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소아복막투석의 현황 - 다기관 공동연구 결과보고 -

        김병길,Kim Pyung-Kil 대한소아신장학회 199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2 No.2

        목 적 : 우리 나라의 여러 기관에서 시행된 소아복막투석의 자료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한국 소아복막투석의 현황을 파악하고 공통적인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1987년 11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대한소아신장학회의 총17개 기관에서 시행된 264례의 소아복막 투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CAPD)은 114례에서 시행되었으며 투석시행 당시의 평균연령은 $10.5{\pm}6.6$세, 남녀비는 1.4:1 였고 평균 투석시행 기간은 $20{\pm}16.9$개월 이었다. 말기신부전의 원인질환은 114례중 88례($77\%$)에서 확인되었으며, 국소성분절성사구체경화증이 $1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역류성 신병증과 만성사구체신염이 각각 $11.4\%$ 였다. 부작용은 복막염이 가장 많았고($69\%$) 빈도는 one episode/18.2 patient-months 였으며 원인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가 가장 많았다. 투석전후의 환아의 성장상태는 투석전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SDS)가 -1.34 였고 투석후 -2.01로 투석후에 더욱 악화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급성복막투석은 150례에서 시행되어 평균투석기간은 $10.3{\pm}11.3$일 이었다. 원인질환은 패혈증($20.6\%$), 선천성 심장병($18.6\%$), 용혈성요독증후군($16\%$)순서였다. 부작용으로는 복막염이 $78\%$로 가장 많았고 빈도는 1회/5.17patients였다. 결 론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시행한 환자에서 말기신부전의 원인으로 사전에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한 역류성신병증이 두 번째로 많은 빈도를 보여 요로감염환자에서 방광요관역류에 대한 적극적인 진단 및 치료가 요구되었고 서구에 비하여 선천성 기형에 의한 말기신부전의 빈도는 비교적 낮았다. CAPD시행후 오히려 시작전에 비하여 악화된 성장상태를 볼 때 투석중 영양공급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앞으로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공급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find and solve the common problems of peritoneal dialysis(PD) by analysing the clinical data of pediatric PD performed in Korea. Methods : 264 cases of CAPD and acute PD had been performed from Nov.1987 to Oct. 1997 in 17 institutions of pediatric nephrology in Korea. Results : CAPD was performed in 114 case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10.5{\pm}6.6$ years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4:1. The original renal diseases of ESRD were proven in 92 cases($80\%$). The common renal disease of ESRD were FSGS($17\%$), reflux nephropathy ($11\%$), chronic glomerulonephritis($9.6\%$). Mean duration of CAPD was $20{\pm}16.9$ months. Peritonitis wa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and incidence was one episode/18.2 patient-months. Other complications were exit site infection in 10 cases, obstruction in 7 cases, leakage of dialysate in 6 cases. The most common etiologic organism of peritonitis was staphylococcus aureus and the next was staphylococcus coagulase(-). Acute PD was performed in 150 cases. Most common underlying causes were congenital heart disease, hemolytic uremic syndrome, sepsis and dehydration. The mean duration was $10.3{\pm}11.3$ day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peritonitis($20.6\%$). The most common etiologic organism was staphylococcus aureus and coagulase(-), acinetobactor and pseudomonas. Conclusion : Reflux nephropathy should be emphasized in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to prevent ESRD.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y($7\%$) as a original disease of ESRD was relatively low in Korea. Growth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CAPD. In acute PD,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was rapidly increased at 2weeks after beginning of dialysis.

      • KCI등재후보

        한국인 IgA 신병증 환아에서 MHC Class II유전자형과 예후와의 관계 분석

        김병길,육진원,김지홍,장윤수,신전수,최인홍,Kim Pyung Kil,Yook Jinwon,Kim Ji Hong,Jang Yoon Soo,Shin Jeon-Soo,Choi In-Ho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00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4 No.1

        Purpose: Our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MHC Class II (DR, DQ) allele with IgA nephropathy and its significance as a prognostic factor for progression to ESRD Material and Methods: 69 children with IgA nephropathy with normal renal function(serum creatinine $\leq$ 1.5mg/dL) was classified as group A and 70 patients who received renal transplantation due to IgA nephropathy were selected as group B. The HLA-DQB1 and HLA-DRB1 alleles were stud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sequence specific primers. We have compared the difference in alleles between these two groups and with normal control and also examined any possible effect of the MHC class II genes on the histopathological severity and prognosis of IgAN. Results: Mean age was $8.8{\pm}2.9$ years in group A and $35.0{\pm}15.5$ years in group B. Male to female ratio was 2.8:1 in group A and 2.5:1 in group B.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HLA-$DQB1^*03\;and\;DQB1^*05$ in Group B. The frequency of HLA-$DQB1^*0302\;and\;^*05031$ allele ha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B(P<0.05). HLA-$DRB1^*03\;and\;^*05$ were more common in Group B(P<0.05). HLA-$DRB1^*04$ allele was the most common DR alleles in both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HC class 13 genes on the hjstopathological severity in Group A. Conclusion: In conclusion, $HLA-DQB1^*0302\;and\;HLA-DQB1^*05031 $ allele seemed to be more common in transplanted patients compared to group with normal renal function suggesting that this allele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in IgAN. However larger studies and follow up are required to confirm this due to uncharacterized heterogeneity in etiopathogenesis of IgA nephropathy and possibly one or more than one gene may exert influence in determining susceptibility to the diseases. 목 적 : IgA 신병증은 혈뇨와 단백뇨를 보이는 사구체 질환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중의 하나 이며 우리 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도 높은 발생율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발생기전이나 원인은 불분명한 상태이다. IgA 신병증은 발병 10년 후 $20-30\%$가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행됨이 보고되고 있으나 신부전으로 진행속도는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특이적인 조직적합항원을 찾아냄으로서 치료 및 예후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하여 IgA 신병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 신기능을 유지하고 있었던 소아환아 69명(Group A)과 이미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신이식을 시행 받은 70명(Group B)을 포함한 신기능 저하군으로 분류하여 HLA대립유전자의 결정은 SSOP (sequence specific oligonucleotide probe)법으로 분석하여 HLA-class II(DR, DQ)대립유전자의 발현빈도와 IgA 신병증의 예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진단 당시의 평균나이는 A군은 $8.8{\pm}2.9$세, B군은 $35.0{\pm}15.5$세였고, 남녀비는 각각 2.8:1과 2.5:1이었다. HLA-DQB1 유전자중 139명중 $47.5\%$로 $03^{**}$의 발현빈도가 가장 증가되어 있었고 $06^{**}(32.4\%),\;04^{**}(28.7\%),\;05^{**}(20.1\%),\;02^{**}(8.6\%)$순이 었다. DQ7의 HLA-DQB1*0301 이 전체 환자의 20.1$\%$(28/139)로 가장 흔한 대립유전자였으나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립유전자중 HㄴA-$DQBI^*03^{**}과\;DQB1^*05^{**}$가 이미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된 Group B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P<0.05), $03^{**}$ 아형중 $DQB1^{*}0302와\;05^{**}중\;DQB1^{*}05031$이 신기능이 정상인 A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DR 유전자형의 low-frequency type상 HLA-$DRB1^*03과\;HLA-DRB1^*15$가 Group B에서 유의 있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high-frequency type상에서는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군의 경우 신조직 검사의 소견에 따라 4등급으로 분류하여 대립유전자의 발현빈도를 분석하였으나 의미 있는 관계가 없었다. 곁 론 : IgA신병증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여러 조사에서 발병 초기의 심한 단백뇨, 고혈압, 조직 병리학상의 심한 변화 등이 있을 경우 예후가 나쁘다고 하였으며 이런 위험 인자외에 유전적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신대체요법을 받은 IgA신병증환자군에서 HLA-$DQB1^*0302와\;^*05031$ 대립유전자의 발현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어 이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후의 경과 및 예후를 진단초기에 예측하여 환자의 관리에 적용할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요로감염 환자에서 방광요관역류의 지표로서 무작위 추출뇨중 ${\beta}_2$-microglobulin의 의의

        김지홍,김병길,Kim Ji-Hong,Kim Pyung-Kil 대한소아신장학회 199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3 No.1

        서 론 : 방광요관역류로 인한 신조직의 손상은 소아에서 말기신부전 및 신성 고혈압의 중요한 원인중 하나이며 방광요관역류에 의한 신장변화는 조기에 발견될 경우 그 예방이 가능하다. 현재까지는 주로 반복적이며 항생제 치료에 잘 조절되지 않는 요로감염에서 방광요관역류를 의심하고 진단을 위한 방사선학적 진단법을 시행하였으나, 단발성의 요로감염 환아에서도 역류가 진행되어있는 경우를 경험하게 되므로, 요로감염이 있는 환아에서 방광요관역류를 조기에 의심할 수 있는 진단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로감염이 있는 환아를 대상으로하여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군과 방광요관역류가 없는 군에서 뇨중 ${\beta}_2$-microglobulin(${\beta}_2$-MG)을 측정하여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 차이가 요로감염이 진행중인 환아에서 방광요관역류의 존재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요로감염으로 처음 내원하여 치료를 시작하였던 5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례에서 방사선학적인 검사(복부초음파, DMSA scan 및 VCUG)를 시행하여, 단순 요로감염환아군과 요로감염이 있으면서 방광요관역류가 발견되었던 환아군으로 구분하였고, 각 군간의 무작위 추출 뇨중 ${\beta}_2$-MG치와 뇨중 creatinine치의 비율로 그 배설율을 비교하였다. 대상환아중 신독성 약물을 사용하였던 환아 및 ${\beta}_2$-MG의 생성 및 배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을 앓고있는 환아는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환아 57명중 남녀비는 28:29였고 평균연령은 $4.27{\pm}4.24$세 였다 요로감염이 배양검사상 확진된 례가 44례 였고, 임상적으로 요로감염이 의심되었던 례가 13례 였으며 배양된 균주는 E.coli($43.9\%$)와 Enterococcus($15.8\%$)가 가장 많았다. 방광요관역류는 12례($21.1\%$)에서 발견되었으며 평균연령은 $2.97{\pm}2.82$세로 단순 요로감염 환아군의 평균연령 $4.62{\pm}4.51$세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보였고, 남녀비는 3:1로 남아가 많았다. 무작위 추출뇨중 평균 ${\beta}_2$-MG치는 단순 요로감염군 $0.19{\pm}0.16mg/dL$, 방광요관역류군 $2.2{\pm}5/91,g/dL$로 두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P=0.03), ${\beta}_2$-MG/creatinine비는 단순 요로감염군은 $3.93{\pm}3.44$, 방광요관역류동반군은 $32.41{\pm}25.7$로 두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7). 두군간의 배양된 균주 및 균배양 양성율과 혈청 크레아틴치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요로감염환자에서 무작위 추출뇨중 ${\beta}_2$-MG치와 배설율은 방광요관역류의 존재를 조기에 의심할 수 있게하는 검사법이며, 기존의 24시간뇨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보다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방광요관역류의 검색진단법으로서 유용하리라 생각되며 소아 고혈압과 말기신부전의 원인 질환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방광뇨관역류의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로 그 이행율을 감소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nal scarring associated with vesico-ureteral reflux(VUR)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end stage renal failure and renal hypertension in children. Urinary ${\beta}_2$-microglobulin(MG) has been suggested as a potential marker for presence of renal tubular damag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random urine ${\beta}_2$-MG as a predictor of presence of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UTI). 57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were studied. Patients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35($78.9\%$) children have UTI without VUR and 12($21.1\%$) children have UTI and VUR. Beta2-MG and creatinine in random urine sample was measured to decide the excretion ratio(${\beta}_2$-MG/creatinine). Among the 57 children with UTI, 44 children were confirmed by urine culture study and 13 children suspected by compatible clinical feature. Random urine ${\beta}_2$-MG of VUR group ($2.2{\pm}5.91$ mg/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imple UTI group($0.19{\pm}0.16mg/L$)(P=0.03). The ${\beta}_2$-MG/creatinine ratio of VUR group($32.41{\pm}25.7$)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imple UTI group($3.93{\pm}3.44$)(P=0.007). In conclusion, random urine ${\beta}_2$-MG and excretion ratio deserved early predictor of presence of VUR in children with UTI. And this method was more simple and inexpensive than the method of measuring ${\beta}_2$-MG with 24 hour urine collection, so might be a useful screening test for VUR in children with UTI.

      • KCI등재후보

        미세변화 신증후군 환아에서 사이클로스포린 치료 후 Osteopontin과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의 발현

        임범진,김병길,홍순원,정현주,Lim Beom-Jin,Kim Pyung-Kil,Hong Soon-Won,Jeong Hyeon-J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2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6 No.2

        목적 :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은 효과적인 면역 억제제로서 현재에는 장기 이식 후 뿐 아니라 다양한 자가면역성 질병에서 그 사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신독성은 사이클로스포린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서 그 특징적인 조직학적 소견은 간질의 섬유화와 세 동맥의 초자양 변화이다. 간질 섬유화에는 전통적으로 $TGF-{\beta}$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 osteopontin이라는 단백도 관여한다는 사실이 동물 실험을 통해 알려지고 있다. 사이클로스포린에 의한 간질 섬유화에 osteopontin이 관여한다는 사실이 여러 동물실험을 통하여 알려져 있으나 사람에서는 아직까지 분명한 결론을 얻지 못하고 있다. 동일 환자에서 사이클로스포린 치료 전과 후에 두 번 생검을 시행한 신장 조직에서 osteopontin과 $TGF-{\beta}$의 발현을 조사하여 사이클로스포린과 이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 연세의대 세브란스 병원 소아과에서 신장 생검으로 미세변화 신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19예를 대상으로 하여 사이클로스포린 치료 전 조직 검사 검체를 대조군으로 하고, 치료 후 조직 검사 검체를 비교군으로 하였다. 사구체 메산지움과 세뇨관에서의 osteopontin 발현과 간질에서의 $TGF-{\beta}$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 사이클로스포린 치료 후 사구체 메산지움과 세뇨관에서 osteopontin의 발현이 의의 있게 증가하였지만 간질에서 $TGF-{\beta}$의 증가는 뚜렷하지 않았다. 또한 세뇨관의 osteopontin과 간질의 $TGF-{\beta}$의 변화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되는 간질 섬유화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사이클로스포린 사용시 osteopontin의 발현의 증가와 간질 섬유화 간에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실험 동물에서와는 달리 사람의 신장에서 osteopontin은 간질 섬유화에 직접 관여하기 보다는 신장 손상에 대한 표지자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추정된다. Purpose : One of the most important adverse effects of long-term cyclosporine therapy is nephrotoxicity, the morphologic changes of which include interstitial fibrosis and arteriolar hyalinization. Recently, several authors have shown that osteopont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terstitial fibrosis by acting as a macrophage chemoattractant and stimulating the production of $TGF-{\beta}$ in experimental cyclosporine nephrotoxicit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ntin and $TGF-{\beta}$ in humans has not been clearly documented so far. We studied the expression of osteopontin and $TGF-{\beta}$ in children with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treated with cyclosporine to demonstrate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cyclosporine toxicity and osteopontin expression as previously shown in animal models. Materials and methods : Nineteen children (15 males and 4 females) were the subject of this study. Renal biopsies had been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cyclosporine therapy (mean duration: 15.9 months). In 5 patients, additional biopsies were performed after completing the cyclosporine treatment (mean; 26 months). The expressions of osteopontin and $TGF-{\beta}$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the glomeruli and tubulointerstitium. Results : Osteopont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lomerular mesangium and tubules after cyclosporine treatmen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TGF-{\beta}$ in the interstitium.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ubular osteopontin and interstitial $TGF-{\beta}$ expression in those cases developing interstitial fibrosis after cyclosporine treatment compared with cases those not developing interstitial fibrosis. No significant changes in osteopontin or $TGF-{\beta}$ expression were observed in subsequent 5 biopsy samples after discontinuation of cyclosporine compared with the first follow up biopsi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osteopontin is a nonspecific marker of renal injury rather than a mediator of interstitial fibrosis in cyclosporine nephrotoxicity of human.

      • KCI등재

        급속 진행성 사구체신염으로 시작된 현미경적 다발성 동맥염(Microscopic Polyangiitis) 환자의 7년간의 장기 추적관찰 1례

        오진원,김병길,이재승,정현주,Oh, Jin-Won,Kim, Pyung-Kil,Lee, Jae-Seung,Jeong, Hyeon-J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1

        현미경적 다발성 동맥염은 폐출혈과 급속 진행성 사구체심염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성 혈관염의 일종으로 소아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폐출혈과 급성 신부전을 동반한 7세 여아에서 신장조직검사와 p-ANCA 검사로 현미경적 다발성 동백염으로 진단 후 5년 뒤 2차 신장조직검사와 경구 ACE inhibitor,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와 저용량의 cyclophosphamide를 투여 받은 환아를 7년간 추적관찰하였다. 발병당시에는 BUN 117 mg/dL, Cr 2.3 mg/dL이었으나, 퇴원시 BUN 20.8 mg/dL, Cr 1.6 mg/dL이었고, 최근 검사에서는 BUN 51.7 mg/dL, Cr 3.2 mg/dL으로 만성 신병증 소견을 보이고 있으며, 외래 추적 관찰 지속 중에 있다.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Microscopic polyangiitis(MPA) is a systemic necrotizing vasculitis that involves many organ systems including the skin, joint, kidneys, and lungs. In spite of early diagnosis and intensive care, the five-year actuarial patient and kidney survival rates are 65% and 55%. We experienced a case in 7-year-old girl of microscopic polyangiitis presenting with rapidly progressive glomerulonephritis which was confirmed by renal biopsy and positive serum perinuclear antineutrophil cytoplasmic autoantibodies(p-ANCA). The diagnosis of patients first renal biopsy was MPA, p-ANCA-associated crescentic glomerulonephritis. The patients second renal biopsy was done 5 years 6 months later since first renal biopsy, and pathologic diagnosis was chronic sclerosing glomerulonephritis, advanced, due to MPA. We began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combined with a low dose of cyclophosphamide and plasmapheresis therapy. ACE inhibitor,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 and cyclophosphamide were used until now and the patients current age is 14 years old. On admission, the patients laboratory findings showed BUN 117 mg/dL and Cr 2.3 mg/dL, while on the hospital day BUN and Cr values fell to 20.8 mg/dL and 1.6 mg/dL. But renal function was progressed to chronic failure with latest laboratory data BUN 51.7 mg/dL and Cr 3.2 mg/dL. ACE inhibitor,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 and small dose of immunosuppressant with close observation is the key to maintain the patient survival.

      • KCI등재

        소아 IgA 신병증의 장기 추적(평균 10.8년)에 따른 임상 경과 및 병리학적 변화

        문창민,김병길,임범진,송지선,정현주,Moon, Chang-Min,Kim, Pyung-Kil,Lim, Beom-Jin,Song, Ji-Sun,Jeong, Hyeon-J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10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4 No.2

        목 적 : 소아 IgA 신병증의 임상 양상 및 병리학적 분류(Haas 분류)와 임상 경과와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여 이들이 예후를 반영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병리학적으로 IgA 신병증으로 진단받고 추적 중이던 환자들 중 추적 신생검을 시행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최초 신생검시 평균 9.5세였고 남자 16명, 여자 4명이었으며, 최종 조직 검사까지 평균 10.8년이 경과하였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등으로 치료를 지속한 후 정상뇨 소견, 정상 혈압, 정상 크레아티닌 청소율(CCr)을 보이는 임상적 관해 상태의 환자는 10명(50%)이었으며, 비관해 상태의 환자 10명(50%)도 초기와 비교하여 호전된 경과를 보였고, CCr이 중등도 이상 저하되거나 말기 신질환 양상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다. 최초 Haas 분류는 임상경과와 상관 관계가 없었다. 초기 고혈압은 5명(25%)에서 보였고 이는 임상 경과(P =0.010) 및 최종 Haas 분류(P =0.007)와 유의성이 있었다. 초기 CCr의 중등도 저하는 Haas 분류와 유의성이 있었으나(P =0.048), 임상 경과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소아 IgA 신병증의 추적 기간 중 임상 경과는 양호하나 최초 Haas 분류로 임상 경과를 예측할 수는 없었으나 적극적인 조기 진단 및 치료로 말기 신질환으로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초기 고혈압은 임상 경과 및 최종 Haas 분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적합한 예후인자로 보인다. 최초 병리학적 소견은 임상 경과를 반영하지 못하나, 추적 Haas 분류가 예후를 반영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추적 관찰 및 추적 신생검을 통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We know little about the natural course of IgA nephropathy (IgAN) in association with histologic changes especially in children. We investigated clinicopathologic features with long-term follow-up biopsy to clarify the outcomes and prognostic indicators for childhood IgAN. Methods : From our patients' medical records, we retrieved 20 patients with IgAN, to whom renal biopsies had been performed for the initial diagnosis and follow-up to find out any histologic changes. Initial and follow-up biopsies were classified by Haas classification. The changes of these parameters were compared with the evolution of clinical features. Results :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in combination with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in subclass II or above) and short-term cyclosporine A(in patients showing nephrotic syndrome). Histologic improvement in 7 cases and deterioration in 3 cases were observed. At the time of last biopsy, 10 cases (50%) showed clinical remission and the others showed improved clinical features. These clinical outcomes did not correlate with initial Haas classifications. Hypertension at onset observed in 5 cases (25%)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linical outcome (P =0.01) and last Haas classification (P =0.007). None of the cases showed progression to CRF or ESRD. Conclusion : During a mean follow-up of $10.8{\pm}3.4$ years, childhood IgAN showed good clinicopathologic outcome. Hypertension at onset was only a strong predictor of clinicopathologic outcomes, but initial Haas classification cannot predict outcomes in children. Histologic change of IgAN in long term follow-up period cannot be completely predicted by clinical data and vice versa. Therefore, a renal biopsy should be considered as a part of follow-up plan.

      • KCI등재후보

        소아 IgA 신병증의 예후에 관한 고찰

        박재현,김병길,정현주,최인준,Park Jae-Hyun,Kim Pyung-Kil,Jeong Hyeon-Joo,Choi In-Joon 대한소아신장학회 199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 No.1

        목적 : IgA 신병증은 다양한 임상 소견을 보일 수 있으며 초기에는 대부분 예후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졌었으나 현재는 발병 20년후 20-30%가 말기 신부전증을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IgA 신병증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여러 조사에서 발병 초기의 심한 단백뇨, 고혈압, 조직 병리학 상의 심한 변화 등이 있을 경우 예후가 나쁘다고 하였다. 1996년 Yagame등은 IgA 신병증에서 새로운 조직 병리학적 분류를 하였고 WHO 분류 방법이 사구체 병변을 중심으로 한데 비해 세뇨관과 간질의 변화까지 포함하고 있어 이들의 분류 방법이 더 우수하며 추적관찰 결과 만성 신부전의 예후 인자로써 유용하다고 발표하였다. IgA 신병증에서 임상 증세, 검사 소견, WHO 및 Yagame 등의 조직 병리학적 분류 등과 추적 관찰시 만성 신부전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4년 1월부터 1996년 2월까지 소아과에 입원하여 신생검상 메산지움에 IgA가 현저히 침착되어 있어 IgA 신병증으로 진단된 환아 79명을 대상으로 평균 27개월의 추적관찰시 신 기능이 정상인군(73례)과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한 군(6례)을 서로 비교하여 IgA 신병증에서의 예후 예측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 1) 성별, 나이, 증상기간 등은 양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내원시 고혈압이 있을 경우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이 많았다. 2) 내원시에 여러 임상 검사중 심한 단백뇨가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이 많았다. 3) WHO 및 Yagame 등의 조직 병리학적 분류 모두 소아 환자에서는 예후와의 관련을 찾을 수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보아 IgA 신병증 환아에서 내원시에 심한 단백뇨, 고혈압이 있을 경우 추적 관찰 결과 예후가 좋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치료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상 환아가 적었기에 향후 이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fter the first description of IgA nephropathy by Berger in 1968, the prognosis of this disease was considered favourable. However recent studies have revealed that IgA nephropathy result in end stage renal desease in 25-30% by 20 years. Heavy proteinuria, hypertension, histological high class are regarded as poor prognostic factors. In 1996, Yagame et al reported the new histopathologic grading with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grading, heavy proteinuria, high s-Cr level and renal survival.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whether the pathological grading and other clinical parameters could contribute to predicting the outcome of this disease eventhough pediatric patients. Seventy nine patients (59 males, 20 females) with IgA nephropathy were examined. Patients were 2.08-15.17 years of age ($9.85{\pm}2.83$). The mean follow-up duration were $27{\pm}28$ months. Six of seventy nine patients progressed to chronic renal failure during the follow-up periods. High 24h urinary protein excretion at diagnosi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p<0.05). Hypertension at diagnosis were the significant associated factors in progression of chronic renal failure (p<0.05). Histological changes of IgA nephropathy in light microscopy were classified into five classes by WHO classification, four grades in Yagame's gradings. Among the seventy nine patients, 24 were as class 1, 30 as class 2, 23 as class 3; 4 as class 4, 0 as class 5 by WHO classification. 23 were classified grade 1, 31 as grade 2, 24 as grade 3, 1 as grade 4 by Yagame's grading. Among six patients who progressed to chronic renal failure, 1 clssified as class 1, 1 as class 2, 3 as class 3, 1 as class 4, 0 as class 5 by WHO Classification. 1 patients were classified as grade 1, 1 as grade 2, 3 as grade 3, 1 as grade 4 by Yagame's grading. (p>0.05) In conclusion, hypertension and heavy proteinuria at initial present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f chronic renal failure. The classification of WHO & Yagame's grading h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progression of chronic renal failure in pediatric patients.

      • KCI등재

        소아에서 관찰된 IgG-associated mesangial glomerulonephritis 2례

        이상후,김병길,송지선,Lee, Sang-Hoo,Kim, Pyung-Kil,Song, Ji-Su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1

        IgG 신병증(IgG-associated mesangial glomerulonephritis)은 전세계적으로 드물게 보고되고 있는 새로운 원발성 사구체 질환으로 1993년 Sato 등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고 이후 1994년 Yoshikawa 등에 의해 소아에서의 10례가 보고되었다. 주로 단백뇨를 주소로 하며 현미경적 혈뇨를 동반하기도 한다. 이 질환은 조직 면역 형광 검사상 사구체 간질에 IgG의 침착을 보이는 사구체 신염이다. 이 질환은 초기에는 양성 경과를 취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2002년 Fakhouri 등은 대부분은 양성 경과를 보이지만 일부는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행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1례에서는 신장이식 후 이식신에서 IgG 신병증이 재발된 예도 보고 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한명은 신증후군이 동반되었고 한명은 무증상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였다. 이들 모두 면역 형광 현미경 소견상 사구체 간질에 IgG 침착이 주로 보였고 IgM, 보체의 침착도 보였다. 또한 전자현미경 소견상 사구체간질에 고밀도 전자 침착이 보였다. 신생검에서 면역 현미경 소견과 전자 현미경 소견으로 진단된 IgG 신병증 소아환자 2례를 경험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예가 없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Rare cases of IgG associated mesangial glomerulonephritis(IgG GN) defined by exclusive or predominant mesangial IgG deposits were reported first by Sato et al.(1993). and subsequently 10 pediatric cases were reported by Yoshikawa et al.(1994). Previous reports suggested that the prognosis of IgG GN is relatively benign course but recent report suggested that prognosis of IgG GN is highly variable. Also the recurrence of IgG GN in a renal transplant was reported by Fakhouri et al. (2002). Such a recurrence highlights the specificity of this type of glomerulonephritis. We experienced two pediatric cases of IgG GN proven by renal biopsy. Case 1. 4-year-old girl with nephrotic syndrome admitted because of general edema. The patient's urinalysis showed proteinuria and microscopic hematuria. Renal biopsy was performed because of relapsed nephritic syndrome. Light microscopic finding was nonspecific with almost normal histology. Immunofluorescent findings showed diffuse segmental IgG(+) and IgM(+) deposits in the capillary walls, and focal segmental spotty C4(trace), C1q(trace) deposits.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showed focal portion of mesangial electron dense deposits without mesangial widening. Case 2. 11-year-old girl admitted for evaluation of microsopic hematuria detected through mass school urinary screening program. Renal biopsy was performed for exact diagnosis. Immunofluorescent findings showed focal segmental IgG(+), IgM(+/-) and C3(+/-) deposits.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showed focal portion of mesangial electron dense deposits without mesangial widening.

      • KCI등재후보

        단백뇨를 동반한 Nutcracker 증후군 1례

        손진태,노광식,김병길,김명준,Son Jin-Tae,Rho Kwang-Sik,Kim Pyung-Kil,Kim Mung-Jun 대한소아신장학회 199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 No.2

        The nutcracker syndorme refers to compression of the left renal vein between the aorta and the superior mesentric artery which results in renal vein, left gonadal vein varices, hematuria and left sided flank pain. We report this experience of 11yr-11mon of girl has typical Nutcracker syndrome with persistent proteinuria and without typical hematuria. According to the renal biopsy for persistent proteinuria, biopsy shows pathologic findings similar to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All symtpoms relieved without any specific treatments but she had no response to steroid treatment for persistent proteinuria. Now she was followed up through OPD base without symptom and consideration of surgical intervention.

      • KCI등재후보

        $^{99m}Tc-DMSA$ 스캔에서 일측성으로 동위원소 섭취가 안되는 환아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

        배현철,김현영,김병길,한상원,Bae Hyun-Chul,Kim Hyun-Young,Kim Pyung-Kil,Han Sang-Won 대한소아신장학회 199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 No.1

        목적 : DMSA스캔은 신장의 형태학적 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방사선과적 검사이다. 본원에서 DMSA스캔을 시행한 환아중 일측성으로 동위원소 섭취가 안되는 환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성별, 연령별 분포와 임상적 소견, 원인질환 및 동반질환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치료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0년부터 1995년까지 16년간 본원에 내원하여 DMSA 스캔을 시행한 생후 1일부터 15세 환아중 일측성으로 신기능을 상실한 경우와 5% 이내로 매우 저하되어 있는 6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성별, 연령별 분포와 내원하게 된 주소, 내원당시의 임상적 소견, 정맥내 신우조영술, 복부초음파, 배뇨성 방광요관조영술, 최종 진단명, 동반되어있는 반대편 신장 및 전신 질환, 내원당시의 혈액검사, 치료, 그리고 추적 관찰후의 결과 등에 대한 항목을 조사하고 상호 연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대상 환아의 연령 분포는 평균 3.3세였으며, 특히 1세이하가 전체의 46%였고 성별 분포는 남녀 1.4:1의 비율로 남아가 많았다. 2) 내원하게된 주소는 산전초음파에서 신장 이상이 발견된 경우가 31.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반복적 요로감염, 복부종괴 촉지, 육안적 혈뇨, 복통 순이였으며, 다른 질환의 평가중 우연히 신장 이상이 발견된 경우도 26.2%를 차지하였다. 3) 내원당시 임상적 소견은 발열, 농뇨 등의 요로감염 증상이 가장 많았고, 고혈압, 복부종괴 촉지, 육안적 혈뇨, 변비, 무증상, 현미경적 혈뇨 순이였다. 4) 비기능성 신장의 최종진단명은 다낭성 신이형성(multicystic dysplastic kidney)이 36.1%로 가장 많았고, 수신증, 신발육부전, 신형성부전 순이였다. 5) 비기능성 신장의 치료는 47.5%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았고, 수술적 치료중 신적출술이 75.9%(전체의 36.1%)로 가장 많았으며 그외에는 근피적 방광루조성술, 요관방광문합술, 신적출 및 신이식 순이였고, 32.8%는 치료없이 추적관찰만 했던 환아들이였다. 6) 반대측 신장에 침범된 질환은 수신증이 90.5%로 가장 많았고 신형성부전, 신원거대감소증이 각각 1례였다. 7) 총 61명의 환아중 4명이 만성 신부전으로 이행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반대편 신장에도 심한 병변이 동반되었던 경우였으며 그 외의 환아들은 비교적 예후가 좋았다. 결 론 : 신기능을 상실한 신장중 대부분은 선천적인 질환에 의한 경우였으며 양측성으로 침범된 경우 만성신부전으로 이행한 경우도 있었으나 편측으로 침범된 경우 예후가 좋은 편이였으며 양측성인 경우도 조기진단 후 수술 받은 경우 신기능이 잘 유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주산기 신장 병변에 대한 평가는 중요하며, 출생후 민감도가 높은 검사방법으로 조기에 진단하고 처치하면 비교적 예후가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DMSA scan is a useful radiologic study in diagnosis of morphologic and functional diseases of kidney. We evaluated the distribution of sex and age, clinical manifestations, diagnosis, combined diseases, treatment and prognosis of the 61 patients with non-functioning kidney(no isotope uptake or uptake below 5% in DMSA scan) who admitted in our hospital from 1980 to 1995. The proportion of patients under 1 year old age was 46%. Sex ratio was 1.4:1 with male predominance. Most diagnosis of non-functioning kidneys were congenital such as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hydronephrosis due to ureteropelvic junction obstruction, renal agenesis and renal hypoplasia. In order of frequency thirty one percent of them were previously detected on antenatal ultrasonogram. Treatment consisted of operation in 47.5%, mostly nephrectomy and 32.8% of patients were followed up at OPD base without definite treatment. The most common combined diseases was hydronephrosis, in 4patients who had both kidneys inveloved progressed to chronic renal failure, but the prognosis in most cases were good. It is important to evaluate renal diseases in perinatal periods, and we believe that highly sensitive diagnostic study contribute to early treatment plan and thus to good pro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