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적용 및 타당화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을 중심으로

        김병만 ( Kim Byung-man ),김미진 ( Kim Mi-jin ),김정주 ( Kim Jung-ju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9 아동교육 Vol.28 No.1

        본 연구는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에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을 적용하여 선행적으로 개발된 평가척도의 타당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부모 23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김병만(2018)이 개발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 중심으로 수정·보완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SPSS 23.0과 AMOS 8.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가 정도, 내용단일성, 문항변별도, 척도양호도를 확인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의 평가 정도는 2.84∼3.66의 분포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단일성의 범위는 .71∼.90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문항변별도는 모든 평가지표 상위 집단의 평균이 하위 집단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척도양호도는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측정변인이 잠재변인을 설명하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에 기초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평가척도임이 검증되었고, 유아교육정책 및 평가 분야에 가치 있는 학술적 의미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and apply the parental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by applying the Nu-ri Curriculum for 3-to-5-year-ol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32 parent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too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policy of ‘Nu-ri Curriculum for 3-to-5-year-olds’ policy developed by Kim Byung-man (2018) Respectively.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descriptive statistics, construct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tem discrimin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MOS 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evaluation of the parental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applying the ‘Nu-ri Curriculum for 3-to-5-year-olds’ policy was 2.84 ~ 3.66. The average of the public interest evaluation index of the colony was the highest, and the demographic average of the true women index was the lowest. Second,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it was proved thr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that the parents' evaluation scale applying the policy of ‘Nu-ri Curriculum for 3-to-5-year-olds’ was valid and reliable evaluation scale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alidity and appl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ctive involvement of parents in the evaluation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그릿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주(Jung-Ju Kim),김병만(Byung-Ma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그릿이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00명을 임의표집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김아영, 박인영(2001)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후 김병만, 김정주, 윤정진(2017)이 수정하여 사용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고, 그릿을 측정하기 위해 Duckworth, Peterson, Matthews와 Kelly(2007)가 개발한 Original Grit Scale(Grit-O)를 이수란(2014)이 한국실정에 맞게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Seligman(2011)의 웰빙에 대한 PERMA 이론을 토대로 Butler와 Kern(2014)이 개발하여 김미진(2015)이 번안한 다차원적행복척도(Multidimensional Measure of Flourishing: MMF)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릿, 행복감에 대한 인식에 대한 결과로 모든 변인에서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인식 정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릿,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그릿은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ademic self-efficacy and grit on happiness. For this purpose, 30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reschool education at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 province were randomly sampled and selected. In order to measur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ademic self-efficacy, I used the academic self-efficacy test tool modified by Kim Byung-man, Kim Jung-ju and Youn Jung-jin (2017) afte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im Ae-Young and Park In-Young (2001). The original Grit Scale (Grit-O) developed by Duckworth, Peterson, Matthews and Kelly (2007) was used to measure grit. And to measure happiness, we used the multidimensional happiness scale developed by Butler and Kern (2014) and developed by Kim Mi-jin (2015) based on the PERMA theory of wellness in Seligman (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grit, and happiness, positive perceptions were more than usual in all variables.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 s academic self-efficacy, grit, and happiness. Third,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 factor affecting the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self-confidence affect the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mong the sub-variables of happiness. However, the sub-variables of Grit did not affect the pre-service teachers happiness.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타당화 및 적용

        김병만(Kim Byung m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정책에 기초하여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타당화하고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치원 교사 36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김병만(2014)이 개발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정책을 중심으로 수정·보완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구인타당도, 상관분석, 신뢰도분석, 문항변별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정책의 평가 정도는 2.70∼3.70의 분포로 나타났다. 둘째, 구인타당도의 범위는 .31∼.80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전체 신뢰도는 .97, .93의 신뢰도로 양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평가척도의 문항변별도는 상위 집단의 모든 평가지표 평균이 하위 집단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끝으로, 평가척도에 상대적가중치를 적용한 최종 평가 결과를 제시한 결과, 평가 범주에서는 공공성, 적합성, 민주성, 경제성의 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정책에 기초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타당화 및 적용을 통해 유아교육정책 및 평가 분야의 학술적 발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ation and application of an early childhood policy evaluation scale, which was developed in an earlier study, to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among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6 selected kindergarten teacher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Kim Byung-mann (2014) s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Scale, which was used with some modifications and supplementations to assess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scores for the Nur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ranged from 2.70 to 3.70. Second, as for construct validit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otal scores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total scores were calculated, and both of the two were between .31 and .80, which implied that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good. Third, concerning reli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were investigated, and the two were respectively .97 and .93.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good. Fourth, the item discrimination of the evaluation scale was analyzed after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upper-tiered group gave higher scores to every evaluation indicator than the group in the lower tier, and the difference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as to the results of final evaluation based on relative weights, the highest-scored evaluation category was publicness, followed by appropriateness, democracy and economic efficiency, an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evaluation indicators were scored based on their relative weights.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to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are expected to give meaningful suggestion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evaluat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복잡계에 근거한 공동선 증진 유아교육재정 정책 방향 탐색 : 사회적 담론 및 경쟁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김병만(Kim, Byung-Man),이강훈(Lee, Kang-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복잡계에 근거하여 공동선을 증진하기 위한 유아교육재정 정책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아 + 교육 + 재정’을 키워드로 3개월간의 rawDATA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차·2차 정제과정을 마친 데이터들 중 빈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 키워드 100개를 선정하였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1-mode와 2-mode 매트릭스 데이터셋을 작성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담론은 이해관계자 집단 요인과 정책 및 행정 요인, 유관법령 요인, 사회적 반응 요인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둘째, 담론 실천 분석 결과 정부는 공공성, 투명성, 법적인 학교, 비영리 교육기관, 국고 지원, 유치원 3법 찬성 등의 담론을 보였으며, 사립유치원은 자율성, 전문성, 법상 학교 형식, 민간교육시설, 사유재산권, 유치원 3법 반대 등의 담론을 보였다. 셋째, 경쟁 담론 분석 결과 정부는 공공성과 투명성 담론을 보였으며, 사립유치원은 자율성과 전문성 담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선을 증진하기 위한 유아교육재정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finance policy to promote common good based on complex system. For this purpose, rawDATA was collected with keywords ‘young children + education + finance’ were used based on big data provided by Textom.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words, 100 words were select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filtering processes, which were converted to I-mode and 2-mode matrix datase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discourse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could be extracted as the related factors of ‘stakeholder group’, ‘policy and administration’, ‘laws’ and ‘social response’. Second, as a result of discourse practice analysis, the government showed discourses such as ‘public’, ‘transparent’, ‘legal schools’, ‘non-profit institutions’, ‘exchequer support’ and ‘approving kindergarten 3 Act’, while the private kindergarten showed discourses such as ‘autonomy’. ‘professionalism’, ‘formal legal school’, ‘private educational facilities’, ‘private property rights’ and ‘opposing kindergarten 3 Act’.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mpetition discourse, the government showed public and transparency discourse, while private kindergarten showed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discours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suggested ways for early childhood financial policy to promote common good.

      • KCI등재

        새 정부 유아교육 · 보육정책 수립을 위한 19대 대선공약의 실현가능성 및 중요도 분석

        김병만(Kim, Byung-Man),김미진(Kim, Mi-J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8

        본 연구에서는 새 정부 유아교육 · 보육정책 수립을 위해 19대 대선 후보들이 제안한 유아교육 · 보육 정책에 대한 공약을 분석하여 정리한 후 실현가능성을 확인하고,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하여 각 공약별 가중치에 대한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통해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AHP 기법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은 유아교육 · 보육정책 및 평가 분야에 권위가 있는 유아교육과 교수 12인을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였고, 연구도구는 19대 대선 유아교육 · 보육정책 공약에 대한 설문지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 정부 유아교육 · 보육정책 수립을 위한 19대 대선 공약의 실현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국 · 공립어린이집 확대 및 공립유치원 확충’, ‘임신, 출산 진료비용 및 난임 치료비 국가지원 확대", ‘누리과정 예산 정부 부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새 정부 유아교육 · 보육정책 수립을 위한 19대 대선 공약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 근무환경 개선 및 처우보장’, ‘여성 육아휴직 확대’, ‘국 · 공립어린이집 확대 및 공립유치원 확충’의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새 정부의 유아교육 · 보육 정책에 대한 실현가능성과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한 이해도 증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mi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ies proposed by the 19 presidential candidat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govern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y, and confirmed the feasibility after analyzing it. The AHP method was used to compar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ach commitment by weighted pairwise comparisons. The panel of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AHP method of this study selected 12 panelis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s who have authorit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policy and evaluation.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on 19th presidential preschool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y commitment to b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results of examining the feasibility of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y, `Expansion of public kindergartens`, `Expansion of support for pregnancy, childbirth and medical expenses for the disabled,` and `Budget government burden of Nuri Curriculum`.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govern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y,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And `expansion of public kindergart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alization of the new government`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y and the understanding of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ies.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을 위한 상향식 정책방안 수립연구

        김병만(Kim, Byung-Man)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20 교육과 문화 Vol.2 No.2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를 활용하여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을 위한 상향식 정책방안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보육 정책 분야 전문가, 유아교육·보육 행정 분야 전문가, 유아교육·보육 현장 분야 전문가 20인을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였다. 이후 델파이 조사를 3차례 동안 실시하여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을 위한 상향식 정책방안을 수립하였다. 3차에 걸쳐 진행된 델파이 조사는 내용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 및 사분위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 패널의 응답에 기초하여 평가척도의 내용을 수정 및 삭제하기 위하여 내용타당도, 합의도, 수렴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가 패널들의 응답 분석에 토대하여 교육과정 통합, 행정 통합, 재정 통합, 교육체제 통합을 위한 정책방안 등 4개의 정책준거, 21개의 세부정책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보통합을 위한 상향식 정책방안을 통해 시대적 정책 과제인 유보통합 정책 추진에 해당 전문가의 의견과 요구가 반영될 수 있게 하는 기회의 장이 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우리나라 유보통합의 정책적 사안을 보다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을 제시하였음에 의미를 부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Delphi survey to establish a bottom-up policy plan for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is study selected 20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policy,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dministration, and 20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s expert panels. The Delphi survey was then conducted three times to establish a bottom-up policy plan for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e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quartil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assessment measures were verified for revision and deletion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expert panel. Based on the response analysis of expert panel, this study proposed four policy criteria, 21 detailed policies, including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administrative integration, financial integration, and policy measures for integration of education system. It is judged that the bottom-up policy measures for reserved integr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implementation of reserved integration policies, which is a policy task of the times, to reflect the opinions and needs of the relevant experts.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government has proposed specific policies that can resolve the policy issues of the nation s reserved integration more smoothly.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김병만(Kim, Byung-Man),김미진(Kim, Mi-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변인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에서 발간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자료 선정을 위한 주요 검색어는 ‘유아교사 행복’, ‘유아교사 안녕’, ‘유아교사 삶의 질’이었으며, 출판연도를 제한하지 않고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 KISS, DBPIA, 국회도서관을 활용하여 검색을 실시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839편이었으며 메타분석을 위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분석대상 논문은 48편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분석대상 논문들은 모두 2010년대 이후 발간되었으며, 보고되는 논문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과 관련된 전체 변인의 평균 효과크기는 큰 효과 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개인 변인군의 효과 크기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 회복탄력성,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변인이 유아교사의 행복과 큰 수준의 관계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직무 변인군의 효과 크기를 살펴 본 결과, 교수몰입, 직무만족,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as well as the method of meta-analysis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happiness 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ain search terms for the selection of the analysis data were ‘early childhood teacher happiness,’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quality of lif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earch was conducted using RISS, KISS, DBPIA,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ithout limiting the year of publication . The primarily searched papers were 839 papers and 48 final papers were selected for the meta-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all papers to be analyzed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0 and the number of papers reported has been increasing. Second, the mean effect size of all variables related to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large.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each effect size of happiness related personal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izes were large in order of ego-resilience, resilience, self-leadership, empowerment, and self-esteem, of all which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happi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s of the job variables related to happi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izes were large in order of instruc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happines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에서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김병만(Byung Man Kim),김정주(Jung Ju Kim),윤정진(Jeong Jin Yo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변인 간에 학습몰입은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들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35명이었으며, 김아영, 박인영(2001)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도구, 김희정(2012)의 학습몰입 검사도구, 하주현(2000)의 창의적 인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창의적 인성 순으로 인식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각 변인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은 창의적 인성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몰입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 주목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의 주축이 될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올바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몰입 증진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3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ollege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Kim and Park (2001) academic self-efficacy inventory, Kim (2012) learning flow inventory and Ha (2000)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degree of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flow, creativity, tenacity in order to recognize the pre-kindergarten teachers appear high eachvariable has had positive correlation is, stud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appeared to influence the creative personality. Therefore learning flow wa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