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노인덴테이션과 주사탐침현미경을 이용한 박막 재료의 특성평가

        김봉섭,윤존도,김종국,Kim, Bong-seob,Yun, Jon-do,Kim, Jong-kuk 한국재료학회 2003 한국재료학회지 Vol.13 No.9

        Surfa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in films with submicron thickness was characterized by nanoindentation with Berkovich and Vickers tips, and scanning probe microscopy. Nanoindention was made in a depth range of 15 to 200 nm from the surface by applying tiny force in a range from 150 to $9,000 \mu$N. Stiffness, contact area, hardness, and elastic modulus were determined from the force-displacement curve obtained. Reliability was first tested by using fused quartz, a standard sample. Elastic modulus and hardness values of fused quartz measured were the same as those reported in the literature within two percent of error. Mechanical properties of ITO thin film were characterized in a depth range of 15∼200nm. As indentation depth increased, elastic modulus and hardness decreased by substrate effect. Ion beam deposited DLC thin films were indented in a depth range of 40∼50 n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LC thin film using benzene and bias voltage 0∼-50 V has elastic modulus and hardness value of 132 and 18 GPa respectively. Pure DLC thin films showed roughnesses lower than 0.25 nm, but silicon-added DLC thin films showed much higher roughness values, and the wavy surface morphology.

      • KCI등재
      • KCI등재

        페이스북 이용자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봉섭 ( Bong Seob Kim ),박시현 ( Si Hyun Park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본원적인 질문은 ‘페이스북 이용자는 고독한가?’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결과로 부정적 정서의 하나인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페이스북 이용이 자신의 삶을 평가하는데 있어 다른 이들과의 관계의 질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2013년 4월1일부터 한 주간 온라인조사를 통해 321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페이스북 이용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페이스북 이용동기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페이스북 이용시간과 페이스북 애착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관계유지 동기와 습관적 이용동기였다. 또한 사회적 압력동기는 페이스북 이용시간에, 이미지 관리 동기와 타인탐색 동기는 페이스북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함께, 커뮤니케이션 성향은 미약하나마 페이스북 이용시간이나 페이스북 애착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페이스북 이용에 대한 사회적 관계 요인의 영향과 관련해서 이용시간은 오프라인 만남정도, 애착은 오프라인 가입 모임수에 의해 각각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고독감과 관련해서는 페이스북 애착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페이스북 애착은 관계유지 동기와 이미지 관리 동기, 사회적 압력동기, 타인탐색 동기와 함께, 커뮤니케이션 성향중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회피성향을 매개하여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계의 유지와 형성을 목적으로 등장한 페이스북은 본래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 이용할 경우 오히려 고독감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The primary question of this study is “Do Facebook users feel lonely?” The feeling of loneliness as the result of Facebook use and the negative emotion was empirically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d how Facebook users evaluate the quality of his relationships as the result of Facebook use. This study did an online survey for one week from 1st April 2013 and analyzed 321case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Facebook use was Facebook use motive. Factors predicting Facebook use time and attachment were relationship maintenance and habitual use. Frequency of Facebook use time was influenced by social press, where as Facebook attachment was influenced by image management and other users` searches. For this, a communication trait predicted Facebook use time and attachment. In connection with Facebook social relationships, use time was influenced by offline meetings where as Facebook attachment was influenced by offline applications. Finally, Facebook attachment had an effect on loneliness. Facebook attachment formed the bridge between loneliness and image management, social press, other users` searches,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trait. This study suggests that loneliness increases if users do not utilize Facebook for new contacts or relationships.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과학연구 :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페이스북 이용자의 정서적 효과 연구: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김봉섭 ( Bong Seob Kim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社會科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과 관련하여 이용자의 정서적 보상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이용자의 정서적 보상 차원에서 페이스북 이용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4월1일부터 한 주간 온라인 조사를 통해 32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페이스북 이용동기 중 관계유지 동기가 페이스북 이용강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와 관련해서는 오프라인 친구수와 오프라인 가입 모임수가 페이스북 이용강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오프라인 만남 회수는 부적인 영향을 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페이스북 이용강도는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페이스북 이용자가 물리적이고 정서적으로 페이스북 이용에 투여할수록 주관적 행복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관적 행복감은 이용동기와 관련해서는 관계유지 관련 동기로부터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사회적 관계로부터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하면, 페이스북은 새로운 관계의 형성보다는 오프라인 사회적 관계를 보완하며 관계유지를 위해 주로 이용되는 매체이며, 페이스북 이용을 통해 이용자들은 주관적 행복감이라는 정서적 보상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confirm Facebook user’s affective compensation pertaining to Facebook us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ly influence on subjective happiness such as Facebook user’s affective compensation by Facebook use. This study did an online survey for one week from 1st April 2013 and analyzed 321cases The result of analysis was that Facebook intensity was greatly influenced by relationship motive among Facebook use motive. With the respect to social relations, offline mate and get-together quantity gave a positive influence to Facebook intensity. But offline meeting quantity contributed negatively to Facebook intensity. Next, Facebook intensity acted on subjective happiness positively. The more Facebook user invested in Facebook use physically and emotionally, the more subjective happiness was on the increase. Especially, subjective happiness was affected by maintaining relationship motive indirectly and by social relations directly. Overall, Facebook was a medium more for complementing offline social relations and maintaining relations than for forming new friendship. And, Facebook user took affective compensation of subjective happiness from Facebook use.

      • KCI등재

        컴퓨터교과교육 : 사이버불링 발생과 정보매체활용 간의 상관분석 -인터넷과 휴대전화 사용을 중심으로

        김봉섭 ( Bong Seob Kim ),박종선 ( Jong Sun Park ),감동은 ( Dong Un Gam ),진상기 ( Sang Ki Ji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6 No.5

        청소년들에게 사이버불링은 심각한 위해 요소로 작용하고 있지만 사안의 심각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접근과 시도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국 초·중·고등학생 1,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청소년들 사이에 인터넷 불링 가해경험은 유형별로 20.3%에서 39.0%, 피해경험은 11.0%에서 23.4%, 휴대전화 불링 가해경험은 15.9%에서 44.1%, 피해경험은 5.5%에서 21.8%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불링 가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터넷의 경우 성별, 학업스트레스, 인터넷 접근성, 익명성, 인터넷 이용시간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휴대 전화의 경우에는 학교급별, 학업스트레스, 휴대이동성, 익명적 이용가능성, 휴대전화 이용시간 등이 휴대전화 불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불링과 휴대전화 불링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터넷 불링 가·피해 경험과 휴대전화 불링 가·피해 경험은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터넷 불링 가해경험과 휴대전화 불링 가해경험, 인터넷 불링 피해경험과 휴대전화 불링 피해경험은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yberbullying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eens. However, the academic approach and try is still an its early stages in spite of the issue of the seriousness and importance.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11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survey, Internet bullying violence experience was from 20.3% to 39.0%, victim experience from 11.0% to 23.4%, mobile phone bullying violence experience was from 15.9% to 44.1%, victim experience from 5.5% to 21.8%. The factors affecting Internet bullying violence experience were gender, academic stress, internet accessibility, anonymity, use time of internet. The factors affecting mobile phone bullying violence experience were school table, academic stress, mobility, anonymity, use time of mobile phone. Finally, this study grasped the relation between Internet and mobile phone bullying. It was found that Internet bullying violence?victim experience had something to do with mobile phone bullying violence?victim experience. Especially, Internet bullying violence experience had a lot to do with mobile phone bullying violence experience, Internet bullying victim experience had a lot to do with mobile phone bullying victim experience.

      • KCI등재

        청소년의 모바일 이용에 따른 실재감 인식에 관한 연구 : 음성 및 영상통화에 의한 실재감 차이를 중심으로

        김봉섭 ( Bong Seob Kim ),김정미 ( Jeong Mi Kim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10 社會科學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모바일이 미디어 환경으로서 일상생활의 공간 경험을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에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성통화 서비스와 영상통화 서비스간 실재감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음성통화서비스 이용자에 비해 영상통화서비스 이용자가 더 많은 실재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실증적으로 입증하지 못했던 모바일 이용 공간에 대한 이용자의 행동을 인식차원에서 실증적으로 규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용자의 몰입경향도 실재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모바일의 이용동기와 이용기간에 따른 실재감 경험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모바일 자체의 고유한 특성과 이용자 특성이 실재감 경험에 더 많이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does mobile construct daily experience through space in media environment. In doing this, we scrutinized high schools who have an active attitude to mobile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Presence between the Video calls and Voice call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high schools using Video calls experienced Presence which was more high schools using Voice calls. This proved empirically mobile user's recognition in the space that was not proven until now. Additionally, The mobile user's immersive tension affected Presence. However, the mobile user's motivation and duration did not affect Presence. The results suggest that mobile's uniqueness and user's characters affect Pres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