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용자의 관점에서 살펴본 작품과 콘텐츠의 개념적 차이

        김무규(Mooky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9

        본 논문의 목적은 콘텐츠와 예술작품의 개념적 차이점을 고찰하면서, 콘텐츠의 개념을 수용자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콘텐츠는 다양한 장르의 미디어 생산물이기는 하지만 한 가지 공통된 특성을 지니는데, 그것은 창작자보다는 수용자를 중시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특성을 영화의 ‘미디어’적 특성이 지니는 이론적 논의를 참고하여 설명하려 하였다. 영화 미디어는 태동 당시에서부터 수용자 중심의 콘텐츠로서 예술작품의 개념과 차이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차이점은 영상 미디어의 특수성을 지적하는 원심성, 알리바이 사실성, 지표성 등의 개념에서 쉽게 발견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들은 영상 미디어 텍스트의 내부독립성 보다는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상호작용은 관객이 특정한 역할을 암시한다. 본 논문은 미디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이러한 상호작용적 관객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히치콕의 영화 〈새〉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영화가 관객을 의식하고 있으며, 그리고 관객의 적극적 활동 없이는 성립될 수 없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ystematic conceptualization of the ‘content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meanings of the work of art and the contents. The ‘contents’ are referred to as various media products, but they are all the audience-oriented work of art. From the beginning of its birth the film medium turned out to be a kind of contents, which is involved in the specific role of audience. It also implies that the film medium could not exist without the interaction of the media text and audienc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film 〈The Birds〉 of Alfred Hitchcock.

      • KCI등재

        영화의 기호학적 분석과 형상론적 이해: 박찬욱의 〈헤어질 결심〉을 중심으로

        김무규(Mooky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2

        영화는 다른 유형의 텍스트와 달리 여러 가지 다양하고 이질적인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여러 가지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그 가운데 본 논문은 기호학적 관점과 형상론적 관점에 대해 알아보고 그 두 방법론을 서로 비교해보고자 한다. 영화이론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20세기 중반부터 의미전달 기능에 치중하여 영화 언어체계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영화 텍스트를 기호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비판이 대두되면서 이후에 다양한 이론적 탐색이 이루어졌다. 형상론적 관점도 그 탐색의 결과이다. 형상론은 영화를 완결된 기호, 또는 의미를 표현하는 미디어로 간주하지 않고, 그 기호의 생성과정과 연관되어 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의미를 담지한 기호가 생성되려면 인지나 의식활동과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영화는 바로 그것을 표현한 결과라고 본다. 본 논문은 두 입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박찬욱 감독의 영화, 〈헤어질 결심〉을 분석해보았다. 〈헤어질 결심〉은 비슷한 내용을 지닌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 〈현기증〉에 비하여 형상론적 분석의 가능성이 더욱 풍부하다. 왜냐하면 서사영화나 장르영화에서 자주 나타나는 소재들을 다루고 있지만, 그 소재를 영상으로 서사화하는 기법이 독특하면서도 또한 영화적인 요소들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film is composed of various heterogeneous elements, so there are various perspectives of interpretation. Among them, this paper attempts to account for both semiotic and figurative perspective. Presupposing that the film is a text transmitting certain meanings, the theorists, including Christian Mets, adopted the semiotics. However, criticism arose that dynamic film text could not be wholly explained in terms of the semiotics. And the theory of figuration is one of the alternatives presented through the criticism. This perspective does not regard film as a sign system, but it is based on the notion that film text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Contrasting these two perspectives, this paper applied such discussions to Park Chan-wook’s film 〈Decision to Leave〉(2022). This film turns out to be more suitable for the figurative analysis than a classical Hollywood film 〈Vertigo〉(1958) which has a similar plot. This is because the mise-en-scène and shot editing are creative an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various cinematic elements, although it deals with motives typical for genre films.

      • KCI등재

        상호텍스트 변형과 상호미디어 변형:만화와 웹툰의 영화화를 중심으로

        김무규(Kim Mooky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 논문은 예술작품과 콘텐츠의 변형에 관한 문제를 다루었다. 변형을 지칭하는 많은 용어들이 있지만, 본 연구는 그것을 상호텍스트적 변형과 상호미디어적 변형의 두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상호텍스트적 변형이란 1차 텍스트에서 서사형식으로 구현된 의미 부분의 변형을 말한다. 문학작품이 주류영화로 차용되는 많은 사례들이 여기에 속한다. 반면에 텍스트에는 의미를 지시하는 부분과 함께 의미의 생성이나 소통을 지원하는 미디어 부분이 있다. 그 부분은 사건과 같은 특징이 있으며 물질성과 같은 실제적인 차원을 말한다. 흥미로운 점은 작품이나 콘텐츠의 텍스트와 미디어는 서로 상호간섭적이기 때문에 하나의 수용은 다른 하나의 인지를 저해한다. 상호텍스트적 변형과는 달리 콘텐츠의 미디어 부분을 변형의 대상으로 하여 다른 미디어에서 그것을 구현하는 경우를 상호미디어적 변형이라고 한다. 상호미디어적 변형을 통해 수용자는 서사의 내용에 몰입하지 않고 그 서사의 성립에 필요한 어떠한 조건과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렇게 구분된 두 가지 유형의 변형에 관한 생각을 만화와 웹툰이 영화화되는 현상들에 적용하여 보았다. 보통의 경우에 영화화된 만화와 웹툰에서 수용자는 1차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것의 내용에 집중한다. 하지만 변형의 결과물에 미디어의 흔적이 남아있는 경우도 있어서, 미디어가 변형되어 형상화된 사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논문은 만화와 웹툰의 미디어를 직접적으로 표현한 영화, 즉 상호미디어적 변형의 영화도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만화나 웹툰을 영화화한 상업영화에서는 상호텍스트적 변형을 통해 서사가 영화에서 유지되며, 그와는 반대로 그것의 미디어가 변형된 영화의 결과에 나타나는 형식은 주로 예술적인 실험을 목표로 한 영화에서 발견된다. This paper addresses the meanings and types of artwork or media contents transformation. Being aware of the various terms and concepts such as OSMU, transmedia storytelling or cross media etc., this study attempts to divide it into two major types: intertextual transformation and intermedial transformation. Intertextual transformation is executed in the dimension of the meaning, i.e. semantic isotopy, so that mainly narrative of source texts are transformed into target text. The literary adaptation of the mainstream film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type of transformation. However, text has also a part of media that supports its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Media make these happen which results in the a single event which is not able to be duplicated in different time and space.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text and media are mutually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us concentration on the one hinders recognition of the other. Unlike the intertextual transformation, the case where the media portion of the content is targeted at the variant and realized it on other media can be called intermedial transformation. Through this unique transformation, the recipients can understand under what conditions and backgrounds the narrative is created and accepted without being immersed in the narrative. In commercial films into which cartoons and webtoons are transformed, narratives are maintained in those films, so that they turn out to be a intertextual transformations. On the contrary, some cases of intermedial transformations which aim at the artistic experiments, demonstrate the mediality of webtoons and cartoons.

      • KCI등재

        선택의 상호작용성과 성찰의 상호미디어성: 〈블랙미러: 밴더스내치〉를 중심으로

        김무규(Mooky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논문의 목적은 2018년부터 넷플릭스에서 상영된 〈블랙 미러: 밴더스내치〉의 형식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다. 이 콘텐츠는 시청자에게 사건 진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각기 다른 결말이 나타나기 때문에 일종의 상호작용적 서사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상호작용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어서 수용자는 선택의 자유를 충분히 누리지 못한다. 또한 여러 결말에서 공통적으로 〈블랙 미러〉 시리즈에 전형적인 테크놀로지 비판의 주제가 나타나는데, 그래서 〈밴더스내치〉를 전통적 서사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중적인 서사의 상황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 가능성과 작가의 서사적 권위는 충돌하게 된다. 그리고 그 충돌로 말미암아 복잡한 형식이 발생하는데, 그것은 비선형적 상호작용성과 선형적 서사 형식 사이의 중간적인 것이며, 혹은 두 가지가 융합된 결과이다. 그리고 그것을 메타렙시스 또는 제4의 벽을 파기하는 형식과 같은 자기반영의 형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수한 형식을 통해 성찰적 상호미디어성, 즉 일종의 융합 형식을 통한 미디어의 자기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설명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Black Mirror: Bandersnatch〉, which has been screened on Netflix since 2018. This film can be considered an interactive narrative because it gives viewers the opportunity to select their own narrative forks which lead to various endings. However, it also limits viewers’ freedom of interactions in many ways, resulting in the pessimistic narrative world of 〈Black Mirror〉 series. In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the conflict between the user’s selectability and the narrator’s authoriality emerges. And this collision gives rise to a complex form in which nonlinear interactive and linear narrative forms blend together. It can be understood as a form of self-reflection, such as forms of the metalepsis and breaking the fourth wall. In this paper, this particular form will be regarded as a sort of reflexive intermediality, i. e. the form for media reflexion.

      • 포스트시네마, 뉴미디어, 디지털 테크놀로지

        김무규(Mookyu Kim) 동의대학교 영화·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1 디스포지티프 Vol.8 No.-

        This paper suggests a theoretically possible way to account for a concept of post-cinema. For the suggestion, we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medium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system theory, and define new medium from its perspective. The medium can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its contingent relation to form. On the ground of this contingency, the transition always occurs from medium to form and visa versa. New medium can be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se transitions are actualized so ceaselessly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media and forms are not determined, because new media cannot be logically defined as media that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but as media that continue to change and maintain the newness in this way. In terms of this theoretical explanation,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allows films to operate as new media. This is because the digital has not so much high viscosity as granularity, and this condition makes the transition between medium and form more dynamic. Film history shows that this dynamic movements from medium to form have taken place, given that the early cinema or the experimental films try to formalize their own media to be observed by the audience. But the digital cinema intensify this movement with the help of the digital technolog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장률의 <경주>에 나타난 풍경 영상의 의미

        김무규(Mookyu Kim)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6

        <경주>에 나타나는 관조적 풍경 영상이 지니는 의미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 가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문제이다. 국외자 때문에 발생하는 문화충돌과 갈등은 우리 사회의 현안적인 문제이며 그만큼 시급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률영화의 미학은 그 주제에 거리를 두어 한가하게 대하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이렇게 모순적인 관계, 즉 사회문화적 주제와 관조적 미학의 관련성은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인물들 사이의 갈등에 치열하게 다루기보다 그것에 시선을 피하며 오히려 배경을 멀리 관찰하여 관조적 풍경을 표현하는 미학의 의미는 무엇인가? 장률의 영화들이 디아스포라라는 용어로 요약될 수 있는 다문화, 이주민, 소외계층에 관한 주제를 다룬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여러 학자들은 장률영화에 나타난 국외자를 환대되어야 할 타자, 집단의식을 균열시키는 로컬, 정체성을 성찰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등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런데 그렇게 함의가 명확하다면 영화는 그것을 돋보이도록 수사적으로 드러내야 할 것인데, 장률의 영화는 오히려 건조하게 나타내고 있다. 그 건조함은 주로 풍경의 롱 쇼트로 표현된다. 힉슨은 영화의 풍경이 관객의 시각적 쾌감을 충족시키는 기능을 행한다고 하였다. 도앤은 영화를 보는 행위 자체가 이미 커다란 화면으로 실제와 같은 크기의 영상을 보려는 욕망과 결부되어있다고 하였다. 주류영화의 풍경은 이러한 설명으로 이해될 법하다. 그러나 <경주>의 풍경은 스펙터클로 축소할 수는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세 가지 정도의 관점으로 설명하였다. 그것을 핵심어로 정리하면, 첫째 거주, 둘째 아우라, 셋째 시각적 상황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경주>에 나타난 풍경 영상을 앞에서 논의된 이론적 개념에 비추어 해석해보았다. 이렇게 풍경 영상의 이론적 논의들과 이를 관점으로 하여 <경주>를 해석해 봄으로써 <경주>에서 문화적 주제가 관조적 영상으로 형상화되는 역설적 상황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roblem of aesthetics in Zhang Lu’s recent film <Gyeongju>. Among other aesthetic characteristics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meanings of the landscape images filmed by long shot, long take and static shot. These images foster a contemplative atmosphere of the film, although <Gyeongju> thematizes the current social and cultural problems such as diaspora and cultural conflict. This paper focuses mainly on the concepts of spectacle, dwelling, aura and pure visual situation. The concept of spectacle, for example, by Higsons suggests an possible explanation about the meaning of landscape image in film, but a closer interpretation of the landscape images in <Gyeongju> demonstrates that these images are not related to the visual pleasure of the audience the spectacle usually conveys. Rather, we can account for the contemplative aesthetic in this film especially in terms of the concepts of dwelling, aura and pure visual situation which can be also understood as the results of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general meaning of the landscape image. The implications of these three perspectives are basic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in common in that the landscape image symbolizes the diasporic position of the protagonist and his will to assimilate into his landscape.

      • KCI등재

        미시의 인상의 다성적 유희

        김무규(Mookyu Kim) 한국영화학회 2012 영화연구 Vol.0 No.52

        This Paper examines a meaning of close-up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concepts of the “microphysiognomy “and “polyphonic play” which are crucial to the film theory of Bela Balazs. The Hungarian Intellectual, Bela Balazs was one of the classical film thinkers who pursuit to construct film theory, whose purpose is to design the model of the ‘visual unconscious’. Among others, Bela Balazs shed light on the function of the camera, which enable the film to incarnate and visualize the subtle emotional oscillation. He also pointed out that function of the close-up as the signification or para-proxemity, i,e, a sort of the effect of identification. In this paper this idea of close-up as autonomous tactic of expression was also exemplified by the newest Korean film <Bleak Night>, which is one of the successful independent films in 2011.

      • KCI등재

        말하는 예술의 침묵

        김무규(Mookyu Kim)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본 논문은 예술작품으로 형상화된 침묵의 의미를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작용의 맥락에서 고찰한 결과이다. 이를 위해 언어예술과 음악예술 작품에서 침묵을 형상화한 사례를 살펴보고, 이 작품들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구체시로 알려진 오이겐 곰링어(Eugen Gomringer)의 <침묵>과 존 케이지(John Cage)의 침묵하는 음악인 <4분 33초>를 주로 분석하였다. 이 작품들에서 나타난 침묵은 단순히 예술적 표현의 정지나 감상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중단된 결과로 이해될 수 없다. 침묵은 표현과 소통이 발생하는 배경이나 근본이 되는 환경이 형상화된 결과로 고려되어야 하는데, 작가와 해석자들의 주장에서도 그러한 의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품에 나타난 침묵을 통해 언어와 음악적 표현은 시각적 표현으로 전환되었는데, 이로 인해 시를 읽는 독자나 음악을 감상하는 청중들은 언어와 음악이 발생하는 환경에 대해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었고 , 그것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지와 체험은 말과 소리가 침묵으로 인해 중단되지 않고 오히려 말과 침묵 사이의 차이가 예술적으로 부각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침묵은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작용을 (두 작용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데)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계속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의 작용은 도구의 활용이 아니다. 그것이 형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잠재적 상황에서 비로소 제 기능을 수행하는데, 침묵은 그러한 전환을 유발한다. 커뮤니케이션은 전달이 아니며, 2차 질서로의 변화을 바탕으로 작동한다. 그런데 그러한 변화는 말과 침묵을 구분하는 상황으로부터 발생한다. 그 구분이 관찰되는 경우에만 커뮤니케이션이 실행되기 때문이다.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작용에서 침묵은 드러나지 않지만 특별한 역할을 한다. <침묵>과 <4분 33초>는 전위적인 표현방식을 통하여 일상적인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작용에서 침묵이 그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When a work of art that speaks and makes sound becomes silent, how are we to understand this peculiar case?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the answer to this problem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media and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Eugen Gomringer's concrete poem, <Silence> and John Cage's silent music, <4'33"> were interpreted, and Robert Morris’ <Box with the Sound of Its Own Making> which is a wooden box making the occasional sounds was also reviewed. The unexpected silence (or sound) of these artworks cannot be understood simply as the result of the suspension of expression or as the occurrence of communication interruption with appreciators. Because through the silence, a new way of perception has been introduced. It allows the reader of a poem and the audience of a musical work to be aware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se works of art come into being. This recognition can occur, not because words and sounds were interrupted by silence, but rather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words and silence was artistically highlighted. Intrinsically, silence does not stop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operation of media, but operates to keep it uninterrupted. The operation of media only performs its function in situations where it is converted to form, and silence triggers such a transition. Communication operates on the premise of a transition to secondary order to understand the selection of communicator between word and silence. A communication is executed only when this selection is observed. The artworks mentioned before selected the silence, but these unique attempts demonstrated the whole process and latent meanings of communicative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