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화기 ; 만성 간질환에서 펜넬의®무작위, 이중맹검, 다기관 제4상 임상시험

        김형준 ( Hyung Joon Kim ),이준성 ( June Sung Lee ),이현웅 ( Hyun Woong Lee ),김문영 ( Mun Young Kim ),남순우 ( Soon Woo Nam ),손주현 ( Ju Hyun Sohn ),조세현 ( Se Hyun Cho ),윤승규 ( Seung Gyu Yoon ),양진모 ( Jin Mo Yang ),박충기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2

        목적: 펜넬(Pennel(R))은 DDB에 마늘유(garlic oil)를 복합시킨 제제로 혈청 트랜스아미나제(AST와/또는 ALT)가 상승된 만성 간 질환자에서 펜넬의 치료 효과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활성대조약인 레가론, 위약군과 비교 평가한 다 기관 제 4상 임상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총 11개 병원, 237명의 피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중 시험약군은 100명, 활성대조군은 102명, 위약군은 35명이었다. 12주간의 치료기간 동안 순응도는 좋았으며 중도 탈락은 없었다. 환자의 연령은 평균 46세, 남성의 비율이 높았다. 치료 전 ALT 값은 91 U/L였으며 66%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15%가 알코올성 간염, 12%가 만성 C형간염 그리고 7%가 만성 B형간염 환자였다. 결과: 약물 투약 12주째 ALT 정상화 분율은 시험약군이 89명으로 89%, 활성대조군이 19명으로 18.6%, 위약군이 8명으로 22.9%로 나타났다(p < 0.001). 간염의 원인에 따른 분류에서도 시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ALT 정상화 분율의 비율이 높았다. 치료 전 대비 치료 12주의 ALT는 시험약군에서 평균 85 U/L 감소하였으나 활성대조군은 20 U/L, 위약군은 25 U/L 감소하였다. 항산화 효과 지표인 malondialdehyde(MDA)는 시험약군에서만 1.4 pmol/mg의 호전을 보였다. 하위그룹분석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과,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에서 의미 있게 MDA 수치의 호전을 보였다(p < 0.001). 시험약물의 안전성 평가에서도 이상반응의 발생빈도가 위약군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 이상반응의 대부분은 감기, 피로, 설사 및 소화불량 등 grade 1의 경증이었으며 중대한 이상반응은 없었다. 삶의 질 평가 총점수도 시험약군이 치료 12주에 10점 이상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 < 0.001). 결론: 결론적으로 ALT가 상승한 만성 간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12주간의 펜넬 4상 임상 시험의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에서 펜넬은 원인 질환과 무관하게 치료 4주 만에 급격한 ALT 수치의 정상화를 유도하였으며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치료기간 동안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약제로서 순응도가 뛰어났으며, 치료 후 삶의 질이 의미 있게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Background/Aims: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 combined with garlic oil (pennel) has been used to treat chronic liver disease. A randomized, double-blind, active- a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safety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237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were randomized into three groups; 100 patients were administered pennel, 102 patients Legalon as an active-control and 35 patients placebo for 12 weeks.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rate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normalization. We assessed differences in ALT levels and malondialdehyde (MDA) as an oxidative biomarker between 0 and 12 weeks,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using a chronic liver disease questionnaire (CLDQ) and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Results: Among 237 patients, there were 157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36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and 28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nd C. The incidence of ALT normalization at 12 weeks was 89% for the pennel group, 18.6% for the active-control group, and 22.9% for the placebo-control group (p < 0.001). The difference in serum ALT level between 0 and 12 week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ennel group (p < 0.001) and the level of MDA was decreased in the pennel group, statistically (p < 0.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cidence of adverse events among groups. The penne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ased on the CLDQ (p < 0.001). Conclusions: Pennel can effectively improve the rate of ALT normaliz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with a safety profile in chronic liver disease. (Korean J Med 2014;86:179-189)

      • KCI등재

        임신시기별 임신부의 체중증가율과 신생아 체중과의 연관성

        박혜원 ( Hye Weon Park ),이민영 ( Min Young Lee ),이재라 ( Jea Ra Lee ),한유정 ( You Jung Han ),이시원 ( Si Won Lee ),정진훈 ( Jin Hoon Chung ),안현경 ( Hyun Kyong Ahn ),한정열 ( Jung Yeol Han ),류현미 ( Hyun Mee Ryu ),김문영 ( Mo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10

        목적 임신부의 임신분기별 체중증가율을 조사하여 신생아 체중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일병원에서 임신 10주 이전에 외래에 등록하여 정기적인 산전진찰을 받고, 만삭의 단태아를 출산한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고, 의무기록을 조사한 후향적 연구이다. 임신 전부터 만성적 내과 질환을 앓고 있었던 산모와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된 산모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산모의 나이, 출산력, 임신 전 체질량지수, 출산주수를 보정한 뒤, 출산력에 따라 임신분기별 체중증가율(kg/wk)과 출생체중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2,105명의 산모가 포함되었으며 미산부가 1,266명, 경산부가 839명이었다. 상관 분석에서, 출산력에 관계 없이 미산부와 경산부 모두에서 임신2분기의 체중증가율이 다른 분기들에 비해 신생아 출생체중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결론 산전진찰 시 적절한 체중의 신생아를 출산하기 위하여 산모의 2분기 체중증가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gestational maternal weight gain during each trimester and neonatal birth weight.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Data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of women who received her first antenatal care before 10 weeks` of gestation and delivered term singleton neonates at Cheil General Hospital. Correlation between rate of maternal weight gain at each trimester (kg/wk) and neonatal birth weight was analyzed according to parity after adjustment for maternal ag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total weight gain, an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Results A total of 2,105 pregnant women were included. Of them, 1,266 women were nullipara and 839 women were multipara. In correlation analysis, maternal weight gain at the second trimester was more associated with neonatal birth weight than those of other trimesters, regardless of parity. Conclusion We suggest that obstetricians should be more concerned about maternal weight gain at the second trimester for appropriate neonatal birth w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