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이방인의 현상학

        김광기(Kwang-Ki Kim)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슈츠의 ‘이방인’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그가 하고많은 학문적 주제 중에서 왜 하필 ‘이방인’을 다루게 되었을까?”란 질문을 제기하면서 그 답을 試論적으로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어떤 동기가 그로 하여금 ‘이방인’문제를 다루게 하였을까?"란 질문을 제기하는 것은 곧 “ ‘이방인’의 분석을 통해 진정으로 슈츠가 원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란 질문과 일맥상통하게 된다. 그리고 그것은 다시 풀어서 얘기하자면, “그 탐구를 통해 슈츠는 독자들을 어떤 지점으로 끌고 가고 싶어 했을까? 혹은, 어떤 곳에 독자들이 다다르기를 기대했을까?”란 질문들과 긴밀히 연계된다. 바로 이런 질문들에 대한 답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서, 슈츠는 현상학적 탐구의 핵심적인 주제로 간주했던 사회세계의 ‘자연적 태도’의 본질을 꿰뚫는 데, ‘이방인’의 분석이 결정적인 일조를 할 것으로 기대했다고 본 논문은 확신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offer a tentative answer to the question, "why did Alfred Schutz turn his attention to the issue of 'stranger' instead of other interesting subjects." Another way to pose this question would be "what motivated Schutz to take up the problem of 'stranger'?" and how is it related to the following question "what did Schutz really want to provide readers like us with, through his analysis of 'stranger'?" In other words, the original question can be easily translated into this question, "what conclusion did he want his readers to reach from the analysis of 'stranger'?" In short, this paper argues the analysis of the 'stranger' plays a critical role in figuring out the essence of the 'natural attitude' of the social world.

      • KCI등재

        ‘이방인’의 사회학을 위한 이론적 정초

        김광기(Kwang-ki Kim)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6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이방인’에 대한 사회학적 묘사이다. 아울러 이러한 ‘이방인’의 사회학적 기술이 사회학(이론)에 기여하는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문에서 주로 의존한 사회학자들은 짐멜, 슈츠, 고프만이다. 전자의 두 학자는 ‘이방인’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깊이 천착하여 직접 빼어난 논문을 썼던 사람들이므로 본 논문을 구성하는 데 핵심적인 이론적 틀을 제공해주었다. 반면, 고프만은 명시적으로는 ‘이방인’이라는 주제에 대해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은 사회학자이나, 그의 몇몇 개념과 그가 정교화시킨 ‘연극무대의 은유’가 ‘이방인’의 특성 규명에 암시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판단되어 준거로 삼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a vivid portrait of the “Stranger,” which is considered an appealing subject by many distinguished social thinkers as well as many others. Based mainly on the thoughts of Georg Simmel, Alfred Schutz, and Erving Goffman,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anger” and their contributions to the general sociological theory. Simmel and Schutz dealt directly with the issues of the “Stranger” and provided us with their profound insights into those problems. Goffman does not explicitly address any problem of the “Stranger.” However, I believe their views of human agency and social behavior are necessary and relevant to the analysis of the “Stranger,” thus Goffman is also mentioned in this paper. In order to draw a more accurate picture of the “Stranger,” this paper utilizes the dramaturgical analogy that Goffman manipulated in his earlier work.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베버, 뒤르케임, 슈츠, 그리고 2016~2017년

        김광기(Kwang-ki Kim)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2

        대한민국은 2016~2017년 사이 정권을 무너뜨리고 새 정권을 수립한 역사적 대변혁을 이루었다. 그 시기 대통령을 탄핵하고 새 정권을 탄생시킨 과정은 가히 혁명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는 격동기였다. 그래서 일반 시민들은 그것을 촛불혁명으로 부른다. 이 논문에서는 촛불혁명을 엄밀한 의미에서 학문적으로도 혁명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이 역사적 사건에 주목해 그 특징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를 함에 있어 본 논문은 사회학의 거장들인, 베버와 뒤르케임 그리고 슈츠를 함께 거론하고 있다. 얼핏 보면 이들은 혁명론의 선두주자라 할 수 있는 마르크스와 비교해 볼 때 혁명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이들로 간주되어 왔다. 그렇지만 필자가 볼 때 그들의 사회사상과 이론에는 우리의 촛불혁명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을 받을 부분이 충분히 녹아 있다고 판단되기에 그들의 사회학이론을 준거로 우리의 촛불혁명을 다루려고 한다. 물론 이들에 집중하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계급갈등과 투쟁에 기초한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설파한 마르크스는 제외했다. 요약하면 본 논문에서는 급격한 사회변동, 특히 혁명을 다루는 데 필수불가결한 세 가지 요소인 베버의 카리스마와 뒤르케임의 집합적 흥분, 그리고 슈츠의 일상생활세계의 자연적 태도(의 취약성)와 그 초월에 대해 상세히 다루고, 우리의 촛불혁명을 고찰함에 있어 그것들의 적용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베버와 뒤르케임 그리고 슈츠의 사회학 이론을 통해 촛불혁명을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The year between 2016 and 2017 in South Korea was the time for the historical and catastrophic change where the existing regime collapsed and a new political administration was brought by the raging citizens. The whole process of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and establishment of the new regime was definitely a revolutionary event without any bloodshed or forms of violence, thus enough to be called as ‘Candle-light Revolution’ by the vast majority of Korean citizens including scholars. Consider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a revolution from scholastic aspect as its entitlement by the mas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is historical event. To do so, this paper addresses Weber, Durkheim, and Schutz’s sociological insights regarding revolutions, and scrutinizes the Candle-light Revolution in the light of the three great thinkers’ ideas. These three sociologists, unlike Marx, have been found irrelevant to the notion of revolution, although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ir idea and theories do show essential connections to a revolution; however, those offer enough insights for comprehending and analyz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in part. Since the Candlelight Revolution was not brought due to the class conflict and struggle, rather than bridging the Marxist view to the analysis, this paper projects an analysis mainly focusing on Weber’s theory of charisma, Durkheim’s collective effervescence, and Schutz’s natural attitude.

      • KCI등재

        칼뱅, 베버, 파슨스, 그리고 미국 자본주의의 위기

        김광기(Kwang-ki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의 미국 경제위기와 관련해 대부분의 논객들이 위기를 초래한 원인으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론’이라는 경제영역의 한 요소를 거론하는데 이것에 만족하지 않고 그 보다 더 깊은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는 것이다. 한 마디로 말해서, 본 연구는 경제영역에서 불거진 문제를 경제영역 외적인 곳에서 찾는 노력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해서 미국인들의 관념과 태도의 영역에서의 특별한 징후를 발견해서 그것을 경제영역의 문제와 연결시켜보려는 것이다. 본 논문은 현재의 미국 자본주의경제체제의 위기를 미국 건국초기에는 미국인들에게 팽배해 있던 개신교적(청교도적) 윤리관, 그리고 그 후에 전개된 세속적인 가치관, 그리고 자신을 궁극적 목적으로 삼지 않고 자신은 단지 선한 것을 위한 도구일 뿐이라고 여기는 가치관이 와해된 것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a fundamental reasons for recent economic crisis in America, which toppled the global economy in general. It is widely said and focused mainly on the Sub-prime mortgage loan as a main trigger of such economic downfall. As a sociologist, I believe that there is a shortcoming to such view which is only analyzed in the economic arena. Thus, this paper goes deeply beyond the view of economist per se, and pursues to find the real trigger of the economic crisis in American citizen’s ideas and attitude. In recent years the way of American’s everyday life has been radically changed, which this paper explain and tries to connect such changes to the recent economic crisis.

      • KCI우수등재

        고프만(Erving Goffman), 가핑켈(Harold Garfinkel), 그리고 근대성

        김광기(Kim Kwang-Ki) 한국사회학회 2000 韓國社會學 Vol.34 No.SM

        본 논문은 근대성과 현대사회학이론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다음의 질문제기로부터 시작했다: ‘어떤 점에서 현대사회학이론은 현대적(근대적)인가?’ 특히, 본 논문은 이를 밝히기 위해 두 명의 사회학자, 어빙 고프만과 해롤드 가핑켈에 주목하면서, 그들 저작의 어떤 측면들이 근대성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사회학자의 전 저작을 다 다룰 수는 없었고 그들의 연구 생애 중 비교적 초기에 행해졌던-주로 1950년대-저작들 중에서 현저히 근대성과 관련지을 수 있는 구체적인 예들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의 목적은 이들의 저작 속에 반영된 근대성의 모습 또는 이해를 비교하는 데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 시도한 바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결실 중 하나는, 비록 두 사회학자가 ‘근대성’이라는 핵심적인 주제를 그들의 연구과제로 삼고 그 문제와 씨름하지는 않았다고 하더라도-그래서, 전혀 두 사람의 저작이 근대성의 주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할지라도-그들 저작 속에는 의도하지 않았던 근대성의 모습이 녹아 있으며, 우리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그들의 저작을 살펴보고 읽어 본다면 그러한 사실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begins by raising the question: What is modem about modem sociological theory? To examine this, this paper focuses on the early writings (mainly from the 1950’s) of two modem sociological theorists: Erving Goffman and Harold Garfinkel. However,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not to compare and contrast the two theorists’ understanding of modernity, but to simply examine modem aspects of the two leading twentieth-century theories of the social world. By arguing that there is a quite strong substan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ociologists’ early writings and modernity, I note the reflection of modernity in their work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