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그림책 반복적 읽기과정에서의 유아 반응연구

        김낙흥(Kim, Nak-Heung),홍서영(Hong, Seo-Young)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다문화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는 과정에서 유아들의 반응을 질적으로 깊이 있게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참여자는 비영리법인 산아래에서 운영하고 있는 G시 B구에 위치한 Y선교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명이다. 참여 유아들은 2021년 1월 11일부터 1월 29일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 선별된 다문화 그림책 4권을 각각 3회씩 반복적으로 읽었고, 이때 보이는 반응을 연구자가 참여 관찰하며 녹음, 녹화 및 현장노트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비슷한 유형끼리 범주화, 재범주화 및 동료검증 등을 거쳐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유아들의 반응범주는 ‘개인적경험 나누기/동일시하기’, ‘파라텍스트 발견하기’, ‘내용 기억하기’, ‘지식 확장하기’, ‘흥미 및 적극성 표현하기’, ‘상상력 발휘하기’, ‘성경적 반응/신앙 고백하기’, ‘내용 추론하기’, ‘편견 나타내기’, ‘다문화 역량 발휘하기’로 나타났다. 주차가 거듭될수록 유아들은 단편적인 반응에서 포괄적·세부적반응으로, 개인화에서 다문화적·전지구적 관점의 반응으로 변화하고 확장되었다. 따라서 다문화 교육 시 다문화 그림책을 세심하게 선별하여 활용하되 반복적으로 읽으며 유아들이 ‘독자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또 다양하고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observe the responses of children in reading picture books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e participants were four five-year-old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he Y-Missionary institute located in B-gu, G-city, which is run by the non-profit corporation “San-A-Rae”. Participating children read four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ree times each from Jan. 11 to Jan. 29, 2021, and a researcher recorded the responses along with field note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re-categorizing, and verifying peer-checking to similar types while reading repeatedly. According to the research, children’s response categories to repetitive picture books are “sharing personal experience/identification,” “find para-text,” “memory of content,” “extension of knowledge,” “express interest and proactiveness,” “express imagination,” “Biblical view/confess with faith,” “logical inference,” “prejudice”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Gradually, the children expanded from fragmentary to comprehensive and detailed responses, from individualization to multicultural and global perspectives. Starting with this research, I hope that there will be more research to see the interest in read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repeatedly and the responses of children in this process.

      • KCI등재후보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의 지식적 기반과 교수방안에 관한 고찰

        김낙흥(Kim Nak-He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미국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예비교사를 위해 제공되고 있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아동을 교육하기 위해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에게 제공해야 할 지식적 기반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지식이나 기술의 제공과 더불어 예비교사의 사회문화적 인식의 전환을 돕기 위해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고려해야 할 교수방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한국 현실에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BR>  연구 결과, 예비교사는 아동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과 역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아동의 사회문화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고, 아동이 갖고 있는 다른 문화에 대해 편견이나 선입관을 바꿀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아동으로 하여금 사회문화적 배경과 상관없이 평등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사회 변화의 주체로 성장하도록 자극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예비교사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다양한 경험들, 즉 문화적 자서전 쓰기, 다문화적 주제로 토론하기, 지역사회 경험하기, 문화에 적합한 교수법 계획하기 등을 통해 자신의 태도나 신념을 성찰하고 사회문화적 인식과 통찰력을 형성하며 현장실습을 통해 자신이 배운 이론과 실제를 연계할 수 있는 경험과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BR>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게 된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다문화 교육을 위한 지식 기반과 예비교사의 인식 전환을 위한 교수방안은 앞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을 준비하는 한국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nowledge base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know to work with children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rom their own, and the effective pedagogical approaches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consider in order for preservice teachers to change their stereotypes and prejudice and improve their awareness of children’s cultural diversity.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abou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U.S.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uggestions were offe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BR>  According to the findings, preservice teachers need to possess the knowledge and skills to develop culturally relevant curriculum,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children can change their prejudice and stereotype, to promote children to be a social agent who can transform social inequality. Also preservice teachers need to have learning opportunities to improve cultural awareness and insights of children’s diverse backgrounds, to have critical reflection of their prejudice and stereotype, and to bridge theory and practi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diverse pedagogical approaches such as 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topic discussion, community field experiences, and culturally relevant lesson plans.<BR>  The findings provide applicable examples and ideas for Korea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need to prepare propective teachers to have multicultural competencies.

      • KCI등재

        가족관계 중심 예비아버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낙흥(Kim, Nak-Heung),차상진(Cha, Sang-Jin),황어진(Hwang, Eojin),방효국(Bang, Hyo-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녀 양육 및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원부모 및 배우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예비아버지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가족관계 중심 예비아버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2016년 10월부터 2017년 5월까지 문헌연구, 인식 및 요구도 조사, 프로그램 1차 시안 구성, 전문가 협의, 예비 연구, 프로그램 최종안 구성을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건강한 가정을 세우기 위해 예비아버지들이 아버지 역할을 인식하고 좋은 아버지 됨을 준비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총 5회기 교육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아버지 됨의 의미와 아버지 역할에 대해 이해하기, 바람직한 자녀양육방식 이해하기, 원가족 아버지와의 관계 재정립하기, 건강한 부부관계 정립하기, 아버지 자신에 대해 성찰하기를 목표로 하여 가족관계에 기반을 둔 아버지가 됨의 의미, 좋은 아빠로서의 역할, 아버지와의 관계, 부부관계의 중요성 그리고 예비아버지로서의 자기성찰이라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create an education program for prospective father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of origin and with their spouse. It also intends to document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awareness of prospective fathers on the role as a father and on family relationships through the program. To develop the program,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implemented from October 2016 through May 2017: literature research, awareness and needs analysis, preparation of the first draft of the program, consultation with experts, pilot study with prospective fathers, and confirmation of the final program. Themes of the program included: meaning of being a father, role as a good father, relationship with one’s father, importance of marital relationship, and self-reflection as a prospective father.

      • KCI등재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 간의 관계 분석

        김낙흥 ( Kim Nak Heung ),연규승 ( Yeon Gyu Seung ),오연택 ( Oh Yeon Tae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210명이었으며, 유아 정서지능 검사, 유아 자아존중감 검사, K-BASC-Ⅱ, KABC-Ⅱ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인지능력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행동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정서지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문제행동이 정서지능을 예측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문제행동 하위요인인 적응기술이 정서지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인 정서적 자아, 인지적 자아 그리고 문제행동 하위요인인 행동증상 순으로 정서지능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유아 정서지능에 미치는 유아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정서지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유아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10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located at G City and H city in K province.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The Kaufman Assesment Battery for Children Second Edition, and The Self-Esteem Inventory for Young Children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lf-esteem of children is a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emotional intelligence. Furthermore problem behavior is a nega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daptive skills’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h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In addition, ‘emotional self-esteem,’ and ‘cognitive self-esteem,’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self-esteem and 'behavior symptoms.' a subordinate factor of problem behavior were additional predi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se results implied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emotionail intelligence for young children with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congnitive ability.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의 설립 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실태조사

        김낙흥(Kim, Nak-He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설립 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공립 유치원, 사립 유치원, 국․공립 보육시설, 민간․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루평균 수업시간과 하루평균 근무시간, 일주일 평균 근무일수, 평균연봉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수업시간에 비해 보육시설 교사의 수업시간 수가 더 많았고, 국․공립 유치원 교사를 제외한 사립 유치원 교사와 보육시설 교사의 대부분이 초과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교사 대부분이 6일 근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공립 유치원 교사를 제외한다면, 사립 유치원과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들의 봉급은 심각하게 낮은 수준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통합하여 영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실태를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현 근무환경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working cond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who were working in different early childhood programs(public and priviate kindergartens, and public and private day care centers) in terms of time spent on working with children per day, time spent on working in the programs per day, days spent on working in the programs per week, and their annual salar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public and private day care centers spent more time on working with children per day and that educators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in public and private day care centers overworked and spent more time on working in the programs than educators in public kindergartens did.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educator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worked 6 days per week and that except the public kindergarten educators, the educators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public and private day care centers earned very minimum salary for their work. The analysis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different programs suggests that Korean early childhood programs need to reduce teachers’ work hours and work days in the programs and to increase their annual income in order to provide high quality care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바람직한 아버지의 역할과 역할수행의 어려움, 사회적 지원에 대한 고찰

        김낙흥 ( Nak Heung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가 인식한 바람직한 아버지의 역할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아버지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려운 점은 무엇이며, 바람직한 아버지 역할수행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지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유반응형 질문지법을 통해 585명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인식한 바람직한 아버지의 역할은 놀이상대자로서의 아버지, 상담자로서의 아버지, 정서지원자로서의 아버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아버지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려운 점으로는 직장에서의 많은 업무량과 잦은 회식으로 인한 늦은 귀가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아버지 역할수행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지원으로는 교육비 지원, 무상교육, 육아휴직, 주5일 근무 등 국가정책의 개선을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으로 인식하였고, 아버지는 문화 및 놀이공간 조성 등의 문화적 환경의 개선을 중요한 사회적 지원으로 인식하였고 어머니는 가족 또는 아버지를 위한 교육 및 놀이 프로그램의 보급 등 교육환경의 개선을 좀 더 시급한 사회적 지원으로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parents` perceptions of what are the good father`s roles, what makes it difficult to be a good father, and what kind of social roles is necessary to be a good father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The subjects were 585 fathers and mothers who had young children and lived in Seoul. To conduct this study, a questionnaire asking the role of good father, difficulty in becoming a good father, and social roles for becoming a good father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frequencies in terms of the subcategori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early childhood parents perceived that good fathers play roles as a play-partner, a counsellor, and emotional supporter. The result also indicated that early childhood parents perceived that fathers had the most difficulty in becoming a good father due to their heavy work load and late returning home. Finally, the result showed that early childhood parents perceived that, in order to be a good father in Korean society, it would be necessary to reform the government policies for encouraging father involvement, extend more sociocultural environments for facilitating father-child interaction, and provide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upporting fath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김낙흥(Kim, Nak-He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역할갈등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주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역할갈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주임교사 167명이며, 연구도구는 유치원원감의 역할갈등을 조사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분석을 통하여 주임교사의 역할갈등 정도를 분석하였고 주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역할갈등 하위요인별 차이를 밝히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역할갈등의 5가지 하위요인 중 ‘역할갈등’으로 인한 갈등의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임교사의 일반적 배경 중 시설유형에 따른 역할갈등정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역할갈등 하위요인 중에서는 ‘역할 모호성’으로 인한 갈등이 주임교사의 보육교사 경력, 학력, 시설유형, 담당학급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d teachers’ role conflict on job performance in child-care centers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role conflict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their age, teaching experience, head teacher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child-care center, and class age.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7 head teachers who worked at child-care centers in Korea by using the survey asking head teachers’ role conflict in terms of 5 types of role conflict such as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leadership type, self-respect, and experience and method of resolving conflict.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data analysis and ANOVA using PASW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ead teachers had higher level of role conflict in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mong the 5 type of role conflic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d teachers’ role conflict by their age, type of child-care center, and class age. The analysises of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regulation for job position and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in child-care center and to provide systematic inservice education for them in order to reduce their role conflict and enhance their role performance.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은실 ( Kim Eun-sil ),김낙흥 ( Kim Nak-he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서울시 K구에 위치한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5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게는 같은 그림책을 읽어주기만 하였다. 실험은 8주간 주 2회 총 16차시에 걸쳐 이루어졌고, 사전ㆍ사후 검사를 위해 교사용 유아 리더십 측정도구와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 여부의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집단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하고 난뒤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은 토의활동을 실시하기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재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 발달을 위해 이러한 교육적 접근을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ffect the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S kindergarten located in K district, Seoul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included 48 five-year-old children: 23 for the experimental group, 25 for the comparison group. The teacher of the experimental group read aloud picture books and held discussion activities. The treatment was given 16 times to the experimental group from August 30 to September 23, 2015 (for about 8 weeks). Prior to and after the experiment,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were done. Each examination was done by measuring the children``s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sample t-test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leadership.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for every sub-construct of leadership assessment: challenge and confidence, respect for others, self-control, and problem solving.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ree sub-constructs of emotional assessment were encouraged: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and empathy.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did not affect their social skill which is included in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유아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능력과 유아-교사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경옥(Kim Kyoung-Ok),김낙흥(Kim Nak Heung),김성현(Kim Seong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교사의 배경 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른 문제행동 지도능력과 유아 교사 관계의 차이를 분석하고, 동시에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능력과 교사-유아 관계의 질에 대한 상관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와 K도에 소재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 교사 210명으로 유아문제행동 지도 검사도구와 유아-교사 관계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F검증과 t검증 및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연령, 경력에 따라서 문제 행동 인식과 문제행동 관리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아-교사 관계 중 갈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제행동 지도능력과 유아 교사 관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문제행동지도능력과 유아 교사 관계의 하위 영역 간에 정적 및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ability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s well as the correlation of them. The subject were 210 teachers working for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in S-si and K-do. Children s problem behavior guidance assess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ssessment were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The study also used SPSS 18.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eachers awarenes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according to teachers ages and care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rouble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according to teachers careers. Finally, there were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