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노동력의 성격변화와 노동정책: 1960-2000

        김미숙(MiSook Kim)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1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지난 40년간 일어난 초고속 경제성장의 경험에 유념하면서 한국 여성노동력의 성격변화와 그 대응양식으로서 노동(관련)정책을 해당 정권별(박정희-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로 구분하여 살펴보는 것에 있다. 60년대 초반 산업화 도입기부터 역대 정권은 각기 다른 모습으로 여성노동력을 저임금-단순-미숙련-산업인력으로 주변화시켜 왔음을 관련자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60년대 산업화 초기에는 노동집약적 산업에 저임금 산업인력으로, 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기에는 저임금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적 여성직종에 집중배치되었다. 80년대 들어서는 의류 전자 신발 등의 업종으로부터 집단해고 또는 대량감원의 대상으로 전락하였다. IMF 경제위기 전후 90년대는 비정규직 노동의 확산과 고용불안정 혹은 실업이 한국 여성노동의 현실에 충격을 주어 여전히 그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하겠다. 한편 정부 측의 다양한 대응양식으로서 노동(관련) 정책이 제안되고 있으나, 불합리한 노동 현실의 근본적인 대안으로 평가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overall profile of Korean female labor force over the period of 1960-2000. A particular emphasis is put on portraying major over-time characteristics of female labor force, following five different political regimes--that of Park, J.H .(1960 and 1970s), of Chon D.H. (early and late 1980s), of Roh T.W. (late 1980-early 1990s), of Kim,Y.S. (early 1990-late 1990s), and of Kim. D. J. (late 1990-early 2000s), respectively. Discussions have centered around: 1) utilization of young single girls from rural areas during the early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1960-1985; 2) the beginning of married women's entry into labor market and issues of the so-called "M-curve" thesis in Korean experiences since 1990s; 3) the emergence and enlargement of non-regular workers; and 4) the launching of labor related legal measures such as the Equal Employment Act of 1988 and its successive revisions, the Maternity Leave Acts, the On-the-Job Childcare Centers, and the prohibition of sexual harassments on the job setting, and so on. All in all, although it is undeniable that the Korean female labor force has experienced much progress over the period of time in terms of "equality and protection" issues, overall industrial reality we are facing with has not been so prosperous in the sense that most women workers have become the victims of industrial polarization, as time goes by.

      • KCI등재

        〈참여정부〉의 가족정책 성격

        김미숙(MiSook Kim)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3

        이 글은 노무현 정부 5년(2003.3-2008.2)(이하 〈참여정부〉)동안 이루어졌던 가족정책의 내용을 해당 가족관련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성격을 진단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여성이 행복한 나라’를 만들기위하여 〈참여정부〉는 과거 어느 정권보다 가족정책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고 급변하는 가족현실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한 정권이기도 하였다. 논의의 편의상, 〈참여정부〉 때에 입안?제정되었던 3개 가족정책법 -?호주제? 폐지 및 ?가족관계등록부? 도입(2008.1), ?건강가정기본법? 실시(2005.1), 그리고 ?다문화가족지원법? 실시(2008.9)- 을 중심으로 이들 법의 내용 소개 및 평가를 가하였다. 이러한 작업에 기반하여 〈참여정부〉 기의 가족정책의 가능성과 한계를 지적하였다. 나름대로의 시행착오나 보완사항이 지적되고는 있으나, 우리사회에 양성평등적 개인주의 삶의 양식이 제도적으로 보장되는데 기여한 ?가족관계등록부?의 도입이 이루어졌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추세 및 가족불안정성에의 대응책으로서 최초의 가족단위 기본법인 ?건강가정기본법?의 설정이 있었다. 그리고 다문화?다중정체성이 필요하게 된 시대적 분위기의 반영책으로서 결혼이민자의 법적 지위를 인정한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실시가 그것이다. 이렇듯 과거 어느 정권 보다 전향적이고 적극적인 양성평등지향의, 최초의 가족단위 기본법 제정, 그리고 미래 다문화사회를 위한 가족법의 입안과 집행을 시도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introduce most recent trends of Korean family policies during Roh, Moo Hyun Government of March 2003-February 2008. Focusing on the gender perspectives, discussions are, for heuristic purposes, centered around three major family issues in S. Korea, one of the most dynamically changing societies in the world: 1) the abolishment of male-centered traditional Family Registry System('the hoju') and the launching of brand-new Family Record Book of five different versions for individual from January 2008; 2) the application of Framework Act On Healthy Homes, a first formal measure to step in various forms of family break-ups these days; and 3)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Family Protection Act, thanks to a massive volume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 from overseas. It can be said that all these family policies are the result of rapidly changing socio-demographic trends into an aging society since 1990s. These trends include late/no marriage with low birth rates, high divorce(and thus remarriage) rates, breakdown of male-breadwinner family model and increase of dual-income family, and a sudden increment of international marriage particularly in rural areas. All in all, overall trends of Korean family life these days that have been taking place so far would provide an excellent examplary how to deal with an unprecedented societal challenges with the brand-new family policies.

      • KCI등재

        거꾸로 수업을 활용한 프로젝트형 탐구실험의 교수-학습 전략 탐색

        김미숙(Kim Misook),유선아(Ryu Su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거꾸로 수업의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프로젝트형 탐구 실험에 거꾸로 수업을 활용하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탐색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 의의를 찾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8년 1월 15일부터 2018년 2월 28일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과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의 단어와 ‘거꾸로’, ‘플립’ 등의 단어가 중복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그 결과 국․내외 총 30편의 연구가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선행 연구 고찰의 결과로 도출된 교수학습 전략은 과학적 지식의 이해, 과학적 탐구 능력 및 실험 수행 능력,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 역량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2018학년도 1학기(3월∼6월) 충청도 소재의 K대학교 예비화학교사 1학년 16명을 대상으로 한 탐구화학 실험에 거꾸로 수업과 프로젝트형 탐구실험을 적용해 보았다. 연구 결과, 프로젝트형 탐구실험에서의 사전 학습은 학생들에게 과학 지식과 실험 설계에 대한 문제 인식을 제공하였으며, 학생들이 실험 도구 사용법을 숙지하고 안전하게 실험할 수 있 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 결과, 프로젝트형 탐구실험 시 과학 개념에 기반한 실험 주제 선정 및 실험의 설계가 가능하였고,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실패와 도전의 반복을 통해 탐구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거꾸로 수 업을 적용한 프로젝트형 탐구실험의 의의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to use flipped learning in the project-based inquiry experiment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to apply it to actual classes to find its significance. To this end, the words science , physics , chemistry , biology , earth science and flipped are searched in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from January 15, 2018, to February 28, and 30 paper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derived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was examined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experiment performance ability,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we applied flipped learning and project-based inquiry experiments to inquiry chemistry experiments lecture for 16 first year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t K university in Chungcheong-do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8 (March to June).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learning in the project-based inquiry experiment provided students scientific knowledge, recognition of problems about experimental design, and helped students to know how to use experimental tools and to experiment safel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select experiment topics and design experiments based on scientific concepts in the project-based inquiry experiment, solve the problems collaboratively, and discover the meaning of inquiry through repetition of failure and challenge.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project-based inquiry experiment applying flipped-learning was discussed.

      • KCI등재

        심층인터뷰와 질적인 분석으로 조명한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들의 정체성과 노동의 단면들

        김미숙(Misook Kim),이기형(Keehyeung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3 언론과 사회 Vol.21 No.3

        대표적인 문화콘텐츠로서 텔레비전 드라마의 위상과 영향이 과거와 비교할 때 심대하게 확장되고 대중의 관심을 끄는 사회문화적인 환경 속에서, 작가집단은 드라마의 생산과정 속에서 매우 주요한 창작자이자 문화매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분석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그간에 학술적인 관심과 더불어 조명이 상대적으로 매우 미진했던 드라마 작가집단에 관한 생산자연구를 시도한다. 이 작업은 심층인터뷰와 기사분석을 조합하면서, 드라마의 생산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왔고 상당한 지명도를 누리게 된 작가들을 섭외하고, 이들과의 대화와 의견의 교환을 기반으로 드라마 작가들의 삶, 노동 그리고 직업적인 정체성과 환경의 특징과 함의들을 ‘가까운 거리에서’ 다면적으로 풀어내고 세밀하게 기술하는 데 방점을 둔다. 드라마 작가집단에 대한 비교적 상세한 사례연구이자, 생산자연구의 가능성을 드라마 영역에서 탐색하는 질적인 분석으로서, 이 글은 텔레비전 작가라는 특정한 생산자집단을 대상으로 시도되는 분석적인 작업의 함의와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탐문하고자 한다. Television drama is one of the most sought after cultural products in the field of television and popular culture. It is also a highly profitable yet unstable cultural commodity. This study explores the occupational identities, work habits, and ethos of television drama writ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sets of problematics derived from "production studies." In doing so, this work aims to illuminate the very nature of these writers" work as well as the particular institutional practices and pressures that surround and shape their work condition and life.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김미숙(Kim MiSook),최미숙(Choi Mi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D어린이집의 만 5세반 2개 학급 유아를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을 활용하여 과학통합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과학적 과정기술의 하위요인인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가 향상되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하여 과학통합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과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요인인 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해결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 문제해결에 대한 결론짓기가 향상되었다. 즉,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문제해결력의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8 five-years-old children from D kindergarten located in Gwang-ju. Our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r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the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sub-factors of scientific process skill, predicting, observing, classifying, measuring, communicating than comparative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the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sub-factors of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problem-finding and statement, suggestion of idea and application about problem-solution, making conclusion about problem-solution than comparative group. It means that the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improve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 KCI등재후보

        소수민족의 새로운 민족문화의 형성과 정체성 -일본 홋카이도 아칸아이누고탄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숙 ( Kim Misook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69

        소수민족의 인권과 문화 보호에 관한 국제적인 움직임과 여론은 그들의 삶과 정체성에도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의 다양성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소수민족을 `그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타문화를 가진 소수집단`으로 바라보고 있는 시선들이 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민족문화는 긴 시간 동안 주변의 다양한 요소들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형성되고 소멸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하나의 민족문화로 천천히 자리를 잡아간다. 하지만 현재에는 경제적인 측면이 개입되면서 해당 민족문화(전통문화)를 이미지로 한 상품(관광상품)으로 새롭게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민족문화의 변화 중 소수민족의 자립을 목적으로 만들어 지고 있는 새로운 민족문화의 생성과 유지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정체성의 변화와 문제점(시사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아칸아이누고탄에서는 새롭게 형성된 민족문화가 생계를 위한 경제적인 기반과 자기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아이누와 무관한 사람들의 아이디어와 지원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은 아이누 민족의 전통보다도 아이누의 이미지로 관광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정체불명의 상품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물론 이것은 소수민족의 홍보나 이해를 돕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아이누 민족의 전통문화의 의미와 형태는 점점 변질되고 있다. 즉 당사자인 아이누인들에게 잘못된 전통문화의 전수(계승)로 인한 민족 정체성의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International movements and public opinions about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culture in minorities influence their lives and identities. In view of approaching to cultural diversity, it is realistically increasing that people think minority is `a minor community with disparate cultures that are present in the area`. This document looks into the process of creation and maintenance of new ethnic culture generated for the purpose of self-support, connected with the change in national identity of Akan Ainu Kotan(AAK) in Hokkaido. Unfortunately, people unassociated with the Ainu have played a pivotal role to having creating unidentified products referenced to the only the imagery of Ainu other than its culture just for attraction of the tourists but needless to say, other perspectives view this positive as it is supporting to create an opportunity to introduce minorities and help understand of its culture to the outsiders. But the meaning and form of the cultural shift of Ainu is becoming gradually changed by it. In result, this case shows that a new national culture created through commercializing with a source of ethic culture is related to weakening the national identity.

      • KCI등재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영어 프로그램 커리큘럼 개발 방안 모색 연구

        김미숙(Kim, Misook),김영미((Kim, You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needs and compare them with the perceived needs of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NESTs) and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NNESTs) concerning a general English language program (GELP). A total of 318 Korean students and 49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It took one semester long in collecting data, and they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semester. The study’s findings indicated that both groups asserted that “improving students’ communicative abilities” should be the learning objective of a GELP, and that enhancing all four skill areas should be the main consideration in the program. Additionally, both groups believed that classes should focus on activities that could help the students enhanc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referred four semesters of instruction to be carried out over the four year university period. In brief,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believed that improving 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BICS) should be the main purpose in a GELP, and that ample opportunities should be made available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English language abilities while simultaneously exploring different world cultures. 본 연구는 대학교양 영어 프로그램 (GELP)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요구를 조사하고, 동시에 원어민 영어 교수자 (NEST)와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교수자 (NNEST)의 인식 요구 사항을 비교하여 GELP 자체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만 초점을 두어 왔던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총 318 명의 한국 학생과 49명의 원어민 영어교수자 및 내국인교수자가 참여하였다. 교수 자와 학생의 의견을 모두 수렴한 총괄적인 연구 접근방식을 사용한 본 연구에서 학생들과 강사 모두 GELP에 대해 비슷한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그룹의 참여자들은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이 대학 교양영어프로그램의 학습 목표가 되어야하며 “네 가지 언어 영역 모두를 향상”시키는 것이 프로그램의 주된 고려 사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학생들과 교수자 모두, GELP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소통 능력을 향상시 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활동에 중점을 두어야한다고 생각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4년제 대학 기간 동안 적어도 4학기 이상의 수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다시 말해 학생과 교수 모두 ‘기초대인의사소통능력’ (BICS)을 향상시키는 것이 GELP의 주요 목적이 되어야 하며 GELP안에서 학생들이 다른 세계 문화를 경험하며 동시에 영어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가 제공해야한다고 생각하였다.

      • KCI등재

        유해공장으로 인한 농촌마을의 피해와 변화: 전북 익산 장점마을 주민의 구술을 중심으로

        김미숙(Kim, Misook) 한국농촌사회학회 2021 農村社會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해공장으로 인하여 발생된 농촌 지역 환경오염 과정에서, 환경 변화와 주민 건강영향 및 사회문화적 변화를 주민 구술을 통하여 파악하여, 환경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조사방법으로 구술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지역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한 장점마을이며, 2001년부터 2017년까지 비료 공장이 설립되어 운영되는 과정에서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고에서는 공장 가동 전과 후의 자연 및 생활환경의 변화조사를 통해 오염전후 외형적인 주민피해와 생활변화를 파악하였고, 환경문제로 인한 건강 및 질병 영향, 경제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을 통해 주민 피해와의 관계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장이 가동되면서 배출된 악취와 매연, 폐수가 주요 오염 영향원으로 작동되었으며, 이에 자연환경과 주민 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악취와 매연은 주간 외부 활동뿐만 아니라 야간 실내 휴식에서도 호흡 불편함과 많은 정신적 제약을 주었으며 이로 인해 마을 공동체 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공장 폐수는 직접적으로 마을 수원지를 오염시켜 농작물을 죽이거나 상품성을 하락시키는 등 경제적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지자체에 수시로 민원을 제기하였고 개인 혹은 집단으로 저항하였으나,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찾지 못하였다. 이에 지자체, 공장, 주민 간의 갈등이 커지거나 새롭게 야기되었다. 특히 장기간의 오염영향으로 주민들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었는데, 암 환자 및 암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환경 악화에 따른 불가피한 건강 훼손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여론이 자발적으로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주민(피해자)들의 ‘과거의 기억’을 중심으로 사건을 재구성하여 그 사회적 고통의 정도와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환경 악화에 따른 건강피해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데 구술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역학조사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의 환경문제 양상을 이해하고 대응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esidents‘ dictation(oral statement), along with basic environmental changes and health impacts of residents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rural areas caused by hazardous factories. The main research area is a small village(jang-jeom) located in Iksan-si, north province of Jeolla, various diseases including cancer were reported to outbreak dur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fertilizer plant utilizing wastes from 2001 to 2017. In the oral process, external damage to residents and changes in life before and after pollution were identified through investigation of changes in nature and living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factory operation.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residents" damage was examined through investigations of disease impact, economic impact, and socio-cultural impact caused by environmental issues. As a result, when the factory started to operate, improperly discharged odors, smoke, and wastewater acted as major sources of pollution, which deteriorate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particular, odors and fumes caused breathing discomfort and many mental constraints not only during daytime outdoor activities but also during nighttime indoor breaks, which greatly affected the contraction of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Factory wastewater directly polluted the village water source, killing crops or reducing marketability, and had an economic impact. In order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residents frequently filed complaints with local governments and resisted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but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factories, and residents reinforced or arose newly in the absence of a fundamental solution. Long-term pollution has had a serious impact on the health of residents, and as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and deaths continues to increase, social interest and public opinion about the irreversible damage to health due to environmental deterioration have spontaneously formed. This study describes the degree and process of social suffering by reorganizing the incident by dictating the “memories of the past” of the residents (victim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or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health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deterioration, especially i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정서조절이 정부신뢰와 진로설계에 미치는 영향: 사회신뢰의 매개효과- 학교급별 비교-

        김미숙 ( Kim Misoo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9 청소년복지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정서조절과 정부신뢰 및 진로설계의 관계에서 사회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2016’조사 대상인 한국 청소년 총 8,8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AMOS 24.0을 사용하여 잠재평균 분석과 교차타당성 검증 및 다집단 구조방정식모델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측정변인의 일원배치분산분석과 사후검정 결과에서 정서조절, 사회신뢰, 정부신뢰, 진로설계는 모두 평균값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정서조절은 사회신뢰, 정부신뢰, 진로설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사회신뢰는 정부신뢰, 진로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정서조절과 정부신뢰 및 진로설계의 관계에서 사회신뢰는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청소년의 정부신뢰는 진로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정서조절과 진로설계의 관계에서 사회신뢰와 정부신뢰의 위계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의미와 후속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verify the effects of youths’ emotion regulation on adolescents’ trust in government and career desig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trust. For doing this, a total of 8,811 responses from ‘2016 Inter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Study’ were analyz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MOS 24.0 was used for latent mean analysis.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for multiple groups was compared and analyzed. Cross-validation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nding from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social trust, trust in government, and career design. Secondly, it was found that emotion regulation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social trust, trust in government and career design. Third, it showed that social trust positively influenced trust in government and career design. Forth, it was revealed that trust in government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career design. Fifth, it was identified that youths’ trust in government affected career design. In other words, social trust and youths’ trust in government had a hierarchical mediating effect between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and career desig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