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원일기(梅園日記)(1603~1644)』를 통해 본 예안 사족 김광계(金光繼)의 관계망

        김명자 ( Myungja Kim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9 No.-

        이글은 17세기 초반 예안 오천의 광산김씨 金光繼가 20대~60대에 걸쳐 쓴 『梅園日記』를 통해 그의 관계망을 살펴본 것이다. 광산김씨는 혼인, 학문, 경제적 기반의 확대, 의병 활동 등을 통해 향촌에서 명망 있는 사족이 되었다. 이를 물려받은 김광계는 박성·조목 등에게 나아가 학문을 익히고, 류진·류암·박회무 등과의 교유를 통해 상주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정경세의 문인들에게까지 관계망을 넓혔다. 김광계와 그의 아우는 의성 지역의 사족과 혼인하였다. 의성에는 장현광 문인들이 많아서 김광계는 자연스럽게 이들과 교유했다. 김광계는 성주 출신의 鄭逑가 안동 부사로 부임하자, 그의 문하에도 출입하였다. 이를 계기로 성주지역 사족과 교유하게 되었고, 아들이 성주의 광주이씨 이윤우의 딸과 혼인하여 이 지역 사족과의 관계망이 더욱 확고해졌다. 17세기 전반 상주의 정경세와 인동의 장현광이 영남의 대표적인 학자로 성장하게 됨에 따라 이들의 연고지가 영남지역 학문의 중심지로 부상하게 되었다. 김광계는 1636년 ‘여헌학’의 본산인 인동 부지암서당을 방문하여 장현광을 만났다. 이를 통해 김광계의 학문적 관계망은 인동까지 확대되었다. 즉 김광계는 정구·장현광의 문하에 출입하는 가운데 조목의 문인이었던 아버지의 관계망을 뛰어 넘어 상주·성주·인동지역까지 공간적 관계망을 확장했다. 그는 1630~40년대 예안의 대표적인 사족 기구인 도산서원의 원장을 가장 많이 역임했으며, 병자호란 당시 예안 의병을 앞장서서 조직할 만큼 향촌에서 그의 위상은 한층 강고해졌다. This writing examined Kim, Gwang-gye, Gwangsan Kims from Yean Ocheon, through 『MaewonDiary(梅園日記)』 written by him in his 20s to 60s in the opening years of the 17th century. Gwangsan Kims became the learned men of reputation in the country through marriages, study, economic bases, and righteous army activities. Kim, Gwang-gye who inherited this from his ancestor studied by visiting Park, Seong and Cho, Mok and expanded his network to Jeong, Gyeong-se's writers who were active with Sangju as the center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Ryu, Jin, Ryu, Am, and Park, Hoi-mu. Kim, Gwang-gye and his younger brother got married to women of distinguished families in Euiseong. There are many writers of Jang, Hyeon-gwang and Kim, Gwang-gye naturally associated with them. When Jeong, Gu who was from Seongju started for his new post as Andong Busa, Kim, Gwang-gye became his pupil. This led him to associate with learned men of Seongju and his network with them got to be firmer as his son got married to a daughter of Lee, Yun-wu, Gwangju Lees in Seongju. As Jeong, Gyeong-se from Sangju and Jang, Hyeon-gwang from Andong grew as representative scholars of Yeongnam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ir hometown got to emerge as the seat of learning in Yeongnam. Kim, Gwang-gye met Jang, Hyeon-gwang by visiting Indong Bujiamseodang, home to 'Yeonheon Philosophy' in 1636. Kim, Gwang-gye's academic network expanded to Indong through this. In other words, Kim, Gwang-gye expanded his spatial network to Sangju, Seongju, and Indong beyond the network of his father who was the writer of Jomok while he became a pupil of Jeong, Gu and Jang, Hyeongwang. In addition, he most served as the director of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for learned men of Yean in 1630 to 1640 and his status got to be firmer in the country as he took the initiative in organizing a loyal army of Yean in the Manchu war of 1636.

      • KCI등재

        조선후기 병산서원(屛山書院) 원장(院長) 구성의 시기별 양상

        김명자 ( Kim Myungja ) 한국서원학회 2018 한국서원학보 Vol.6 No.-

        이 글에서는 병산서원의 『院任錄』을 통해 16세기말부터 19세기까지의 원장 480명을 16세기 말~1699년, 1700~1799년, 1800~1899년의 세 시기로 나누어 성씨, 거주지, 과거와 관직 여부, 학파 등을 확인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00년대 말 확인 가능한 원장은 10명으로 안동 풍산 갈전 출신의 순흥안씨 3명, 풍산 구담의 순천 김씨 2명, 와룡 가야의 광산김씨 2명 등으로 김언기의 문인과 류성룡의 문인이 대부분이다. 과거 합격자는 문과 1명, 소과 5명이고, 관직 역임자는 7명이다. 17세기 원장을 역임한 인물은 모두 77명이다. 과거 합격자는 문과 14명, 소과 37명이며, 관직 역임자는 31명이다. 성씨의 확인이 가능한 인물은 74명으로, 16개 성씨이다. 예안이씨 11명(15%), 순천김씨·풍산류씨 각각 10명(14%), 안동권씨 9명(12%), 영양남씨 7명(9%), 동래정씨 6명(8%) 등이다. 거주지는 74명이 확인되었는데, 안동 61명, 예천 9명, 영주 2명, 예안·의성 각각 1명으로, 5개 지역에서 원장을 역임했다. 18세기 원장을 역임했던 인물은 157명이다. 문과 급제자는 22명이고, 소과 합격자는 26명이며, 관직 역임자는 40명이다. 성씨가 확인된 인물은 143명으로, 모두 22개 성씨이다. 풍산류씨 45명(31%), 안동권씨 12명(8%), 영양남씨·의성김씨·풍산김씨·전의이씨 각각 10명(7%), 전주류씨·진성이씨 각각 7명(5%) 등이다. 17세기의 원장은 특정 성씨에 집중되지 않았는데, 18세기에는 풍산류씨에 집중되었지만 영남학파 내의 다양한 계파에서 원장이 배출되었다. 원장의 거주지는 142명이 파악되었는데, 안동 133명, 봉화 2명, 예천 5명, 상주·예안 각각 1명으로 17세기와 대동소이하다. 19세기 원장 역임자는 236명이다. 문과 급제자는 37명이고, 소과 합격자는 32명이다. 1865년 이후 지방관 13명이 원장을 역임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이 내려진 이후 병산서원이 향촌 여론을 주도하는 역할과 서원으로서의 기능이 약화되었다. 성씨를 알 수 있는 인물은 208명으로, 모두 29개 성씨이다. 풍산류씨 83명(40%), 진성이씨 24명(12%), 풍산김씨 17명(8%), 예안이씨 12명(6%), 안동김씨 11명(5%), 안동권씨 8명(4%) 등이다. 거주지 확인자 206명 가운데 안동이 151명으로 가장 많고, 예안 13명, 영주 10명, 상주 9명, 예천 6명, 봉화·한양 6명 등 모두 11개 지역이다. 17~18세기에 비해 성씨와 지역이 확대되었다. 병산서원의 인적 네트워크의 범위가 더욱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회에는 주로 풍산류씨 謙巖派(謙菴 柳雲龍의 후손)와 西厓派(西厓 柳成龍의 후손)가 살았는데, 원장을 역임한 풍산류씨 83명을 파별로 분류하면, 서애파가 53명이고, 겸암파가 26명이며, 미상 4명이다. 풍산류씨가 원장직의 40%를 차지하고, 그 가운데 서애파가 64%를 차지하여, 19세기 병산서원 원장은 풍산류씨 서애파가 다수를 차지했음을 알 수 있다. 원장 가운데 진성이씨가 22명으로 2위를 차지했고, 병산서원 원장을 역임했던 인물 가운데 도산서원 원장을 역임했던 인물은 30명으로 두 서원이 강고한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19세기의 通文으로 병산서원이 예안의 도산서원뿐만 아니라 상주의 도남서원, 경주의 옥산서원, 영주의 이계서원 등과 네크워크를 형성하여 19세기 향촌 사회의 갈등인 ‘屛虎是非' 에 대응한 사실을 확인했다. 한편 영남 남인의 현안에 대해서는 호파 쪽에 속하지만 權橃을 배향함으로써 병호시비에서 좀 더 자유로운 삼계서원을 매개로 호파 계열과 공조를 도모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병산서원의 네트워크는 영남 전역에 미쳤다. This research determined the family name, residence, state exam and whether of government post, and school during the three periods, late 16th century ~ 1699, 1700 ~ 1799, and 1800 ~ 1899, targeting 480 Wonjang between late 16th century and 19th century through 『Wonimrok(院任錄)』of Byungsan Seowon.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number of Wonjang that can be determined during the late 1500s was 10, i.e. 3 Sunheung Ahn family from Andong Pungsan Galjeon, 2 Suncheon Kim family from Pungsan Gudam, and 2 Gwangsan Kim from Waryong Gaya, mostly literary persons of Kim Eon-gi and Ryu Seongryong. There were 1 literary state exam passer, 5 Sogwa exam passers, and 7 official posts. The number of Wonjang during the 17th century was 77. The number of state exam passers was, 14 in literary exam, 37 in Sogwa, and 31 in official posts. 74 were able to be determined with 16 family names. There were 11 Ye-an Lee family(15%), 10 Suncheon Kim family. Pungsan Ryu family, respectively(14%), 9 Andong Gwon family(12%), 7 Youngyang Nam family(9%), and 6 Dongrae Jeong family(8%). 74 were determined with residence, 61 from Andong, 9 from Yecheon, 2 from Youngju, 1 from Ye-an Uiseong, respectively, and served as Wonjang in 5 regions. 157 served as Wonjang during the 18th century. 22 passed literary state exam, 26 passed Sogwa exam, and 40 served official posts. 143 were determined with 22 family names. There were 45 Pungsan Ryu family(31%), 12 Andong Gwon family(8%), 7 Youngyang Nam family Uiseong Kim family Pungsan Kim family Jeonui Lee family(7%), respectively, and 7 Jeonju Ryu family Jinseong Lee family(5%), respectively. During the 17th century, family name was not concentrated on a specific family name, however, during the 18th, it was concentrated on Pungsan Ryu family, and various lines within Youngnam school served as Wonjang. Residence of Wonjang was determined with 142 persons, 133 from Andong, 2 from Bonghwa, 5 from Yecheon, and 1 from Sangju Ye-an, respectively, similar to the 17th century. 236 served as Wonjang during the 19th century, 37 passed literary state exam, and 32 passed Sogwa exam. Since 1865, 13 provincial officers served as Wonjang. Since Heungseon Daewongun’s order for Seowon abolition, the role of Byungsan Seowon as the leader of public opinion of rural area and the function as Seowon became weakened. 208 were determined with 29 family names. 83 from Pungsan Ryu family(40%), 24 from Jinseong Lee family(12%), 17 from Pungsan Kim family(8%), 12 from Ye-an Lee family(6%), 11 from Andong Kim family(5%), and 8 from Andong Gwon family(4%). Among those 206 determined with residence, 151 were from Andong, the majority, 13 from Ye-an, 10 from Youngju, 9 from Sangju, 6 from Yecheon, and 6 from Bonghwa Hanyang, total 11 regions. Compared to the 17th~18th centuries, family name and region were extended. It was determined that the scope of personnel network of Byungsan Seowon was extended. In Hahwe, mainly Pungwan Ryu family Gyeomam line(謙巖派) (descendant of Gyeomam(謙菴) Yu Woonryong(柳雲龍) and Seo-ae line(西厓派) (descendant of Seo-ae(西厓) Yu Seongryong(柳成龍) lived, and when classifying 83 Pungsan Ryu family who served as Wonjang according to the line, there were 53 Seo-ae line, 26 Gyeomam line, and 4 unidentified. Pungsan Ryu family took 40% of Wonjang post among them, Seo-ae line took 64% therefore, Seo-ae line of Pungsan Ryu family took the majority of 19th century Byungsan Seowon Wonjang. Among Wonjang, Jinseong Lee family took no.2, 22 persons, and 30 served as Dosan Seowon Wonjang, who served as Byungsan Seowon Wonjang, accordingly, the two Seowon formed a firm network. As Tongmun(通文) of the 19th century, Byungsan Seowon was determined with the fact that it responded to 'Byunghosibi(屛虎是非)’, the conflict of the 19th century in the rural community, by forming a network with Donam Seowon of Sangju, Oksan Seowon of Gyeongju, and Yigye Seowon of Youngju, along with Dosan Seowon of Ye-an.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issue of Youngnam Namin belonged to Hogye, however they promoted cooperation with Hopa line by the medium of Samgye Seowon, more free from Byungho Sibi, by orienting toward Gwonbeol(權橃), in this process, the network of Byungsan Seowon influence the whole Youngnam area.

      • KCI등재

        가정신앙관련 종교체험 사례 일고

        김명자(Kim Myungja) 한국무속학회 2009 한국무속학 Vol.0 No.18

        흔히 종교체험이라 하면 무당의 신병체험(神病體驗)과 같이 전문적인 종교사제자가 겪는 영적(靈的)인 체험을 뜻한다. 그들은 종교체험을 통해 각종 신을 만나는 영적인 체험을 하거나 그밖에도 여러 가지 신비스런 체험을 한다. 그런데 반드시 무당이 될 사람이 아니지만 영적인 체험을 하는 경우가 있다. 현몽을 통한 체험을 하거나 우환을 겪거나 또는 실제 영적인 존재를 목격하기도 한다. 이러한 체험을 흔히 신비체험이라고도 하지만 종교성을 띤 영적인 체험이라는 점에서 종교체험이라는 용어를 쓰고자 한다.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일반인으로 종교체험을 한 경우, 특히 가정신앙과 관련된 종교체험을 대상으로 한다. 종교체험은 직접 가신(家神)에 버금하는 존재를 현몽하거나 때로는 목격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병이 나거나 운수 사나운 등 소위 우환이 지속된다. 따라서 가정신앙 관련 종교체험을 현몽을 통한 종교체험, 신적인 존재를 보는 종교체험, 우환을 통한 종교체험으로 나누어 그 사례를 소개하면서 그 처방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종교체험의 의의를 논의한다. 종교체험은 유형에 따라 특징이 확연하게 달라지지는 않지만 다소 차별화되는 경우가 있다. 현몽을 통한 종교체험과 신적인 존재를 보는 경우 앞날을 예견하는 경우가 있다. 반면 가신으로 좌정할 것을 암시하는 현상은 현몽과 우환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사례에 나타난 현상을 바탕으로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형상화를 통해 각인시킨다. 둘째 앞날에 대한 예견을 한다. 셋째 가신으로 좌정하는 계기가 된다. 넷째 길흉화복을 조절한다. 다섯째 온전하게 모시지 않음을 질타한다. 전반적으로 볼 때 종교체험은 가신신앙을 신빙할수 있는 기반이 된다. 이 글에서는 사례를 소개하고 처방에 중심을 두었기 때문에 분석적인 해석에까지 미치지는 못한다는 점을 밝힌다. 종교체험 사례는 필자가 그동안 가정신앙 현지조사를 통해 얻은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여기 소개되는 종교체험 사례 이외에도 다양한 종교체험 사례가 있으리라 본다. 따라서 이 글에서 소개하는 사례는 선별적인 자료일수 있다. 오늘날 가정신앙이 약화된다는 말을 흔히 한다. 심지어 ‘단절’이라 말을 쓰기도 한다. 하지만 설사 의도적으로 단절시킨다 하더라도 종교체험이 존재하는 한 가정신앙은 단절이 될수 없다는 점을 덧붙인다. Religious experiences generally mean spiritual ones felt by shaman priests like the shamanic initiation disease undergone by novices before they become shamans. Through these religious experiences, they contact gods and spirits, and do other mysterious things like curing illnesses and predicting the future. However, there are other people who undergo spiritual experiences though they are not shamans. They have strange dreams in which something or someone appears, face a lot of misfortunes-worries and illnesses, or actually witness spiritual beings. These experiences are called mysterious ones, but they are spiritual experiences with religious tinges. So this study uses the term of religious experiences for these experiences. The cases dealt with by this study are concerned with religious experiences which non-shamanic people undergo and which areparticularly related to domestic faith. In these religious experiences, the people concerned witness some god-like beings second only to the family deities in their waking time or in their dreams. They may fall sick or have misfortunes happen again and again. Religious experiences related to domestic faith are divided into three : experiences showing something or someone through dreams, experiences which witness deity-like beings, and experiences that have misfortunes happen. The study presents some cases and discusses solutions for them.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study examines the meanings of religious experiences. Though the types of religious experiences do not have grea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y show more or less significantly different features. Experiences showing something or someone through dreams, and experiences in which deity-like beings are witnessed mostly enable the people concerned to predict the future. The intimation that the person who experiences spirituality should be set as a family deity is shown through dreams or misfortunes. The meanings of religious experiences shown by the ca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ligious experiences give a shape to what is intended and imprint it. Second, religious experiences enable the person concerned to foresee what is going to happen. Third, religious experiences can be a process for the person concerned to be set asa family deity. Fourth, religious experiences can control “Gil, Hyng, Hwa, Bok(good, bad, misfortune and fortune)”. Fifth, religious experiences may be phenomena to punish the person concerned for not being treated well. On the whole, religious experiences are the ground on which people base domestic faith. As this study focuses on the presentation of cases for religious experiences, it falls a little short of an analytic interpretation of them. These cases are largely from the field studies of domestic faith made by the author. There are many other cases of religious experiences than those mentioned in the study, which may be more selective. It is commonly said that in these days domestic faith is weakened. They even say thatit is extinguished. However, even if people try to extinguish it intentionally, it cannot cease as long as religious experiences exist.

      • New trends of Leisure and Travel Market in the Senior Citizen

        김명자(金明子)(Myungja Kim) 한국문화관광학회 2003 문화관광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트랜드 분석을 통한 노인시장 세분화를 시도하였다. 가속화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는 여가 및 관광산업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기 시작하고 있으며 노인 각 개인은 동일한 특성을 지니지 않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관점에서 더욱 다양하고 매우 다른 성격들을 지니고 있어 노인 여가 관광시장에 대한 연구와 조사는 성별, 교육정도, 건강상태, 가치관과 생활양식, 재정상태, 과거 소비양상, 직업, 지역성, 가정환경, 그리고 일상활동 등을 고려하여 실시되어야 함에 역점을 두었읍니다. 본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수행하였으며 Second data 분석과 그 결과도출을 응용하였다. 먼저 노인들의 여가 및 관광에 대한 취향을 언급하였고 노인들의 성향을 연령별로 보다 세분화 시켜 조사하였다. 첫째, 50세에서 64세 집단으로 가장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그들의 관심은 건강, 자아만족, 넓은 범위의 사교활동, 위락과 증가한 여가시간의 활용 등에 있다. 둘째, 65세에서 79세 그룹으로써, 이들의 관심은 장기치료 보험, 은퇴와 생활 보호가옥, 지역건강보호 크럽맴버쉼, 그리고 노인사교활동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80세 이상으로 대략 3명중 2명이 여성이며, 노화로 인해 일상생활과 활동을 위한 타인의 서비스를 요구하게된다. 따라서 노인관광시장 세분화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논하였으며, 결론에서 세분화된 집단의 관광선호도를 개인들의 필요와 욕구에 기초를 두고 차별화 하였다. 이에 따른 프로그램개발과 유치전략에 대한 제언을 시도하였다. 첫 번째 세분 시장은 가족과 시간을 보내는 가족형 관광을 선호하고 확대가족 및 친지들과 주말 여행을 선호한다. 두 번째 세분집단은 휴식과 함께 지적, 정신적, 그리고 사교적 활동을 선호한다. 일상으로부터 탈피한 학습, 사교, 위락 프로그램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마지막 세분그룹은 활동이 포함된 여행을 원하지만 그들이 필요한 모든 것이 함께 있는 장소를 선택하며 편리한 관광을 선호한다. 본 연구 결과 시사점으로는 노인들의 여가 및 관광에 대한 욕구는 젊은 층과 매우 다르고 고령자간에도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차별이 심하므로 향후 노인계층을 주 타켓으로 하는 여가관광 마아케팅에 필수적인 고려사항임을 주지하고자 합니다. 특히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입장으로써는 선진국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시행착오를 줄이고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가갈 수 있는 기회제공에 있읍니다. 본 논문은 몇 가지 한계점을 지고 있는바, 첫 번째, 오로지 순수관광만을 취급하였다. 차후에는 다목적 관광이나 겸 관광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두 번째, 세분화의 정도이다. 노인관광시장은 3개 집단만이 아니고 개인간 특성의 차이에 의해 보다 더 세분화시켜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로 미국의 노인여가 및 관광 시장에 대하여 연구 조사되었다는 점과 최근자료 입수의 어려움으로 Update된 참고문헌의 부재에 있읍니다. 향후 연구는 한국의 노인관광시장 또는 한국을 포함한 국가간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입니다. We will live longer than we might now expect-possibly much longer-as future science brings the aging process under control. The demographic revolution in modern industrial nations seems to have occurred because of a decline in the crude birthrate combined with an improved medical technology's capacity to save and prolong life. However, a lack of research seems to exist on the total senior market and related leisure and travel-specific variables. The methods of this study have used a literature study and an second data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es. A review of them reveals that largely address only actual leisure travel behaviors of the senior market.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of senior leisure travel market should look at the elderly sub-groups. Attempt should be made to segment senior leisure travelers into smaller group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leisure travel motivations

      • 조선시대 안동 갈전(葛田) 순흥안씨(順興安氏)의 사회적 위상과 향촌활동

        김명자 ( Kim Myungja ) 한국계보연구회 2018 한국계보연구 Vol.8 No.-

        조선후기 영남은 주로 문중을 단위로 향촌활동이 전개되었다. 문중이 정체성을 어떻게 확보하고 생존을 도모해 나갔는지 구체적인 사례연구가 필요한 이유이다. 이 글은 안동 葛田에 세거하는 순흥안씨가 안동부 풍산현에 정착하여 향촌사족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을 세장으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1장은 순흥안씨가 안동에 정착하게 되는 과정과 당시의 사회적 위상을 살펴보았다. 2장은 순흥안씨의 世系 정립과 족보 간행 현황을 통해 종법에 대한 실천과 지역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해 확인하였다. 마지막 장은 순흥안씨의 혼인, 관직 여부, 향촌활동의 모습을 정리하였다. 갈전 순흥안씨 定峯宗宅에서 소장하던 고서 및 성책고문서 1,100여 책과 개별고문서 1,600여점이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보관 중이며, 그 가운데 일부는 1999년에 『古文書集成四十三-安東 葛田 順興安氏篇-』으로 엮어졌다. 여기서는 이들 자료와 『順興安氏第二派族譜』(1999)를 주로 참고하였다. In Yeongnam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ommunity activities were mainly performed in the unit of clan.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should be concrete case researches on how a clan secured its identity and promoted the survival. This thesis examined the process for Sunheung Ahn Clan residing in Galjeon, Andong to establish the status of local aristocratic class after being settled down in Pungsan-hyeon of Andong-bu, by dividing it into three chapters. Chapter1 examined the process of Sunheung Ahn Clan's settlement in Andong and the social status of the time. Chapter2 verified the effects on the practice of clan rules and commun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family line of Sunheung Ahn Clan and the current publication status of genealogical record. The last chapter arranged the marriage, matter of government post, and the look of community activities of Sunheung Ahn Clan. Currently, about 1,600 individual ancient documents and about 1,100 old books & tied-ancient documents which used to be possessed by Jeongbongjongtaek of Sunheung Ahn Clan in Galjeon, are stored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some of them were published as the 『Collection43 of Ancient Documents-Sunheung Ahn Clan of Galjeon in Andong-』 in 1999. This thesis mainly referred to those materials and the 『2nd Genealogical record of Sunheung Ahn Clan』(1999).

      • KCI등재

        этот/тот and the Choice of Anaphoric Expressions

        Kim Myungja(김명자)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7 슬라브학보 Vol.22 No.4

        본 연구는 러시아어 지시대명사 этот/тот이 대용지시표현으로 어떤 변별성을 보이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접발화차원과 비인접발화 차원모두에서 작용하는 담화응집성이 이들의 대용사 용법에 어떻게 관여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화제 전환과 지속이 뚜렷한 네러티브 문어텍스트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아울러 대용지시표현 선택의 차원에서 그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인접발화차원에서 담화응집성은 중심화 이론의 중심전이상태에 준해 세분화된다. 이와 관련해서 Cb(Un)의 тот은 중심의 완전환에 집중되어 나타남으로써 화제의 전환 시 선호되는 대용지시표현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Cb(Un)의 этот은 중심의 지속, 유지, 완전환 급전환 모두에 다 나타남으로써 특정 담화응집성의 전형적인 지시표현으로 작용하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이 지시사들의 구문적 특성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 특히 тот이 Cb(Un-1), Cp(Un-1)이 아니면서 항상 Cp(Un)라는 사실은 선행사 결정의 투명성을 위해 그것이 어떻게 관여하는 가를 잘 보여준다. 이는 담화단위 간 담화응집성 층위에서 тот이 통상 명사나 형용사를 동반하지 않는 형태적 특성도 잘 설명해준다. 이에 비해 этот은 담화간 담화응집성의 모든 유형에서 Cb(Un)으로 나타나되, 지속과 완전환 전이에서는 인칭대명사와 тот에 비해 낮은 선호도를 보인다. 특히 этот은 유지와 급전환에서 Cb(Un)으로 나타남으로써 최선의 중심후보(Cp(Un))가 아닌 대상의 한정성 표지로 작용함을 보인다. 담화내(‘Intralevel’) 응집성 차원에서는 종속절의 대용사로 지시사가 선택되는 경우, тот이 этот보다 더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비인접발화에서 두 지시사는 모두 지시체의 정체확인이 용이하도록 이전 맥락과의 연결성을 보이는데 기여한다. 단 선행사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기 때문에 선행사 결정이 애매할 수 있어, 항상 명사나 형용사, 혹은 명사구가 반복되어 나타남으로써 인접발화에서의 대용적 지시사와 차별화된다. 대용지시표현의 선택 차원에서 тот은 완전환, 담화내 응집성 차원과 대조//비대조 맥락의 return-pop에서 [-empathy]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этот은 모든 유형의 담화 응집성에서 사용 가능하되 중심의 완전환, 담화내 응집성차원, 대조맥락에서 인칭대명사나 тот보다 선호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этот이 특정한 담화응집성 유형의 전형적 표지라기 보다는 한정성 표지로 모든 유형의 담화응집성 유형에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

        독석마을에서 본 오구굿과 死婚

        김명자(Myungja Kim) 한국무속학회 2000 한국무속학 Vol.0 No.2

        이 글에서는 세습무 김석출과 그의 처 김유선 부부를 비롯하여 세습무패가 포항 인근 어촌인 독석마을에서 1980년에 행한 오구굿을 소개했다. 오구굿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나타나는데, 독석마을의 오구굿은 수망굿의 성격을 지녔고, 굿 속에 사혼(死婚) 과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래서 이 오구굿은 망자를 위령하는 제의였기에 비극적인 요소가 강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총각으로 죽은 망자의 원을 풀어줄 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가족들의 불편함도 해소해 주었다. 더욱이, 독석마을의 오구굿은 한 집안의 일로 끝나지 않고, 마을 사람들이 공유하는 행사로서 ‘축제’의 구실을 했다. 이로부터 우리가 표상화하고 있는 종교심성이 무엇인지를 느낄 수 있었다. 즉, 독석마을의 오구굿은 우리가 민속적인 삶을 중시하는 것을 잘 드러내고 있었으며, 또한 우리가 무속적인 사고로서 원본사고를 바탕에 깔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This research proposes to explain and analyze the detailed process and meaning of Ohgoo-kuk(오구굿) and Soul-marriage(死婚) which were observed in Toksok village(독석마을) on Nov. 20th-21st, 1980. Ohgoo-kuk and Soul-marriage are Korean shamanistic rituals for the dead. In Toksok village, they were performed by Korean hereditary shamans, Sokchool Kim(김석출) and his followers. The kut was divided into 19 parts, and it was for a drowned young man. Thus it was designed to farewell the miserable soul into Paradise, but rerulted in the mental stability of his family and the unity of his community. According to the above, it can be interpreted that many Korean people take a serious view of shamanistic life, and that they have a certain shamanistic arche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