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국내 석재산지의 지역별 분포유형과 특성

        이춘오(Lee Choon Oh),홍세선(Hong Sei Sun),이병태(Lee Byeong Tae),김경수(Kim Gyeong Soo),윤현수(Yun Hyun Soo) 한국암석학회 2006 암석학회지 Vol.15 No.3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행되고 있거나 종료된 것으로 파악된 약 600여개소의 석재석산을 대상으로 지리적인 분포 유형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의 석재석산은 전국적으로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나 분포 유형의 구분은 가능하다. 석재석산이 가장 집중되어 분포하는 지역은 원주-제천-문경-거창-진안-남원-거금도로 이어지는 북북동 방향의 지역으로 국내 석재석산의 약 50%의 점유율을 보이며, 우리나라의 주요 석재벨트를 이루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강경-익산-김제 벨트, 경기도의 포천-의정부 일대, 충청남도의 보령일대가 주 석재채석산지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채석되었던 석재의 암종은 사암, 대리암, 슬레이트, 편암, 편마암, 응회암,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규장암, 각섬암, 반려암, 섬록암, 섬장암, 화강암의 15개 암종에 국한된다. 그러나 이들 중 현재는 화강암, 섬록암, 대리암 등의 7-8개 암종의 석재만이 생산되고 있으며 나머지 암종의 생산실적은 거의 없는 편이다. 국내에서 채석되었던 석재석산을 대표암종별로 분류하여 보면 심성암류가 87%, 퇴적암류 6%, 변성암류 4%, 화산암류 3%이며 심성암류에서는 화강암과 섬록암, 퇴적 암류에서는 사암, 변성암류에서는 대리암이 주요 채석대상 암종이다. 도별 점유율을 보더라도 모든 도에 분포하는 석재자원의 80-90%는 심성암류이며, 예외적으로 지질학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제주도는 화산암인 현무암 석재만이 개발되었다. 석재 암종별 분포를 보면 화강암 석재가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나 전남지역은 타도와는 달리 섬록암 석재 자원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강원도와 충청북도는 대리석 석재자원이 타도에 비해 비교적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충청남도는 사암(오석) 석재자원이 생산되는 유일한 지역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도마다의 석재의 품종이 다른 것은 그 지역의 지질학적 암층발달의 특성에 따른다. 국내 석재의 입도 분포를 보면 600여개의 석산 중 중립질 내지 조립질의 입도를 보이는 석산이 50%이상을 점하고 있으며, 거의 모두 화강암 석재이다. 그 다음으로는 세립질 화강암 석재로 약 10% 내외의 점유율을 나타낸다. Though there are more than 600 active and non-active dimension stone quarries in Korea, most quarries are small-scaled and non-active. Main dimension stone belt in Korea is distributed in the Wonju-Jecheon-Mungyeong-Geochang-Jinan-Namwon-Geogumdo area with NNE direction, which occupies about 50% of domestic dimension stone quarries. The other dimension stone belts occur in the Gangyeong-Iksan-Gimje area, the Pocheon-Ujeongbu area and the Boryeong area. The dimension stones in Korea have been produced from at least fifteen rock types: granite, diorite, syenite, gabbro, homblendite, basalt, andesite, rhyolite, tuff, felsite, sandstone, marble, gneiss, schist and slate. However, seven or eight rock types such as granite, diorite and marble are currently produced. The dimension stones are quarried out 87% from plutonic rocks (mainly granite and diorite), 6% from sedimentary rocks (mainly sandstone), and 3% from metamorphic rocks (mainly marble). Main rock types of the dimension stones are variable with respect to their production locality. In the Jeollanam-do area, most dimension stones are produced from diorite. Marble is mainly produced from the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areas. Black sandstone is exclusively quarried out from the Chungcheongnam-do area. Granite is most abundant dimension stone in Korea. Above 50% of the domestic dimension stones are medium-grained to coarse-grained granitic rocks, but fine-grained granite dimension stones have 10% of distribution. The color of the dimension stone varies with rock types. Most granite dimension stones have dominant colors of whitish gray and gray, which are produced from the Wonju, Gapyeong, Iksan, Namwon and Geochang areas. Pink-colored granites are rarely produced from the Mungyeong area.

      • KCI등재

        산사태예측도에 의한 석조문화재 주변의 산사태재해 가능성 분석

        김경수 ( Kyeong Su Kim ),이춘오 ( Choon Oh Lee ),송영석 ( Young Suk Song ),조용찬 ( Yong Chan Cho ),김만일 ( Man Il Kim ),채병곤 ( Byung Gon Chae ) 대한지질공학회 2007 지질공학 Vol.17 No.3

        산사태가 일어날 지점을 예측한다든지 사태물질로 인한 피해 예상지역을 알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는 산사태를 발생시키는 요인들이 여러가지가 있고 개개의 요인들이 산사태를 발생시키는데 기여하는 중요도도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산사태자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발생 메커니즘 규명과 통계적 해석기법을 통해 산사태 발생가능성의 예측과 위험지역의 분류가 가능해졌다. 석조문화재가 산사면 또는 그 직하부에 인접해 있는 경우는 산사태가 발생되면 재해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여름철의 집중호우 등에 의해 석조문화재 및 그 주변지역에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그로 인한 석조문화재의 피해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002년 8월 산사태재해로 인해 피해가 발생된 바 있으며 중요 석조문화재가 위치해 있는 실상사 백장암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산사태예측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산사태재해 가능성을 발생확률로 표현하여 등급별로 구분함으로써 석조문화재 및 그 주변지역이 산사태에 취약한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이러한 조사 및 해석기법을 앞으로 석조문화재 주변의 산사태재해 예측 및 평가를 위해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It is a very difficult thing to estimate an occurrence possibility location and hazard expectation area by landslide. The prediction difficulty of landslide occurrence has relativity in factor of various geological physical factors and contributions. However, estimation of landslide occurrence possibility and classification of hazard area became available correlation mechanism through analysis of landslide occurrence through landslide data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a damage possibility of a cultual heritage area due to landslide occurrence by a heavy rainfall. We make a landslide prediction map and tried to analysis of landslide occurrence possibility for the cultural heritage site. The study area chooses a temple of Silsang-Sa Baekjang-Am site and made a landslide prediction map. In landslide prediction map, landslide hazard possibility area expressed by occurrence probability and divided by each of probability degrees. This degree used to evaluate occurrence possibility for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landslide in the study site. For the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landslide hazard for the cultural heritage site, investigation and analysis technique which is introduced in this study may contribute an efficient management and investigation in the cultural heritage site, Korea.

      • KCI등재

        지질조건에 따른 자연사면 산사태의 기하학적 특성

        김경수 ( Kyeong Su Kim ),송영석 ( Young Suk Song ),채병곤 ( Byung Gon Chae ),조용찬 ( Yong Chan Cho ),이춘오 ( Choon Oh Lee ) 대한지질공학회 2007 지질공학 Vol.17 No.1

        자연사면에서의 산사태를 평가함에 있어 발생양상과 기하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지질을 달리하는 3개지역(장흥, 편마암류; 상주, 화강암류; 포항, 제3기퇴적암류)에서 발생한 산사태를 대상으로 지질조건에 따른 산사태의 기하양상을 분석하였다. 3개지역에서는 1998년 여름에 150~588 mm의 집중호우로 인해 총 1,582개의 산사태가 발생하였다. 이들 산사태를 조사하여 지질조건별 기하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사태는 90% 이상의 사면고도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고 70% 미만의 고도에서는 매우 낮다. 사면경사는 26~30o 범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20o 미만에서는 발생빈도가 매우 낮으며 이러한 양상은 지질별로 거의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규모는 부피로 보아 수십부터 수백를 넘는 경우도 있으며, 그 길이는 5~300 m, 폭은 3~50 m로서 좁고 긴 형태이고 깊이는 대부분 1 m 이내로서 매우 얕은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유형은 기반암의 표면을 파괴면으로 하여 그 상부에 위치한 토층이 미끄러지는 전이형슬라이드가주를 이루며, 토석류로 이뤄진 사태물질이 하부사면과 계곡부로 이동되면서 유동성산사태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The recognitions of geometrical characteristics and occurrence conditions are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landslides in natural terrains. In this paper,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are analyzed according to a geological condition in three landslides areas. The three landslides areas are classified to the geological condition. The three landslides areas are Jangheung, Sangju and Pohang. The geology of Jangheung area, Sangju area and Pohang area is gneiss, granite, and the tertiary sedimentary rock, respectively. During a heavy rainfall of 150~588 mm in these areas, 1,582 landslides have occurred in 1998.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analyzed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se landslides. The frequency of landslide is high exceedingly above 90% of a slope attitude, while the frequency is very low below 70%. The frequency of landslide is high exceedingly between 26o and 30o of slope angle, while the frequency is very low below 20o. The size of the landslides is ranged from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s . The length is ranged from 5 m to 300 m, and the width is ranged from 3 m to 50 m. Also, the depth is less than 1m. Therefore, the landslides in these areas have small width, long length and shallow depth. The type of the landslides is changed from transitional slide at the scarp to debris flow at the low part of slope.

      • KCI등재

        지질에 따른 토층사면의 토질공학적 특성

        김경수 ( Kyeong Su Kim ),이문세 ( Moon Se Lee ),조용찬 ( Yong Chan Cho ),채병곤 ( Byung Gon Chae ),이춘오 ( Choon Oh Lee ) 대한지질공학회 2004 지질공학 Vol.14 No.4

        대부분이 산악지형으로 구성된 부산지역은 도시의 발달로 인해 산지의 개발이 점차 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연구지역인 황령산일대도 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 중의 하나이다. 도시지역에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초래하는 산사태와 절취사면의 붕괴는 암반특성 못지않게 토질특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1999년 대규모 사면붕괴가 발생되었던 부산 황령산지역을 대상으로 지질에 따른 토질공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의 지질은 백악기 퇴적암과 화산암이 분포하고 있다. 사면의 토층은 점토와 실트가 섞인 모래로 분류되며,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은 각각 0.001~0.066㎏/㎠ 및 32~39° 의 범위로서 전단강도가 대체로 높은 지반으로 평가되었다. 투수계수는 2.34×10-4~2.58×10-2㎝/sec로서 보통정도의 투수성을 가지며, 지질별로는 퇴적암지역의 투수계수가 화산암지역에 비해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of construction works in mountainous areas by the urban development in Busan that is mainly composed of mountains. The study area, Hwangryeong Mt., is one of developing sites in the urban area, too. Landslides and cut-slope failures that occur large damages of human beings and the properties are influenced by soil characteristics as well as rock properties. This study analyzed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soil dependent on geology at Hwangryeong Mt. where a large slope failure had been occurred in 1999. Geology of the study area is composed of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and volcanic rocks. Soil layer of the slopes can be grouped into sand mixed with clay and silt. The cohesion is plotted between 0.001 and 0.066㎏/㎠. The friction angles are distributed in the ranges between 32° and 39°, meaning soil bearing a high friction angle. The permeability coefficients are plotted between 2.34×10-4cm/sec and 2.58×10-2㎝/sec, indicating fine sand and loose silt with a medium grade of permeability. The sedimentary rocks area shows relatively higher permeability coefficients than those volcanic rocks area.

      • KCI등재

        대도시 사면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경수 ( Kyeong Su Kim ),채병곤 ( Byung Gon Chae ),조용찬 ( Yong Chan Cho ),이춘오 ( Choon Oh Lee ),송영석 ( Young Suk Song ) 대한지질공학회 2007 지질공학 Vol.17 No.1

        대도시지역에서 산사태와 사면붕괴가 발생될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초래한다. 이러한 사면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요소가 내재된 사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사면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사면관리시스템은 사면안정성과 관련이 있는 지질요소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정보화하여 사면을 장기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지질특성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조사·분석·평가과정을 통해 적합한 사면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도시전역의 사면에 적용하여 사면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이 적절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부산 황령산을 시범지역으로 하여 대도시지역의 사면관리시스템 구축에 실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면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사면관리프로그램은 자연사면과 절취사면별 고유코드화, 사면조사와 시트작성, 사면안정성 평가와 분류, 사면자료의 체계적 데이터베이스와 정보화 및 사면정보 이용 등으로 요약된다. 그리고 GIS기반으로 모든 사면에 대한 조사, 시험 및 분석자료를 입력/관리하여 사면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로 이뤄져 있다. 이에 의하면 사면위치, 조사자료, 현장사진, 자료분석 및 사면안정성 평가결과 등의 모든 사면자료가 원활히 입력/출력/편집/관리/운영됨으로써 사면관리가 일목요연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대도시지역의 사면조건을 잘 반영하고 있는 부산광역시에 이를 적용하여 사면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앞으로 타 대도시에도 확대 적용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사면을 관리하고 사면재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In general, the life and asset casualties that occur due to landslide or slope failure in urban areas are larger than that in rural areas. In order to reduce the casualties, a slope management program is necessary to categorize slopes based on properties and to manage them systematically. The slope management system is the establishment of the data base for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factor according to slope stability, and the utilization of the data base to manage slopes. The suitable system must develop to slopes in urban area through the survey, analysis and evaluation process. Based on the above necessity, the slope management program which is applicable to slope management in an urban area has been developed at Hwangryung Mt. in Busan as a target area. The developed slope management program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slope ID number of each slope or sub-region of a mountain, making a slope data sheet, analysis and grouping of slope stability, and establishment of a data base. The slope management program is constructed by use of GIS, and the survey, test and analysis data according to all slopes can be input and edited into the program. The program can also be utilized practically by end users due to the convenient input, edition, printing, management and operation of slope data. Therefore, the slope management system has been established on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in Busan which is located in slope area. As the system is widely applied to other cities, the slope in urban area can be managed systematically and the slope hazards can be minimized.

      • KCI등재

        부산 장산지역에 분포한 절개사면의 특성

        송영석(Young-Suk Song),김경수(Kyeong-Su Kim),조용찬(Yong-Chan Cho),이춘오(Choon-Oh Lee),채병곤(Byung-Gon Chae)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3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사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부산 장산 지역의 절개사면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절개사면에 대한 특징들을 기록할 수 있는 조사용 사면 조사용 시트를 작성하였으며, 조사시트에는 사면정보를 체계적으로 기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부산 장산 일대의 절개사면은 총 69개소로서 대부분이 옹벽과 사면으로 이루어진 사면(CR)이다. 절개사면에 인접하고 있는 시설물로는 주거시설이 46개소, 학교가 12개소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절개사면의 평균 연장길이는 50m에서 150m로 분포하고, 높이는 10m에서 20m로 분포한며, 토층과 암반층이 혼재된 혼합사면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대부분 사면하단부에 옹벽이 설치되어 있으며, 옹벽 및 절개사면의 추가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앵커공, 배수공, 낙석방지공, 숏크리트공, 식생공 등이 보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information of cut slope in Mt. Jang area, Busan is investigated in order to construct the Slope Management System in Urban Area. The slope inspection sheet is made to record the characteristics for cut slopes, and that is capable to be inputted slope information systematically. The cut slopes in Mt. Jang area are consisting of 69 slopes. Most of the cut slopes are constructed in cutting slope and retaining wall (CR). The cut slopes located in housing facilities are 46 slopes, and the slopes located in school facilities are 12 slopes. The traverse of cut slopes is mainly ranged from 50 m to 150 m, and the height is mainly ranged from 10 m to 20 m. The slopes combined with soil and rock are mostly distributed. The retaining wall was installed in the toe part of cut slope in order to increase the slope stability, and the additional reinforcement methods including the anchor, drainage, preventing rock fall, shotcrete and vegetation were installed at the toe part of cut slo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