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가 부모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나림(Kim, Na-Rim)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가 가지는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가 부모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부모의 가치관과 양육 태도 및 신념은 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으로서,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유아 역사교육을 위한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역사의식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 관심도가 부모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J시의 만 5세 유아의 부모 131쌍이다. 연구도구로는 Ramdhani, Naim 그리고 Sumardi(2019)와 장은경(2004)의 역사의식 검사지를 수정 보완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성인용 역사의식 검사지로, 유아편에 연구도구를 배부하고, 다시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SPSS 18를 이용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e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는 모두 보통 이상의 역사의식을 함양하고 있었으며,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역사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는 매우 높은 상관이 있었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가 높을수록 역사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역사의식과 인식도 정도와 부모 역사의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역사의식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부모변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parents levels of awareness and interest in history on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arents, as well as to fundamentally understand differences in this aforementioned consciousness in accordance to the degrees of awareness and interest of the parents. 131 pairs of parents in J City were interviewed in this study; research tools contributed by Ramdhani, Naim, and Sumardi (2019) as well as Jang Eunkyung (2004)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then distributed for us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18,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Scheffe post-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both parents had a generally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in regards to history, as well as greater awareness of the usefulness of history. Moreover,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awareness and interest in history in parents; the higher the degree of awareness and interest of parents, the higher their consciousness was in relevance to history. Th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ontribute to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arent variables in bette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interest,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history in relation to the cultivation of young children’s historical awareness.

      • 보육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불안과 적응과정 연구

        김나림 ( Na Rim Kim ) 영유아교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3년제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들이 보육실습과정에서 인식하는 불안의 정도와 실습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총 20명이며, 보육실습 전후에 Hart(1987)가 제작한 STAS를 번역한 신은희(2003)의 실습 불안도구를 사용하여 불안감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두 종속표본 t 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보육실습이 어떤 적응과정을 통하여 변화되어 가는지를 4명의 예비유아교사 저널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예비유아교사들은 보육실습을 통하여 불안감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또한 불안에서 시작된 보육실습은 불안감은 사라지고, 사회화 과정을 통한 교사로서 자신의 모습에 대한 긍정적 상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보육실습은 예비유아교사들의 불안감을 감소시키며, 교사로서의 긍정적인 자신감을 형성하고, 확신을 갖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t of anxiety and the adaptation process through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of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The subjects were 20 sophomore apprentic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feeling of anxiety were analyzed by the Instrument for Practice Anxiety (Shin, Eun-Hee, 2003-translated from STAS (Hart, 1987)) before and after the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and the two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o. In addition, how the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can be changed through some adaptation processes was analyzed from the journals of the student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feeling of anxiety has decreased notably. Moreover, the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have built up the feeling of conviction as a teacher and they have experienced the enjoyment from the affirmative communication with the children. Through these process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had a positive effect upon the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building up the feeling of efficiency as a teacher.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김나림 ( Kim Na-rim ),김지영 ( Kim Ji-you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변인에 따른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예비교사의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과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318명의 예비유아교사이며,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일원 변량분석 및 Scheffe 사후분석, Pearson 상관분석,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은 ``보통``보다는 높은 편으로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습경험이 있고, 문학교육에 대해 관심도가 높은 예비교사가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은 매우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교사교육기관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문학교육과정이 제공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literatur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used modified tool for the perception of literature education. The tool for literature teaching efficacy was also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the independent t-test, One-way-ANOVA, Scheffe post hoc tes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and Cronbach`` a. The result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literatur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highly positive. The more experience, in registering for literature courses and practice the subjects had, the more positive aspects they were able to show. The higher the interest in literature education subjects had the more positive aspects they were able to show. With regard to teaching efficacy, when subjects had more practical experience and higher interest, they showed high teaching efficacy. Thus, the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literatur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been identified.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J시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김나림(Kim Na Rim)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8 교육발전 Vol.38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연구로, 수업 내용, 수업 방법, 수업 환경 및 분위기, 교사 수업 태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미경과 이시자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전북 J시에 소재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에 의해 빈도, 백분율,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학급 특성에 맞게 재구성된 수업내용으로, 유아의 능동적 참여를 지원하는 수업 전략을 구성하며, 유아와 교사가 몰입하는 분위기에서 수용적이면서 허용적인 교사의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teaching contents, the teaching method, the teaching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ttitude for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7 colleg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ocated in Jcity, Jeolabukdo.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and completed from Lee Mi-Kyoung and Lee Si-Ja(2014). The frequency, the percentage, and the cross analysis process were conducted for the collected data, being used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e-service teachers answered ‘ the reconstructed class depending classroom characteristic’ for the good teaching contents, ‘ the class support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reschoolers’ for the good teaching method, the atmosphere absorbed by both preschoolers and teachers’ for the teaching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 the receptive and permissive attitude’ for teachers’ attitude.

      • KCI등재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컴퓨터에 대한 교수효능감, 태도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Kim Ji-Young),김영실(Kim Young-Sil),김나림(Kim Na-Rim)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컴퓨터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에 있는 4년제 W대학의 ‘유아와 정보공학’ 수강생인 예비유아교사 45명과 K시의 4년제 H대학에서 아직 교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예비유아교사 45명이다. 연구도구로는 심지은 (2001)의 「컴퓨터에 관한 교수효능감」도구와 Landerholm(1995)의 「컴퓨터에 관한 태도 검사」, Spodek(1987)의 「컴퓨터에 관한 불안감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는 Espinosa와 Chen(1996), Epstein (1993), Ainsa(1992), 김영실과 김나림(2003), 이현옥(2000)의 교육과정을 근거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고안한 14주간의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두 독립표본 t 검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컴퓨터에 관한 교수효능감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며, 컴퓨터에 대해 가지고 있는 불안감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ttitude and anxiety toward computer.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toward computer? 2) What i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toward computer? 3) What i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anxiety toward computer?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sophomore at W University in I city and H University in K city. The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in this study was constructed by researchers based on Espinosa & Chen(1996), Epstein(1993), Ainsa(1992), Kim & Kim(2003), Lee(2000)'s study. It was used over a 16-week period. And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ttitude and anxiety toward computer instrument was used Sim(2001), Landerholm(1995) and Spodek(1987). The date were administered and analyzed by M, SD, two independent t-tests with spss/pc program.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mputer course increased positively teacher's teaching efficacy toward computer and it increased positively teacher's individual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toward computer. The educational computer course increased positively preservice teacher's individual and professional attitudes toward computer and it decreased preservice teacher's anxiety toward computer.

      • KCI등재

        Women Judge Women:Disagreement amongst Women about Women in Wendy Wasserstein’s The Heidi Chronicles

        송정경,김나림,Jung-Gyung Song,Na Rim Kim 한국영미어문학회 2015 영미어문학 Vol.- No.117

        in British and American Language and Literature 117, 179-198. Wendy Wasserstein’s play The Heidi Chronicles appeared on Broadway in 1989, at the end of vehement second wave of feminism that prevailed during the 60’s, 70’s and up to the late 80’s, and at the beginning of the aftermath of the movement, labeled either post-feminism or the third wave. Presented to the public and critics at such a point of transition, the play sparked vigorous debate regarding its value as a “feminist” work of art. On the one hand, the play was welcomed as an introduction of feminism into mainstream theater, but on the other it was attacked for not being “subversive enough.” As the battleground of contesting feminist judgments, The Heidi Chronicles serves as a case study of the dynamics of women judging women and the impact of such judging on the actual lives of women. Specifically, we examine the history of how women judge women to be feminist or not, how such judgment can be confining as opposed to the liberation feminism as a whole aims for, and Wendy Wasserstein’s response to such judgment as a woman artist.

      • 동화 패러디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은원기(Eun Won Ki),김나림(Kim Na Rim)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7 교육발전 Vol.37 No.1

        본 연구는 동화 패러디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라북도 J시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38명(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19명)을 대상으로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와 유아 조망수용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분석을 위해 두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동화 패러디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과 조망수용능력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study what kinds of effects does fairy tale paroding hav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 object of study is 38 preschoolers younger than 5 years old in S kindergarten in city of J, Jeollabuk-do. We set 19 children as an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19 children in another class as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 group was proceeded fairy tale paroding after selecting a fairy tale book according to Nuri Curriculum, while a control group is only proceeded listening to the book. This experiments lasted for 12 weeks. We used K-CCTYC standardized by Kyung-Won Jeon(2010), as a research method to mesure creativity of children. Also, to mesure perspective taking ability of children, we used an perspective taking methods of Hudson, Forman and Brion(1982) which is translated and supplemented by Hyun-Ok Shin(1996). To see the effects of fairy tale paroding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we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pre/post-inspection of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and t-test was proceeded to the gap, pre-inspection subtracted from post inspection,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below.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 s creativity by fairy tale paroding.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 s perspective taking ability by fairy tale paroding.

      • KCI등재

        가정내 유아의 안전사고 유형과 부모의 변인에 따른 안전지식

        김지영(Ji-Young Kim),김나림(Na-Rim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0

        본 연구목적은 가정에서 발생한 유아의 안전사고 유형을 조사하고, 부모의 변인에 따른 안전지식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3-5세 자녀를 둔 부모 총 226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을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및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거의 대다수의 가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였고, 6개월 동안 평균 1.78회 정도 안전사고가 일어났다. 유아의 안전사고는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 충돌 및 충격에 의한 사고, 협착이나 끼임 사고, 추락사고, 찔림과 베임 사고, 화상, 이물질 삼킴과 흡입사고 순으로 발생되었다. 둘째, 부모 모두 ‘평균 정도 수준’의 안전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추락’과 ‘응급처치’ 영역에서 안전지식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업주부인 어머니가 취업한 어머니보다 전반적인 안전지식과 ‘화상’에 대한 안전지식이 높았다.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 ‘화재’ 영역에서 안전지식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안전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모안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지속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domestic safety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safety knowledge according to variables of parents. Subjects include 226 parents who have 3-5 year old infants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I-city, Jeollabuk-do. The study tools are modified and complemented questionnaire for the study purpose referred to the preceding research data and the literature. For the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the Duncan post-test were utili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afety accidents occurred at the majority of homes which have infant children.On average, the occurrence frequency was 1.78 times per six months. The accidentsinvolving infants occurred in the order of drop or slip, crash or impact, stricture or jamming, fall, stab or cut, burn, swallow or inhalation. Second, both parents had an average level of safety knowledge. There was a distinction in the areas of "fall" and "first aid" according the mother"s age. In addition, stay-at-home mothers had the higher level of safety knowledge compared with working mothers in the areas of "general safety knowledge" and "fire". There was a distinction in the area of "fire" according to the father"s age. Given these findings, safety training programs for parents to improve safety knowledge needs to be developed.

      • KCI등재

        유아동작교육,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에 따른 유아교사의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이종향(Jong Hyang Lee),김나림(Na Rim Kim),김치곤(Chi Gon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유아동작교육,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에 따른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여 유아체육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유아체육활동 인식 및 실태 조사와 관련된 문헌을 분석한 후 전문가 협의를 통해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일반적 배경,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유아체육활동의 실태, 유아체육활동 활성화 방안으로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예비교사시절에 유아동작교육,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가 있고 현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51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또는 χ²-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동작교육과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에 따라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있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eachers` completion of movement education or phy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paper discusses ways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After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 and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early childhood expert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1 questions related to “teachers` background”,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statu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activation plan for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51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completed movement education or phy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test and χ2-test.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ally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 i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