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 환경을 위한 미들웨어 설계 및 구현

        김경주,문상호,유영중,박성호,Kim, Kyoung-Ju,Moon, Sang-Ho,Yu, Young-Jung,Park, Seong-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3

        현재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스마트폰 플랫폼은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환경에 미들웨어를 도입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들웨어의 도입은 서버 시스템과 스마트폰 플랫폼의 상호 운용성을 높여 효율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러므로 급속하게 확장하는 스마트폰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미들웨어 개발은 필수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스마트폰 플랫폼 환경에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개발하고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미들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그리고 구현된 스마트폰 미들웨어의 성능 및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학환경의 스마트폰 응용과 캠퍼스 트위터를 개발하였다. The various Smartphone platforms that are used currently make difficult to build efficient applications("apps") for Smartphone. Introduction of middleware in the Smartphone environment is being studied to solve this problem. By enhancing interoperability between server systems and Smartphone platforms as introducing this middleware supports efficiently for Smartphone apps to be developed and managed. Thus, the development of this middleware for Smartphone has become essential for the purpose of responding actively to the rapidly expanding Smartphone market. In this research, we designed and implemented Smartphone middleware which optimizes the cost and time for developing new application service and maintaining it. In order to test this implemented middleware's performance and its capabilities, we also developed university Smartphone apps and activated campus twitter.

      • KCI등재

        다중 양중장비와 자재 야적 위치의 최적 결정을 위한 모델 개발

        김경주,김경민,이상규,Kim, Kyong-Ju,Kim, Kyoung-Min,Lee, Sang-Kyu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0 No.6

        본 연구에서는 여러 대의 타워 크레인이 다양한 후보지점을 갖고, 자재 역시 다양한 야적 후좌지점을 가질 때 자재 운반 최적화를 지원하기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형 건축공사에서 타워 크레인의 위치와 자재 야적 위치의 변화는 자재 운반시간의 변화를 가져온다. 또한 여러 대의 타워 크레인을 사용하는 경우 각 자재의 운반에 어떠한 타워 크레인을 배정하느냐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변화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의 타워 크레인 설치 후보지, 여러 종류의 자재, 자재 야적 후보지점간의 다양하고 복잡한 상관관계를 다루기 위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한 다중 양중장비 및 자재 야적 위치 최적화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모델을 사례에 적용하여 적용 과정을 예시하고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ptimal model for the layout of multiple tower cranes and material stockyards which have multiple candidate positions. In a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the positional allocation of tower cranes and material stockyard has an effect on the travel time of material hauling. In addition, in case of using multiple tower cranes, specific location of a tower crane allocated to each material determines the efficiency of the works. Current optimal model limited to the optimization of position of single tower crane and material stockyards. This study suggests optimal model both for the positions of multiple tower cranes and material stockyards. Layout of multiple tower cranes requires additional allocation of each crane to each material hauling and control o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ower cranes. This optimization model utilizes genetic algorithm to deal with complex interaction on the candidate positions of multiple tower cranes, material stockyards, and types of materials. In order to identify its utility, case study was performed.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학생들의 문제행동 개선과정 탐색

        김경주(Kyoung Ju Kim),서광봉(Kwang Bong Suh),이철원(Kwang Bong Lee)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3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gress of improvement of problem behavior of the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through church leisure activities and to suggest effective plans for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school violence. In this study, six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of leisure activities for more than 1 year among the students who were given punishment at school because of getting involved in school violence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progress of improvement of problem behavior of the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by grounded theory analytical method. The first, 72 concepts and 20 subcategories, and then seven super categories were abstracted from transferred data. The second, on axis of six paradigms; causal condition, situational context, major phenomenon, conciliatory condition, interaction strategy and result, the relationship of each category was investigated. The third, through the overall outline, the major phenomenon, willingness to improve problem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with leisure activities that increase it were focused, and core category, willingness to improve can be derived in the outline.

      • KCI등재

        문헌과 고고자료로 본 탐라의 대외교류

        김경주 ( Kim Kyoung-ju ) 호남고고학회 2018 湖南考古學報 Vol.58 No.-

        기원전 1세기 이후 삼한과의 교섭을 통해 성장한 주호가 3세기쯤 상위계층이 등장하면서 대외교류의 주체인 탐라정치체로 전환되었다. 용담동 철기부장묘는 바로 한반도 남부지역 제소국과의 교역체계에 참여했던 상위계층의 존재를 시사하는 것이다. 탐라는 3세기 후반까지 서남해안의 신미제국을 거점으로 연결되는 교역루트를 통해 마한의 선진문물과 함께 변진한 지역의 철기를 수입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즉 3~5세기대 탐라의 거점취락에서 출토되는 마한계 외래토기는 당시 영산강유역을 비롯한 서남해안 일대의 정치체와 상호 교류의 증거이다. 한편 영산강유역의 마한세력은 5세기 후반 동성왕의 무진주 친정으로 축소되고 6세기 전반경 백제가 섬진강유 역까지 진출하면서 직접지배 영역으로 포함된다. 이처럼 교역의 거점이었던 서남해안지역 마한세력의 소멸과 백제 의 영역확장은 탐라의 교역체계에 큰 위협이 되었고 이로 인해 무령왕 8년(508) 백제와 첫 통교를 하게 된다. 이후 탐라는 무령왕~위덕왕대 신속관계를 맺게 되는데 외교권을 위임한 채 자치권을 보장받는 간접지배 방식을 택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백제가 멸망하고 신라에 복속된 후에도 여전히 동일한 지배방식을 고수하고 있었다. 하지만 7세 기 후반 신라의 탐라 경략으로 직접지배 방식의 복속관계로 전환된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은 백제 신속 기간과 멸망 후 신라의 탐라 재경략 이전까지 종래의 곽지리식토기 전통이 잔존하고 있지만 백제와 통일신라 양식의 고고학적 물질문화가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는 것에서 비롯된다. 3세기대 등장한 탐라는 서남해안 지역의 정치세력을 기반으로 한반도 남부 지역의 다양한 정치체와 교역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교역루트는 백제의 영역확장과 신속 그리고 신라의 복속과 경략 과정에서 축소되고 와해되었지만 8세기 이전까지 國체제의 자치권을 인정받으면서 탐라라는 국명으로 지속되고 있다. It was around the third century AD that the upper class emerged among the Juho, which grew through its negotiations with three Hans since the first century BC, made a transition to the Tamna political system as the subject of foreign negotiations. The tombs with iron grave goods in Yongdamdong imply the presence of the upper class that participated in the trade system with the small states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seems that Tamna imported the advanced civilization of Mahan and the ironware of Byeonhan and Jinhan via the trade route networked around the Sinmi Empire along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third century. That is, the Mahan-style foreign pottery excavated at the base settlement of Tamna from the third to the fifth century is the proof that it had mutual exchanges with the political regimes along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including the basin of the Yeongsan River. The Mahan force around the basin of the Yeongsan River was reduced by King Dongseong’s direct rule over Mujinju in the latter part of the fifth century and included in the territory of Baekje’s direct rule in the former half of the sixth century when Baekje advanced to the basin of the Seomjin River. The extinction of the Mahan force along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which was Tamna’s base of trade, became a huge threat to its trade system along with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Baekje. Tamna thus made its first friendly relation with Baekje at the eighth year of King Munyeong’s rule(508). Since then, Tamna formed a relation of subordination with Baekje during the rules of King Munyeong to King Wuideok with its diplomatic rights delegated to Baekje and its autonomy guaranteed by it in the indirect rule structure. The same style of rule was maintained even after Baekje fell and was subjected to Silla. In the second half of the seventh century, Silla ruled Tamna and converted its old structure of indirect rule into that of direct rule based on subordination. These historical contexts derive from the remaining heritage of the old Gwakjiri-style pottery and the absence of clear archeological material culture in the styles of Baekje and Unified Silla between the period of its subordinations to Baekje and the fall of Baekje and Silla’s rule over Tamna again. Emerging in the third century, Tamna had a trade system with various political regimes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political force of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Its trade routes were reduced and collapsed in the process of Baekje expanding its land and subordinating Tamna to its rule and in the process of Silla’s subjugation and rule, but Tamna had its autonomy as a state system recognized and kept its name until the eighth centu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제주 예래동취락의 변천 -철기시대를 중심으로-

        김경주 ( Kim Kyoung-ju ),안재호 ( Ahn Jae-ho ) 호남고고학회 2024 湖南考古學報 Vol.76 No.-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예래동유적은 제주 남부지역에 위치하는 대형취락의 일부분 구역으로, 구릉 말단부를 구로써 구획한 독립공간에 해당한다. 주거지 265동과 수많은 수혈에 대한 계기연대법을 통해 5개로 양식편년하였다. 예래동유적은 탄소14연대에 따르면 대략 기원전 350년 전후에서 기원전 10년 전후의 시간대에 형성되었고 송국리형취락사회에서 탐라국으로의 교체기에 해당하는 취락이다. Ⅰ기에는 소수의 핵가족이 이주해와 흩어져 거주한다. Ⅲ기에 접어들면 인구가 증가하고 대형가옥이 등장하면서 생산활동의 주도권을 가졌으나 핵가족체의 군집인 세대공동가족체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일 뿐 식료 증대의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반면에 Ⅳ기에는 가옥의 수는 더욱 증가하고 동경과 무기형의 청동기와 철기가 도입되며 식료처리구도 압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당연히 잉여생산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데 대형가옥의 조영이 보이지 않아 보존구역에서 대형가옥을 찾아 이곳에 거주하였던 주인공을 취락을 대표하는 수장으로 상정하였다. 예래동취락에서는 잡곡 재배의 농경활동도 있었지만 어로활동이 중심이고 이에 따라 막대한 잉여생산도 가능한 제주의 환경에서는 농경사회가 아니라도 수장의 권한을 확대할 수 있고 결국엔 탐라국의 성립에 이를 수 있었다는 추정을 할 수 있었다. 그 권력의 중심에는 농경사회보다 더욱 공고한 가족체의 지배계층화가 두드러졌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이후 예래동취락을 비롯한 남부권 취락은 탐라시대로 접어들면 대부분 축소되어 간다. 이것은 탐라의 등장과 함께 중심취락이 서북부지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남부권 취락의 주민집단도 분산되거나 이주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Yerae-dong Settlement is one of the base settlements located in south Jeju Island and characterized as a separate area comparted by ditches. Using sequence dating, this research sorted out 265 houses in residential areas and many pit dwellings in the settlement into five periods. According to C-14 age dating, the Yerae-dong settlement had been founded and thrived approximately from 350 to 10 BCE and this makes it fall into the settlement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Songguk-ri culture to Tamnaguk. During Period I, a small number of nuclear families migrated to this area and formed distributed dwellings. As it reached Period III, the increased population led to the appearance of larger houses with leadership in production activities. However, the formation of generational communities from tethered nuclear households, characterizing this period, did not result in a dramatic increase in food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the further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s and the introduction of bronze mirrors and weapons and ironware during the IV Period accompanied the remarkable increase in food processing facilities. Despite this evidence of surplus production, no evidence has been found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large houses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this research assumes that the dweller of the large house in the preservation area was the chieftain of the settlement. Even though grains were also harvested, fishing activities were still at the core of its production. The natural resource of Jeju Island might have enabled even this non-agricultural to produce enough surplus necessary for the increased power of chiefdom, and in turn, for the foundation of Tamnaguk. This tendency that strong household units became a ruling class might be more noticeable in the Yerae-dong settlement than other agricultural settlements. As it entered into the Tamna era, most south settlements including Yerae-dong declined. It is assumed that, as the center of settlement gradually moved to the northwest in this time, communities in the south settlements also migrated or were dispersed.

      • 수소저장용기 제작을 위한 건식필라멘트 와인딩용 토우프리프레그 평가 방법 연구

        김경주(Kyoung-ju Kim),이후관(Hoo-kwan Lee),김병진(Byung-jin Kim),박용민(Yong-min Park),정연중(Yean-jung Jeong) 한국추진공학회 2020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7

        수소저장용기는 기체 상태의 수소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용기로 가스 상태인 수소의 기밀을 유지하고 700기압 이상의 내압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뼈대가 되는 라이너 위에 연속으로 탄소섬유를 감는 복합재료 성형법인 필라멘트와인딩(Filament Winding) 공법으로 제작한다. 필라멘트와인딩 공법은 습식과 건식으로 분류되며, 와인딩 정밀도가 높고 섬유와 수지의 체적비 조절이 쉬운 건식와인딩 방법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토우프리프레그는 건식와인딩을 위해 토우 한 가닥을 수지에 미리 함침시켜 놓은 프리프레그의 한 종류로서 수지/섬유 체적비가 일정하고 기계적 물성, 내열성, 내화학적 특성의 컨트롤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수소저장용기 제작을 위해 제조된 토우프리프레그의 소재의 중요 물성평가 방법을 서술하고 있다. The hydrogen storage container is a container for compressing and storing gaseous hydrogen at high pressure, and is a composite material forming method that continuously wraps carbon fibers on a liner that serves as a skeleton to maintain gas-tightness of hydrogen in the gaseous state and secure pressure resistance of over 700 atm. It is manufactured by the filament winding method. The filament winding method is classified into wet and dry, and is replaced by a dry winding method with high winding precision and easy control of the volume ratio of fibers and resins. Tow prepreg is a kind of prepreg in which one strand of tow is pre-impregnated with resin for dry winding. It has the advantage of constant resin/fiber volume ratio and control of mechanical properties,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properties. This study describes an important method for evaluating material properties of tow prepreg manufactured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storage containers.

      • KCI등재

        濟州道 赤褐色硬質土器 硏究

        김경주(Kim, Kyoung-Ju) 한국상고사학회 2001 한국상고사학보 Vol.35 No.-

        본고는 제주도 철기시대의 적갈색경질토기 기종중에서 대표적인 기종인 외반구연호의 속성분석을 통해 그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제주도의 적갈색경질토기는 속성분석을 통해 대략 4단계의 변화과정을 상정할 수가 있다. 먼저 1단계는 초기형으로 삼양동식토기인 Ⅰ·Ⅱ형식, 2단계는 변화형인 Ⅲ형식, 3단계는 완성형으로 곽지리식토기인 Ⅳ형식, 그리고 마지막으로 4단계는 곽지리식토기의 말기형으로 분류된다. Ⅰ·Ⅱ형식은 기원전 1세기경에 출현하여 기원후 1세기경에 해당되며 기원후 2~3세기경 Ⅲ형식으로의 변화를 거쳐 완성형인 Ⅳ형식은 3~4세기경에 해당된다. 또한 말기형은 곽지패총 7지구 2期에서 출토된 곽지리식토기의 퇴화형이 해당되며 4세기대 이후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제주도 적갈색경질토기의 완성형인 외반구연호의 구경과 동최대경의 비율을 살펴보면 1:1 이상인 곽지리식토기가 대표적임을 알 수가 있었다. 반면에 중도식토기는 0.7~0.8:1에 위치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구연부에 최대경을 두고 있는 곽지리식토기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늑도-군곡리식토기는 일정한 비율이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역시 또 다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도는 고립된 섬이기 때문에 해상이동을 통해서만 외부와의 접촉과 교류가 가능하다. 따라서 지리적으로 가까운 전남 남해안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제주도 적갈색경질토기는 기존의 무문토기 전통과 말기형 송국리형토기가 결합하는 배경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가 있으며 남해안지역과의 교류와 접촉등의 복잡한 맥락 속에서 그 변화과정을 구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stylistic change of reddish brown pottery excavated in Jeju Island of iron age by analyzing 157 pieces of pottery with an outward mouth. By comparing them with Jungdo Style pottery in the middle o Korean Peninsular, and Gungok-ri and Neokdo Style pottery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it also examin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reddish brown hard pottery with an outward mouth. According to the place of the largest diameter, the reddish brown hard pottery in Jeju Island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largest diameter of Ⅰ and Ⅱ types is placed on the body of pottery: Ⅲ and Ⅳ types on the outward mouth of the pottery. The frequency of each type shows that the pottery changed from the Ⅰ type to the Ⅳ type. Such a stylistic change tells the four periods. The 1st period dating around the 1st century B.C. is applicable to Samyang-dong Dwelling Site and Jongdal-ri Shell Mounds, where the Ⅰ and Ⅱ type(SamYang-dong Style Pottery) are excavated. In the 2nd period during the 2nd and 3rd centuries A.D., the Ⅲ type, which is excavated at Samyang-dong Dwelling Site and Gwakji-ri Shell Mounds, is dominant. The Ⅳtype called Gwakji-ri Style pottery is dominant in the 3rd period during 3rd and 4th centuries A.D. The last period of reddish brown hard pottery around the 4th century A.D. is applicable to Gwakji-ri Shell Mounds. Gwak-ji-ri Style pottery, whose largest diameter is placed on the outward mouth, represent the reddish brown hard pottery in Jeju Island of iron age. The largest diameter of Jungdo Style pottery in the middle of Korea Peninsular is placed on the body, while Gungok-ri and Neokdo Style pottery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do not have any typicality on the place of the largest diameter. Based on such a regional difference among the reddish brown hard pottery and the geographical situation of Jeju Island, the reddish brown hard pottery in Jeju Island are supposed to be developed by its own tradition of plain coarse pottery making on one hand, and the contacts with Songguk-ri Style plain course pottery and pottery with clay stripe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on the other h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