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선 아우라지 출토 원삼국시대 옹관묘에서 확인된 사람 머리뼈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보고

        김명주(Myeung Ju Kim),김이석(Yi-Suk Kim),오창석(Chang Seok Oh),이상준(Sang Jun Lee),복기대(Gi Dae Bok),이양수(Yang Su Yi),윤석인(Suk In Youn),이나리(Na Li Lee),신동훈(Dong Hoon Shi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4

        우리나라의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는 철 생산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도작이 발전하고 농업생산량 증가로 인한 부의 축적으로 고대국가로 발돋움하게 되는 단계이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묘제양식이 고고학적 발굴로 확인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옹관묘는 오랜 세월 동안 한반도에서 살아가던 사람들이 매장용으로 채택한 묘제양식 중 하나이다. 고고학계에서는 옹관묘가 성인이 묻히기 어려울 정도 크기의 소형으로 발견되는 경우에는 성인뼈를 재 매장하거나 유소아의 매장용으로 판단하여 왔는데, 본 연구는 소형옹관묘에서 발굴된 성인의 사람뼈를 인류학적으로 조사하여 옛 한국사람의 매장 방식의 특이점을 공식적으로 보고한 첫 번째 사례일 것이다. 강원도 정선군 아우리지 유적에서 확인된 원삼국시대 옹관묘에서는 사람 1개체 분의 뼈와 치아가 확인되었는데 치아로 추정한 피장자의 사망 시 연령은 35~40세에 달하였으며, 머리뼈 이외의 다른 부위의 뼈는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일본의 소형옹관묘에 매장된 성인 머리뼈가 공동체간 전쟁에서 희생된 사람의 머리가 따라 매장된 것으로 해석되는 것처럼 아우라지 소형옹관에서 발견된 사람 머리뼈의 경우도 전사의 머리뼈로 해석될 수 있는 여지는 있지만 일본과는 달리 무기에 의한 상처 및 손상으로 보이는 것을 발견할 수 없고 목뼈가 발견되지 않아 전사자 매장용의 소형옹관이 한반도에 존재했던 것으로 결론 내리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만 어떤 이유에서던지 성인 머리뼈가 이차장의 대상이 되어 소형옹관에 매납되어 매장하는 풍습이 고대시기 한반도의 일정 지역에서 유행하고 있었던 것은 부정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이며 향후 이와 유사한 사례가 전쟁의 흔적과 함께 추가로 확인될 경우, 우리의 소형옹관묘 내 인골에 대한 인류학적 보고 역시 적극적인 재해석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crease in agricultural production or steel manufacturing during Proto-Three Kingdoms Period (原三國時代) enabled ancient people to establish well-organized ancient kingdoms in Korean peninsula. A pottery in which human skeletons were buried, the urn coffin,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frequently used burial system in ancient Korean society. Among them, the small-sized urn coffin was thought to be used for reburial of adult skeleton or burial for infants and children. In this report, we showed that the human adult bones were buried in a very unique pattern. Based on anthropological study, the dead person buried in the urn coffin died in his/her 30s; and every bone fragment belonged to human skull without exception. The dead person might be a warrior killed in action because there have been reports on exclusive burial of skull in a small-sized, ancient urn coffin in Japan, that was commonly interpreted as the burial of ancient warrior’ heads decapitated during ancient battle, and were reburied in the burial ground. Nevertheless, considering that the cervical bones were not found along with the skull bone fragments, the tell tale sign of decapitation, more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hypothesis. However, even so, it could not be easily denied that very unique funeral customs: burial of human adult skull in a small-sized urn coffin, prevailed in the ancient Korean societies in certain regions.

      • KCI등재

        한국 고인골에 남은 질병의 흔적

        김명주(Kim, Myeung-Ju),김이석(Kim, Yi-Suk),이성준(Lee, Sung-Joon)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4

        현재까지 많은 발굴조사가 실시되었으나, 시대별 또는 지역별로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과거의 인체 정보는 미미하다. 이것은 연구 가능한 상태의 인골이 잔존하기 어려운 한국의 매장환경에 기인한 결과이겠지만, 고인골에 대한 의학적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지 못했다는 점도 방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고학과 의학의 융합연구는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대중적으로도 큰 주목을 받았다. 6세기 전후 사망한 창녕 송현동 15호분 출토 순장 인골, 7세기 전반에 사망한 익산 쌍릉 출토 인골, 16세기 후반 사망한 안동 가곡리 회곽묘 출토 미라, 17세기 중반 사망한 문경 진성이낭 묘 출토 미라 등이 좋은 사례이다. 그리고 다공성뼈과다증, 치아의 사기질저하증, 광범위특발성뼈과다증, 죽상동맥경화증, 복달렉탈장 등의 질병이 보고되었다. 과거의 사람과 삶을 복원하는 연구가 더욱 진전되기 위해서는 고고학과 의학 분야가 긴밀히 협업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앞으로 이와 같은 노력은 식생활, 질병(팬데믹), 이주 등 고대사회가 변동했던 역동적인 요인들을 규명하는 데 토대가 될 것이다. Although many excavations have been carried out, there is very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human body in the past that can be used meaningfully. This is due to the burial environment in Korea, where it is difficult for human bones to remain in a researchable state, and it also proves that medical research on excavated human bones is insufficient. Nevertheless, the convergence researches of archeology and medicine showed various possibilities and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the public. Good examples are the human bones excavated from tomb no.5 of Songhyeon-dong in Changnyeong, who died around the 6th century, the human bones from Twin Tombs in Iksan, who died in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the mummy from gagok-ri in Andong, who died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the mummy from Jinseong Yi’s tomb in Mungyeong, who died in the mid-17th century. And diseases such as porotic hyperostosis, enamel hypoplasia of tooth,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and atherosclerosis were reported. In order to further advance the study of restoring people and lives in the past, a system in which archaeology and medicine can closely collaborate should be established. Such efforts will serve as a basis for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change ancient societies such as diet, disease (pandemic), and migration.

      • KCI등재

        Effect of Dexamethasone in the Development of O1 or O4 Immunoreactive Oligodendrocyte of the Neonatal Rat

        Myeung Ju Kim(김명주),In-young Choi(최인영),Ki Sup Park(박기섭),Dhiraj Maskey,Young Pyo Chang(장영표),Young Bok Yoo(유영복) 대한체질인류학회 200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2 No.4

        미숙아 또는 저체중아에서 발생하는 인지장해나 뇌성마비의 원인질환으로 여겨지는 백색질 질병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묘체나 태아에서 저산소성-허혈성 손상이나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도되는 기전에 대한 연구들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은 인지장애나 행동 장애 등을 포함해 신경정신학적 문제들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출생전후기에 덱사메타손의 투여는 발달하는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들의 죽음과 손상을 유발해 말이집형성을 방해하게 될 것으로 가정하고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태생 1일째부터 3일째까지 신생 흰쥐에 덱사메타손을 투여하여 면역형광염색 방법으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발달단계에 따른 표지자들인 O4, O1의 항체를 이용해 염색하였다. 이 염색을 통해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들의 수적, 형태적 변화들을 관찰하였고, TUNEL 분석법을 이용해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들의 세포사멸을 살펴보았다. O1 면역반응성 세포들의 상대적인 수는 O4에 비해 적었으며, 대조군의 O4에 염색된 세포들은 많은 가지돌기를 가진 뭇극성으로 DEXA 실험군에 비해 현저한 면역염색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O1 면역반응성 세포들은 P3에서 짧은 가지돌기를 가진 뭇극성으로 관찰되었다. 전체 O4 면역반응성 세포에서 세포사가 발생한 상대적 비율은 대조군에서 3%, 덱사메타손의 투여군에서 13.5%였다. 그리고 전체 O1 면역반응성 세포에서 세포사가 발생한 상대적 비율은 대조군에서 8.7%, 덱사메타손의 투여군에서 23.0%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덱사메타손의 투여에 따른 O1 혹은 O4 면역염색성을 나타내는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세포사멸은 희소돌기아교세포 수의 감소를 초래할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연구에서 발달단계에 따른 말이집을 형성하는 희소돌기아교세포의 감소가 백색질 질병의 병리기전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관한 조사가 백색질 질병의 병리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White matter disease (WMD) study, which underlies the subsequent progress of cerebral palsy as well as cognitive impairment of premature and/or low birth weight infants, has been focused either on the hypoxia-ischemia damage or cytokine-induced brain damage related with maternal or fetal inflammation. Also, dexamethasone (DEXA) may increase the risk of neuropsychological problem including adverse cognitive and behavioral outcome in preterm infants. Thus, we hypothesized that perinatal DEXA would damage and trigger the death of developing oligodendrocytes (OL) progenitors, and subsequently disturb myelination. In this study, DEXA was administered to neonatal rats for 3 consecutive days subcutaneously between postnatal day 1 (P1) and P3. By using immunofluorescent staining of stage specific OL progenitor markers such as O4 and O1,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OL progenitors were examined and the apoptosis of OL progenitors were visualized by TUNEL staining. Results depicted that relative number of O1 immunoreactive (IR) cells were less to that of O4 IR cells. Multipolar O1 IR cells with short dendritic processes were observed in both control and DEXA group at P3. In the total O1 immunoreactive cells, the relative percentages of apoptosis cells were calculated at P3 as 8.7% in control, 23.0% in DEXA group. The relative percentages of apoptosis in the total O4 immunoreactive cells were measured at P3 as 3.0% in control and 13.5% in DEXA group. OL progenitors' apoptosis may contribute to the overall reduction of immature OLs in cerebral white matter. Therefore, specific stages of OL maturation could clinically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susceptibility to DEXA. To elucidate the disease mechanism of the white matter disease, further investigation may be needed whether OL progenitors' decrease by the DEXA administration affects to the myelin formation as developmental stages.

      • KCI등재

        Evidence of Periostitis in Joseon Dynasty Skeletons

        Yi-Suk Kim(김이석),Deog Kyeom Kim(김덕겸),Chang Seok Oh(오창석),Myeung Ju Kim(김명주),Hye-Ri Kim(김혜리),Dong Hoon Shin(신동훈) 대한체질인류학회 201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6 No.2

        뼈막염은 고고학 유골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질병 중의 하나이며, 유골의 생전 건강상태를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생물학적 지표이다. 조선시대 뼈모음을 조사한 결과, 총 101명의 뼈대 중 5명의 뼈대(#4, #29, #137, #175, #290)에서 기저질환이나 손상을 보지 못하는 일차뼈막염이 발견되었다. 한편, 매독에 속발된 뼈막염을 관찰할 수 없었는데 향후 뼈모음의 수가 늘어난다면 이 부분에 대한 중요한 고병리학적 발견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상으로 조선시대 고인골에서 발견된 뼈막염을 처음으로 보고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다양한 고병리학적 소견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Periostitis is one of the human diseases commonly encountered in archaeological samples. It is known to be an important health indicator for paleopathologists examining skeletal remains. In our recent study on a Joseon skeletal series (n=101), non-specific, primary periostitis was observed only in five individuals (#4, #29, #137, #175, and #290). Notably, there were no secondary periostitis-suggestive signs (e.g. syphilis), except for those caused by fractures (#33 and #41). As this is the inaugural Korean-skeletal-series report on periostitis, the results presented in these pages should prove significant to interested paleopathologists.

      • KCI등재

        선진 외국의 동물대체시험법 개발현황과 전망

        이진구 ( Jin-koo Lee ),이은호 ( Eun-ho Lee ),김명주 ( Myeung-ju Kim ),김주환 ( Ju-hwan Kim ),민영실 ( Young-sil Min ),김형건 ( Hyung-gun Kim ),김학림 ( Hak Rim Kim ) 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 2016 동물실험대체법학회지 Vol.10 No.1

        The recognition of welfare for experimental animal based on 3Rs principles has been spreading throughout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herefore, on the demand of alternatives to animal experiments have been continually increased, especially in advanced countries. Recently, EU prohibited animal uses for developing cosmetic products at any level and some other countries applied already or are trying to setting the similar level of limitation of animal uses for cosmetic industries. According to the global trends, the marketing ban for animal used cosmetics will be applied soon in Korea. In this study, we summarize the polices, regulations, research developments, and validation processes of the animal alternatives methods of foreign countries and use those as a basal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alternatives regulation and developments. This research project was mainly focused to summarize and analyze related topics including, 1) Investigation of current policies of alternatives in EU, Japan, and USA etc. 2) Investigation of current regulatory trends of alternatives in foreign countries. 3) Investigation of current research trends of alternatives in foreign countries 4) Investigation of current validation processes of alternatives in foreign countries. Investigating the latest data on the status of animal alternatives methods and based on those, someone could use our study for setting the important research theme, roadmap for long-term development strategy of animal alternatives. However, due to the dynamic update trends in the alternative methods in many countries, the newly updated documents could be released at any time.

      • KCI등재

        조선시대 유자광 묘 여부 논란이 있는 남원 영광 류씨 선산 내 회곽묘 출토 인골에 대한 인류학적 조사

        김이석(Yi-Suk Kim),오창석(Chang Seok Oh),이상섭(Sang-Seob Lee),김명주(Myeung Ju Kim),이숭덕(Soong Deok Lee),신명호(Myung Ho Shin),김우림(Woo Lim Kim),신동훈(Dong Hoon Shi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4 No.2

        조선시대의 기록에 의하면 유자광(1439~1512)은 사망 후 부관참시를 염려하여 자신의 묘에 봉분을 하지 않고 감추어 두도록 유언을 하였다고 한다. 이 후 유자광의 묘는 실전(失傳) 되어 해당 기록처럼 문중 묘역 내 어딘가에 유자광의 묘가 실재할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었다. 1974년 남원의 영광 류씨 문중 묘역 공사 중 발견된 무덤에서는 잘 보존된 사람 뼈가 발견되었는데 해당 무덤이 실전 된 유자광의 평토한 무덤일지도 모른다는 주장이 향토사학계를 중심으로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진은 유자광 인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묘에 수습된 인골에 대한 인류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무덤에서 나온 남성 피장자는 신장이 160.5±3.8 cm로 추정되며 아래턱 왼쪽 송곳니의 박리 절편을 제작하여 피장자 연령을 계산한 결과 58.6±5.2세 정도로 추정되었다. 아래턱 두 개 치아에서는 고도의 치아우식증(dental caries)이 확인되었고 아래턱 이틀뼈 일부에서 치주농양의 존재를 시사하는 고도의 골 소실이 관찰되었다. 피장자는 척추를 비롯한 여러 뼈에서 사망 전 미만성 특발성 골격성 과골화증(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DISH)를 앓고 있었던 것 같은 소견이 확인되었으므로 생전 영양상태가 좋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피장자에 대한 유전학적 검사에서는 증폭가능한 핵 DNA가 Quantifiler analysis 결과 확인되지 않아 피장자가 영광 류씨 집안의 사람인지 Y 염색체 분석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방사선연대측정의 결과, 피장자는 지금으로부터 730±50년 전에 생존하였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체적으로 보아 수집된 몇 가지 자료가 유자광에 대한 역사적 기록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해당 인골 신원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기 어렵다. 다만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시행될 역사적 인물에 대한 유사한 인류학적 사례에 대한 기초적인 선구적 자료로서 본 연구가 갖는 의미를 평가할 수 있겠다. Anthropological study on human skeletons from Joseon tomb, for confirming Ryu Ja-Gwang, a famous historical figure of medieval Korea. Ryu Ja-Gwang (??子光) was the famous figure of Joseon Dynasty who achieved great successes in royal court. According to the records in Joseon Dynasty, he tried to hide his own tomb after death under the apprehension that the political enemies might do harm to his corpse. In 1974, the descendants of Younggwang Ryu clan discovered a Joseon tomb that was lost for the past several hundred years. Since they suspected if the tomb might be their legendary ancestor’s, anthropological studies were asked to be done on the skeletons collected from the tomb. In our study, the estimated stature of a male from the tomb was 160.5±3.8 cm. The age at death was estimated to be 58.6±5.2. He seems to have been suffered from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DISH), the disease prevalent among the people taking high-caloric diets. Since nuclear DNA could not be amplified in this case, the personal identification of the dead person could not be successfully traced by molecular techniques. Taken together, we could not conclude that the skeletons were those of Ryu Ja-Gwang because the radiocarbon dating, age at death or height data could not be well matched with those described in historical documents. Even so, this study could be significant to the related researchers because it was one of the first trials to identify debatable historical figure using various anthropological techniques. Considering that the anthropological studies on famous historical people have been performed briskly, our study could be the basis for the similar studies in Korea, performed in near future.

      • KCI등재

        고려시대 사람 뼈에 대한 인류학적 분석을 통해 본 해당 시기 뼈대모음의 향후 구축전망

        김이석(Yi-Suk Kim),오창석(Chang Seok Oh),이상준(Sang Jun Lee),김명주(Myeung Ju Kim),최승규(Seung-Gyu Choi),민소리(So-Ri Min),이나리(Na Li Lee),하문식(Mun Sik Ha),복기대(Gi Dae Bok),신동훈(Dong Hoon Shi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3

        고고학 발굴 현장에서 사람 뼈를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하여 뼈대모음을 구축하고 이를 대상으로 체질인류학적 연구를 수행하는 작업은 과거에 살던 사람들의 체질적 특성, 건강상태, 질병 유무 등을 규명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를 얻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다만 우리나라는 현장 토양의 특성이 사람 뼈의 장기간 보존에 불리한 조건이어서 다른 나라에 비하여 좋은 상태의 생물학적 시료가 고고학 발굴 시 수습되는 경우가 극히 드문데 이러한 경향은 조선시대 이전 시기 사람 뼈에 대해서는 그 정도가 더욱 심한 편이다. 고려시대의 경우만 해도 발굴 현장에서 수습된 해당 시기 사람 뼈에 대한 연구 보고가 매우 희귀하여 해당시기에 조영된 여러 가지 다른 형식의 무덤에서 뼈가 보존되는 개괄적인 양상조차 쉽게 파악하기 힘든 형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까지 우리 연구진에 의해 수집, 정리된 고려시대 사람 뼈의 발굴 수습 양상을 고고학적 정보와 함께 정리보고하여 향후 해당 시기 사람 뼈대모음의 구축에 대한 논의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본 연구진에 의하여 수집 정리된 고려시대 사람 뼈는 조선시대 뼈대모음과 비교하면 시료의 수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할 뿐 아니라 그 보존상태도 상대적으로 열악하며 일부에서는 당시 유행하던 화장(火葬)의 결과 인류학적 분석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해체 된 경우도 많아서 향후 고려시대 사람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를 위한 시료의 확보에 대해 많은 난관을 예상하게 하였다. 기존에 보고된 발굴 결과 및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사람 뼈 수습 양상을 함께 참고해 보면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토광묘의 경우 묘제의 특성상 회곽묘와 같이 밀봉된 상태가 아니므로 조선시대와 같은 우수한 뼈대모음의 구축은 어렵겠지만 이로부터 수습되는 사람 뼈가 보존 상태나 수량에 있어 다른 무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할 것으로 추정되므로 향후 해당 시기 사람 뼈대모음의 구축은 토광묘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Skeletal remains collected from the archaeological fields must be maintained carefully, for being used in scientific studies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pathological disease of the ancient or medieval human populations. Even if Joseon Dynasty Human Sample Collection might be a good example for such studies, few of bone collections predated the Joseon Age (e.g. Goryeo Dynasty) have been established until now, possibly owing to poor preservation condition of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In this study, we performed anthropological studies on a few cases of Goryeo skeletons, which have been rarely reported by anthropologists in Korea. Judging from the preservation status of bones found in various types of Goryeo graves (e.g. earthen- or stone-chambered tombs), many cases seem to be cremated in accordance with Buddhist funeral rites. Goryeo bone collections must be constructed with the bones identified in the earthen tombs, which were preserved much perfectly than those of any other types of Goryeo tombs.

      • KCI등재

        조선시대 회곽묘에서 확인된 사람 정강뼈에 나타난 톱 자국에 대한 법의인류학적 고찰

        김이석(Yi-Suk Kim),오창석(Chang Seok Oh),김명주(Myeung Ju Kim),기호철(Ho Chul Ki),홍지윤(Ji Youn Hong),김시덕(Shidouk Kim),신동훈(Dong Hoon Shi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1

        우리 나라 회곽묘는 조선시대 중/후기에 주로 조영되었으며 사회경제적 수준이 양호한 사람들(사대부) 사이에 많이 만들어진 무덤이다. 이러한 형태의 무덤은 두꺼운 회곽에 의해 관이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침입이 매우 어렵다. 회곽묘에서는 피장자가 보존상태가 극히 양호한 상태로 많이 확인되어 조선시대 사람의 건강과 질병상태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한편 최근 용인시 발굴 현장 조선시대 회곽묘에서 수습된 조선시대 사람 인골에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매우 흥미로운 법의인류학적 손상 소견을 확인하게 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사례는 노년층 여성 뼈대로서 신장은 약 150 cm 전후로 추정되었는데 양쪽 정강뼈에 특이한 모습의 톱질흔이 발견되었다. 여기서는 치유흔을 볼 수 없었지만 발굴 시 확인된 대부분의 뼈가 1차매장 당시의 온전한 형태 그대로 남아있었기 때문에 이 톱질흔은 사망 전후하여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만 이러한 톱질흔이 어떤 연유로 피장자의 뼈에 남게 되었는가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으나 현재로서는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다. 이 조사는 조선시대 회곽묘에서 발견된 인골로서는 매우 희귀한 사례로서 향후 유사한 법의인류학적 검토를 필요로 하는 고고학적 사례를 접하게 될 연구자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이를 보고한다. Tomb with lime-soil mixture barrier (LSMB) was constructed by the people from upper class people of Joseon Dynasty. The coffin of LSMB was surrounded by hard concrete barriers, being successfully protected from outside invasions until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begins. The human remains were extremely preserved well,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health and illness of the people of Joseon dynasty. Recent investigation into human skeletons from LSMB in Yong-in city was another forensic anthropological case that was very meaningful to our research. During the examination on the elderly Joseon female bones, we discovered unusual saw-marks on the shaft of both tibiae. We could not find any osteological evidences suggestive of healed bone process. Considering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findings altogether, the occurrence time of saw-marks was considered to be perimortem period. However, as for why such a saw mark was made on the tibiae, we did not get any information about it. We expect that this report facilitate other researcher to do explore the usefulness of forensic anthropology examination on the similar human skeleton cases identified in various archaeological ruins.

      • KCI등재

        생후 7일, 16일된 circling mouse 청각 뇌줄기에서 N-메틸-D 아스파르트산염 수용체(NMDA receptor)에 대한 면역염색학적 분포

        최인영,박기섭,김혜진,디라즈 마스키,김명주,Choi, In-Young,Park, Ki-Sup,Kim, Hye-Jin,Maskey, Dhiraj,Kim, Myeung-Ju 한국현미경학회 2010 Applied microscopy Vol.40 No.2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는 신경연접의 발달에서 신경연접과 정제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포유류 청각뇌줄기의 가쪽위올리브 핵-안쪽마름섬유체핵 신경연접에서의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전달은 글루타메이트와 같은 많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전달을 조절하므로 발생학적 연구에 매우 유용한 모델이다. 귀먹음은 흥분성 회로 또는 억제성 회로의 신경연접에서 신경전달물질들의 변화뿐 아니라 형태학적 변화도 초래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선천적으로 태어나면서 달팽이 기관이 퇴화되는 선회생쥐는 귀먹음의 병태생리를 연구하는데 가장 좋은 동물모델이다. 그러나, 선회생쥐에서 이런 NMDA 수용체 각각의 아형들이 발달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진 사실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천적으로 속귀에 돌연변이를 가진 선회생쥐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생후 7일과 16일의 쥐를 정상쥐와 비교해서 글루타메이트성의 흥분성 신호가 전달되는 청각뇌줄기의 가쪽위올리브핵(LSO)에서 N-메틸-D-아스파르 트산염(NMDA) 수용체의 아형인 NR1, NR2A, NR2B의 분포를 각각 조사하였다. 생후 7일째 선회생쥐의 NR1에 대한 면역반응성의 세기는 정상군에서 $128.67\pm8.87$로 나타났고 이형접합체에서는 $111.06\pm8.04$, 동형접합체에서는 $108.09\pm5.94$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후 16일째 선회생쥐에서는 정상군에서 $43.83\pm10.49$, 이형접합체에서는 $40\pm13.88$, 동형접합체에서는 $55.96\pm17.35$으로 나타났다. 생후 7일째 선회생쥐의 NR2A에 대한 면역반응성의 세기는 정상군에서 $97.97\pm9.71$, 이형접합체에서 $102.87\pm9.30$, 동형접합체에서 $106.85\pm5.79$로 나타났다. 생후 16일 선회생쥐의 가쪽위올리브핵에서의 NR2A에 대한 면역반응성 세기는 정상군에서 $47.4\pm20.6$, 이형접합체에서 $43.9\pm17.5$, 동형접합체에서 $49.2\pm20.1$로 나타났다. 생후 7일의 선회생쥐의 NR2B의 면역반응성 세기는 정상군에서 $109.04\pm6.77$, 이형접합체에서 $106.43\pm10.24$, 동형접합체에서 $105.98\pm4.10$으로 나타났다. 생후 16일째 선회생쥐의 NR2B의 면역반응성의 세기는 정상군에서 $101.47\pm11.50$, 이형접합체에서 $91.47\pm14.81$, 동형접합체에서 $93.93\pm15.71$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생후 7일과 16일의 선회생쥐의 가쪽위올리브핵에서 NMDA 수용체의 면역반응성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인간 귀먹음의 주요한 병태생리를 파악하는 데 기본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Glutamate receptors may play a critical role in the refinement of developing synapses. The lateral superior olivary nucleus (LSO)-medial nucleus of trapezoid body (MNTB) synaptic transmission in the mammalian auditory brain stem mediate many excitatory transmitters such as glutamate, which is a useful model to study excitatory synaptic development. Hearing deficits are often accompanied by changes in the synaptic organization such as excitatory or inhibitory circuits as well as anatomical changes. Owing to this, circling mouse whose cochlea degenerates spontaneously after birth, is an excellent animal model to study deafness pathophysiology.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development regulation of the subunits composing these receptors in circling mouse. Thus, we used immunohistochemical method to compare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 receptor) NR1, NR2A, NR2B distribution in the LSO which project glutamergic excitatory input into the auditory brainstem, in circling mouse of postnatal (p) 7 and 16, which have spontaneous mutation in the inner ear, with wild-type mouse. The relative NMDAR1 immunoreactive density of the LSO in circling mouse p7 was $128.67\pm8.87$ in wild-type, $111.06\pm8.04$ in heterozygote, and $108.09\pm5.94$ in homozygote. The density of p16 circling mouse was $43.83\pm10.49$ in wild-type, $40\pm13.88$ in heterozygote, and $55.96\pm17.35$ in homozygote. The relative NMDAR2A immunoreactive density of LSO in circling mouse p7 was $97.97\pm9.71$ in wild-type, $102.87\pm9.30$ in heterozygote, and $106.85\pm5.79$ in homozygote. The density of LSO in p16 circling was $47.4\pm20.6$ in wild-type, $43.9\pm17.5$ in heterozygote, and $49.2\pm20.1$ in homozygote. The relative NMDAR2B immunoreactive density of LSO in circling mouse p7 was $109.04\pm6.77$ in wild-type, $106.43\pm10.24$ in heterozygote, and $105.98\pm4.10$ in homozygote. the density of LSO in p16 circling mouse was $101.47\pm11.5$ in wild-type, $91.47\pm14.81$ in heterozygote, and $93.93\pm15.71$ in homozygote. These results reveal alteration of NMDAR immunoreactivity in LSO of p7 and p16 circling mous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likely to be relevant to understand the central change underlying human hereditary deafness.

      • KCI등재

        선회생쥐(circling mouse) 청각 뇌줄기에서 Glycine 수용체(α1+α2)에 대한 면역염색학적 분포

        최인영(In-young Choi),정선용(Sun Young Chung),김소연(So Youn Kim),김명주(Myeung Ju Kim)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1

        청각기능이 상실되는 귀먹음(deafness)은 인간에서 가장 흔한 감각결손으로 성인에서 주로 강렬한 소리, 기계적 외상 또는 질병에 의한 달팽이(cochlea)의 손상에 의해 초래된다. 청각 상실시 뇌의 청각로가 변화해 중심 청각로의 신경연접에 구조적인 변화가 생기게 되며, 이런 구조적 변화는 신경연접에서 신경 전달의 세기를 변화시키는데 달팽이가 손상되면 일시적 혹은 지속적인 청각뇌줄기의 glutamate성, glycine성, GABA성의 조절 경로가 변화한다. 이런 흥분성과 억제성의 입력은 주파수별로 구성되어 서로가 완벽하게 조율되어 있다. 포유류의 청각 뇌줄기의 가쪽위올리브핵(LSO)과 안쪽마름섬유체핵(MNTB)은 많은 억제성 투사를 갖고 있는 곳으로 억제성 연접 발달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모델이다. 그러나, 중추신경계통에서 억제성 신경연접에 대해선 연구된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어난 지 16일째의 정상군과 속귀의 이상이 있는 돌연변이 선회생쥐의 청각 뇌줄기(auditory brainstem)에서 glycine성 억제성 투사가 일어나는 신경핵인 LSO와 MNTB에서의 glycine 수용체의 상대적 분포를 면역조직화학 기법을 이용해 처음으로 비교했다. 각 군의 상대적인 LSO 신경핵에서의 면역반응성의 세기는 정상군, 이형접합체군, 그리고 동형접합체군에서 각각 86.4±7.2, 76.7±10.7, 그리고 61.1±4.1이었으며, MNTB에서는 정상군이 97.6±8.7, 이형접합체군이 91.7±8.9, 그리고 동형접 합체군은 74.9±7.8으로 관찰되었다. 이처럼 LSO와 MNTB 모두에서 glycine 수용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이 줄어든 것은 신경연접 이후 억제성 glycine 수용체의 숫자가 줄어드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 사용한 자연발생적 돌연변이 선회생쥐는 청각세포와 나선신경절세포의 손상에 의해 청각신경의 활성도가 붕괴된 것으로 인간에서 발생하는 귀먹음의 병태생리에 관한 중추에서의 기전을 연구하는데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결과는 인간에서 유전적으로 발생한 귀먹음에서 중추에서의 신경연접 변화를 연구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Hearing loss in adults can stem from damage to the cochlea and the cochlear nerves inflicted by intense noise, mechanical trauma, or disease. Hearing loss is associated with degenerative changes in central auditory pathways, and hearing deficits are often accompanied by changes in the synaptic organization of the central auditory pathways. In addition to structural rearrangements, hearing loss may induce changes in the strength of synaptic transmissions. These effects may alter both transient and persistent regulation of transmitter release from glutamatergic, glycinergic, and GABAergic pathways in the auditory brain stem. The converging excitatory and inhibitory inputs are exquisitely organized topographically and are aligned perfectly with each other. The LSO and MNTB in the mammalian auditory brain stem provide and receive many glycinergic inputs. Thus, this auditory system is a useful model to study inhibitory synaptic development.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inhibitory synaps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First, we used immunohistochemistry to compare the glycine receptor (GlyR) distribution in the LSO and MNTB, which project glycinergic inhibitory input into the auditory brainstem, in circling mice (P16), which have a spontaneous mutation in the inner ear, with wild-type mice. The relative immunoreactive density of the LSO was 86.4±7.2 in wild-type, 76.7±10.7 in heterozygous, and 61.1±4.1 in homozygous mice. The relative immunoreactive density of the MNTB was 97.6±8.7 in wild-type, 91.7±8.9 in heterozygous, and 74.9±7.8 in homozygous mice. These results reveal a decreased GlyR immunoreactivity in both the LSO and MNTB, which may be attributable to a postsynaptic decrease in GlyR number. Our model uses congenitally deaf mice, in which both spontaneous and evoked auditory nerve activity are disrupted because of dysfunctional hair cell-spiral ganglion cell transmission. This provides a naturally occurring model that may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central aspects of human congenital deafness in addition to the central consequences of a lack of auditory nerve activity. Our results are likely to be relevant to our understanding of the central changes underlying human hereditary deaf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