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플립드러닝을 활용한 유아교과교육론 수업의 적용 효과 및 경험 탐색

        김남연(Kim, Nam-Yun),문가영(Moon, Ga-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러닝을 활용한 유아교과교육론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그들의 수업 참여 경험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J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76명으로 2018학년도 8월부터 12월까지 플립드러닝을 활용한 유아교과교육론 수업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교수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를 학기 전·후에 실시하였고 학습자의 반성적 저널을 수집하였으며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플립드러닝을 활용한 유아교과교육론 수업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은 ‘주도적 학습자로 성장하는 발걸음’과 ‘전문성을 지닌 유아교사로 성장하기 위한 밑거름’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플립드러닝을 활용한 교수학습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subject mat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flipped learning on the teaching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experiences in class particip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6 sophomore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J University, and participated in the lesson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using fliped learning from August to December of 2018.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teaching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mester. Also, learner’s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ing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mproved through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using flipped learning. In addition,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steps to grow as a leading learner’ and ‘base to grow as a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sugges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 불안 및 동작교육에 대한 태도와 동작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1)

        김남연(Kim Nam-Yun),이은형(Lee Eun-Hy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6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 불안과 동작교육에 대한 태도가 동작교수효능감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예비유아 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 증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작교육 교과목을 이수한 전문대학 2학년 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동작교수 불안 정도는 중간 이하 수준 으로, 동작에 대한 태도와 동작교수효능감은 중간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작교수효능감과 동작교수 불안 및 동작교육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작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편안함은 동작교수효능감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동작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vement teaching anxiety, attitudes toward movement education,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17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colleges around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nam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8.0.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core of pre-service teachers movement teaching anxiety was slightly below average, the score of attitudes toward movement education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were slightly above average. Pre-service teachers movement teaching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movement educ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Pre-service teachers movement teaching anxiety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movement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presented i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s by the effective management of movement edu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남연(Kim, Nam-Yu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 속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유아교육과 1, 2학년 재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업소진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한 후,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은 자아탄력성과 부적 상관이 있고 학업스트레스와는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공부스트레스와 긍정성, 그리고 시험스트레스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개인적 노력과 함께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on academic burnou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questionnaire on self-resilience,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was conducted for 247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the 3-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For this data, frequency, percentage,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ere calculated using SPSS WIN 24.0,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burnou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go resilience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go 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Second, academic stress and ego resilienc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academic burnou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sub-factors of ego 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on academic burnout, study stress, positivity, and test str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individual efforts to prevent academic burnou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공립유치원 임용시험 준비과정에서의 경험과 개선 요구

        김남연(Kim, Nam-Yun),김명정(Kim, Myoung-Jung),문가영(Moon, Ga-Young),신유정(Sin, Yoo-Ju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임용시험을 준비하여 합격한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이 가진 의미를 밝히고 이에 따른 개선의 요구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 임용시험 체제에서 합격한 공립유치원 교사 14명을 편의표집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시험 준비의 효율과 효과를 위해 학원 강의 수강, 스터디 모임, 개별 학습을 했으며 각각의 경험은 공부의 방향과 전략 모색, 정보 공유와 정서적 지지, 학습 효과 향상과 유아교육에 대한 가치관 형성 등 각기 상이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에 근거하여 국가 및 지자체 수준에서는 교사의 교육관과 인성, 자질을 평가하는 시험체제로의 변화와 평가의 객관성 확보를, 그리고 교원양성기관 수준에서는 임용시험 준비의 길잡이 역할과 정서적 지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공립유치원 임용시험 체제의 개선 방향과 임용시험 준비생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exam preparation experiences for the public Kindergarten recruitment test and to investigate their requests for the system’s improvement. To this end, 14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o passed the current employment examination system were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took part in lecture classes at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study groups, and individualized learning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ir test preparation. Each experience showed different meanings, such as seeking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learning, sharing information, emotional support, improving learning effects, and forming valu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dition, participants requested for some important changes of current test system, including evaluating teachers’ educational viewpoints, personality, and qualities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and the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They also emphasized the important role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hat provides the candidates with emotional suppor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ublic kindergarten recruitment examination system and the social support plans for the candidat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불안 및 음악적 자아개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남연(Kim, Nam-Yun),김명정(Kim, Myoung-Jung),고선아(Ko, Su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불안과 음악적 자아개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3년제 유아교육과의 2, 3학년 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본 자료는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Cronbach s α 계수를 산출하고,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음악교수불안은 음악교수효능감과 부적 관련성이 있으며 음악적 자아개념은 음악교수효능감과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교수불안 중 상태불안과 음악적 자아개념 중 타인의 지지와 인정은 음악교수효능감 전체와 음악교수결과에 대한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음악교수불안 중 상태불안과 음악적 자아개념 중 음악능력에 대한 자기인식 및 타인의 지지와 인정이 음악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음악교육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music teaching anxiety and musical self-concept on music teaching efficacy.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285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in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In this study, Cronbach 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using SPSS WIN 24.0,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usic teaching anxiety was negatively related to music teaching efficacy, and musical self-concept was positively related to music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state anxiety among the music teaching anxiety and the support and recognition of others in the musical self concept were analyzed as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the overall efficacy of the music teaching and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Also, state anxiety among music teaching anxiety and self-recognition of music ability and support and recognition of others in music self-concept were analyzed as major factors influencing belief in music teaching abil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for effective instruction of music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cess.

      • KCI등재

        사립유치원 K-에듀파인 이용 실태 및 담당자의 인식

        김남연(Kim, Nam-Yun),김명정(Kim, Myoung-J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립유치원 K-에듀파인 이용 실태와 업무담당자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4개 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2021년 4월 8일부터 4월 20일까지 전국 사립유치원의 업무담당자 1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과반수는 K-에듀파인 업무를 위해 주당 14시간 이상을 할애하고 있었으며 행정직원이 부재하여 원장과 원감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시스템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도는 보통 이상이었으나 재무회계 관련 이해도는 보통 이하 수준이었다. 또한, K-에듀파인과 관련한 교육, 연수, 지원서비스 등에 다양하게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K-에듀파인의 도입으로 재정투명성과 신뢰성 제고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으나 업무의 편리성 및 업무 경감과 관련해서는 부정적이었다. 또한, K-에듀파인을 이용하면서 사립유치원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것, 전담 행정직원의 부재, 절차의 복잡성, 재무회계에 대한 전문성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K-에듀파인의 안정적인 이용을 위해 행정직원 배치와 같은 현실성 있는 지원 마련과 지속적인 시스템 개선, 그리고 교육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actual use of K-edufine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the perceptions of those in charg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of 24 questions was developed; a survey was conducted on 143 people in charge of private kindergartens from April 8 to April 20, 2021,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devoted more than 14 hours per week to K-edufine work, and the principal and the assistant principal oversaw the work due to the absence of administrative staff.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how to use the system was above average, bu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related to financial accounting was below average. They participated in various education, training, and support services related to K-edufine. Second, the introduction of K-edufine was positive for improving fiscal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but negative for convenience and reduction of work. In addition, when using K-edufine,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kindergartens we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the absence of an administrative staff in charge, the complexity of procedures, and lack of expertise in financial accounting. Therefore, for the stable use of K-edufine, it was found that the provision of realistic support, such as the deployment of administrative staff,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education are required.

      • KCI등재

        유아 대상 원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탐색

        김민정(Kim, Min-Jeong),김희영(Kim, Hee-Young),김남연(Kim, Nam-Yun),문가영(Moon, Ga-You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대응 차원에서 시작된 유아 대상 원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탐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에서 원격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교사 9명을 편의표집하여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대상 원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유아 대상 원격교육의현주소’, ‘유아 대상 원격교육에 대한 딜레마’, ‘유아 대상 원격교육을 위한 제안’으로 범주화되었다. 유아대상 원격교육의 현주소는 준비없이 갑자기 시작된 원격교육, 교육의 주체에 대한 혼란, 차용해서 나열하는교육과정 운영으로 나타났다. 유아 대상 원격교육의 딜레마는 원격교육의 부작용, 피할 수 없는 원격교육의시대, 원격교육의 현실과 교육신념간의 간극, 가정의 조력여하에 따른 차이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원격교육체제 마련, 양질의 콘텐츠 개발, 교수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지원, 부모의 원격교육 조력 강화를 위한교육 지원을 제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 대상 원격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내실화를 도모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dista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ich began in response to COVID-19. Nin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istance education in kindergart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distance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of ‘the current status of distance education’, ‘deliberations over distance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distance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hat the current situation with distance education began suddenly without preparation, which caused the state of education currently is in turmoil. They also reported that such situations forced teachers to manage the curriculum manually without any creativity. Teachers’ deliberations on distance education mostly revolve around concerns on the side effects of distance education, acceptance of the era of inevitable distance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gap between the reality of distance education and their educational beliefs, and the necessity of assistance from one’s family. Teachers suggested the provision of a distance education system, development of high-quality contents, and education support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instructors to be considered for distance education. Ways to manage quality programs and insure substantiality for young children’s distance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영아반의 수학활동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조사

        김갑순(Kab-Soon Kim),이은형(Eun-Hyung Lee),김남연(Nam-Yun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영아반에서 이루어지는 수학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수학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 식을 살펴봄으로써 영아에게 적합한 수학활동이 보육현장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를 위해 어린이집 영아의 수학활동 실태 및 교사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구성한 후 서울, 경기  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배부 및 회수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양적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카이검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담당 영아의 연령, 교사 경력, 기관 규모에 따라 수학활동의 실태와 인식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차이 가 나타났다. 영아의 수학활동은 주로 담임교사에 의해 계획되었고, 중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수학활동 횟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담임교사 및 39인 이하 소규모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영아 수 학활동의 중요성을 포함하여 영아의 발달 특성에 따른 적합한 교육내용과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알려주 는 차별화된 현직교육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s and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mathematics activities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33 teachers of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 The questionnaire was created by the researcher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χ2 and t-test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tivities according to  children’s ages, teachers’ career, and center size.

      • KCI등재

        전문대 예비유아교사의 진로미결정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명정(Myoung-Jung Kim),김남연(Nam-Yun Kim),임정인(Jung-In L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진로미결정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변인으로서 중도탈락의도의 효과와 조절변인으로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문대 유아교육과 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진로미결정, 중도탈락의도, 진로결정수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검사하고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미결정이 중도탈락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미결정은 중도탈락의도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미결정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라 조절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진로미결정, 중도탈락의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등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구조적이고 다각적으로 검증하여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교육과 관련된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career indecis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on their career decision level as the effect of dropout intention and of academic self-efficacy, which are mediate variable and moderator variable respectively. To achieve our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75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amined their career indecision, dropout intention, career decision level, and academic self-efficacy. To analyze hypothesis, we used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indeci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ropout intention. Second, career indecision influenced the career decision level as mediating dropout intention. Third, the effect dropout intention on career indecision controlled the academic self-efficacy.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structurally and multilaterally find out the factors of influence to career indecision, dropout intention, academic 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results have provided basic background data for the future studies as regards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ho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