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워크상에서의 징후를 기반으로 한 공격분류법

        김기윤,최형기,최동현,이병희,최윤성,방효찬,나중찬,Kim Ki-Yoon,Choi Hyoung-Kee,Choi Dong-Hyun,Lee Byoung-Hee,Choi Yoon-Sung,Bang Hyo-Chan,Na Jung-Ch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3 No.4

        공격 발생시에 네트워크에 나타나는 징후정보를 수집하여 공격을 분류하는 징후기반공격분류법을 제안한다. 이 공격분류법은 공격 발생시 징후를 이용하므로 필요한 정보의 수집이 빠르고 알려지지 않은 공격에 대한 분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안하는 공격법은 두 단계로 공격을 분류한다. 단일 공격자로부터 단일 공격대상에게 나타나는 단일 공격들을 먼저 분류하고 단일 공격들이 서로 연관성 없는 다른 공격들인지 아니면 동일한 하나의 공격을 구성하는 연관된 공격인지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 제안된 공격분류법보다 정확하게 분산서비스거부공격이나 웜, Bot과 같은 공격을 분류할 수 있게 되었다. 제안하는 분류법을 이용하여 원과 분산서비스거부공격의 특정 및 근거리통신망에서 발생하는 공격의 특정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특정들은 새로운 웜이나 분산서비스거부공격 또는 근거리통신망에서 발생하는 공격들도 공통적으로 가지는 특정임을 보였다. We present a symptom based taxonomy for network security. This taxonomy classifies attacks in the network using early symptoms of the attacks. Since we use the symptom it is relatively easy to access the information to classify the attack. Furthermore we are able to classify the unknown attack because the symptoms of unknown attacks are correlated with the one of known attacks. The taxonomy classifies the attack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taxonomy identifies the attack in a single connection and then, combines the single connections into the aggregated connections to check if the attacks among single connections may create the distribute attack over the aggregated connections. Hence, it is possible to attain the high accuracy in identifying such complex attacks as DDoS, Worm and Bot We demonstrate the classification of the three major attacks in Internet using the proposed taxonom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토머스 헉슬리와 자연에서 인간의 위치

        김기윤 ( Kim Ki-yo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3 No.-

        토머스 헉슬리의 『자연에서 인간의 위치』는 현대 체질인류학의 정립에 중요한 이정표가 된 책이며 찰스 다윈의 진화이론을 인간의 영역으로 확장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문헌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에서 헉슬리는 인간의 진화는 분명한 사실이며, 이를 설명하려는 자연선택이라는 다윈의 가설은 종교적 또는 사변적 신념에 기대지 않는 가장 훌륭한, 아니 유일한 이론임을 설득력 있게 주장했다. 생물학적 자아란 인간의 형상이 신보다는 동물을 닮았다는 깨달음을 뜻하는 것이었고, 그 생물학적 자아의 존재를 깨닫게 하기 위해 헉슬리는 자신을 ‘다윈의 불독’으로 자칭하면서 윌버포스 주교와 같은 당시의 종교인들과 ‘격돌’을 벌였으며, 진리의 확신에 찬 ‘과학인’을 자처하면서 리처드 오웬과 같은‘아마추어’와 싸움을 벌였다고 이해되어 왔다. 그리고 『자연에서 인간의 위치』는 이 격돌의 결정(結晶) 으로 해석되어 왔다. 하지만 그 논쟁의 실제 상황을 복원해 보고 또 헉슬리 자신의 삶을 영국빅토리아 시대의 맥락 속에서 살피는 역사적 분석은 전혀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 분석에서 헉슬리는 자신과 아마추어 과학자 사이에, 그리고 자신과 종교인들 사이에 공론장을 만들기 위해 전투적인 수사를 동원하고 있었다. 그렇게 ``보여주기 전투``를 통해 만든 공론장을 통해 헉슬리는 당대의 종교인들이나 여타 지식인들과 함께 사회의 질서를 버텨 주는 문화적 권위를 만들고 지키려했다. 그리고 그 전투의 배경에는 당시의 문화와 과학은 물론 헉슬리 자신의 개인적 삶과 신념의 그림자들이 선명히 스며들어 있었다. Thomas Henry Huxley``s Man``s Place in Nature has been known well as important literature initiated modern physical anthropology. More famous image attached to the book has been its author``s role as an advocate of Charles Darwin``s theory of evolution; and indeed, in the book, Huxley claims the plausibility, if not veracity, of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Through his convincing argument in the book, Huxley carved out man``s biological self as a physical entity; and such image of man came to be the basis of our own modern self.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image of Huxley as Darwin``s bulldog, he embarked fierce battles against religious establishment represented by Bishop Wilberforce and against aristocratic scientific community represented by ``British Cuvier`` Richard Owen, in order to let them recognize that man is closer to the beasts than to the God. Furthermore, according to Huxley, man of science was truly qualified authority on the discussions about man``s place in nature, which had been known as the question of questions which had been the territory of religion and philosophy. Yet, Detailed analysis on the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around the publication of his book provides us of a surprising new perspective on the issue: Huxley was one of the public moralists who tried to reestablish cultural authority of the society working with, as well as fighting against, the other formerly established religious and aristocratic establishments. And during the process of his struggle to get such a goal, his personal experiences as well as his contemporary culture provided him of significant insights on his contemplations about man``s place in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후과학의 생산과 수용을 통해 살펴 본 현대과학

        김기윤(Kim, Ki-Yoon)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7 No.3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짙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 지구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일반적인 상식이 되었다. 그러나 지구온난화를 부정하거나 온난화가 인간의 활동에 의한 것은 아니라는 주장은 수그러들지 않았으며, 온난화에 대한 대응 역시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기후과학자들은 신뢰 받을 수 있는 절차와 내용을 갖춘 더 많은 그리고 더 정교한 과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기후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더 찾아내서 연구가 정치해지고 또 엄정한 연구심사 제도를 만든다고 해서 과학계 밖의 사람들에게 호소력이 커질 듯싶지는 않다. 이 글은 우선 기후과학이 만들어지고 또 소비되는 과정을 살펴서 기후과학의 존재론적 위상을 짚어보려 한다. 그를 통해 좋은 기후과학의 호소력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이유들이 드러날 것이다. 예를 들어 기후과학 자체가 과학행위와 정치행위의 공동산물이라는 점을 보여 줌으로써 좋은 과학이 어떤 과학인지 상당히 다른 의견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그 밖에도 현대의 기후과학에 의존하는 기후담론의 능동적인 수용을 망설이게 만드는 요인들이 있음을 살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대의 기후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대기온도의 변화 안에서만 읽게 만드는 지나치게 환원론적인 관견(管見)이라고 비판적으로 볼 수 있다. 그런 환원론적인 과학관이 사회를 장악하게 되는 과정에 대한 성찰들로부터 우리는 또한 현대의 기후과학을 자연을 비추어 주는 거울로 보기보다는 인간의 삶과 인류의 미래에 대한 기대와 함께 만들어지는 지식체계로 보는 과학관을 심각하게 천착해야 할 이유가 있음을 알게 된다. Anthropogenic global warming is common sense knowledge now. But it does not come to be common knowledge easily. It became to be so through climate scientists’ effort to convince people of the necessity of immediate actions against the upcoming danger. Geologist cum philosopher cum historian Namomi Oreskes was particularly successful in her effort to convince people, especially scientists, the urgency of the action, emphasizing the philosophical validity and scientific rigor of the climate sciences. Yet, lay citizens as well as policy makers seem to be rather nonchalant about climate issues related with the regulatory measure. Climate scientists demand more research funds for better scientific research, and social scientists suggest the formation of extended epistemic community of climate science enrolling lay audience and social scientists. These seem to be inadequate measure because both suggestions are based upon rather naive image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limate science, namely, age old image of science as the objective and autonomous knowledge system.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many reasons which make us hesitate to accept the implications of modern climate science wholeheartedly. Appealing modern climate science as a good science is not an effective strategy for environmentalists; and through contemplating the reason why, we reach fresh insights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cience in general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climate science in particular.

      • KCI우수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