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FTA와 중국 FTA의 TBT 장 비교분석: 한중 FTA TBT 협상에 주는 함의

        김동휴,이희진,곽주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3 국제지역연구 Vol.16 No.4

        Korea-China FTA negotiations were launched in earnest in May 2012. Elimination of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is one of the key issues in whic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interested since technical barriers significantly affect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Previous studies show that nation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policies may act as TBT. In order to eliminate TBT,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obliges Members to observe the principles of non-discrimination and necessity, international standards, equivalence and mutual recognition, and transparency through the TBT Agreement. This paper derives policy implications for TBT negotiations of the Korea-China FTA from the analysis of Korea's and China's FTAs. These include: i) defining de facto mandatory standards as technical regulations; ii) including local government's and non-government's measures in the scope of application; iii) stipulating provisions of non-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certification and accreditation; iv) discussing necessity requirements with respect to specific industries such as IT in the Korea-China FTA negotiations. In addition, it is of importance that the both countries bring to the table such issues as: v) determining and rejecting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vi) possible ways of signing a mutual recognition agreement (MRA); vii) transparency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notification of technical regulations and standards. 2012년 5월 한중 FTA 협상이 본격적으로 착수되었다. 한중 교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기술적 무역장벽(TBT) 제거는 한국 정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협상 쟁점 중 하나이다. TBT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은 국가의 표준 및 인증정책이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혔고, 표준 및 인증정책이 TBT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계무역기구(WTO)는 TBT협정을 통해 비차별 및 필요성, 국제표준, 동등성 및 상호인정, 투명성 등의 의무를 회원국에게 부여하고 있다. 한중 FTA TBT 협상을 위해 한국과 중국이 체결한 FTA TBT 장(章)을 분석하여 얻은 주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사실상(de facto) 강제성을 띠는 표준을 기술규정으로 분류, 지방정부기관 및 비정부기관의 조치 등을 TBT 장 적용범위에 포함, ‘인증’ 및 ‘인정’ 과정상 비차별 의무 조항 명시, IT산업과 같은 특정 산업에 대한 필요성 요건 기입 등의 쟁점을 협상에서 의제화하는 것이다. 또한 협상에서 국제표준의 존재 여부 판단 원칙, 적합성평가절차와 관련하여 국제표준의 거부 요건, 적합성 평가결과 상호인정협정 추진방식, TBT 관련 조치 제정 과정상의 비차별적 참여 허용, 통보 과정상의 투명성 확보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표준화 정책 측면에서 모듈성 연구: 전자 산업과 자동차 산업 비교 분석

        김동휴,강병구,김철식,Kim, Dong-hyu,Kang, Byung-Goo,Kim, Chulsik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3 No.3

        최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같이 정보통신기술이 다른 산업의 제품들과 결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모듈성은 기술 융합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이는 조직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산업 내의 경쟁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모듈성이 조직 체계 및 산업 내 지배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핵심 요인은 개별 모듈 간의 연계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 표준이다. 모듈성과 인터페이스 표준에 관한 연구들은 기술 체계와 조직 체계 간의 상호 작용과 이로 인해 산업의 역학 구도가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어서, 상기 언급한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듈성에 관한 기존 해외 연구들을 모듈성과 제품 아키텍처, 인터페이스 표준과 조직 체계, 지배구조와 제도적 요소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또한 전자 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 분석하여 표준화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모듈 제조업체 육성과 네트워크 효과에 기반을 둔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사용자 중심의 혁신 체계 도입을 위해서는 개방형 인터페이스 표준을 외부형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성능 최적화 측면에서 제품의 특성 반영, 산업 내 핵심기업의 참여 유도, WTO 법과 같은 제도적 요소 등 개방형 인터페이스 표준화 정책을 수립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정리한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have been combined with products from other industries to provide new functionality, as recently shown in the cases of Internet of Things (IoT). Modularity assumes a crucial role in such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has impa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s as well as competition within an industry. Interface standards, which ensure the connectivity between modules, serve as a critical factor in the process by which modularity affects organization systems and industry structure. To understand the aforementioned phenomenon, we studied modularity and interface standards with a focu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y and organization systems and subsequent changes in industrial dynamics. This paper examines previous literature on modularity and interface standards in the aspects of product architecture, organization systems, and institutional factors. With this analytical framework,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electronic and automotive industrie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tandardization policy. This research has shown the significance of external open interface standards in shaping an industrial landscape where a variety of module producers horizontally compete. It also advises that policymakers take into account product characteristics, engagement of leading firms in an industry, and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WTO law in the design of standardization policy.

      • KCI등재후보

        중국 전기차 산업 혁신체계 시기별 분석: 정책-기술-시장 관점

        김동휴 한국모빌리티학회 2024 모빌리티연구 Vol.4 No.1

        This study analysed the process of developing China's electric vehicle (EV) innovation system across different periods from a policy-technology-market perspective. It aimed to identify key policies, interactions between technology and market elements, major actors, and challenges within each period. The findings revealed a co-evolution of policy and technological facets, showcasing a mutual interaction pivotal in shaping China’s electric vehicle industry innovation system. Notably, policies facilitating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diverse market entities, especially bolstered by local government support and innovative endeavours of local companies, significantly steered the rapid growth of China's electric vehicle sector. An important discovery pertains to the pivotal role played by the Chinese government’s transition, circa 2014, from a policy-driven to a market-driven approach,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the swift advancement of China’s EV industry.

      • KCI등재

        표준특허 남용 규제체계에 대한 연구 : 한중 FTA를 통한 보완 방안을 중심으로

        김동휴(Dong-hyu Kim),이희진(Heejin Lee),이희상(Heesang Lee)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3 동서연구 Vol.25 No.2

        2013년 특허전쟁이 전 세계에서 진행 중이다. 초국적 기업들은 표준화된 기술특허를 남용하여 경쟁자를 위협하고 있고, 그로 인한 피해는 소비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 금지청구권 남용, FRAND 확약 위반, 기만적 행위, 강제적 패키지 라이센싱 등으로 분류되는 표준특허 남용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은 경쟁법 및 지적재산권법적 규제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양국의 현 규제체계는 경쟁법 과잉집행으로 인한 통상마찰 가능성, 강제실시권 행사로 인한 WTO TRIPS협정 위반 가능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한중 FTA에 ‘객관적 입증 시 경쟁법 적용’, ‘공공의 이익을 위한 강제실시권 조항에 사전협의와 필요성 요건 추가’, ‘지적 재산권 위원회 설치’ 등의 조항을 기입하는 것을 제안한다. In 2013, the global patent war is in progress. Some transnational corporations have been distorting the market competition by abusing their standard-essential patents and, in turn, consumers have ended up paying for the costs of such abuse. Korea and China rely on their own regulatory systems (e.g. competition law and intellectual property law) to regulate abuse of standard-essential patents, which include: i) abuse of injunctions; ii) a violation of FRAND commitments; iii) deceptive acts; iv) coercive package licensing. This paper finds that Korea’s and China’s regulatory systems can allow for excessive enforcement of competition law and compulsory licensing in a manner inconsistent with the WTO TRIPS Agreement. It suggests, as solutions to such problems, that the both countries discuss the following issues in the Korea-China negotiations: i) the obligation of competition authorities to objectively demonstrate anti-competitive effects; ii) prior negotiations and necessity requirements for compulsory licensing for public interest; iii) establishment of an IPR committee.

      • KCI등재

        EU의 표준화 정책과 FTA에 대한 함의: 한-EU FTA와 한-미 FTA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엄도영(Doyoung Eom),김동휴(Dong-hyu Kim),이희진(Heejin Lee)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5 동서연구 Vol.27 No.3

        WTO에서는 TBT 협정을 근거로 회원국 간 불필요한 무역장벽을 만들지 않도록 규정 하고 있다. 상이한 기술규정, 표준 및 적합성평가절차가 국가 간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조치들을 국제 표준에 기초하여 사용하도록 정하고 있다. 최근에는 FTA 협상 및 체결이 확대됨에 따라 FTA 조항으로 무역기술 장벽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FTA에 나타나는 합의 결과는 체결 당사국의 국내 정책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무역기술장벽과 관련해서는 기술규정, 표준 및 적합성평가절차를 모두 포함하는 표준화 정책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과의 교역량이 많은 EU의 표준화 정책은 한-EU FTA 발효의 맥락에서 중요하다. EU의 표준화 정책은 old approach부터 시작하여 new approach를 통한 역내 표준의 조화를 거쳐 global approach를 적용한 유럽 표준의 국제표준화를 추진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국제 표준에 기초한 조화를 중시하는 EU의 전략은 한-EU FTA 조문을 통해서 드러났다. 주요 분야인 전자제품과 자동차 분야에서 한국이 국제 표준에 기초하여 표준을 조화시키도록 하였고 적합성평가절차와 관련해서도 국제 표준에 기초한 적합성평가절차의 결과를 한국이 수용하도록 했으며 궁극적으로 유럽의 수준에 근접한 SDoC를 도입하는 데에 합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EU와 FTA를 체결할 국가들은 EU의 표준화 정책에 대응하여 자국 또는 지역 표준의 국제표준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WTO stipulates in the TBT Agreement that countries shall not create unnecessary obstacles to trade. Since differences in technical regulations, standards, as well as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create possibilities of preventing the free movement of goods, members have agreed to use international standards as a basis for these measures. Conclusions of FTAs are increasing as a strategy to facilitate international trade. Accordingly, measures to alleviate technical barriers to trade by means of FTAs are being increasingly implemented. There is a necessity to evaluate standardization policies that include aspects of technical regulations, standards and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considering that agreements finalized in the FTAs are based on the domestic policies of contracting parties. For instance, EU’s standardization policy is significant in regards to the effectuation of the Korea-EU FTA. The standardization policy of the EU evolved from the old approach through the new approach that harmonized standards within the region to the global approach that promotes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European standards. EU’s policy which concentrates on harmonization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following the global approach was reflected in the articles of Korea-EU FTA. In the area of electronics and motor vehicles, Korea was required to harmonize its standards to the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and in regards to conformity assessment, it was ultimately agreed that Korea implement the EU-type SDoC. Implications for countries that are expected to finalize an FTA with the EU are center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national or regional standards to tackle EU standardization policy.

      • KCI등재

        파괴적 기술 분야에 대한 표준화 전략 연구

        엄도영(Doyoung Eom),김동휴(Dong-hyu Kim),이희진(Heejin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 기술혁신학회지 Vol.19 No.3

        파괴적 기술(disruptive technology)은 기존 산업, 타 산업 그리고 소비자에게까지 미치는 파급력으로 인해 국내외 산업계, 표준화기구, 학계, 정부 및 규제기관 등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을 주도하는 기업들은 자사의 기술을 표준, 특히 국제표준으로 만듦으로써 세계 시장을 선점하고자 하지만 국제 표준화기구 등을 통한 공식적인 표준화는 급격한 기술 및 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어 공적 표준화기구를 우회하는 방법들이 선호되고 있다. 파괴적 기술분야에서 여러 규모의 기업들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표준이 가져다주는 기술 개발 및 확산의 혜택을 얻기 위해서는 공적 표준화기구에서의 결집된 표준 제정의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파괴적 기술 분야의 표준화에 대해 공적 표준화기구의 역할이 시장 메커니즘에 비해 미미한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전문가들은 파괴적 기술의 핵심적 특성을 소비자의 행동 및 습관을 변화시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기존 시장의 경쟁 질서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유연하고 신속한 표준화가 핵심적이라는 점이 전문가들이 공유하는 의견으로 드러났다. 또한, 표준화 활동과 기업의 이윤창출과의 연결고리 부재에 대한 인식이 표준화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공적 표준화기구의 차원과 표준화 정책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Disruptive technology is increasingly gaining attention by industries, standards development organizations (SDOs), academia, government and regulatory bodies due to its massive scope of impact on the incumbents and consumers. Companies that take a lead in new technologies intend to dominate the global market by making their technologies into an international standard. However, they tend to seek ways of by-passing the slow procedures of formal SDOs that often hinder prompt action in response to rapid changes in technology and market situations. In the area of disruptive technologies, there is a need to harmonize standardization efforts in formal SDOs for various companies and stakeholders to reap the benefi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innov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s why standardization is more active using market-based mechanisms than through formal SDOs for disruptive technologies. We conducted a Delphi study to investigate standardization strategies in the area of disruptive technologies. This research found that experts understood the core element of disruptive technologies as creating new markets and changing the competition basis in existing industrie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consumers’ behavior. Based on these core characteristics, experts agreed that flexibility and speed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tandardization. Results also show that the perception that standardization activities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companies" profit-making is the key barrier to links between research and companies’ participation in standardization. This research provides implications for formal SDOs and policymaker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