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난 극복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명찬(Kim, Myeung Cha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6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7

        이 연구는 가난 극복의 경험을 주제로 하고 있다. 다차원적 측면 가난으로 인해 개인이 경험하는 내외적 갈등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가난의 심리내적, 관계적 측면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기 관찰 및 분석지, 대화, SNS 덧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지속적으로 검토하면서 분석하였고, 주요한 범주를 도출하였다. “수치와 불안으로서의 가난”을 통해서 가난이 드러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그로인한 불일치와 불안 등의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욕망에 대한 자기 처벌적 태도”을 통해서는 가난을 벗어나기 위한 과정에서 욕망에 대해 인정하지 못하고, 주체적인 삶을 사는 것에 대한 혼란을 경험하고 있음을 기술하였다. “가난 치료제: 마음을 알아주는 관계”를 통해서는 가난으로부터의 온전한 회복이 좋은 관계의 충분한 경험에 기인하고 있음을 기술하였다. 이 연구가 가난의 다차원적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의 역동을 이해하고, 치유의 단서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experiences of overcoming poverty. I would like to propose how to deal with intrapsychic and relational aspects of poverty through investigat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conditions experienced by multidimensional poverty. To this end, I collected self-observation and self-analysis memos, dialogues, SNS comments, etc. I continually analysed resources and drew some major categories. “Poverty as shame and anxiety” is related to dissonance and anxiety caused by fear that psychological poverty may become known. “Self-punishment for desire” is related to disapprovals on desires to overcome poverty and disorders to be an agent for their own life. “Poverty cure: empathic relationships” is about to the enough experiences of good relations for pleasing recovery of the povert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dynamics of people suffering from the difficultie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reasoning out some implications of solutions.

      • KCI등재

        나는 왜 서울대학교 박사가 되어야 했나?

        김명찬 ( Myeung Chan Ki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가족과 그 구성원에게 서울대학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였다.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가족들은 자신들의 결핍을 학력(學歷)을 통해 극복하고자하는 동기를 지니고 있고, 적합한 구성원이 있는 경우 가족 내의 모든 자원을 집중시킴으로 가족전체의 목표를 이루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희생자가 생겨나게 되고, 그러한 희생의 기초 위에서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이것은 가족들의 융합이 높고, 자아분화수준이 낮은 위험을 초래함으로써 역기능적 가족관계를 초래할 수 있다. 역기능적 관계의 희생자로서 구성원은 홀로 서기에 어려움을 겪고, 홀로 서기에 성공한 이후에도 내적 결핍과 공허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외적 성취로서 학력(學歷)은 이들의 욕구를 부분적으로 채워주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므로 먼저 생애 초기의 상처로 인한 자기 내면의 초라하고 작은 모습을 직면하고 알아주는 과정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가 학력(學歷)을 통해 가족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고자 하는 가족과 그 구성원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valu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to familie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through the autoethnographic method. Familie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may have motive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through education (學歷). If there is an appropriate candidate for enrollment at SNU within the family, the family can achieve the goal by concentrating all resources on the designated family member. One family member, who is not well-differentiated, may sacrifice for the purpose in that process. The higher the degree of family fusion, the least well-differentiated person, who would often sacrifice in the family,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live one`s own life. It would cause a family to be dysfunctional. Victim of dysfunctional relationships can suffer in the process of becoming independent. Even after successfully achieving independence, they can feel an inner emptiness. Although external fulfillment such as education (學歷) can only partially fulfill their needs, people will still need to come to terms a small and shabby inner-self that was formed in early life through an unhealthy environ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family and its members in the process of elevating the family`s social status through education (學歷).

      • KCI등재

        대학교 학생 상담센터 상담 전문직의 과학자-실무자 모델 역할 수행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명찬(Myeung-chan Kim),박경자(Kyung-Ja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구체적인 실천 내용과 함께 연구와 상담의 긍정적 환류 효과를 밝히고자 했다. 방법 본 연구는 대학교 학생 상담센터 상담자들의 과학자-실무자 모델 수행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에는 8명의 상담자들이 참여했다. 자료는 참여자들과 1:1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심층 면접 기간은 2022년 7월 25일부터 8월 14일까지 수행했다. 연구 참여자 1인당 3회, 평균 50분이 소요되었다.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했다. 결과 142개의 의미 단위가 구성되었다. 이를 연구 참여자 경험의 공통성 차원에서 21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6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범주에서는 ‘과학적 방법론 체득’, ‘인간 과학의 기초’, ‘지식생태계 조성의 과정’이라는 범주가 나타났다. 상담의 범주에서는 ‘기다릴 수 있는 능력의 배양’, ‘내담자에 대한 균형 잡힌 책임성’, ‘증거 기반 상담’이라는 범주가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연구와 상담의 긍정적 환류 효과, 인간 과학의 기초, 지식생태계 조성의 과정, 상담자의 기다릴 수 있는 능력 배양, 내담자에 대한 균형 잡힌 책임성, 증거 기반 상담에 대한 논의를 했고,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제언을 했다. Objectives This phenomenological study investigated role performance based on the scientist-practitioner model for counseling professionals in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s. In this study, we aimed to clarify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research and counseling as well as the detailed practice of the scientist-practitioner model. Methods Eight professional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in-depth interview period was conducted from July 25 to August 14, 2022. It took an average of 50 minutes, 3 times per study participant. Data were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roposed by Colaizzi(1978). Results Results 142 semantic units were constructed. From this, 21 sub-components and 6 components were derived from the commonality dimension of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The research categories of ‘Learning Scientific Methodology’, ‘Fundamentals of Human Science’, and ‘Process of Creating a Knowledge Ecosystem’, and the counseling categories of ‘Culturing the ability to wait’, ‘Balanced responsibilities for counselees’, and ‘Counseling based on evidenc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research and counseling, the fundamentals of human science, the process of creating a knowledge ecosystem, culturing the ability to wait, balanced responsibilities for counselees, and counseling based on evidence are discussed. Conclusions Specific recommendations are provided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cientist-practitioner model in the counseling curriculum.

      • KCI등재

        “상처 입은 아버지와 아들”의 회복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명찬 ( Myeung Chan Ki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부자 관계의 갈등과 회복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아버지에 대한 미움의 형성과 갈등의 증폭, 그리고 이해의 계기 등을 기술함으로써 부자관계에서의 회복에 대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기 관찰 및 분석지, 대화, 사진, 문자 메시지, 강의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지속적으로 검토하면서 분석하였고, 주요 범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을 통해 갈등과 회복의 과정을 기술하였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아버지”를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아버지에 대한 미움이 실은 아버지를 닮은 ‘나’의 작고 초라함에 대한 미움 또는 두려움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결국 작고 초라한 ‘나’와 ‘아버지’의 모습을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신과 아버지, 그리고 부자관계가 회복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다. 아버지를 미워했던 이유는 나를 아프게 했던 아버지의 모습이 내 자신에게도 내면화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연구가 부자간의 갈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의 역동을 이해하고, 해결의 단서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onflict and recove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father and son relationship through formation of hatred, amplification of conflict, and chance of understanding. To this end, I collected selfobservation and self-analysis memos, dialogues, photos, text messages, lectures, etc. I continually analysed resources and drew some major categories. I described the process of the conflict and recovery through interpretation for the outcomes of analysis. After getting to know “my father’s best was just that,” I found that the hatred came from the fear of identifying my father’s features that I have, but I didn’t want to. Eventually, I experienced the recovery of myself, my father, and our relationship by accepting the tiny and poor ‘me’ and ‘father.’ In fact, my father’s traits that hurt me was internalized, and that was why I hated him.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people suffering from the difficulties of father and son relationship, and reasoning out some implications of solutions.

      • KCI등재

        관계적 질병으로서 수치심의 이해와 치료

        김명찬(Kim, Myeung Cha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6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6

        본 연구는 관계적 질병으로서 수치심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치료를 위한 조건과 전략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수치심은 한 인간이 태어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심리적 환경이 결핍되어 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여기서 말하는 심리적 환경이란 한 개인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관심과 애정, 위로와 격려 등을 의미한다. 갓 태어난 인간 아기의 뇌는 아직 성숙하지 못하였고 그 결과 자신의 신체, 정서, 인지를 충분히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신체, 정서, 인지가 충분히 발달하여 스스로 자신을 조절할 수 있을 때까지 주양육자의 돌봄을 통한 대리적 조절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리적 조절 경험을 거치고 난 후에 비로소 인간은 자기 스스로 신체와 감정, 인지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자기심리학에서는 이러한 대상을 ‘자기대상’으로 부른다. 관계적 맥락에서의 수치심은 ‘충분히 좋은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자기대상의 문제에서 시작된다. 아기의 정서와 욕구를 잘 조절하지 못하는 양육자와의 관계에서 자기는 분열되고 파편화되며 그 결과 자신의 모습이 작고 초라하며 쓸모없다고 느끼게 된다. 결과적으로 자기 자신의 모습이 부끄럽고 수치스러워 숨게 되는데 이를 ‘질병으로서 수치심’이라고 할 수 있다. 질병으로서 수치심의 치료는 ‘충분히 좋은 돌봄’을 제공하는 상담자와의 만남을 통해 이루어진다. 자기 자신의 초라함과 부족함을 안아주고 애도해 주는 대상과의 관계를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온전한 느낌을 회복하게 될 때 수치심의 질병으로부터 치료됨을 경험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trying to define shame as a relational disorder and probe the conditions and strategies to cure it. Shame is something that appears when a human being is born and raised in an environment that lacks of essential psychologic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refer to interest, affection, consolation, encouragement, etc., that an individual needs to grow. The brain of a newborn human baby does not mature enough, and thus they are unable to sufficiently control their bodies, emotions, and cognitions. Therefore, they experience control vicariously through their main nourishers until their bodies, affection, and cognition fully develops and they are able to control themselves. Only after these vicarious experiences can human be able to have full control over themselves and their bodies, emotions, cognition, etc. In self psychology, this is called self-object. Shame in a relational context starts with the problem of a self-object having to provide “sufficient good care.” In a relationship where the nourisher fails to take control over the baby"s affection and desires, self becomes fragmented and as a result the individual feels as if he or she is useless and pathetic. Consequentially, they hide because they feel ashamed of their own self and this can be called shame as a disorder. Curing shame as a disorder occurs by meeting a counselor that provides “sufficient good care.” People experience the cure of their shame as a disorder by feeling more complete by creating relationships with someone who endorses and consoles their imperfections.

      • KCI등재

        60세 여성의 자기실현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김미진 ( Kim Mi-jin ),김명찬 ( Kim Myeung-cha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60세 여성이 자기실현을 하는 경험에 대해 다루고 있다. 가부장적 사회는 성역할과 나이에 대한 차별이 만연하다. 본 저자는 이러한 사회에서 중년기 여성이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화자료, 일기자료, 회상자료, 면담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연구 문제에 따라 ‘여성으로서, 중년으로서의 어려움’, ‘지지받는 환경 속에서 학업을 지속함’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여성이기 때문에 자기실현의 기회가 좌절되고, 욕구를 인정받지 못했지만 그 욕구를 알아차리면서 가족들의 지지를 받고 학업을 하게 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나는 그 과정에서 학업을 통해 즐거움을 얻고 내 삶에 집중하며 살아가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 연구가 중년기를 보내고 있는 여성에게 공감을 일으키며 의미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experience of self-actualization of a 60-year-old wo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oosing a life as a counseling expert in order to live a subjective and independent life in a patriarchal society where discrimination on gender roles and age is unconsciously permeated. In this study, conversation data, diary data, recall data,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it was derived as difficulties as a woman and as a middle-aged' and' continues to study in a supported environment. In addition, since she was a woman, she was frustrated with her chances of self-realization and her desires were not acknowledged, but it showed the process of learning with the support of her family while recognizing her desires. In the process, I had the experience of getting pleasure from my studies and focusing on my lif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raise empathy for middle-aged women and become meaningful data.

      • KCI등재후보

        가족해체 위기를 겪은 다문화아동의 집단상담경험에 대한 상담자의 자문화기술지

        김미라(Kim Mi Ra),김명찬(Kim Myeung Chan)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해체 위기를 경험한 상담자가 다문화아동의 집단 상담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해 탐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다문화아동 집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감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현장일지, 기억자료, 통화 녹취록, 자기성찰일지, 대화 등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비교, 분석 및 개념을 정리하여 개념과 하위범주,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공유된 정서적 경험’, ‘치료적 관계에서의 자기성찰’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된 정서적 경험’을 통해 가족해체 위기를 경험한 다문화 상담자는 다문화아동의 상담과정에서 경험되는 어려움을 통해 상담자로서 투사된 다양한 감정들에 대해 직면할 수 있었다. 둘째, ‘치료적 관계에서의 자기성찰’을 통해 상담자의 자기 성찰을 통한 수용을 통해 다문화아동과의 치료적 관계를 회복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가족해체 위기를 경험한 다문화아동의 집단상담에서 경험한 상담자의 역전이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상담현장에서 상담자의 자기수용과 치료적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에게 활용될 수 있는 학문적 의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counselors who experienced family demolition crisis as counselors in multicultural children s group counseling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s used the research method of culture and technology journal in order to deeply explore the feelings of difficulties experienced in multicultural children group counseling, and used data on field journals, memoirs, transcripts of conversations, Respectively. The concepts,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were derived by comparing the collected data, analyzing and conceptualizing them. Through this process, we derive the categories of ‘Shared emotional experience’ and ‘Self-examination in therapeutic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counselor who experienced the crisis of family disintegration through ‘Shared emotional experience’ was able to confront various emotions projected as a counselor through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multicultural child counseling process. Second, through the self - reflection of multicultural counselors through the ‘Self-examination in therapeutic relationships’, it was possible to recover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multicultural children. The study shows that counselors who have experienced a family breakdown crisis have difficulties in self-reception and in developing their clinical relationships by exploring their experiences with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s leaders of multicultural groups.

      • KCI등재

        소방공무원 자녀의 외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현정 ( Kim¸ Hyeon-jeong ),김명찬 ( Kim¸ Myeung-cha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소방공무원의 자녀들이 경험한 것과 이후 지속된 삶이 가지는 의미를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방공무원 자녀의 외상 경험에 대해 삶의 시간성을 고려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소방공무원 자녀로 살아가고 있는 3명과의 심층면담자료를 최종연구 텍스트로 활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 자녀의 외상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 자녀의 외상 경험에 대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자녀의 외상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며, 가정이라는 공간 안에서 경험하게 되는 소방관 가족의 경험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지 살피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소방관이라는 직업에서 일어나는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탐색함으로써 자녀의 내면에 일어날 수 있는 어려움과 더불어 소방공무원 개인의 외상경험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의 외상경험에 대한 심리 사회적 개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alks about the experiences of children of fire fighters and the meaning of life that continued afterwards through narratives exploration. To this end, the experience of trauma for the children of fire fighters was explor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of life. In-depth interview data with three people living as children of fire fighters were used as final research text, and based on this; the meaning of the trauma experience of the children of fire fighters was deriv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consists of < Big flame that cannot be approached >, < exertion of the mind >, < The burn left to me >and < Feeling warm from the side >.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children's trauma experience in depth through the life story of the children of fire fighter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fighter family's experience in the home space.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on psychosocial intervention of family members as well as individual trauma experiences of fire fighters, as well as the difficulties of exploring personal, relational and social changes in the job of fire fighters. Finally, we includ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성소수자와 직접적인 접촉경험1)이 있는 비성소수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정숙(Kim, Jung-suk),전유림(Jeon, Yoo-rim),김명찬(Kim, Myeung-c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성소수자와 직접접촉 경험이 있는 비성소수자 경험이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 본질적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목적을 위하여 동성애, 양성애, 트랜스젠더의 성소수자와 직접적인 접촉경험이 있었던 비성소수자 12명을 대상으로 대면과 화상, 전화를 활용한 반구조화 면담을 60분~90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참여자의 공통적인 경험인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5개의 상위주제와 22개의 하위주제, 그리고 66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5개의 상위주제는 첫째, ‘직접 접촉 이전경험’은 간접접촉이 있었더라도 성소수자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다. 둘째, ‘성소수자임을 알게 된 경험’은 직접접촉을 통해 성소수자를 수용할 수 있었다. 셋째, ‘성찰의 경험’은 내면 깊숙이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이 있음을 자각하였다. 넷째, ‘이해의 확장경험’은 커밍아웃의 두려움을 이해하면서 다른 영역의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다섯째,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경험’은 차별금지법제정 등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결론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에서 벗어나 한 인간으로 수용해가는 비성소수자 경험과 동시에 성소수자가 커밍아웃을 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이 어떤 것인지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용의 사회로 나아갈 필요성을 제기하고 교육자와 상담자에게 성소수자를 이해하기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non-LGBTQI people who had contact with LGBTQI people. Methods For this purpose, 12 non-LGBTQI people who have contact with LGBT people who are sexually oriented, such as homosexuality and bisexuality, and transgender, who are sexually oriented, were selected. Each participant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using face-to-face, video, or telephone for 60 to 90 minu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 s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is a common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5 super-topics, 22 sub-topics, and 66 semantic units were derived. The 5 super- themes derived were first, ‘experience before direct contact’, even if there was indirect contact, there was a sense of rejection towards LGBTQI people. Second, the ‘experience of knowing that I am a LGBTQI person’ was able to accept a LGBTQI person through direct contact. Third, ‘Experience of Reflection’ recognized that there was a prejudice against LGBTQI people deep inside. Fourth, ‘Experience of Expansion of Understanding’ was interested in social issues in other areas while understanding the fear of coming out. Fifth, ‘Experience for a Better Society’ suggested the need for education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Anti-Discrimination Ac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escaping from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LGBTQI people and accepting them as a human being, as well as exploring a safe environment in which LGBTQI people can come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raise the need to move toward a tolerant society and to use it as an educational material for educators and counselors to understand LGBTQI people.

      • KCI등재

        불안정 애착에 기초한 학업 좌절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성찰적 자기 이해와 극복을 중심으로

        박태화 ( Park Tai-hwa ),김명찬 ( Kim Myeung-cha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연구자의 성장 과정과 성장하면서 경험한 학업 좌절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경험을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불안정 애착은 연구자의 성장 과정에서 당위적인 욕구를 억압하고 자신을 처벌하는 태도를 보이며 욕구를 갖는 자신을 비난하게 된다. 연구자 시선에서 부모가 제공한 환경은 진정한 ‘나’가 실현되지 못하는 환경으로 인식하였지만, 부모에게 연구자는 욕심이 없고 까다롭지 않은 순응적인 딸로 인식하였다. 또한, 공부하면서 학업을 이어갈 현실적인 능력으로의 학력(學力)과 성취하길 바라는 욕심 사이에 불일치가 느껴져 두려움에 매몰되는 ‘초라한 나’와 마주하는 경험이었다. 부모가 바라본 ‘욕심 없던 나’가 될 수밖에 없었던 연구자의 환경이 교육에 대한 결핍으로, 이러한 결핍은 성장에 뒤따르는 무게감을 경험해보지 못해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행동으로 나타났다. 연구자 내면의 ‘초라한 나’는 결과적으로 학업에 적극적일 수 없었던 ‘나약한 나’와 마주하는 과정이자 학업이 주는 의미를 찾는 과정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학업 좌절을 경험한 뒤 재도전하면서 두려움에 압도되는 이들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치유 과정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unstable attachment and the academic frustration experienced during cooperative curriculum growth. Unstable attachments result in an attitude of repressive self-punishment and despising self-desire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er's growth. It was also the experience of facing the 'shabby me' buried in fear because of the inconsistency between his academic ability and desire to realize his potential to continue their studies. The researcher's environment, which could not have been the 'greedy' I looked at by the parents, was a lack of education and this deficiency appeared to be a fearful and evasive act because I could not experience the weight following growth. The researcher's inner "shabby me" will be a process of facing the 'weak me' that could not be active in the study, and the process of finding the meaning of th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to deeply understand those who are overwhelmed with fear in rehabilitating after experiencing achievement frustration for various reasons and to provide the heal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