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삽목재육묘(揷木再育苗)의 육함(育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문협 ( M. H. Kim ) 한국잠사학회 1970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1 No.-

        접목법에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상묘의 생산방법으로서 삽목재육묘의 육성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1. 신소를 삽목하면 15일 후부터 발근하기 시작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발근양이 증가하며 삽木 40일 후에는 발근수 43본, 총근중 5.4g, 총근장 11.19mm에 달한다. 2. 신소삽목의 활착비율은 56~90%의 범위 내에 있고 그 평균은 73% 정도이며 품종별로 보면 개량서반, 일지뢰가 80% 정도로 가장 좋고 시평이 가장 못하다. 3. 품종간에 있어서의 발근량은 개량서반, 일지뢰, 수원상4호, 노상은 거의 같은 정도로 많고 용천추우와 시평은 적다. 4. 발근촉진제는 NAA 0.01~0.02%에 2~3초 침지하며 그대로 삽목하는 것이 발근량도 못하지 않고 또 경제적이다. 5. 삽수의 채취량 증가와 경제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1) 50cm 정도의 신소를 채취하여 2본씩의 삽수를 채취하고 중간부의 삽수의 기부는 반드시 절치하에서 절단하도록 할 것이며 2) 50cm 미만의 것도 전부 채취하여 이용한다. 가는 삽수나 생장정지아도 발근량은 약간 못하나 상당히 발근하므로 이용가치가 있다. 3) 이렇게 하면 10a 당 100,000본 이상의 삽수를 채취할 수 있다. 6. 삽수의 하단은 절치하에서 45℃로 사단한 다음 그 뒷면을 삭제하면 그 발근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7. 재육묘를 육성하기 위한 삽목원묘는 10a 당 100,000본을 삽목하여도 묘질은 약간 떨어지지만 실용적으로는 원묘로 이용하는데 별 지장이 없을 정도이다. 8. 삽목시기는 7월 중순까지는 그 시기가 늦어지는데 따라서 묘질은 약간 떨어지지만 충분히 이용가치가 있으므로 6월 상순부터 7월 중순까지 사이에 수회에 걸쳐서 삽목할 수 있으며 6월 하순 이후에는 춘벌상수의 신소를 삽수로 이용한다. 9. 재육묘는 원묘의 중량이 10g 이상인 것은 그 성묘비율이 95% 이상이 되고 5~10g의 작은 원묘는 80% 이상의 성묘비율이 되며 그 묘질도 접목묘와 비슷하다. 10. 원묘를 식재할 때에는 그 묘조는 신조의 기부에 3~4아 남기고 절단하도록 한다. 11. 삽목재육묘의 생산비는 접목묘의 52%이다. This experiment is conducted for method of bring to perfectly from defective cutting sapling as a production method of sapling which is to substitute for conventional grafting. 1. In green wood cutting root comes out after 15 days of cutting with nearly straight development of root system; after 40 days of cutting, roots with total length of 1119 mms 43 roots, and 5.4 grs a root in total weight obtained. 2. Survival percentage of green wood cutting ranges between 56% and 90%, average 73% of that and it varies with natural characteristics of varietes. The results show variety of Gaeryang-Suban and Iljiroe with 80% as a best ones in contrast with the variety of Shipyung. 3. The varietics or Gaeryang-Suban. Iljiroe, Suwon-Sang No.4, Rosang makes of much more roots than Yongchonchuwoo and Shipyung do. 4. Root ability made good number of roots commercially, when cutting is conducted soaking in 0.01% NAA solution or 0.02% NAA solution for 2 or 3 seconds as a chemical promoter. 5. Economical measures for increase of scion adapted 1) 2 scions from a green wood 50 cm long should be taken and basal pan of scion at its middle portion should be cut right under the node. 2) Scions below 50cm long may be used. Small scions or growthceased shoots h3ve also considerable root ability enough to be used. 3) Thus far, up 100,000 scions might be produced in 10 a. 6. We can find number of root increased, when cutting the opposite side in obliquity manner at 45°. 7. When 110,000 saplings in 10 a. for the production of bring to perfectly from defective cutting sapling planted, quality of stocks does not go to bad condition without any obstacles in practical use. 8. Although the times or grafting delayed until middle of July, quality of sapling goes just a little down. Grafting may be conducted from early June to middle of July separately in several times, and the green wood of prunned mulberry in spring is available for a scion after end of June. 9. 10 grs weight of defective cutting sapling makes 95% of complete sapling, otherwise 5 or 10 grs in weight of one becomes 80% of complete sapling with its quality as similar as grafted one. 10. When the sapling planted, its branches should be cut, leaving 3 or 4 buds at the bottom of new branches. 11. In view of economical stand point, production cost of bring to perfectly from defective cutting sapling obtains 52% of grafting cost.

      • 잠업단지(蠶業團地)의 기술적실태(技術的實態)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김문협 ( M. H. Kim ),김윤식 ( Y. S. Kim ),강석권 ( S. K. Kang ) 한국잠사학회 1972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4 No.2

        농어민 소득증대 사업으로 조성된 잠업단지에 대하여 그 기술적인 각종 조건을 조사분석 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명확히 하여 잠업 증산에 기여코자 하기 위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표본 조사된 농가 1호당의 뽕밭면적은 3.0∼370a의 범위 안에 있고 그 평균은 45.1a이며 개간단지의 평균은 56.3a로 일반단지의 33.8a보다 크다. 가장 면적이 큰 단지는 호남야산지구의 101.1a이고 가장 작은 것은 무진장 지구의 20.8a이다. 규모별 분포를 보면 전 농가의 66.5%가 11∼50a의 계층에 속하고 있다. (2) 뽕나무의 발육에 적당하지 못한 식토와 양토가 28.3%나 되고 특히 개간단지에서는 그 비율이 더 커서 36.2%를 차지하여 그 심토도 중점한 점토가 전체의 45%를 차지하고 이것도 개간단지에서는 54.2%나 된다. 또 유기질의 함량이 적은 것이 48.2%로 거의 반수에 가깝고 유기질이 많다고 생각되는 뽕밭은 7.2%에 불과하다. (3) 뽕나무의 품종은 일지뢰가 33.3%, 개량서반 25.7%, 수원상 4호 18.0%, 노상이 16.5%이며 이4품종으로 전체의 93.5%를 차지하고 있다. (4) 뽕밭은 92.3%가 순뽕밭이고 10a당의 식재주수는 480∼1,390주의 범위 내에 있으며 그 평균 식재주수는 846주로 701∼1,000주의 계층이 91.3%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5) 뽕의 첫 수확시기는 식재 후 2년째 가을이 73.0%로 가장 많았지만 식재당년 가을과 식재 2년째 봄도 각각 12.7%, 8.7%로 적지 않았으며 첫 수확방법으로서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한 것이 88.8%이다. 수확방법은 춘잠치잠기는 잎 따기가 97.7%이고 장잠기는 순 따기 또는 가지 뽕으로 거두어 들인 다음, 순을 따는 방법을 합하여 80.0%이며, 추잠 치잠기는 잎 따기가 97.7%, 장잠기는 잎 따기가 91.7%이고 완전 적엽을 한 것도 7.1%(춘원지구는 47%)있었다. 그리고 춘기발아전벌채를 하는 농가는 17.8%에 불과하였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collect the related information on technical aspects for solving the problems which are facing producing farmers and regions, provide scientific facts to farmers related personals and institutions and aimed at contributing the development of sericultural sector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rea of mulberry field per a farmer which was selected as sample ranges from 3.0 to 370a with its average 45. 1a. And yet, the average of new cultivated areas is above than that of ordinary ones by 56.3 to 33.8a. The largest area is Honam hill area with 101. 1a and the smallest is Muzinzang with 20.8a. Shortly, a large number of farmer belongs to 11 to 50a with 66.5 per cent. (2) The ratio of clay and loam soils which are inadequte for growing of mulberry trees is 28.3 per cent and particulary high in new cultivated area with 36.2 per cent. And yet, base soil is occupied with 45 per cent of heavy clay and particularly even 54.2 per cent in new cultivated area.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areas which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s is relatively low, with 48.2 per cent is near the half, but the ratio of mulberry fields which seems to contain organic matters abundantly is only 7.2 per cent. (3) The varieties of mulberry trees are Ilgirae, Gaeryangseoban, Suwonsang No.4 and Nosang. The, ratio of the varieties are 33.3%, 25.7%, 18.0% and 10.5%,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four varieties enumerated above occupies 93.5 per cent. (4) The mulberry fields are almost composed of exclusive mulberry fields and its ratio was 92.3 per cent. The number of planted trees per 10a arrange from 480 to 1,390 and its average is 846. But most of them nearly belong to 701 to 1,000 with 91.3per cent. (5) The second year`s autumn after planting is generally adopted as the first harvesting season, and its ratio is 73.0 per cent, but autumn of the years and next spring are not few, and its ratio are 12.7 and 8.7 per cent. The first harvesting method is relatively normal with 88.8 per cent of ratio. From the viewpoint of harvesting method, picking leaves was applied with 97.7 per cent of ratio in young larvae rearing and picking shoot and picking shoot after harvest with branches were applied with 80.0 per cent of ratio in grown larvae rearing. The ratio of applying the harvesting method of picking leaves were 97.7 and 91.7 per cent in young larva and grown larva in autumn rearings. But there was also picking leaves absolutely with 7.1 per cent of ratio(Chunwon was 47 per cent) and yet, the farmers applying cutting before shooting in spring was no more than 17.8 percent.

      • 다간식정지(多幹式整枝)에 있어서 지조(枝條)의 벌채정도(伐採程度)와 신조(新條)의 발육(發育)과의 관계(關係)

        김문협 ( M. H. Kim ),임수호 ( S. H. Lim ) 한국잠사학회 1969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9 No.-

        다간식 정지에 있어서 그 기조의 벌채를 어떻게 하는 것이 뽕의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총조장과 총조경 및 총조장×총조경들을 증대시킬 수가 있는가를 알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춘벌한 경우에는 전기조 5 cm 균일벌채구와 태조 10 cm 세조 5 cm 벌채구가 이들이 가장 크다. (2) 하벌한 경우에는 1지간 중 상위부분의 기조는 5 cm 하위의 것은 10 cm. 벌채 구와 태조 10 cm 세조 5 cm 벌채구 및 전기조 5 cm 균일 벌채구가 가장 크다. (3) 춘벌을 통해서 볼 때에 그 전지 기술이 단순한 전기조 5 cm 균일벌채구가 가장 유리할 것 같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know how to cut of the mulberry branches, formed by multi-stemmed pruning, which is together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f yield and total length, total diameter, or total length X total diameter of branch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case of spring pruring, cutting off 5 cm high uniformly, cutting off thick one 10 cm high and cutting off slender one 5 cm high were best. 2. In case of summer pruning, cutting off upper part one 5 cm high and cutting off lower part one 10 cm high, cutting off thick one 10 cm high, slender one 5 cm high, 5 cm high uniformly were best. 3. A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cutting off all the branches 5 cm high uniformly was available.

      • 잠병(蠶病)이 잠작(蠶作)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김문협 ( M. H. Kim ),김윤식 ( Y. S. Kim ),박광의 ( K. E. Park ),이상풍 ( S. P. Lee ),강석권 ( S. K. Kang ),성수일 ( S. I. Seong ) 한국잠사학회 1972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4 No.1

        잠병이 잠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도 용인군 남사면 방아리, 경북 칠곡군 약목면 그리고 경북 칠곡군 북삼면의 양잠농가를 대상으로 잠병에 대한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잠병에 의한 감수율은 춘잠기에는 5.5%, 추잠기에는 8.9%이었고 년간 평균 7.2%였으며 하견을 병해견으로 환산한다면 8.3%였다. 2) Virus 다각체병과 연화병에 의한 병해율은 전발병의 치잠기에는 17.8%, 장잠기에는 82.2%로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3) 평균산견량은 상자당 27.74kg이었는데 추정산견량에 대하여 잠병에 의한 감수량은 2.411kg이었다. 4) 원인불명의 감수량이 3.611kg으로서 잠병에 의한 감수량의 약 1.5배였다. 이 원인불명의 감수량은 주로 유실잠과 하견이 많았기 때문이다. 5) 잠작이 비교적 안정된 농가수는 춘기에는 54.7%, 추기에는 21.9%였다. 6) 잠병 이외의 피해율은 10.70%였고 전감잠비율은 17.87%였다.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s of silkworm diseases on the cocoon crepe. The sample farmers were selected at three areas in Korea. a. Banga Ri, Namsa Myoen, Yongin Kun, Kyoenggi Do b. Moorim Ri, Yakmok Myeon, Chilkok Kun, Kyeongsangbuk Do c. Oero Ri, Buksam Myeon, Chilko Kun, Kyeongsangbuk Do 1. Reduction ratio of crops by the silkworm disease was 5.5% in spring season, and 8.9% in the autumn but 7.2% in a year. Including disease damaged cocoons being spoiled cocoons, it was 8.3%. 2. The ratio of disease-damage by the polyhedrosis virus and flacherie was 17.8% of whole disease at young instar and was 82.2% at advanced instar which showed highest ratio. 3. Average production amount of the cocoon was 27.74kg. The reduction amount by the silkworm disease against the estimated production aomunt was 2.411kg. 4. Reduction of amounts by unknown factors was 3.611 kg. This was 1.5 times of reduction amount by the disease. This nay be chiefly due to the missing silkworms and spoiled cocoons. 5. Ratio of farmers harvesting stable cocoon crops was 54.7% in spring rearing season but 21.9% in autumn. 6. Damage ratio of factors other than the silkworm disease was 10.70% and it was 17.87% of total mortality.

      • 상전(桑田)의 부위(部位)에 따르는 수량(收量)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문협 ( M. H. Kim ),임수호 ( S. H. Lim ) 한국잠사학회 1969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0 No.-

        상전에 있어서 각 부위에 따르는 수량의 변이를 알고저 시험을 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떠한 품종이던지 중앙부보다 주변 부위가 수량이 많았다. 2. 상전의 방향에 따라서 볼 때는 항상 남쪽 외측이 가장 수량이 많았고 다음이 서쪽과 동쪽 외측이며 북쪽 외측도 상당히 많았다. 3. 각 방향의 1/4 내측부분도 중앙부보다 약간 많은 경향은 있었으나 큰 차는 없었다. 4. 품종별로 볼 때에는 개량서반과 같은 발조수가 많고 절간이 짧은 소엽형의 품종은 이와 반대의 형질을 가진 노상보다 주변효과가 크다. 5. 시기적으로 볼 때에는 개량서반은 추잠기보다 춘잠기에 있어서 주변효과가 크지만 노상은 도리어 추기가 춘기보다 약간 크다. 6. 상엽중의 건물에 있어서도 거의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7. 이것을 종합해 보건 데 상전을 조성할 때에 있어서는 주변 효과가 적은 동서로 긴 형태로 하는 것이 증수를 하는데 유리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mulberry yield in various parts of mulberry fiel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all the varieties, higher yield was observed side part than in the middle part. 2.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field, the side faced south produced the highest yield, which was followed both side parts faced east and west. The side part fated north also produced relatively high yield. 3.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 was obtained between the central part and the near the each side, even the former seemed to be some what higher in yield than the latter. 4. Such a variety as Kaeryangsuban having small leaves on many twigs with small internodes appeared to have more side effect than the otherwise variety, i.e. Rosang. 5. The variety Kaeryangsuban, showed more side effect in spring than in Autumm, however Rosang showed reversed effect. 6.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leaf dry weight. 7. As a conclusion, it can he an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yield to set up the mulberry field in east and west resulting less side effect.

      • 우리나라 상전(桑田)의 생산성(生産性)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김문협 ( M. H. Kim ),임수호 ( S. H. Lim ) 한국잠사학회 1970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1 No.-

        우리나라 상전의 생산성에 대해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리나라 상전의 생산성은 9.8∼105kg 사이에 있지만 20∼60kg가 가장 많으며 그 평균은 50.2kg/10a이다. 2) 농가의 환산노력 1인당 상전면적이 클수록 상전의 생산성이 낮아지는데 1인당 200평정도인 경우에 그 생산성이 높은 것 같다. 3) 토양은 사질괴토나 괴토에서 생산성이 높고 식토에서나 초토에서는 낮으며 표토의 깊이는 70cm 이상인 경우에 높지만 50cm이상은 되어야 한다. 4) 유기질은 상전의 생산성과 깊은 관계가 있으니 식재기비로는 900kg이상을, 또 식재 후에는 1,200kg이상을 시여하여야 생산성이 높아진다. 5) 유기질의 공결원으로 가축을 보유하는 두수가 많을수록 샌산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6) 전비는 퇴비를 1,200kg정도 줄 경우 질소 20kg (10a 당 성분량) 이상을 주어야 생산성이 높으며 우리나라 평균 질소시여량은 14.7kg로서 기준량에도 미달하여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정지법으로서는 낮추베기가 생산성이 높으며 낮추베기에서는 정지기술이 부족하여 무식과 같은 형태로 된 것은 생산성이 낮다. 8) 상전의 형태는 순상전이 휴반식이나 간작식 보다 생산성이 높다. 9) 식재밀도는 낮추베기의 경우 10a 당 평균 713주이지만 적어도 800주 정도는 식재해야 생산성이 높다. 10) 식재당시의 식혈이나 식구는 되도록 크게 하는 것이 상수의 발육이 좋다. 11) 품종은 노상과 용천질우가 일반적으로 생산성이 낮은 경향이 있다.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surveying the productivity of mulberry fields in Korea. 1. The productivity of mulberry field per 10a in which cocoon can be yield belongs to the range of 9.8∼105kg, and among them the productivity of 20 to 60kg was chiefly distributed. And their average was 50.2kg. 2. In general, the larger the mulberry field in scale per a person is, the lower the productivity of it is, but about 6.6 ares per a person was estimated to be economic scale for high productivity. 3. As far as the texture of soil is concerned, sandy-loam and loam contained a capacity of higher productivity while others like clay and sand that of lower productivity, And the depth of surface soil must be at least 50cm, although 70cm`s depth of surface sail could bring about high productivity. 4. Fertilization of 900kg`s compost on planting and 1,200kg`s that after planting could enhance the productivity, because the use of compost have a positive relation to the productivity. 5. The greater the number of farmer`s domestic animals is as a source of organic matter the higher the productivity is. 6. In the case of fertilization of 1,200kg compost, the amount of 20kg`s nitrogen per 10 ares as chemical manure was best for high productivity. However, fertilization of 14.7kg`s nitrogen as average amount of that, which is far below the standard amount, had been a factor to reduce the productivity of mulberry field. 7. In pruning the low-cut form resulted in high productivity, but as their shape become taller due to the lack of techniques, they were turned out to be non head pruning, thus to produce poor harvest of leaves. 8. The pure mulberry fields showed better productivity than others such as wide and narrow ridge planting and inter-crop planting. 9. As for the degree of planting density, at least 800 trees per 10 ares should be plant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lthough the planting of 713 trees per 10 ares could be possible in case of the low stemmed pruning. 10. The hole and tranch in planting must be digged as wider and dipper as possible far the better growth of mulberry tree. 11. On the whole, varieties like Nosang and Young-cheun choowoo had a tendency of lower productivity.

      • 추잠기(秋蠶期)의 적엽(摘葉)이 불발아(不發芽) 및 접목(接木)의 활착(活着)에 미치는 영향(影響)

        김문협 ( M. H. Kim ) 한국잠사학회 196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 No.-

        추잠기의 적엽이 익춘의 불발아와 접목의 활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추잠기의 적엽은 익춘의 불발아비율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되며 특히 전적엽을 하면 적엽을 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불발아비율이 46%나 증대한다. 그리고 동일한 기조에서 일부분의 엽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적채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적엽을 한 부분의 불발아율이 적을 하지 않은 부분의 그것 보다 크다. (2) 추잠기의 적엽은 익춘에 그 동아를 일아근접하였을 때에 있어서 그 활착비율을 크게 저하하며 동일지조에 있어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적엽을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적엽을 한 부분의 동아의 활착이 적엽을 하지 않은 부분의 보다 항상 좋지 않다. (3) 추잠기에 적엽을 하면 익춘잠기의 수량을 7∼20% 저하시키며 특히 기조의 하반부적엽(20%)과 전적엽구(12%)가 그 정도가 심하다.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cking leaves in autumn on the non-budding and survival of graf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eaf picking in autumn causes an increase of the non-budding ratio in the following spring. When the whole leaves picking is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non-budding ratio increases 46 percent. In case of tone leaves on a single stem are picked in various way, the non-budding ratio of picked portion is higher than that of non-picked. 2) The leaf picking in autumn with winter bud being grafted on stock in the next spring, decrease the survival of grafting. In case some leaves on a single stem are picked in various way, the winter bud of picked part is always poor in survival. 3) In the event of leavf picking in autumn, the yield always decreases 7∼20 percent, especially this phenomenon becomes serious in the under half part of the stem(20%) and whole leaves picking(12%) treatments.

      • 추잠기(秋蠶期) 중간벌채시기(中間伐採時期) 및 잔조(殘條)에서의 적엽정도(摘葉程度)가 뽕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문협 ( M. H. Kim ),김호락 ( H. L. Kim ),최하자 ( H. J. Choe ) 한국잠사학회 1971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3 No.2

        추기의 조상중간벌채시기 및 잔조에서의 적엽정도가 재발아와 선단고사, 수량 및 아고병 등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상의 중간벌채시기가 늦어지는데 따라서 재발아조수가 감소하는 것이며 또 잔조에 잔엽을 많이 할수록 재발아조수가 적어질 뿐 만 아니라 재발아엽수도 적어지는데 잔엽은 잔조의 상부에 하여야만 재발아 억제의 효과가 있는 것이니 실용적으로는 3∼5엽정도의 잔엽이 유리할 것 같다. 3∼5엽정도 잔엽을 하고 9월 20일 이후 벌채를 하면 재발아조수가 격감한다. 2. 벌채후의 잔조에서 전적엽을 하면 지조의 선단고사비율이 매우 높고 상반부적엽구도 그 외의 다른 구들보다 약간 많은 것 같으며 벌채시기에 따라서는 전적엽구를 제외한 다른 구에서는 별로 차가 없는 것 같지만 전적엽구만은 9월 15일 벌채구가 특히 높으니 이것은 전적엽으로 인한 지조의 불충실과 이때의 온도조건이 아지병균의 기생에 호적하였다는 것이 그 원인인 것 같다. 3. 수량과의 관계를 보면 추잠기는 벌채시기에 따라서는 별로 차가 없지만 잔조에서의 적엽양이 많아질수록 전수량이 많아진다. 춘잠기수량은 무적엽구와 전적엽구는 벌채시기의 여하에 불구하고 가장 적으며 무적엽구를 제외한 그 외의 각 구에서는 9월 15일과 9월 20일 벌채구가 수량이 발은 반면에 이보다 이르거나 늦은 경우에는 수량이 적어진다. 또 적엽각구는 9월 15일과 9월 20일 벌채구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무적엽구보다 적으니 추기에 있어서의 적엽이 익춘기의 수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춘추합계수량에 있어서는 무적엽구와 전적엽구보다 그 외의 각 구가 수량이 많으며 그 중에서도 9월 15일과 9월 20일 벌채구가 특히 많고 잔엽정도에 따르는 차는 별로 없는 것 같다. 이것을 종합해 볼 때에 연간수량이 가장 많은 것은 9월 15일∼20일경에 중간벌채수확을 한 후 그 잔조에 3∼5엽잔엽을 하는 방법이며 9월 5일∼10일 벌채구도 무적엽구나 그 이후의 벌채구와 별로 차가 없다. 4. 잔조에 발생하는 병은 아고병이 가장 심하고 맛사리아병과 동고병도 약간 발생하였으며 아고병은 전적엽구에 가장 심하게 발생하였고 시기적으로는 9월 15일 구에서 지수 92.9, 9월 20일 구에서는 지수 100으로 가장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상반부적엽구에서도 상당히 발생하였고 무적엽구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5. 재발아비율 및 평균재발아엽수와 익춘잠기 수량과의 사이에는 각각 상관계수 r=-0.42, r=-0.27로서 부의 상관을 가지고 있으나 깊은 상관관계는 없으며 선단고사비율 및 아고병발생비율과 익춘잠기수량과의 사이에는 거의 상관이 없다. 아고병발생비율과 선단고사비율과의 사이에는 상관계수 r=+0.8로서 깊은 정의 상관이 있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to rebbuding, death atop, yielding and occurrence of twig blight disease with the interemediate cutting periods of mulberry branch and at the picking levels of leaf remains in autum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Re-budding branches are decreased with delaying of interval cutting period, and that more leaves remained lesser both re-budding branches and buds are observed. Therefore, it is better that leaves remained ar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branch, practically with 3-5 leaf remains. It has decreased re-budding branches, in case cutting is conducted in Sept. 20 with picking leaving 3-5 leaf on. 2. With regard that all picking increases the percentage of death atop of the branch and upper half part picking increases slightly over the other treats. Although it seems unlikely to be different in the other treats with cutting period, exception of all picking, it is elucidated better that the all picking after cutting in Sept. 15 represents unusually high, seemingly effected by the temperature contition preferable to the life of twig blight disease along with the lack of branch nutrition caused by the all picking. 3. In view of yielding, it has no difference in autumn yielding with cutting period, but more picking levels of leaf remains, more yielding. In spring yield, both no picking and all picking is the lowest, in spite of cutting period. Each treat produces high yielding except the no picking if rutting is done in Sept. 15 and Sept. 20, respectively; otherwise it is done earlier or later, each treat produces low yielding. It is suggested that yielding ability in following spring affected by the autumn picking because all picking treats represent lower yielding ability than no picking ones except of cutting in Sept. 15 and Sept. 20. With respect to total yield in spring and autumn, it is represented that other treats, among which cutting in Sept. 15 and Sept. 20 is especially high, produce higher yielding than both no picking and all picking. But no difference seemed in leaf remained treats. In these respects, it may be concluded that 3-5 leaf remains after the interval cutting in Sept. 15 to Sept. 20 increases the yielding throughout two seasons and it is suggested that 3-5 leaf remains after cutting in Sept. 5 to Sept. 10 has no difference with no picking and cutting after that day. 4. Diseases in the branch remained are twig blight, massaria-byo, and Die-back, of which twig blight attacks tremendously and slight ouurence in messaria-byo and Die-back. In ouurence of twig blight, it is appeared much in all picking and seasonal occurence high in Sept. 15 with 92.9, and in Sept. 20 with 100 as index, respectively. Also it occurs considerably in upper part picking but little occurrence in no picing. 5. It is considered that negative correlation among re-budding percentage. No. of re-budding leaf, and spring yielding is found, seemingly without heavy correlation at -0.42, and -0.27, respectively. However, death atop of branch and occurence of twig blight has little correlation with spring yield. On the other hand, positive correlation highly appeared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t 0.8 between occurence of twig blight and death atop of branch.

      • 경사지상전(傾斜地桑田)의 생산력향상(生産力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문협 ( M. H. Kim ) 한국잠사학회 1969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0 No.-

        우리나라 경사지상전의 생산성을 저해하고 있는 요인을 조사분석함으로써 경사지상전의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구명하였다. 1)경사지상전에서 상수의 발육을 저해시키고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시비량의 부족과 경영면적의 과대로 인한 합리적인 경영관리를 못하는데 있다. 따라서 그 생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비량을 증가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긴요하며 경영규모도 과대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경사의 방향도 생산성과 관계가 있으니 동향이나 남향경사면이 좋고 북향은 불량하다. 경사도는 20도까지 또 표고는 300m까지는 차이가 없는 것 같다. 3) 표토의 깊이는 60cm 이상의 곳을 택하도록 할 것이다. 4) 상품종으로서는 노상은 불량하고 추우는 비교적 경사지에 적합한 것 같다. 5) 식재주수는 적어도 10a 당 900본 이상을 식재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ctors causing obstructions to the productivity of mulberry field on slope land,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that, in Korea. Thes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Poor fertilization and unreasonable management due to overbalance of mulberry field in scale were proved to be most important factors of them obstructing the growth of mulber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fertilizer and cultivate mulberry fold in reasonable scale for the development of productivity. 2. As the direction of mulberry fold on slope l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ivity, mulberry cultivation of the eastern or southern exposure were suitable, but that of northern not. It seemed to show no difference between the cultivation in 20 degree slope land and in less than that, 300 in above sea level and below that level. 3. A depth of top soil should be more than 60 cm. 4. Rosang in varieties of mulberry tree is not suitable but Chuwoo is comparatively suitable in slope land. 5. The number of mulberry trees in planting must be more than 900 trees per 10 ares.

      • 각종조건(各種條件)과 상수(桑樹)의 단위조장당엽량(單位條長當葉量)과의 관계(關係)

        김문협 ( M. H. Kim ),유근섭 ( K. S. Yoo ) 한국잠사학회 1966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6 No.-

        각종 조건이 상수의 조장 1,000m당 엽량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1. 품종과의 관계 각 계통별 평균치에서는 106~109kg로 거의 차가 없으며 엽량의 계층별 분포상황은 Morus bombycis koidz. 계통이 가장 그 폭이 좁아서 60~160kg의 범위내에 있고 Morus Lhou(Ser.) koidz. 계통은 50~170kg, Morus alba L. 계통은 50~180kg의 범위내에 있다. 그러나 전품종의 79%는 80~140kg의 범위내에 있고 특히 Morus Lhou(Ser.) koidz. 계통은 그 85%가 이 범위내에 있다. 그리고 각 계통마다 1~2개의 Peak가 있으니 즉 Morus bombycis koidz.는 80~90kg와 120~140kg의 계층에 가장 많이 분포해 있고, Morus alba L. 계통은 90~100kg, Morus Lhou(Ser.) koidz. 계통은 100~110kg의 계층에 가장 많이 분포해 있다. 2. 정지법과의 관계 근예정지의 85kg에 대해서 다한식정지는 149kg로 근예정지에 비해서 75%가 더 많다. 3. 지조의 벌채정도와의 관계 무벌채구의 140kg에 대해 조장의 1/3벌채구는 166kg, 1/2벌채구는 188kg로 무벌채구에 비해 각각 19%와 34%가 많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엽량의 증가는 주로 신소엽량중의 신소량의 증가에 기인하였다. 4. 지조의 세태와의 관계 동일 주내에 있어서 세조는 66kg, 중조는 80kg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고, 태조는 150kg로 중조에 비해 88%나 더 많았다. 또 조경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조경 10cm당 엽량에 있어서 세조는 811g, 중조는 875g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고, 태조는 1,461g로 중조에 비해 67%나 더 많았다. 그리고 전지조의 평균은 1,201g이었다. Various relationships with the leaf yield per 1,000m in the length of mulberry branch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ings. 1. Relationship with the mulberry varietie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of the leaf yield among the mulberry varieties, being 106∼109kg in an average and the distributions of the leaf yield were of 60∼160kg class for Morus bombycis Koidz, 50-17kg class for Morus Lhou(Ser.) Koidz and 50∼180kg class for Morus alba L. Otherwise, 79 per cent of all varieties was between 80∼140kg class to which 85 per cent of only Morus Lhou(Ser.) Koidz belonged. There was one or two peaks for each strains, for example, the peak at 80∼90kg class and at 120∼140kg class in Morus bombycis Koidz showed the best yield, the peak at 90∼100kg class in Morus alba L. and 100∼110kg class in Morus Lhou(Ser.) Koidz. 2. Relationship with the pruning. The multi-stemed pruning showed 149kg mulberry leaf yield which was more 75 per cent increase than the low-stemed pruning, 85kg. 3.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cutting off. The leaf yield var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utting off the branch, such as, 166kg in 1/3 cutting off the branch and 180kg in 1/2which were more 19 per cent and 34 per cent increase of 140kg in non-cutting off the branch, respectively. The main cause of the leaf increase was thought because of the increase of young branch. 4. Relationship with the branch diameter. In the relation to the leaf yield per 1,000m in branch length, there was no significance comparing 66kg for thin branch with 80kg for medium one and the thick branch had 150kg leaf yield and increased 88 per cent when compared with the medium one. In the relation to the leaf yield per l0cm in diameter, 811g leaves for thin branch and 875g for medium one were produc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them. Thick branch had 1,461g, and increased 67 per cent when compared with medium one and the average yield was 1,201g for total bran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