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규범문법 성립 과정에 관한 연구 -"자리토"와 "끼움토"의 설정을 중심으로

        김병문 ( Byungmoon Kim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5 No.-

        이 글에서는 북한의 규범 문법에서 ‘자리토- 끼움토’의 체계가 성립하는 과정을 검토한다. 크게 본다면 『조선어문법 1』 (1960)에서 설정한 ‘토-형태 조성의 접미사’라는 구도가 ‘위치토-비위치토’를 거쳐 1970년대 규범 문법의 ‘자리토- 끼움토’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 체계는 80년대의 소위 이론 문법에서도, 그리고 현재까지도 큰 수정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전 과정을 관통하는 핵심 개념은 ‘형태 조성’이다. 문장 내에서 한 단어가 다른 단어들과 맺는 문법적 관계는 ‘토’와의 결합을 통해 드러나는데 단어와 ‘토’의 결합형이 바로 그 단어의 (문법적) ‘형태’이고 ‘토’의 기능 역시 그러한 형태를 조성하는 데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가운데 문장성분의 결정에 관여하는 것이 ‘자리토’ 그렇지 못한 것이 ‘끼움토’라는 것인데, 이러한 체계가 완성되어 가는 과정은 북한의 규범 문법이 성립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체계가 형성되어 가는 과정에서 어떠한 이론적 논의들이 있었으며 그 와중에 배재된 것은 무엇인지 검토해 봄으로써 간접적으로 김일 성대학과 사회과학원이 북한 문법의 형성 과정 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도 살펴보고자 했다. ‘토-형태조성의 접사’라는 구분, ‘위치토-비위치 토’의 설정 등은 모두 김수경의 논문이나 그가 관여한 문법서에서 비롯한 것이고 이것이 이후 북한 문법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이른 바 ‘김대 문법’이 제시한 이론을 ‘과학원 문법’이 수용해 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요 문법적 단위들에 대한 입장, 즉 ‘토’의 품사 설정 여부 서술격 조사 ‘이다’와 피사동 접사의 처리 방식 등이 사회과학원 주도의 규범 문법에서 부정되었다는 것은 양자의 일정한 긴장관계를 암시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This work examines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Jarito-Kkiumto” system in North Korea’s normative grammar. It can be broadly explain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To-morph developing suffix”, which was set out in the Joseon Language Grammar 1 (1960), was linked to the “Jarito-Kkiumto” of normative grammar in the 1970s after going through “Wichito-Biwichito”. In addition, this process was accepted without big modifications in the so-called theoretical grammar of the 1980s, and even to the present day. The core concept that underlies this whole process is called “Morph Development”. “Morph Development” is the idea that the grammatical relations by which a word combines with other words in a sentence are definitely revealed by the combination of a word with”To”. The combination type of a word with “To” is the (grammatical) morph of the very word, and the function of “To” also l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morph. Moreover, in the process of grammatical relations, an element that gets involv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sentence is “Jarito”, while one that does not is “Kkiumto”. The process by which this system is completed is also one of the mechanisms of North Korea’s normative grammar establishment. This study looks at the indirect antagonistic relations between KIM-IL-SUNG UNIVERSITY and North Korea’s Academy of Social Science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n grammar formation by examining the discussions surround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is system, and what was excluded in the process.

      • KCI등재

        연구 논문 : 들리지 않는 소리, 혹은 발설되지 않는 말과 "국어"의 구상 -근대계몽기 국문 담론 분석-

        김병문 ( Byungmoon Kim ) 한림과학원 2015 개념과 소통 Vol.0 No.15

        이 글에서는 근대계몽기 ‘국문(國文)’ 담론을 ‘균질화’와 ‘국민화’라는 개념을 통해 분석한다. 동아시아의 전통사회에서 문자는 세계의 구성원리이자 규범인 ‘도(道)’ 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서, 『훈민정음』 해례에서 모든 글자를 음양오행의 체계에 맞추어 설명하려 한 것은 그 때문이다. 우리 글자를 두고 남의 나라 글자인 한자를 쓰는 일은 스스로 노예가 되고자 하는 것이라는 근대계몽기의 논리(국민화)는 따라서 문자는 세계의 원리나 이치 같은 질적인 가치와는 아무 관련이 없이 단지 말소리를 반영하는 것이어야 한다(균질화)는 관점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불가능했다. 근대계몽기 내내 ‘균질화’와 ‘국민화’는 국문 담론을 관통하는 것이었지만, 대략 1905년을 전후하여 담론의 핵심 전략이 전자에서 후자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균질화의 결과로 문자보다 우선하게 된 언어가 국민화의 맥락에 놓이게 되자, ‘국문’ 담론은 ‘국어’라는 새로운 대상을 발견하게 된다. 아직 ‘어떻게 적을 것인가’라는 국문 담론의 과제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이때의 국어는, 예컨대 ‘낫·낮·낯·낱’과 같이 입이나 귀로는 구별해 낼 수 없는(눈으로만 구별할 수 있는) 소리의 어떤 독특한 층위, 그리고 일상적 발화에서는 그 존재조차 의식되지 않는 문장이라는 단위를 발견하는 과정과 더불어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근대계몽기 국문 담론을 분석하는 이 글은, 따라서 그러한 독특한 층위와 단위가 어떠한 시선 아래에서 발견되었는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national characters used in early modern Korea through the concepts of ‘homogenization’ and ‘nationalization.’ Written characters in the traditional Eastern Asian society were closely related to ‘Do,’ which was held to be a universal principle; this is why the creators of Hunminjeongeum(the indigenous Hangul script) tried to explain all its characters in accordance with EumYangOHaeng, i.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early modern Korea, some arguing for nationalization assumed that using Chinese characters instead of Hangul constituted a form of voluntary enslavement, but they also had to accept the merits of homogeni- zation:that characters should be chosen on a purely phonetic basis, completely unrelated to any qualitative values, such as universal or logical principles. The concepts of homogenization and nationalization were the main issues influencing the discussions on the use of national characters in early modern Korea, but from around 1905 the concept of nationalization appears to have become dominant. As a result of homogenization, however, it was language, rather than characters, which became the target of nationalization, so that discussions on the use of national characters now focused on the national language. While the question of how to use the national characters still remained unresolved, discussions came to include the morphophonemics layer, which distinguishes the elemental sounds of the language from how they are combined in practice to make actual words and sentences.

      • KCI등재

        정인보의 <오천 년간 조선의 얼>을 통해 본 ‘얼’의 사상과 ‘국어’의 사상의 관계

        김병문(Kim, Byungmoon) 한국사회언어학회 2021 사회언어학 Vol.29 No.3

        This article starts with a thought that the ideas of ‘Eol’(soul) and ‘Gugeo’(national language) presuppose each other. Given that ancient history was the place of struggle in which the desires of a modern nation-state were projected, national language was an important tool of the struggle for nationalist historians such as Shin Chaeho and Jeong Inbo, who attempted to reveal the reality of ancient history. At the same time, the history of national language could only be established based on national history. In order to take a critical look at this entangling of ‘national history’ and ‘national language’, this article analyzed Jeong Inbo s “Joseon s Eol of 5,000 Years”. Chapter 2 examines the specific aspects of the linguistic methodology Jeong Inbo used in “Joseon s Eol of 5,000 Years” and its status in his research on Korean history. Chapter 3 reviews Jeong Inbo s approach to describing ancient history, which introduced a linguistic methodology, in the academic context of the time and show that it was an important tendency of ‘Joseonhak’(Korean Studies) that sought to eventually find Something true to Korea. Chapter 4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deas of ‘Eol’ and ‘Gugeo’, which originated from ‘Guksu’ and ‘Gukon’.

      • KCI등재

        신채호의 고대사 기술에 사용된 언어학적 방법론 검토-『조선사연구초』와 『조선상고사』를 중심으로-

        김병문 ( Kim Byungmo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9

        신채호는 ‘국문을 쓸 것이냐 한문을 쓸 것이냐’ 하는 문제를 ‘주인이 될 것이냐 노예가 될 것이냐’의 문제로 파악하고, 한문으로 된 중국의 역사서만을 읽은 탓에 우리가 ‘국수(國粹)’와 ‘국혼(國魂)’을 잃어버렸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가 추구할 역사 서술의 방향은 중국과 한문에 오염되기 이전의 조선의 고유한 정신을 회복하여 종국에는 정신적인 노예 상태를 벗어나 주인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었다. 중국과 한문으로 인해 오염되기 이전의 조선만의 고유성을 찾으려는 노력은 그러나 그가 접할 수 있는 사료 자체가 모두 한문으로 씌어진 것뿐이라는 사실 때문에 처음부터 큰 난관에 부딪힐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히 1920년대 중반 이후 신채호는 고대사에 등장하는 인명이나 지명, 국명, 관직명 등을 모두 ‘이두식’으로 해석하는 방법론을 도입하게 된다. 한자를 한자로 읽지 않고 그것을 통해 한자 이전의 고유어를 복원해 내는 방식이다. 그리고 그러한 방법론은 당시에 활발하게 논의되던 한국어의 계통론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조선상고사』(1931)가 『독사신론』(1908)과 결정적으로 달라지는 것 가운데 하나는 바로 언어학적 방법론의 사용이었던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신채호가 『조선사연구초』와 『조선상고사』와 같은 특히 1920년대 중반 이후의 역사 서술에서 언어학적 방법론을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하였는가 하는 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그가 활용한 언어학적 방법론은 한국어 계통론에 기반을 둔 것과 신채호 특유의 ‘이두식’ 한자 해석법을 활용한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이 당대 혹은 후대의 한국어 연구와 어떠한 연관 관계를 맺고 있는지 역시 검토의 대상으로 삼겠다. Shin Chae-ho identified the question of “whether to write in Korean or Chinese characters” as “whether to become a master or a slave” and viewed that we lost “national essence(國粹)” and “national spirit(國魂)” because we only read Chinese history book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the direction of historical narrative he pursued was to restore the unique spirit of Joseon before it was polluted by China and Chinese characters and eventually to reach the mastership by breaking free of the state of spiritual slavery. However, the efforts to find the uniqueness of Joseon before it was polluted by China and Chinese characters were faced with a major obstacle from the start because of the fact that all the historical records he had access to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hin Chae-ho introduced a methodology that interpreted all the names of people, regions, nations and government posts in ancient history with “Idu” especially after the mid-1920s. It is a method of restoring the native language through Chinese characters instead of reading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s. And that methodology is also directly linked to the systematic theory of the Korean language, which was actively discussed at the time. One of the decisive changes in JoseonSanggosa(1931) from DoksaSinron(1908) was the use of linguistic methodologies. This study examines how Shin Chae-ho used linguistic methodologies in historical narrative, especially after the mid-1920s, such as JoseonSanggosa and JoseonsaYeongucho. The linguistic methodologies he used can be divided into the one based on the comparative lingu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other using his unique “Idu” interpretation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This study also looks into how each of them relates to Korean studies of the time or later.

      • KCI등재

        언어적 근대의 극복을 위하여 ― 가스야 게스케의 『언어·헤게모니·권력』 (고영진·형진의 역, 소명출판, 2016) ―

        김병문 ( Byungmoon Kim ) 한림과학원 2018 개념과 소통 Vol.0 No.21

        이 글은 가스야 게스케의 『언어·헤게모니·권력』에 대한 서평이다. 제1장에서는 가스야가 프랑스혁명과 새로운 시민사회의 창출이라는 맥락에서 관념학파의 일반문법을 다루는 의미를 촘스키 및 푸코의 일반문법 이해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이 책의 이해에 핵심적 사항으로 볼 수 있는 그람시의 헤게모니론과 근대의 언어 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저자의 참신한 시각을 소개하였다. 근대의 새로운 권력 작동 양식인 헤게모니 장치를 염두에 두지 않고는 ‘국어’의 사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저자의 판단이다. 이러한 입장은 근대언어학의 자유주의적이고 자연주의적인 언어 이해의 문제점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을 요하는 부분이다. 제3장에서는 가스야의 ‘국어’ 발생론을 정리하고 이 책의 또 다른 핵심 개념인 ‘언어에 대한 전체상’의 형성이라는 문제를 다룬다. 하나의 개별 언어에 대한 전체상은 언어가 일정한 영토에 토착한다는 근대적 관점에 기반하는데, 이 전체상은 사회적 권력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개별 언어의 ‘전체 기능’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다. 제4장에서는 저자가 이 책에서 언급한 몇몇 열쇳말을 중심으로 언어적 근대의 극복이라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복수 언어의 기능 분담을 허용하지 않는 ‘국어’의 문제, 중립적이고 무표적인 언어를 가정하는 근대 산문문체의 문제, 하나의 단일한 언어를 가정해야 하는 ‘언어공동체’라는 개념의 문제 등이 주로 검토의 대상이 된다. This is a book review of Kasuya Keisuke’s Language, Hegemony and Power, which was translated by Ko, Young-jin & Hyung, Jinni, and published by Somyong in 2016. Section I looks at Kasuya’s analysis of the general grammar of several ideologue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consequent creation of a new civil society, through a comparison with Chomsky & Foucault’s understanding of general grammar. Section II discusses a central theme of the book:the fresh perspective which the author introdu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msci’s theory of hegemony and the language problems associated with modernity. The author argues that it is impossible to properly understand the idea of ‘a national language’ without considering the device of hegemony, which constitutes a new style of power operation in modern times. Section III deals with Kasuya’s evolutionary theory of a ‘national language,’ and addresses the problem of how a ‘holistic view’ of a language can be formed, which is another core concept of this book. The holistic view of any specific language is based on the modern perspective that a language becomes indigenous to a certain territory, and this holistic view is closely related with the ‘holistic function’ which is determined by social power relations. Section IV examines the problem of the conquest of linguistic modernity by focusing on some keywords mentioned by the author of the book. These keywords are mostly concerned with three problems:that a ‘national language’ does not allow the function sharing possible with multiple languages;that a modern prose style assumes the existence of a neutral, unmarked language;and that the concept of a speech community presupposes one single language.

      • KCI등재

        ‘주체의 언어리론’을 통해 본 메타언어학으로서의 사회언어학이라는 가능성

        김병문(Kim, ByungMoon) 한국사회언어학회 2020 사회언어학 Vol.28 No.1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Subject s Linguistic Theory≫, the 1st volume of the Linguistics Collection, published in 2005 by the Institute of Linguistics at the Academy of Social Sciences. The Linguistics Collection was published with the aim of summing up the achievements of the linguistics research conducted by North Korea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fact that ≪The Subject s Linguistic Theory≫ was selected as the 1st volume of this series means that this field is the best manifestation of the nature of North Korean linguistics. This study aims to see how North Korea s language perception differs from or same as ours, and eventuall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utual communication of linguistic studies conducted in the South and the North. In section 1, it explains the overall purpose of the study, and in section 2, it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the North s linguistic theory, called “The Subject s Linguistic Theory,” has been formed, and in section 3, it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Subject s Linguistic Theory≫ (2005), published as part of the Linguistics Collection. In section 4, we attempt to present the necessity of meta-linguistics and the role of social linguistics through the theoretical questions that this The Subject s Linguistic Theory poses to us.

      • KCI등재

        주시경의 ‘씨난’과 『 말모이』의 관계

        김병문(Kim, Byungmoon) 한국사전학회 2013 한국사전학 Vol.- No.21

        The detailed category of “Ssi” by Ju, Si-kyung has never been completely settled to reach an agreement, but its fundamental characteristic can be verified through other works such as his final writing, Malui-Sori(the sound of Language), and Malmoi(words of gathering), which he participated in compiling.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that is found among such works is that his “ssinan” (a part of speech) completely conforms to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entries in the dictionary. This significantly differs from the fact that the current parts of speech in Korean does not conform to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entries in the Korean dictionary. This is because it is believed that he kept in mind of the elements that we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meaning and grammatical function of words in explaining Korean sentences and not because Ju, Si-kyung’s “ssi” was based upon a theoretical unit such as morphemes or words. Such individual elements have already been confirmed in "Jjamdeumgal" from Gugeomunbeob and are in accord with the standards for selecting entries for the Korean dictionary.

      • KCI등재

        `국어학`이라는 사상 ― 근대 언어학의 정치적 함의에 대하여 ―

        김병문 ( Byungmoon Kim ) 한림과학원 2017 개념과 소통 Vol.0 No.19

        이 글은 `국어학`이라는 제도 / 담론이 성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몇 가지 가정이나 전제에 대한 검토이다. 일반적으로 언어학이 대상으로 삼는 규칙은 상황이나 맥락, 사회적 조건들과 무관한 자율적인 것인 동시에 해당 언어공동체에 속한 화자들에게 무차별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규칙을 공유하는 화자들에게는 그러한 것이 있다는 사실 자체가 의식되지 않는 규칙이라는 점에서 타자의 시선을 전제해야만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특수한 것이기도 하다. 소쉬르가 제시한 랑그는 `사회`라는 필터를 통과한 것이었고, 이는 이전세대와는 달리 소쉬르가 자연과학이 아니라 사회과학을 언어학의 모델로 삼고자 했음을 뜻한다. 그러나 사회로부터 자율적인 동시에 모든 구성원에게 무차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규칙을 대상으로 삼는 한 그러한 언어학에는 자연과학을 모델로 삼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온갖 사회적 변이가 사라진 진공상태의 언어만이 남게 된다. 사회적 변이가 소거된 `하나의 언어`와 `균질적 언어공동체`라는 이 언어학적 가상은 근대 국민국가 특유의 언어정책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표이기도 하거니와, 네이션을 보편화된 불평등과 수탈에도 불구하고 수평적 동료의식으로 상상할 수 있게 하는 것 가운데 하나인 근대적 언어인식의 이론적 표현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언어학은 근대 국민국가가 갖추어야 할 국가장치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고, `국어학`이라는 것은 유별난 국가주의에 의해 나타나는 무엇이 아니라 단지 언어학이 근대 국민국가의 국가장치임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겠다. There are some general rules applicable to the study of linguistics:that targets are autonomous, unrelated to conditions, contexts, or social circum-stances; and such rules are applied equally to all speakers belonging to that linguistic community. In addition, however, these rules have a special aspect, since they must be premised by the perspective of others, because speakers who share them cannot recognize the fact that they exist at all. Saussure`s concept of `langue,` however, is filtered by society, which means that unlike the linguists of earlier generations, he models modern linguistic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ocial sciences, rather than the natural sciences. The previous approach, in which linguistics deals with rules that can be indiscriminately applied to all the members of a society while remaining independent from it, leaves language in a vacuum, and cannot account for any social variables. This methodological use of the natural sciences relied upon imagined ideal linguistic concepts such as `one language` and `homogeneous linguistic community` which neglected all social variables in pursuance of the ultimate goals sought by the language policies of modern nation-states. Moreover, such concepts are the theoretical expression of modern linguistic perception, and they facilitate imagining the nation with a horizontal sense of community, despite the all-pervading existence of inequality and extortion. Thus, the study of linguistics should be understood as an essential apparatus for a modern nation-state, and the discipline of national linguistics is not something that arises as an unusual or occasional feature of nationalism, but is actually an explicit expression of the fundamental importance of linguistics for modern nation-states.

      • KCI우수등재

        ‘국어문법’의 계보와 문어(文語) 규범의 형성이라는 문제에 대하여 - 박승빈의 표기법 및 문법을 중심으로 -

        김병문 ( Kim Byungmoon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8

        이 글에서는 박승빈의 문법 이론을 한국어 문어의 글쓰기 규범이 형성되는 맥락에서 재검토한다. 전통적인 한문 문장의 규범에서 탈피하여 새롭고 근대적인 형태의 문장 쓰기를 시도하던 1910년대 전후의 지식인들은 여러 문장 모델을 검토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가운데 특히 박승빈은 이른바 한자 훈독식 표기에 입각한 문장을 적절한 문장의 모델로 삼았는데, 그의 독특한 단활용설 역시 이러한 표기 양식에서부터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와 같이 박승빈의 문법 이론을 그가 시도한 한자 훈독식 표기와의 관련성 속에서 해석할 때 이른바 ‘국어문법의 계보’ 역시 온전히 밝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근대 시기 논의되었던 문장 모델 가운데 한자 훈독식 표기가 차지하는 위상이 어떠했으며, 당대에 논의되던 주요 문장 형태가 한글 표기 방식과 일정한 관련을 맺고 있었을 가능성을 검토해 본다. 3장에서는 박승빈이 한자훈독식 표기에 대해 취한 입장과 실제로 그가 그러한 표기를 활용하여 작성한 문장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의 단활용설이 한자 훈독 표기의 정교화 과정에서 제출될 수 있었음을 살펴볼 것이다. 4장에서는 앞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1930년대 이루어진 표기법 논쟁을 재검토할 것인데, 특히 박승빈이 유독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소리의 반영을 강조하는 데 비해 최현배를 비롯한 조선어학회 인사들이 표음문자인 한글의 표의화(表意化)를 특히 강조하고 이를 문법의 개념과 연관시키고 있는 것의 의미를 ‘국어문법의 계보’와 관련하여 해석해 보겠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Park Seungbin's theory, which opposed Ju Sigyeong's orthography, in the context of the formation of writing norms of Korean language. It seems that intellectuals before and after the 1910s, who tried to write new and modern forms of sentences by breaking away from the norms of traditional Chinese sentences, explored various sentence models. Among them, Park Seungbin, in particular, took sentences based on Korean reading notation attached to Chinese character as a model for proper sentences, and his unique theory of the inflection of predicates can also be interpreted as coming from this notation styl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o-called genealogy of ‘Korean grammar’ can also be fully revealed when interpreting Park Seungbin's grammar theory in relation to the Korean reading notation attached to Chinese character he attempted. To this end, this article examines the status of Korean reading notation attached to Chinese character, among the sentence models discussed in the modern era,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major sentence forms discussed in the time had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notation style. And it will also examine that Park Seungbin's unique theory on the Inflection of predicates could have been submitted in the process of elaborating Korean reading notation attached to Chinese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