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인-조직 문화 적합도와 개인-팀 문화 적합도가 조직에서의 직무태도 및 객관적 직무성과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이지영(Jee young Lee),김명언(Myung un Kim),전정호 한국인사관리학회 2015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1

        개인-환경 적합도 연구에서는 다양한 개인-환경 적합도 간의 차별적 영향력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운데에서도 최근 조직의 현장적 장면에서 강조되고 있는 조직문화적 측면에 주목하여, 기존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던 개인-조직 문화 적합도와 최근 팀제와 함께 부각되고 있는 개인-팀 문화 적합도가 팀과 조직에 대한 태도 및 객관적 직무성과에 있어 어떠한 차별적 효과를 나타내는지 비교,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글로벌 대기업 153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네 차례의 종단 설계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조직 문화 적합도와 개인-팀 문화 적합도의 차별적 영향력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결과를 확인하는데 주요한 목적을 두었다. 조직근무연한, 교육수준, 직급, 성별, 결혼여부, 팀 인원, 팀 근무연한을 통제한 후 개인-조직 문화 적합도, 개인-팀 문화 적합도를 동시에 투여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조직 문화 적합도(T1)는 조직관련 태도 변인인 조직만족(T2)과 조직몰입(T3)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팀-조직문화 적합도(T1)에 비해 약한 정적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반면, 팀-조직문화 적합도(T1)는 조직관련 태도 변인을 비롯하여 팀 만족(T2), 팀 몰입(T3)의 팀 관련 태도 변인과 직무성과(T4)에 모두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내며 개인-팀 문화 적합도가 직무태도 및 성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는 최근의 조직장면에서 조직의 핵심적이며 기본적인 구조로 자리매김한 팀에 대한 문화적 관리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는 동시에 향후 개인-팀 문화 적합도에 대한 다양한 탐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and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between person-organizational cultural fit and person-team cultural fit on multiple work attitudes toward the team, organization and objective job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study used longitudinal data at four times collected from 1,539 employees at Korean global conglomerates. After controlling organization tenure, educational level, position level, gender, marital status, team size, team tenure, the results showed that person-organizational cultural fit (T1)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with organizational satisfaction (T2)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3), but had a weaker positive effect compared to team-organizational cultural fit (T1). On the other hand, team-organizational cultural fit (T1)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with organization-related attitudes, as well as team-related attitudes, such as team satisfaction (T2) and team commitment (T3), and job performance (T4). These results empirically revealed that the correspondence between person's value and team's value plays a crucial role to have positive attitudes and job performance. Thes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cultural management of teams, and at the same time these findings propose that numerous studies on person-team cultural fit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 노동조합에서의 심리적 계약

        김명언,이재윤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心理科學硏究所 2003 心理科學 Vol.12 No.1

        본 논문은 노동조합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가 매우 필요한 현 시점에서, 노동조합과 조합원간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심리적 계약(psychological contract)의 개념을 적용하는 접근방법이 유용함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두 당사자간의 상호의무에 대한 신념으로, 제반 조직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개념적 틀로 입증되어 왔던 심리적 계약의 세 가지 대표적 특징인 상호의무, 가변성, 주관성이 노조와 노조원간의 상호의무 인식에서도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노조의 의무가, 조합원들이 원하는 결과물을 회사를 통해 얻어내야 하는 의무인 '도구적 의무', 노조가 조직을 운영하는 데에 이행해야 할 의무인 '노조 운영상의 의무', 그리고 노조의 정체성과 관련된, 노조의 외부지향적 의무들인 '가치 실현적 의무'로 구분 될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노조장면에서의 심리적 계약 연구가 지니는 이론적, 실용적 시사점과 추후연구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suggest that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contract could be useful i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 and its members. Psychological contract is defined as mutual obligation between the two parties and has been viewed as an useful explanatory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employment relationship. Psychological contract has three characteristics; mutual obligation, changeableness and subjectiveness, which, we argue, also exists between two parties in trade union setting. We suggest that union's obligation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components: 'instrumental obligations' to obtain desirable outputs from the company, 'managerial obligations' to manage union well, and 'ideological obligations', which are external and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the union.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paper were discussed and several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 社故에 대한 심리학적 一考

        김명언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心理科學硏究所 1997 心理科學 Vol.6 No.1

        우리나라에서의 각종 사고에 대한 원인파악과 해결책 마련에 있어서 심리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서 여섯 개의 단상(單想)이 사용되었다. 첫째 단상인 '기계의 불친절'에서는 각종 일상기구들이 사람들이 쓰기에 불편하게 디자인되어 있어 사고가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사고의 원인규명이 '근본적 귀인 오류'적으로 내려지고 있음을 논의해 보았다 '가점 안전관리'에서는 감점관리 위주로 사고대책을 마련함으로써 안전행동이 강화되지 못하는 우리나라 실정을 조명해 보았다. '스트레스와 안전사고'에서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직장내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순기능적으로 바꾸는 방법을 제안해 보았다. '책임분산'에서는 집단내에서의 개인행동의 무책임화가 사고원인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해 보았다. '자기 장애화'에서는 개인적 자존감을 상실치 않기 위해서 행해진 자기손상 행동의 결과로 사고가 유발할 수 있음을 추적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전이행동'에서는 개인적 좌절과 분노가 엉뚱한 대상으로 옮겨가서 생기는 사고를 생각해 보았다. Six brief reflections are used to support the arguement that we are in desperate need of taking a psychological approach to identifying the grassroots causes of accident and taking their appropriate measures. Six psychological concepts including the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reinforcement, stress coping, diffusion of responsibility, self-handicapping, and displacement are applied for each reflection respectively.

      • 사회적 딜레마와 틀효과의 연계적 연구의 확장

        보라,김명언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心理科學硏究所 2003 心理科學 Vol.12 No.1

        본 논문은 의사결정 연구 영역들 중에서도 '특정 상황에서의 대안 선택'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사회적 딜레마 연구와 틀효과 연구에 대한 개관을 통해 향후 두 분야의 새로운 연계적 연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딜레마는 개인의 합리적 선택과 집단의 합리적 선택간의 긴장 관계가 존재하는 상황을 말하며, 틀효과는 선택 상황에서 대안들이 기술되는 방식에 따라 사람들의 선호도가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적 딜레마는 크게 다수 딜레마와 2인 딜레마로 나누어지며, 사회적 가치지향성, 보상금 구조, 집단 정체성, 집단 크기, 의사소통 등과 같은 관련변인들이 연구자들의 주된 관심을 끌었다. 그리고 틀은 주로 이득틀과 손실틀 혹은 긍정틀과 부정틀로 구분되며, 연구자에 따라 틀효과를 속성 틀효과, 목표 틀효과, 위험한 선택 틀효과로 분류하기도 한다. 틀효과가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관점들이 존재하나, 개인의 위험선호도, 대안의 성공가능성, 보상금, 대안의 정보제시 조건, 시나리오 주제 등이 주요변인들로 제시되어 왔다. 두 주제가 각 영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딜레마와 틀효과를 연계시킨 연구들은 극소수이고, 다수 딜레마-틀효과에 집중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미흡했던 점들의 지적을 통해 향후 사회적 딜레마와 틀효과의 연계적 연구의 단초가 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조직장면에서의 응용연구 및 비교문화적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article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bout combining social dilemmas and flaming effects. Social dilemma refers to the situation with conflict between rational choice of individual and that of group. Framing effect refers to different responses to different descriptions of the logically equivalent choice option. There are two person types of social dilemma, which are N dilemma and two person dilemma,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pay off structure, group identity, group size, communication, and so forth have been dealt with as important related ones. Generally, frames are categorized into gain/loss frame or positive/negative frame. According to some researchers, framing effects could be classified into attribute framing effect, goal faming effect, and risky choice framing effect. There are many different theories explaining framing effect, but individual risk preference, probability of the options, pay off, information about the options, topic of scenarios, have been found significantly related variables. Although the studies of social dilemma and framing effect are actively going on in each part, and some studies linking N-person dilemma and framing effect have been conducted, those linking two-Person dilemma and framing effect are very rare. This article proposed an appropriate method for linking social dilemma and frame effect, and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 조직내 컴퓨터 사용 및 태도와 조직, 개인 및 과업 특성들과의 관계

        김명언,홍유승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心理科學硏究所 1996 心理科學 Vol.5 No.1

        조직 내에 컴퓨터 시스템이 도입되어 사용되는 목적은 업무수행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조직업무의 컴퓨터 시스템의 효과는 주로 경제적 또는 시간적 측면에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컴퓨터 시스템의 효과적인 활용은 도입결정 주체인 조직, 사용자인 개인, 그리고 담당업무의 복합적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개인, 그리고 직무특성 변인들이 컴퓨터의 사용량, 사용용도, 태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조직변인으로는 사전교육, 작업환경, 분위기 조성, 제도화의 4가지 변인들을, 개인특성변인으로는 컴퓨터에 대한 사전지식과 친숙도, 내-외 통제형 성격, 모호성에 대한 인내성을 고려하였다. 과업특성변인으로는 과업다양성, 분석 가능성과 Hackman과 Oldham(1980)의 다섯가지 직무특성 차원을 조사하였다. 24명에게 실시된 예비조사를 통해 확정된 설문지조사에 국내 4개 대기업의 사무직 직원 190명이 참여하였다.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대기업 사무직 직원들의 컴퓨터 활용수준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컴퓨터의 사용용도도 문서작성이나 도표그리기 등에 치중되어 있다. 둘째, 컴퓨터의 사용시간에는 (컴퓨터 지향적) 분위기 조성이나 제도화(보상제도와의 연계화)의 영향력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태도와는 개인특성 변인이 조직변인들보다 밀접한 관련성을 가졌고, 내-외 통제형 성격변인은 컴퓨터의 고난도 활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넷째, 직무특성변인들 중 과업다양성, 과업정체성, 피드백 등의 과업특성 변인들은 컴퓨터 사용시간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사용용도에 기초한 군집분석결과 전체응답자들은 수동집단, 보통집단, 전문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이들 집단 간에는 컴퓨터 사용시간 및 태도, 사전교육, 분위기 조성, 제도화 등의 조직변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조직 내의 효과적인 컴퓨터 활용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계 장치 도입 이상의 체계적이고 종합적 추진계획이 필요함을 밝혀주고 있다.ABSTRACTThe purpose of introduction and use of computer system in organization is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lthough effective implementation and use of computer system are influenced by various variables, the aspects of financial and time saving have been mainly considered. Howeve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computer system in an organization relies on the interactive results of the organization which is a sole decision maker of the system implementation, the organization member as a user, and the work.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computer use and attitude toward computer with three areas of related variable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individuals, and jobs. Organizational variables included computer training, physical work setting, work atmosphere, institutionalization of computer system.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included preknowledge about computer, familiarity with computer,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tolerance of ambiguity. Task variety, task analyzability, and Hackman and Oldham' s(1980) 5 core job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s task characteristic variables. 190 white collar workers of 4 large compan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whole, white collar workers of large companies were novices in computer use, who tend to mainly use computer for basic purposes(for example, word processing and spread-sheet work). (2) Both the creation of pro-computer atmosphere and the connection of computer system to reward system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 determining the frequency of computer use. (3) Attitude toward computer was more influenced by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than by organizational variables. Especially,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dapting new applications. (4) Task variety, task identity, feedback from the job had close relations to computer use. (5)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which were obtained via a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computer application, in not only organizational variables but also individual variab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plans are critical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computer systems into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