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문정별단(問情別單)’을 통해 본 중국 표착(漂着) 제주인(濟州人)의 표환(漂還) 실태

        김동전 ( Kim Dong-j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2

        표환인은 표류되었다가 돌아온 사람으로 漂人이라고도 한다. 표환인 문정별단은 표환인의 거주지, 표류 일시, 표착지와 표착지의 지형과 사람들의 생활 모습, 지형·민속·의복·음식·農桑·城池·군병, 표착지에서의 이동 거리, 경유지에서의 견문 내용, 체류일자 및 이국에서 대우받은 사항 등이 주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18세기 제주 표환인 문정별단은 시기적으로 영조 17년(1741)에서 정조 3년(1779)에 해당하는 9개 사례이다. 즉, 영조 17년(1741) 김철중(18명), 영조 34년(1758) 김해백(40명), 영조 38년(1762) 김중경(7명), 영조 41년(1765) 김순창(8명), 영조 46년(1770) 부차길(8명), 영조 51년(1775) 김세발(7명), 정조 2년(1778) 5월 고만재(13명), 정조 2년(1778) 8월 고수만(46명), 정조 3년(1779) 윤도준(9명) 등의 표환 사례이다. 결국 9개 사례를 통해서 볼 때에 표류지역은 대부분 제주와 추자도 인근 해역에서 표류하고 있으며, 표착지는 절강성 전잠도, 관산도, 영성현, 복건성 하포현, 장산도, 소주부 영부사, 새사홍도 등 강소성, 절강성 복건성 일대와 대만 지역에 이르고 있다. 귀환 경로는 북경을 거쳐 심양, 책문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귀환 경로 중에 대접 받은 내용들은 대부분 음식과 의류이다. 쌀, 돼지고기, 좁쌀, 道尾魚, 메밀국수, 單長衣·單袴·履子, 大布, 大米, 염소, 바지, 방한구, 버선, 신발, 양피옷, 이불, 양피 털 버선, 은자, 당전, 은화 등이었다. 표환인들의 출항은 말 안장, 말, 귤, 전복 등의 진상, 나리포창의 곡식 운반, 갓양태 등의 行商, 유배, 어업 활동 등을 하다가 표류하고 있다. 9개 사례 표환인 총 156명 중에 나이별 분포는 10대 4명, 20대 34명, 30대 55명, 40대 36명, 50대 19명, 60대 6명, 70대 2명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20~40대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생산 활동이 강한 사람이 많이 표류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표류해서 귀환 중에 사망한 양진영, 박천망의 경우처럼 병사자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지역에서 검시가 이루어진 후에 장례가 치루어졌다. 제주거주 사실을 속이고 거짓 진술하는 諱稱은 전라도 영암군 소안도, 강진, 나주 출신임을 밝히는 사례가 있었다. Pyohwanin(漂還人, a returnee from drift), who is also called Pyoin(漂人, a drifter), refers to a person who has returned from being adrift on the sea. Pyohwanin Munjeongbyeoldan is largely composed of the following contents about returnees from drift: the residential areas; the period of drift; the landing places, and the geographical features and the lifestyles of the residents of the landing places including their manners and customs, clothes and food, the agriculture and sericulture, castles and ponds, and military forces; the distances of traveling in the landing places; the contents of experience in visiting places; the period of stay; the details of their being treated in the foreign country. Pyohwanin Munjeongbyeoldan of Jeju island in the 18<sup>th</sup> century includes nine cases ranging from 1741 (17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of the Joseon dynasty) to 1779 (3r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of the Joseon dynasty). Speaking concretely, they are the returnees from drift: Kim Cheol-jung (18 people) in 1741 (17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Kim Hae-baek (40 people) in 1758 (34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Kim Jung-gyeong (7 people) in 1762 (38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Kim Sun-chang (8 people) in 1765 (41st year of King Yeongjo’s reign), Bu Cha-gil (8 people) in 1770 (46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Kim Se-bal (7 people) in 1775 (51st year of King Yeongjo’s reign), Go Man-jae (13 people) in May, 1778 (2n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Go Su-man (46 people) in August, 1778 (2n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and Yun Do-jun (9 people) in 1779 (3r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When seen through these nine cases, drifts happened mostly on the sea near Jeju island and Chuja island, and their landing areas covered Jiangsu province, Zhejiang province, Fujian province and Taiwan such as Jeonjamdo Island in Zhejiang province, Gwansando Island, Ningcheng county, Xiapu county in Fujian province, Jangsando Island, Yeongbusa in Suzhou prefecture and Saesahongdo island. The return routes covered Beijing, Shenyang and Zhamen. Most of the items provided on the return route were food and clothes including rice, pork, millet, porgy, buckwheat noodles, long clothing for ladies, trousers for men, shoes, hemp cloth, goats, cold weather gears, socks, sheepskin dress, blanket, sheepskin and wool hair socks, silver, Tang coins and silver coins. Returnees from drift(Pyohwanin) were mostly sailing to present horses' saddles, horses, tangerines and abalones to the king, to transport grain from Naripo port, to sell hat shades and etc, to go into exile or to go fishing, when they got adrift in the sea. The age distribution of in total of 156 Pyohwanin(returnees from drift) shown in the nine cases consisted of 4 people in their 10s, 34 people in their 20s, 55 people in their 30s, 36 people in their 40s, 19 people in their 50s, 6 people in their 60s and 2 people in their 70s. People in their 20s to 40s account for more than 80%. This means that people who were active in production made up the majority of drifters. In a case where a drifter died of sickness on the way back from drift like the cases of Yang Jin-yeong and Park Cheon-mang, the funeral was conducted after the corpse was examined in the relevant district. There were cases of false statements such as hiding the fact of residing in Jeju Island and telling a lie of being from Soan Island in Yeongam-gun, Gangjin and Naju, Jeolla province.

      • KCI등재

        근대 제주지역 지식인의 외부세계 소통과 활동

        김동전(Kim, Dong-J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7

        근대 제주지식인들은 다른 지방 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 근대 세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함으로써 제주라는 지역적 공간과 전통의 문제를 보편적인 문제로 고양시키고, 그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 나가고자 하였다. 섬이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중앙과의 원활한 소통에는 제약이 있었지만, 일단 제주인들은 최익현, 김윤식 등 제주 유배인들을 통한 중앙과의 소통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소위 ‘조천김씨’로 일컬어지는 김해김씨 조천리 이동파 문중 출신의 김응전과 김응빈 형제의 끊임없는 서울 왕래와 대원군, 민태호와의 교류는 제주지식인들이 중앙정치인들과의 소통을 의미한다. 김윤식과 이동파 문중의 김응빈을 중심으로 주도된 204회의 ‘귤원’ 시회는 제주와 중앙의 의식 세계를 공유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이었다. 중앙의 의식세계로 대표되는 제주 유배인 집단은 김윤식으로 결집되어 있었고, 지방의 의식세계를 대변하는 집단은 김응빈을 중심으로 송두옥?김희정 등이 결합되어 있었다. 이 둘의 만남의 장이 곧 ‘귤원’ 시회이며, 이는 중앙과 지방이 서로의 소통을 통한 결합의 장이었다. 또한, 조천김씨 이동파 문중 출신 가운데 송산 김명식은 제주 조천리 외에, 서울, 일본의 동경과 오사카를 왕래하면서 당대의 사상가들과 교류하면서 레닌과 러시아혁명, 르크스주의 등 사회주의 사상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 그 후 사회혁명당, 고려공산당에 가입하여 주요 간부로 활동하였으며, 조선청년연합회, 조선노동공제회 창립을 주도하였다. 그리고 동아일보와 신생활 잡지를 통해 그의 사상을 대중들에게 전파시킴으로써 무산계급의 혁명을 실천에 옮기고자 하였다. 당시 국내외에서 운동의 핵심에 위치했던 제주출신 무정부주의 항일운동가였던 고순흠, 노동운동가인 김문준, 양제박, 홍순녕, 혁신적 지식인 이성태 등과 밀접한 교류를 통해 사회주의 운동을 실천해 나가고자 하였다.

      • KCI등재

        18세기 후반 濟州地域 公奴婢의 存在樣態

        김동전(Kim, Dong-j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07 역사민속학 Vol.- No.24

        1780~90년대에 작성된 대정현 4개 리(동성리?중문리?자단리?금물로리)의 호적중초를 통하여 조선후기 공노비의 존재양태에 대한 일면을 고찰하였다. 18세기 후반 대정현 상기 4개 리에는 45%내외의 공노비가 존재하고 있었다. 호적 기재양식에 있어서 공노비의 소속처는 물론 공노비의 母에 대한 기록이 원칙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나아가 공노비호의 경우에 있어서 本貫의 기재가 모두 이루어지고 있고, 姓名의 기재는 奴와 婢가 차등이 있는데, 奴의 경우는 성명이 거의 모두 기록되어 있으나, 비의 경우는 名만 기재하고 있었다. 공노비의 가구구성은 대체적으로 2~4인 호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호당 평균 인구수는 4.0명에 불과하여 전체 호당 평균 인구수 5.8명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공노비의 혼인양태는 公奴가 相婚이 83.9%, 交婚이 16.1%정도이며, 公婢는 상혼이 84.9%, 교혼이 15.1%정도로 공노와 공비의 사회적 지위는 거의 비슷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18세기 제주지역 공노비들의 免賤從良은 주로 代口免賤과 身賤役良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순조 원년(1801) 공노비 혁파로 제주지역의 공노비는 모두 양인 신분으로 전환되기에 이른다. 결국 18세기 후반 제주지역 공노비는 여러 면에서 열악한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지만, 순조 원년을 계기로 일반 양인과 다름없는 사회적 지위를 획득해 나갔다. This study considers the existence aspects of Gongnobi-the slaves who were held to work for government through Hojeokjungcho of four villages(Dongseongli, Jungmunli, Jadanli, and Geomunloli) in Dawjeonhyeo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re existed about 45% Gongnobi in four villages of the above statements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form of Hojeok(family registration) required the name which they were attached to, and the maternal line for reveal their history. In addition, it should include Bongwan(the family origin) for Hogu(houses and inhabitants) of Gongnobi. Also, their name was registered discriminately. That is , the full nam was written for male and only first name without family name for female. There were usually two to four members in Gongnobi"s family. The average was just four. That meant below the average of 5.8% of other common families. The marriage of male and female assumed similar aspects. For male servants, the marriage between servants with the same social levels accounted for 83.9% and the cases between servants and the commoners(Yangin) were 16.1%. For female servants, the former was 84.9% and the latter 15.1%. Myeoncheonjongyang -the change of social position from slave to Yangin -was through Daegumeoncheon buying social position and Shincheonyeokyang playing a role of Yangin temporarily and free from slave in the end. Yet, all of Gongnobi in Jeju became Yangin by the abolition of Gongnobi in the first year of Sunjo"s reign(1801). To sum up, Gongnobi in Jeju held very low social position but, in the first year of Sunjo"s reign, their social status was raised equivalent to Yangin.

      • KCI등재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 : 호적중초에 보이는 본관명 ‘大元’ 가문의 사례분석

        김동전(Kim Dong-Jun) 역사문화학회 2010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3 No.2

        제주도는 1273년(원종 14)부터 1374년(공민왕 23)까지 100여 년 간 몽골의 직 · 간접적인 통치를 받았다. 이 시기에 몽골의 일부 사람들이 통치자(제주를 다스리는 사람), 군인, 목호(말을 키우는 사람), 유배인의 신분으로 제주에 정착하였다. 제주에 건너온 그들의 후손들은 본관을 「大元」이라 칭하였다. 제주읍지류에서는 趙 · 李 · 石 · 肖 · 姜 · 鄭 · 張 · 宋 · 周 · 秦 등 10개 姓 외에 康 · 佐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 조선후기 제주지역 호적중초에서는 車 · 洪 · 徐씨가 추가로 나타났다. 19세기 중반 전후의 호적자료에는 대원 본관으로 姜씨와 佐씨가 강하게 남고 있었다. 어떻든 19세기에 들어오면서 점차 ‘대원’ 본관은 사라지지만, 일부의 성씨는 19세기 후반까지 ‘대원’ 본관을 유지하고 있었다. 가문 분석을 통해서 볼 때, ‘대원’ 본관을 지속해 가는 가문의 경우에 校奴, 畓漢, 牙兵, 募軍, 果直, 群頭, 席匠 등의 職役을 칭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들의 사회적 지위 상승은 쉽지 않았다. 다만 대원 본관들 가운데 일부의 가문은 ‘大元姜民’에서 ‘晋州姜氏’로 본관을 바꾸는 등 ‘대원‘ 본관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이는 제주사회에 마지막 남아 있던 대원 본관 가문들이 19세기 제주사회에 적응해 나가는 삶의 한 방식이었다. Jeju island was under the direct and indirect reign of Yuan for over 100 years from 1273 A.D. (Wonjong 14) to 1374 A.D. (King Kongmin 23). During this period, some people of Y?an established in Jeju island as a ruler, a soldier, a herder, and an exile. Their descendants called their places of origin 'Daewon' (Great Y?an). In the journals of Jeju town, we can recognize some last names such as Jo (趙), Lee (李), Seok (石), Cho (肖), Kang (姜), Jung (鄭), Jang (張), Song (宋), Ju (周), Jin (秦). I examined the last names which has their origin places as 'Daewon' in the family registers of Jeju of late Chosun Dynasty. As a result, some last names such as Cha (車), Kang (康), Jao (佐) were added. In the 19th century, the origin places of Daewon gradually disappeared, but until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some last names maintained their origin places of Daewon. In light of the analysis of some family clans which continued to keep their origin places of Daewon, those family clans assumed the positions of Kyono (校奴), Daphan (畓漢), Abyoung (牙兵), Mokun (募軍), Gaojik (果直), Kundu (群頭), Seokjang (席匠), etc. and had difficulty in elevating their social status. Some of the families changed their origin places of Daewon into Jinju Kang (晋州姜氏) and tried to throwaway their origin places of Daewon. This means that even in the 19th century the last names, which has the origin places of Daewon, were low in social standing.

      • KCI등재후보

        濟州鄕校 所藏 조선후기 古文書 자료의 종류와 내용

        김동전(Kim Dong-Jun) 역사실학회 2008 역사와실학 Vol.36 No.-

        This thesis covers the contents of 50 ancient documents housed in th Ieiu Confucian School which is located in Yongdam-dong Juju City. The ancient documents housed in the Jeiu Confucian School includes eight Jeolmokryu(records on enforcement regulations) two Seonsaengan(records on the names positions and the dates of birth of officials) nine Hyangan(records on names of families qualified to become an official) ten Chongeumrok(records on a list of Confucian scholars) five Pumgwanan(records on a list of hierarchical official ranks twelve records related to Confucian School and 4 other documents. Most of the ancient documents were written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more specifically from the first year of King Injo (1623) to the year 1902. The contents of those ancient docu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Jeolmokryu documents described the economic foundation of the Jeiu Confucian School. It also recorded regulations about collecting taxes on the lands belonging to the Jeju Confucian School farmers' protest against levied taxes and new measures taken by the Jejumok government. The Jeolmokryu documents are about strengthening the economic foundation of the Jeiu Confucian School by preventing the privatization of the lands belonging to the. School. In order to manage the lands efficiently the Jeolmokryu documents recorded the farmers of lands belonging to the Jeju Confucian School crops areas tax amount and sales relationships. Second those ancient documents includes the contents of strengthening education for students. According to the documents the abolition the system of hiring teachers was preventing efficient education so the system of hiring teachers was reintroduced to enhance education for students. Some documents includes teachers' duties and a list of students. Third through the ancient documents we could see the changes at that time. For example the decree of abolishing Confucian schools in 1871 forced the Gyullim Confucian School to be merged with the Jeiu Confucian School. Fourth in the Seonsaengan documents were listed the names of the successful Jeju candidates in the state civil and military service exams. The Seonsaengan documents included the names of influential figures in the Jeiu region. The Jeiu Confucian School was a typical Jeju school. Considering the merge of the Gyullim Confucian School to the Jeiu Confucian School a lot of ancient documents must have been housed in the Jeju Confucian School. However most of the ancient documents were lost and destroyed. About 50 ancient documents were recently found and recovered. These documents are crucially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integral aspects of Jeju education and country societie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이어도와 이어도과학기지에 대한 역사학적 인식-동아시아 해역 갈등의 해법 모색을 위해-

        김동전 ( Kim Dong-j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2013년 11월 23일 중국은 동중국해 상공에 ‘방공식별구역(ADIZ,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을 선포하였다. 중국이 새로이 설정한 방공식별구역에는 중ㆍ일간 해양영유권 분쟁이 야기되는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 그리고 한국의 이어도과학기지가 설치된 이어도가 포함되어 있다. 본고는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국의 방공식별중첩구역에 포함되어 있는 ‘이어도(Ieodo)’에 대한 역사학적 인식을 토대로 동아시아 해역 갈등의 해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어도 및 그 주변수역은 경제적, 해양과학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어서 동아시아해역에서 한ㆍ중ㆍ일 3국의 이익이 교차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역사학적 관점에서 이어도과학기지가 설치된 이어도가 확인되기 시작한 것은 고종 5년(1868)의 일이다. 그 후 1900년 6월 5일 영국상선 Socotra호가 암초에 스치는 접촉사고가 발생하였다. 1901년에 영국해군이 암초를 확인하고 측량하여 ‘Socotra Rock’이라 해도에 표기하였다. 이 Socotra Rock에 인공구조물인 인공섬 건립을 가장 먼저 계획했던 나라는 동아시아 3국에서도 일본이었다. 1938년 일본은 나가사키-五島-제주도-소코트라 암초[波浪ス]-화조산도-상해를 연결하는 920km의 해저케이블 수립을 계획했었으나 태평양전쟁으로 이 계획은 실현되지 않았다. 해방후 한국의 이승만 정부는 ‘평화선 선언’을 앞두고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파랑도 탐사를 시도했었으나 실패하였다. 박정희 정부는 1977년에 파랑도가 국제법상 영유권 설정대상은 아니지만, 경제수역 선포시에는 인공도서 등을 설치 이용할 수도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적극적으로 인식하였다. 1984년 5월 KBS 탐사대에 의해 스코트라암초인 수중섬이 확인되었고, 이곳을 제주인들이 상상 속에 존재해 오던 환상의 섬, ‘이어도’로 명명하여 2001년 1월에 공식적으로 확정하였다. 2003년에 이어도과학기지가 완공되어 주변해역의 해황 및 기상상태의 관측자료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해양예보, 기상예보, 어장예보, 지구환경문제, 해상교통안전, 해난재해방지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동아시아 해역을 둘러싼 한ㆍ중ㆍ일의 갈등은 이미 예견되어 왔다. 아마 이러한 갈등은 앞으로 더욱 증폭될 가능성이 많다. 그것은 동아시아 3국의 이익이 밀접하게 교차되는 지역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특히, 21세기 세계의 중심이 서서히 동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동아시아 3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한 경쟁적 갈등관계가 더욱 노골화될 것이 분명하다. 이어도 및 동아시아 해역을 둘러싼 동아시아 3국의 역사전쟁은 서로 자국에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려는 전략인 셈이다. 이어도과학기지에 대한 검토는 결국 동아시아해역의 갈등적 요소를 어떻게 하면 한국이 주도적으로 풀어나갈 것이며, 이어도과학기지 인공구조물이 설치된 해역을 우리가 항구적으로 선점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찾아 동아시아 해역 갈등의 해법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China declared ADIZ(Air Defense Identifcation Zone) over the sky of the East Sea of China. The new ADIZ covered Senkaku Islands(尖閣列島)/Diaoyudao(釣魚島) where there is sovereignty conflicts between Japan and China, and it also covered Ieodo where Korean ocean research station is. While Ieodo is covered by all three ADIZ of Korea, China and Japan, this article tries to find out a solution to the conflict over the east asian sea by analyzing Ieodo based on Historical folklore perspective. Ieodo and surrounding sea is perceived as an economically, scientifically and militarily important region. In historical view, Ieodo was first reported in 1868(고종 5년). Then, British navy marked Ieodo as 'Socotra Rock' on marine chart in 1901 after british merchant ship named Socotra collided with the rock in 1900. Japan was the first nation to plan to build an aritificial structure on Socotra Rock. In 1938, Japan had planned establishing a 920km long submarine cable connecting Nagasaki - Goto - Jeju island - Socotra Rock - Huaniaoshan Island - Shanghai but was never carried on due to the Pacific War. After regaining independence in 1945, Rhee Syng-man(이승만) government tried to explore Ieodo but failed. Park Jung-hee(박정희) government also failed in 1973 but by 1977, they saw Ieodo as not a subject for sovereignty but a subject for economic zone. In May, 1984, KBS expedition reported a submerged rock which found out to be Socotra Rock and by January 2001, it was named Ieodo after utopian island of people of Jeju islands' imagination. In 2003, Ieodo ocena research center was built and the station collect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 real-time basis which is required for ocean and weather forecast, fishery forecast, response to the global environmental challenges, safety of marine transportation, coastal disaster prevention and climate change predic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제주 술의 문화적 원형과 콘텐츠화 전략

        김동전(Kim, Dong-j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7

        본 연구는 제주 전통주에 대한 다양한 역사민속학적 문화원형을 통하여 제주 전통주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콘텐츠를 활용하여 소비자들에게 제주 전통주의 문화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문화산업콘텐츠의 전략을 구상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제주 술의 문화적 원형은 제주의 자연적 농업환경에서 고소리술, 오메기술이 나타났고, 몽골의 약 100여 년간 제주간섭에서 제주 소주가 유래하였다. 강술, 오미자술, 쉰다리술, 시로미술등의 문화적 가치도 제주가 가지는 특징이다. 고소리술의 전통을 계승하여 생산하고 있는 증류식 소주 ‘한라산 허벅술’은 일본 오키나와 泡盛(あわもり)와 여러 면에서 매우 유사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오키나와 泡盛의 역사와 민속을 통해 아와모리 文化誌를 살피고, 比嘉酒造의 사례를 통해 아와모리의 문화산업콘텐츠 성공 사례를 확인함으로써 허벅술을 비롯한 제주 전통주의 문화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즉, 일본 오키나와의 泡盛이 전통에 집착하지 않고, 전통을 계승하며 현대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어 순하고 마시기 좋은 名酒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더구나 아와모리 판매가 오키나와 관광수입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제주를 찾는 수많은 소비자들이 제주다운 명주가 없다고 불평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오키나와 아와모리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유익한 점은 매우 많다. 제주 전통주가 향토색을 넘어 제주를 찾는 수많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지역특화 문화상품으로 활성화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제주 전통주의 다양화와 차별화 경쟁, 지역문화축제와의 연계, 제주전통주 소비문화조례 제정, 술박물관, 술테마파크, 전통주 기내서비스 도입, 전통주 소비쿼터제 운영, 웰빙쉰다리의 감주 개발 등 제주다운 콘텐츠 특성화 전략을 다양하게 마련함으로써 제주술의 대중화 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Jeju liquor through various historical folklore cultural origins about the alcoholic drinks, and come up with the strategy for the content in the cultural industry by effectively delivering the cultural values of the traditional Jeju liquor to costumers. First, as to the cultural origins of Jeju liquor, Gosorisul and Omegisul were naturally brewed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n Jeju and Jeju Soju was originated from interference in internal affairs of Jeju by Mongol for about a century. The cultural values of Gangsul, Omijasul, Swindarisul, and Siromisul are the characteristics of Jeju liquor. “Hallasan Heobeoksul”, the spirit made of the natural volcano bedrock water, rice and barley grown in Jeju in succession to the tradition of Gosorisul, is very similar to Awamori (あわもり) in Okinawa, Japan.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Awamori cultural records through the history and folklore of Okinawa liquor and discover the success stories of the content in the cultural industry about Awamori through the examples of Higajujo and learn the implications to be used for cultural industrialization of the traditional Jeju liquor such as Heobeuksul. In other words, Okinawa liquor in Japan plays a big role in tourism income in Okinawa not by being obsessed with the tradition but by developing into mild and drinkable premium liquor which is costumed to the taste of modern consumers in succession to tradition. Given that many visitors complain about the absence of premium liquor that represents Jeju, there are many lessons to learn from Awamori in Okinawa.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traditional Jeju liquor as a cultural product specialized in the region for many tourists visiting the island beyond its local feature. To that end, it is required to devise the popularization measure for Jeju liquor by establishing various strategies specialized into the content that can represent Jeju including diversification and competition of differentiation of traditional Jeju liquor, connection to regional cultural festivals, establishment of the ordinance of consumption culture of Jeju traditional liquor, liquor museum, liquor theme park and introduction of traditional liquor to in-flight service, operation of consumption quarter policy of traditional liquor and development of well-being “Swindari Gam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