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사 모티프의 문화 간 이야기화 양상과 한국어교육

        김동환 ( Dong Hoan Kim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5 No.-

        이 논문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겪게 되는 기본적인 장애의 정도를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학습자 자신의 언어적 기반 즉 모국어 환경과의 접점을 마련해 주기 위해 간문화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 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 교수·학습의 목표는 `이야기 만들어 가기`를 통한 언어능력과 문화능력의 함양에 있다. 여기에는 일차적으로 학습자들이 지니고 있을 `이야기 능력`에 대한 믿음이 수반되어야 한다. 한국어학습자들은 한국어에 서툰 것이지 언어에 서툰 것이라고 볼 수는 없으며 `이야기 능력`은 인간이 지닌 기본적 언어능력이라는 점에서 적절한 촉매를 제공한다면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본다. 이 교수·학습에서는 학습자가 경험했거나 유사 경험했을 것으로 볼 수 있는 모국어 텍스트를 토대 텍스트로 삼고 그것과 `보편적 모티프의 공유` 관계에 있는 한국어 텍스트를 목표 텍스트로 삼아 과정적인 활동을 하는 데에 그 요체가 있다. 간문화적 간텍스트성을 원리로 삼는 셈이다. 또한 이 교수·학습은 전체적으로 `어휘나 문법`의 기초 범주, `듣기`와 `읽기`의 이해 범주와 `말하기`와 `쓰기`의 표현 범주를 통합하는 활동을 지향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쓰기`활동의 구체화를 통한 한국어 능력의 신장을 도모하게 된다. 그 구체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텍스트 소개와 경험의 도출→토대 텍스트 수용→서사 단락 정리→서사 단락의 기본 요소 추출→토대 텍스트의 기본 요소와 대응되게 목표 텍스트의 기본 요소 제시→기본 요소 이해하기→기본 요소의 서사 단락화하기→서사 단락을 확장하여 텍스트 완성→목표 텍스트 제시와 비교·이해 This research takes aim at searching for a solution to the goal that it is a very necessary program, how a teacher lessen the obstacle in learning korean language by foreigner, and how a teacher make the technique for the learner`s displaying ability to his mother tongue by himself. The methodological core of this article is establishing the foundation that can transfer the ability to think and express from the environment of mother tongue to the environment of foreign language, korean. The concrete programs in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very man have the capacity of making narrative, and that the property and principle of narrative genre-especially motive-is very universal factor, as it will be a device of lessening the obstacle by cultural difference in learning foreign language. The program of making narrative is planned step by step. The step is symmetrical and sequential. The step is as follows, ㆍintroduction of text and awakening experience of learner ㆍacception of basic text ㆍarrangement of narrative paragraph ㆍextraction of elementary factor in narrative paragraph ㆍpresentation of elementary factor in target text correspond with basic text ㆍunderstanding of elementary factor ㆍnarrative-paragraphing of elementary factor ㆍcompleting of text by expanding narrative paragraph ㆍcomparison and understanding of target text.

      • KCI등재

        문화교육의 뿌리와 줄기 : 언어와 문화와 문학교육의 상호성

        김동환 ( Dong Hoan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2 문학교육학 Vol.38 No.-

        This thesis deals with two problems. One is the research of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the other is to set the details of cultur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First,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is to be classified into three aspects. Those are as follows: 1. Language and culture are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2. Language and culture are auxiliary to each other. 3. Language and culture form the strained relationships by the action, those are deviation and attribution. Second, the details of cultur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are to be set up through three categories. Those are as follows: 1. category of production of literary works:contextual factors affecting to the creative process 2. category of circulation process of literature:structural factors involving in the process,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acceptnce) 3. category of acceptance of literature:variables working for the reading of rearers The culture captured and recognized by writer was reproduced through writer`s language, and was to be the object of communication through reader`s language. Thus it is necessary to regard contexts and factors, variables involved in the process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of literary works as the aspects of revelation and working of culture, and we could set up those as details of cultur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 KCI등재

        일반 논문 : 현대문학 정전 형성과정에서의 “대학교양국어”교재의 역할에 대한 고찰

        김동환 ( Dong Hoan Kim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9

        This thesis aims to search a process of canon building in textbooks, focusing modern korean novels. Because the studying of historical material for novel education is essential to persistent and traditional literary education. Some studies for canon in textbooks were given to our related conference. But there are no thesis for searching the process of canon building. In the process, the idea and criteria, valuation basis for material for literary education was involved. Thus this thesis attempt a approach to the process of building. The key method is to compare the list of novel in ``Korean Literary History`` or ``Korean Modern Novel History`` and korean textbook for middle-high School and the materials for college cultural subjects of korean. As a result, I found a meaningful relation between the list in textbook for middle-high School and materials for college cultural subjects of korean. The latter provide the new novels for literary education and directivity of selection for listing of materials. It played much of role in process of canon building as a reliable resources.

      • KCI등재

        국어과 교과서의 문학 제재와 관련된 쟁점과 제안

        김동환 ( Dong Hoan Kim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7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교육을 위한 국어과 교과서에서 제재를 다루는 방식과 관련된 쟁점 등을 도출하여 그 쟁점들의 논쟁적 성격을 밝혀 보고 그에 따른 문제해결적 성격의 제안을 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쟁점의 양상과 그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제재화의 방향성: 심미성(작품)인가, 실용성(언어자료)인가? 문학 제재를 심미성의 대상으로 볼 것인가 실용적인 언어자료로 볼 것인가에 대한 논쟁은 아직 전자가 우세한 편이나 언어자료로서 국어 활동 능력을 함양하고 언어적 감각을 키우는 데 가장 유용한 것이 문학 제재일 수 있다는 관점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제재의 성격화: 정전(正典)인가, 예전(例典)인가? 교과서의 문학 제재는 당연히 정전이어야 한다는 지배적 관점에 대해 특정한 학습 목표나 성취기준을 달성하는 데 적절한 사례가 되는 작품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라는 인식이 문학적 경험의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3. 작가의 위상 부여: 작가성의 극복인가, 작가의 부재인가? 그동안 교과서에서는 작가가 노출될수록 학습활동에 방해가 된다는 견해가 우세하게 작용하여 작가의 위상이 매우 축소되어 거의 부재에 가까운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학습자들이 작가에 대한 유용한 정보들을 확보하고 있어야 비평적 활동에 앞서 접근 통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기에 작가의 부활이 필요하다. 4. 텍스트의 정립: 작가본인가, 편집본인가? 같은 제재라도 어떤 판본이냐에 따라 상당한 편차를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교과서의 문학 제재는 가급적 작가본(초본)을 싣는 것이 저작성이 불투명한 교열본을 싣는 것보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교육적 효용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5. 제시된 이론의 편차: 허용치인가, 오류인가? 여러 교과서에 제시된 주요 이론 개념들 간에 상당한 편차가 보이는 데 다양성의 측면보다 오류에 가까운 양상이라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따라서 교과서에 제시될 이론 개념들은 최소한의 학문적 합의를 거친 후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6 - 1) 텍스트의 축약: 텍스트의 축약인가, 원작인가? 교과서의 제재들 중 소설 같은 경우에는 요약이나 중략, 전후략 등의 조치가 수반되는데 이 경우 질적 축약이라는 방법을 하나의 대안으로 적극 검토해 볼 여지가 있다고 본다. 2) 줄거리의 제시: 서술자의 요약인가, 편찬자의 요약인가? 줄거리를 제시할 경우 서술자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줄거리로 작성해서 제시할 필요가 있다. 3) 삽화의 성격: 비평적 텍스트인가, 장식적 요소인가? 문학 제재에 삽화와 같은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들이 부가되는데 제재와 별개의 것이 아니라 그 생산자에게 해당 작품을 감상한 독자라는 위상을 부여하고 삽화의 생산이 비평적 활동이라는 시각을 갖는다면 유용한 텍스트의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This thesis aimed to draw some issues relevant to the handling of literary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textbook, to figure out argumentative property of issues and to submit some proposal for problem solving. The aspects of issues and proposals a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deal literary materials in textbook, as the practical materials of language education and as the object of esthetic approach. 2. It will be more reasonable to regard the literary material as the case material for achieving instructional goals than to regard as the canon. 3. The rebirth of author must be implemented in textbook because meaningful criticism by learner is made of us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materials. 4. The original text is more useful than various other edition text as materials in textbook. 5. The theoretical concepts for literary education in textbooks are to be offered to learners after minimal arranging process by related academic societies. 6. Augmentative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using qualitatively contracted text, presenting summary based on narrator`s voice, cognizing the illustrating as the critical activity.

      • KCI등재

        소설의 여로구조와 치유 기제

        김동환 ( Kim Dong-hoa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3 No.-

        이 논의에서는 문학치료와 관련된 몇 가지 개념이나 맥락을 제시해 보는데 일차적인 의미를 두었다. 먼저 문학치료와 관련해서 독자들의 유형을 서사구조를 수용하는 양상을 중심으로 관찰자형, 참여자형, 자기화형으로 나누어 보았다. 그 중 서사구조를 자기서사화할 수 있는 자기화형이 문학치료에 보다 유의미한 유형으로 보고 논의를 전개했다. 다음으로는 여로구조를 중심으로 한 서사구조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특히 구비서사로부터 서사의 핵심으로 인식되어 온 `인물의 행적`을 공간과 시간, 지점을 중심으로 도식화하고 특정한 요소들을 강조하거나 특화해서 접근하도록 했을 때 단순히 구조에 대한 재인식이 아닌 자기서사화와 같은 적극적인 활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가 될 수 있음을 수업 현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논의의 초점은 독자들이 여로구조형 소설을 읽으며 자기 치유에 이르는 과정을 추적해 볼 때 대체로 `소환(召喚)` `교정적 정서 체험` `전이[역(逆)전이]` 등과 같은 기제를 통해 수용활동을 하게 됨을 발견하게 되었다는 점에 있다. 여기에서 치유 기제로 제시한 세 개념의 타당성과 근거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접근이 필요하기에 연구자들의 관련 논의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several theoretical concepts concerned with literary therapy. The entire gamut of novel readers is firstly segregated into three categories at the point of literary therapy, namely the observer, the participant, and the self-undergoing type. Among these, the third type proves to be the most useful in literary therapy. More importantly, the paper sheds light on the necessity of a new understanding of the narrative structure, and its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s. A fresh perspective on space, time, and the character`s will benefit the readers in the context of literary therapy. The paper goes on to suggest three concepts of healing mechanism concerned with accepting the process of journey in novels, when it comes to self-undergoing type of readers. The concepts―“recall,” “remedial emotional experience,” and “displacement [counter displacement]”―are further explored and their effects explained.

      • KCI등재

        일반논문 : 소설 읽기 전략으로서의 여로구조 읽기

        김동환 ( Dong Hoan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9 No.-

        문학교육의 결과로 이상적인 독자로 성장해 가야 하는 학습자가 우리 시대의 다양한 소설을 교육현장을 떠난 상황에서 처음부터 조력자 없이 자력으로 읽어내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그런 측면에서 이 시대 소설들이 빈번하게 취하고 있는 여로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을 읽어내는 학습을 할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소설 읽기 능력을 함양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첫째, 여로구조를 활용해서 소설읽기를 시도할 경우 주체적인 접근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삶의 과정을 여로에 비유하는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여로구조는 삶의 보편적인 속성을 잘 담아낼 수 있는 내적 형식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둘째, 여로구조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는 요소들이 분명하게 설정되고 그것이 순차적인 과정을 통해 제시된다는 점은 여로구조의 파악이 소설 읽기 전략으로 성립될 수 있음을 말해주는 근거가 된다. 셋째, 여로구조가 지닌 또 하나의 전략적 이점은 여로 자체가 독자의 삶이나 상황으로 전이될 여지가 매우 크다는 점이다. 아직 미숙한 상태의 학습자들로서는 주체적으로 작품을 수용하거나 주도적인 학습을 통해 작품에 접근하는 일이 수월하지 않다. 그러나 여로구조를 취한 소설의 읽기는 여로가 삶의 표상이라는 점에서 독자 자신의 삶이나 상황으로 전이시키기에 수월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a strategy of reading novels for readers who receive a literary education, who must read modern novels without any other advice. The focus skill for them that this article suggest is reading novels through understanding journey form as a inner form of novels. The journey form is very universal form in modern korean novels. This strategy provide several advantage for improving capacity of reading novels. That is as follows, 1. Learners can access to novels with subjectivity because journey form function as a device for including universal property of lofe. 2. To apprehend the journey form can be the strategy of reading novels because the elements of journey form are presented clearly and successively, thus readers can easily follow the narrative. 3. The another strategic advantage of reading journey form is that journey can be successfully transferred in to readers ’ context. It is very difficult for learners to accept novels with subjectivity alone because they are not mature as a reader. but reading novels with journey form has advantage for transferring situation in novels in to the situation of readers in that journey itself is the representation of life.

      • KCI등재

        문학치유의 서사적 장치로서의 병치

        김동환 ( Kim Dong-hoa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1 No.-

        이 논의에서는 서사 문학을 통한 치유의 양상은 서사의 작동원리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통해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작가의 문제 인식과 해결 방식이 어떻게 독자에게 전이되어 치유의 효과를 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 한 방법론적 모색으로 `병치`를 통한 치유의 한 양상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서사의 여러 장치들 중 여로구조나 모티프 등의 장치와 함께 `병치`라는 장치에 주목하게 된 것은 그간 서사물의 수용 교육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인물과의 동일시`라는 양상에 대한 반성적 접근에서 비롯되었다. 동일시가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들은 상당히 까다로울 수밖에 없는데도 작품 수용의 주요 양상으로 제시된 것은 전략적 접근을 소홀히 한 탓으로 판단되기도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병치`는 매우 효과적인 접근 방법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병치는 작품 속 인물과 독자 사이에 분명한 거리 두기가 개입되어 있으며 자기로의 전이를 위한 통로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플롯을 재 개념화하여 제시할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권여선의 <사랑을 믿다>와 공지영의 <맨발로 글목을 돌다>는 병치를 통한 치유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두 작품에서는 창작 주체의 측면에서의 치유가 독자의 치유로 전이될 수 있는 통로를 병치를 통해 마련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전자는 극복해야 할 아픔보다 상위에 놓이는 아픔을 지닌 인물들의 병치를 통해, 후자는 폭력이라는 동질성으로 묶일 수 있는 존재들의 병치를 통해 자신의 상처를 극복해가는 양상을 보여준다. 서사적 장치로서의 병치는 거리두기가 전제되는 작동 양상을 보여주기에 외국인들의 한국문학 수용과정에서도 유용한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었는데, 이는 문학치료학의 또다른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grope the utility of juxtaposition as a device for literary therapy and also the method of making the use of modern novels as a material for literary therapy. This paper make a proposal that the established concept of plot should be re-configurated as follows, `plot is constructed by some informations selected from story`. Thus first step of reading narrative is to seek the information excluded by writer. In the process of seeking information, readers experience the writer`s problems that is so called transfer. The healing effect of narrative text is derived from the transfer activity. The readers accept the problems of main character(or writer) as their own and they acquire the method for resolving problems self-oriented. Two novel, `Believing love` `Turn Geulmok in bare feet` is the good case to show that transfer activity. The useful device for transfer activity offering in two novel is juxtaposition. In this place, juxtaposition means that some other peoples who have more serious problem than subject are situated in the narrative situation as the comparison target. Subject resolves the problem by doing juxtaposing. Readers experience the same process, and they have the therapy effect.

      • KCI등재

        소설교육에서의 "시점" 개념에 대한 반성적 고찰

        김동환 ( Dong Hoan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9 문학교육학 Vol.30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oretical concepts of novel which are used in literature education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concept of `point of view`. The usage of theoretical concepts of novel in educational programs and textbooks has shown a considerable variation and it may cause confusion to learners. In case of `point of view`, the main problems are disagreement over the terms and confused usage of narrator and author. I believe the problem arises from the fact the reception of the concept `point of view`. in the early introductory literary studies books was confusing. That is, while Understanding Fiction modified the concepts, we have sticked to the first meaning. Especially, in the third-person point of view, `author` being confused with `narrator` is the main problem. The terms like `observers` point of view` or `omniscient point of view` make learners have a mistaken idea that the author is directly engaged in narration, which causes confusion to learners when they understand novels. Since the confusion in basic theory can lead to the distortion of overall frame of novel education,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theory based on social consensus and related research societies are required to come forward to deal with the problem.

      • KCI등재

        자유논문 : 이론 개입형 소설 수업의 설계와 운용-"사건"과 "주인공" 개념을 중심으로-

        김동환 ( Dong Hoan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7 No.-

        문학 교육 현장에서 소설의 기본 개념에 대한 학습은 매우 중요하다. 기본 개념은 작품에 대한 접근 통로를 열어주며 창의적인 발상의 출발점이 된다. 구체적으로 ‘사건’과 ‘주인공’이라는 개념은 그동안 어떤 국어과 교과서에서도 개념으로 제시되지 않았지만, 그에 대한 학습은 작품에 대한 창의적 해석과 수용의 길잡이가 된다. 사건을 인물들에게 의미 있는 변화를 야기 시키는 일로, 주인공은 가장 의미 있는 변화를 겪은 인물로 개념 규정하고 작품 수용 활동을 할 때 독자(학습자)는 매우 달라진 양상을 보이며 주체적인 수용자로 거듭나게 된다. The study aims to provide a model of novel education based on the primary theory-concept of novel. The learning of primary theory of navel is very important, in that a primary theory served as a useful access device and a starting point for creative thinking. Concretely explaining, the concept of ‘event’ and ‘hero’ has not been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but the learning of those concept will becomes a guide to creative interpretation and acceptances of works. When teacher defined the concept of ‘events’ and ‘hero’ as a concept of ‘the thing brought significant change’ and ‘the character undergone the most significant change’, readers(learners) become a independent with considerable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