. Among them, friendship based on pleasure is not civic friendship because it is inconsistent above all. And friendship based on virtue cannot be civic friendship because it is based few virtuous human. State, polis, is composed of multitude citizens. This paper argues that friendship based on usefulness or profit must be Aristotle’s civic friendship. According him, polis basically is community for common good, that is, common profit of every citizen. Absolutely, polis also is community for virtue because it is supreme community for eudaimonia which is achieved by virtue. But Aristotle’s civic friendship must be interpreted as friendship based on profit. This paper proves by Aristotle’s justice. Aristotle insists that civic friendship in every polis or constitution appears as much as justice appears.

      • KCI등재

        소크라테스적 시민성과 도덕과교육

        김상돈(Sangdo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2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적 시민성을 도덕과교육에서 어떻게 교과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가를 ‘악법’과 ‘준법’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한국의 도덕과교육은 준법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왔으나 특이하게도 2007년, 2009년 개정 도덕과교육과정에서는 사라졌다. 특히, 소크라테스를 준법교육의 사례로 소개하는 것이 사라졌는데, 그 원인은 한국의 도덕과교육에 대한 정치적 비판 및 학문적 비판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소위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과 관련된 소크라테스적 시민성에 대한 논란은 한국의 도덕과교육에 대한 비판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적 시민성이 준법 교육을 위한 훌륭한 본보기가 될 수 있음을 플라톤의 『변론』과 『크리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나아가 한국의 도덕과교육은 시민불복종 교육을 하기에 앞서 먼저 준법 교육을 복원시켜야함을 주장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Socratic Citizenship could be planned in moral subject education in Korea, focused on 'bad law' and 'law-abiding. In Korea, moral subject education has carried on 'law-abiding' education. But, in the revised curricula for moral subject education in 2007 and 2009, it disappeared. This means that who are in charge of moral subject education did not face with critics on them. So called, the debates about the phrase, ""bad law too is law"" by Socrates implicate that there was some problem in moral subject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closely those implications and insists that Socratic citizenship could be example of citizenship education, that is 'law-abiding' education. Futhermore, this study requires that 'law-abiding' education in moral subject education necessarily must be restored.

      • KCI등재

        정치참여의 인과구조에 대한 한ㆍ미ㆍ일 국제비교연구

        김상돈(Kim Sangdon)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1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 비정치적 결사체가입, 정치참여 사이의 인과구조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정치참여개념에 대한 이론적ㆍ경험적 맥락에서 논의한 후, 각기 다른 맥락적 특성을 지닌 한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을 선정하여 2004년에 수행된 국제사회자료모듈과 KGSS 2004자료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모형검증의 추정결과, 첫째, 정치참여와 비정치적 결사체가입 수준은 한국과 일본보다 미국에서 상대적으로 높으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치참여와 사회단체가입 사이의 연관성정도는 한국과 일본보다 미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분상관관계의 강도는 미국과 일본보다 한국에서 확연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세 국가 모두 사회단체가입과 정치참여에 대한 유의미한 정의 인과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단체 참여는 세 국가 모두 정치참여에 대한 유의미한 정의 인과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정치참여에 대한 인과적 영향은 사회단체가입에 의해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단체참여에 대한 매개효과는 한국과 미국보다 일본에서 상대적으로 높다는 사실 또한 이 연구에서 밝혀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을 대상으로 평균차이, 판별수렴타당도, 상관 및 인과관계, 매개효과 등을 비교분석하여 제시되었으며, 이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발전적 제언도 설명되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ocioeconomics,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by suggesting that contexture explanation in the three nation. To do this, a set of hypothesi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s,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2004 and ISSP 2004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 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First, A differences of mean for the construct conceptualiz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have been proved to participate and enter positively and show significantly to the United states than to Korea and Japan. Second, A intensity of zero-order-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was proved to show high the United States opposed to Korea and Japan. but, A intensity of partial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was proved to show high Korea opposed to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ird,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s status on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were significant to the three nations. Forth,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s status on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hree nations. Fifth, The unit effects of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on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hree nations. Lastly, A difference of mediation effect for the non-political association was especially important in shaping political participation Japan oppose to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 from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differences of mean, discriminant-convergent validity, correlation and causation,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s status,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apan. In addition, This study are rais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and developmental proposal.

      • KCI등재

        행복과 도덕교육의 관계에 기초한 도덕과 교육 활성화 방안

        김상돈(Sangdo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4

        본 연구는 도덕과교육의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서 행복 교육의 과학화를 탐색한다. 도덕과 교육의 강화는 교육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지지를 필요로 한다. 행복은 그러한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개념 중에 하나다. 도덕과교육이 학생들에게 행복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면 도덕과교육의 정당성은 보다 확고해질 것이 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교과 내용으로서 행복 교육의 강화와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과학화의 결합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함을 주장한다. 도덕과교육의 미래 지향적 비전은 도덕적 삶의 이상 추구라는 이념적 관점과 아울러 도덕과교육의 실질적 효과의 증명 이라는 실증적 관점이 병행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최근 긍정심리학의 논의가 적극 적으로 활용될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심리학의 병리학적 집착으로부터 벗어나서 행복을 위 한 심리학으로의 변화를 주장하는 긍정심리학은 도덕과교육의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in order to activate a Moral Subject Education in Korea, first it need to be scientific, second, it is worthy to apply the methods and contents of Positive Psychology. Most of all, the activation of it can be possible by the suppor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is paper presupposes that the concept of happiness is very attractive to them for those support. Therefore, a Moral Subject Education should perform both their ultimate job of the pursuit of a moral ideal and their realistic job of the ensuring their happiness. For the these two job, Positive Psychology could be much utilized, in particular its VIA(Virtue In Action). Nevertheless, it should be noted that VIA accepts the neo-aristotelian approach in contemporary ethical theory and shares the virtue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s theoretical premise. This means that a moral education using Positive Psychology needs to be complemented by the Kantian moral theory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moral education theory.

      • KCI등재

        사회과의 다문화교육의 분석을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김상돈(Sangdo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1

        본 연구는 사회과의 다문화교육의 분석 및 평가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그 동안 사회과는 다문화사회의 사회학적 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다문화교육을 교과교육의 중요한 과제로 설정해왔다. 그러나 사회과의 다문화교육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그것은 문화적, 종교적, 언어적, 인종적 차이와 무관하게 모든 인간을 보편적 인간 존엄성의 관점에서 대우해야 한다는 다문화주의의 정신과 이념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다. 둘째, 그것은 민주주의라는 정치 이념과 체제를 고수할 수밖에 없는 교과적 한계로 인해 형식과 절차 혹은 법과 제도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실질적인 삶의 변화를 도모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사회과의 다문화교육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교과로서 도덕과를 제시한다. 도덕과는 교과의 본질과 특성상 다문화교육이 추구하는 다문화적 인간의 양성을 위한 가장 적합한 교과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다문화주의, 다문화교육은 근본적으로 ‘가치’의 문제를 다루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be the desirabl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by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Social Subject's it. Meanwhile Social Subject Education has positively accepted a lot of discourses about multiculturalism and a multicultural education, especially in USA, and has tried to apply them to a educational system of Korea. B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Social Subject Education has some limits. First, it does not represent and realize the idea and spirit of multiculturalism which should treat all people within multicultural societies as free and equal human beings to have dignity, regardless of their cultural differences. Second, it does not make the real change in student's attitudes and thoughts because it's internal limits of form and matter. In other words, it cannot get out of a frame of a civic education focused on institutions, laws, and procedures of democracy. This study presents the Moral Subject Education's Multicultural Education as an alternative. Multicultural education fundamentally deals with the change of values, attitudes and actions of students. Therefore, only when it is fully organized and systemized through Moral Subject Education, a man with multicultural capacities could be reared.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시민 교육의 학문적 근거와 내용 체계

        김상돈(Sangdo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8

        본 연구는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시민 교육의 위상, 학문적 근거 및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이다. 2007년 2월에 고시된 새로운 도덕과교육과정은 도덕적 시민 교육보다는 도덕적 인간 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도덕적 시민 교육은 역사적으로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인간 교육과 대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인간과 국가의 필연적 관계는 도덕적 시민 교육의 이론적, 학문적 정당성을 옹호한다. 도덕적 시민 교육의 학문적 근거는 주로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제시될 수 있다. 하지만 도덕적 인간 교육에 도덕철학이 유일한 학문적 근거가 될 수 없고, 도덕심리학이나 도덕사회학 등이 중요한 학문적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처럼, 도덕적 시민 교육에 있어서도 정치철학 외에 정치심리학, 정치사회학, 정치문화론 등이 학문적 근거가 될 수 있다. 도덕적 시민 교육의 학문적 근거가 풍부하게 제시될 수 있다면 도덕적 시민교육의 내용 역시 2007년 개정 도덕과교육과정의 그것보다는 더욱 풍부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도덕적 시민 교육의 내용 체계의 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the status of moral citizen education, academic grounding and the contents of it. The new curriculum of moral subject education announced in 2007 is focused on moral man education rather than moral citizen education. However, the history of moral education in Korea shows that moral citizen education is equivalent with moral man education. The necessary relationship of man and state, too, justifies that. The grounding of moral citizen education is given primarily by political philosophy. But, other spheres of politics which have a normative message can be also serve as background of moral citizen education. This is as like as moral philosophy cannot be a sole academic source in moral man education. Moral man education should be supported a lot of science related with it, for example, moral psychology, moral socialization, etc. As like it, moral citizen education have varied spheres of politics, for example, political socialization, political psychology, and a theory of political culture. The revision of curriculum of moral citizen education is needed. In this paper, I will present a proposal for the contents of moral citizen education for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