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계참조를 위한 건축선례의 미학적 정보체계 모형연구

        김경수,Kim, Kyong-Soo 한국건축역사학회 1996 건축역사연구 Vol.5 No.2

        Computerized visual database construction of architectural precedents has just begun in some research institutes in the world. In Korea the first visual database has shown its testl version by S architectural design firm in september 1996. In this article the author discusses the historical contexts and the recent computerization cases, the traits, the uses and the limits of architectural visual database system of precedents. The forms and contents of data fields in two cases are compared with a focus on the description of architectural traits of each data entry. Compared to the KIA format, the S database has better performance for architectural design reference because it collects more pictures and drawings and larger texts for the field of architectural chracteristics. But this latter also is constrained by its capacity of memory and so lacks the reciprocity of the DO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A visual database system which has more flexible allocation of memory and respondent with the users is yet to be prepared. But this system also should be maintained by some experts in architectural history, theory and criticism, because their knowledge is essential for selection of precedents and revision of the data description. A full-fledged electronic visual database in architecture will not only save much effort for the architect, but also will change the architects' design behavior. Nevertheless this does not mean the automatic promotion of architects' creativity.

      • KCI등재

        건축설계의 교육과 실천 -이탈리아 두 교수건축가의 사례연구-

        김경수,Kim, Kyong-Soo 한국건축역사학회 1992 건축역사연구 Vol.1 No.2

        The problem of separation between the teaching and the practice of architectural design in Korean universities has activated this study. Comparison between two professor-architects in Italy through their various activities has been made during the period of 1991-1992 in the Istituto Universitario di Architettura di Venezia. The names of the two professor-architects are Aldo Rossi and Franco Mancuso. Their teaching activities in their architectural design class with their assistants, their background and formation of architectural theory, and two realized (and prized) works of them have been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or oppositions) in their world-view and their attitudes towards architecture, the one as an empiricist, the other as a rationalist. But the most impressive observation must be the fact that all of them were coherent in their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although this raises another qustion about the 'rationality' in architecture.

      • KCI등재후보

        21세기 한국건축의 한 원천으로 본 신한옥 -최근 뉴욕의 몇몇 현대 건축에 대한 비평을 실마리로

        김경수 ( Kyong Soo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1 동양예술 Vol.17 No.-

        동양예술이 21세기에도 필요한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신한옥을 ‘새로운 한국의 건축(New Korean architecture)’으로 재규정하며, 과거지향적 ‘한옥’과 구별되는 신한옥의 정체성과 과제를 살피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 건축의 주류로서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미국 뉴욕의 몇몇 현대건축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이들이 한국 현대건축에 대해서도 식민주의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음을 문제로 제기한다. 신자유주의 세계화 경제체제 속에서 자본주의적 상품으로 전락한 사례를 들어, 세계건축계 조류 자체의 미학적 문제와 고전의 가치를 논하였다. 건강한 한국 현대건축이 탄생하는 데에, 한옥에 대한 관심과 새로운 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다물장원, 다물마루 등, 필자의 최근 조영사례도 간략히 소개하였으며 아울러 건축계의 한옥학습에 대한 희망적 전망도 피력하고 있다. 한국의 현재에 생명력을 갖는 신한옥(즉 한국 현대건축)은 전통건축의 역사를 창작의 원천으로 삼되, 현재의 문제를 반영하고 미래 삶의 전망을 아울러 담으려고 노력하는 다양한 시도를 향해 열려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thesis aims at a discussion over the necessity and identity of new-hanok as a case and also an origin of 21st century Korean-Art-Architecture. Through some critique and interpretation about several architecture works in New York, the author intends to give critical attention to some fashion-like architecture and at the same time to their imperialistic influences around the world. Trying to overcome the present colonialistic conditions and trends in Korean architecture-world, he also refers to some classic exampes of architectural works by Wright, Piano, Moneo, Kahn. To disseminate new hanok for the general public and also as a jump stand, he discusses some obstacles and the future tasks for Korean architecture.

      • KCI등재

        생활양식 2원 모델에 적절한 "한옥"의 미학적 과제 연구

        김경수 ( Kyong Soo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3 No.-

        ‘한국의 집’으로서 한옥의 다양한 가능성과 건축미학적 과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노년계층을 중심으로 내향성과 외향성의 2원적 성격 모델을 설정하고 이론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성격 모델과 함께 은퇴 이후 생활수준(기본/안정/여유)에 따라 적절한 규모, 공간의 성격과 그 구성에서 고려하여야 할 요건을 실제 사례를 들어 논의하였다. 이론적 모델을 구체적 설계에 적용할 경우 외향성과 내향성이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삶의 말년에 다가갈수록 내향성에 근접할 가능성과 함께 중심이 강조되는 구심적 공간이 중요해질 수 있음도 논하였다. For various aesthetic tasks and possibilities of Hanok as ``Korean architecture``, the author constructed a dual pole of introvert-extrovert personality model for the elderly, as a theoretical tool of analysis. Along with this model, the requirements for scale, atmosphere of the space and for its composition were discussed. Applying this theoretical model for concrete design situation, the introvert-extrovert personality also can be exposed in a same person, and there arise the tendency toward introversion showing the preference of centripetal space that puts emphasis on the center, as the elderly people get older.

      • KCI등재
      • 웹 기반 그리드 어카운팅 포탈 서비스 설계

        김경수(Kyong-Su Kim),김법균(Beob Kyun Kim),황호전(Ho Jeon Hwang),두길수(Gil Soo Doo),곽의종(Eu Jong Kwak),안동언(Dong Un Ann),정성종(Sung Jong Chung),장행진(Haeng Jin Jang)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Ⅲ

        최근 분산되어있는 이 기종의 컴퓨팅 자원들을 통합하는 그리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드는 여러 사이트에 있는 자원들을 공유하고 검색하고 통합하며 각각의 그리드 사용자의 정보를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환경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그리드 사용자 계정을 통합하고 그리드 사용자의 어카운팅 정보를 취합하는 그리드 어카운팅 포탈 서비스를 설계하였다.

      • KCI등재후보

        신한옥(新韓屋)의 미학적 문제와 지향 -다물장원을 통해 본 신한옥 기술 현대화 과제와 문화적 연속성 확보 사이의 긴장관계-

        김경수 ( Kyong Soo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1 동양예술 Vol.16 No.-

        한국 현대건축에서 형식주의와 윤리성 사이의 문제는 건축미학적 담론의 핵심적 주제이다. 새로운 건축기술이 도입되면서 기존의 문화적 전통과 갈등을 일으키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다. 그러나 한국 건축계가 보여주는 현대건축과 전통건축 분야의 완벽한 분리 상황을 극복하는 과제가 신한옥에 주어진다. 다물장원은 그에 대한 구체적 실천의 하나이며, 이 논문은 그에 대한 건축미학 측면의 반성이다. 한옥의 가치는 한옥이미지가 환기하는 정서적 분위기에 대한 복고적 향수에 압도되어 간과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 다물장원은 저탄소 친인체건축으로서 전통한옥이 갖는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신한옥을 실천하는 일에는 전통 기법과 현대적 기술 사이의 충돌과 선택 속에 미학적 문제와 그 해결과정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 지붕과 벽, 바닥의 구조와 재료 및 공법 등에서 자연재료의 사용방식은 물론 그 환경성능이나 비용에 대한 판단이 미학적 결정과 수시로 얽혀 들어가는 것이다. 한옥의 지붕 형식 현대화는 전통 형식에 대한 복고적 선호나 모더니스트의 거부 자세를 넘어서야 한다. 다물장원에서는 신한옥의 경사지붕과 처마를 비롯하여 팔작지붕과 맞배지붕 및 서까래와 당골막이 등 성능을 고려한 지붕구조와 재료 및 상세 결정이라는 구체적 기술적 과제 속에 미학적 문제가 대두되고 해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아울러 목구조 형식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벽체와 바닥 재료의 환경성능과 인체 친화성을 확보하는 처리방식 속에 시각적 인지가능성을 넘어서는 다양한 건축미학적 문제가 있음을 논하였다. 또한 현대적 버내큘러나 키치로 판단할 수도 있는 두사찰 건물 사례를 통해 한옥 형식을 재현하는 양극단의 경향을 비교하였다. 문화재급 전통 수공예를 반복하는 호화한옥의 복고적 자세보다는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대중의 저렴한 한옥에서 좀 더 건전한 건축미학적 정직성을 볼 수 있다. 다물장원은 한국의 현대예술로서 이 땅의 풍토와 기후에 적응하는 기술을 시도하면서 문화적 연속성을 구현하는 신한옥을 대중적으로 널리 보급한다는 미학적 지향과 실천을 보여 주고 있다. The conflict between formalism and ethics is the key theme in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struggle between the adopted new architectural technology and the existing cultural tradition is ubiquotous. Korean architects have special task of resolving the hard barrier between the modern vs. traditional sectors of architecture. Damulland, the new-hanok experiment site, is one of the concrete praxis upon such a challenge, and this article is an aesthetical reflection on it. The revivalist nostalgia of emotional milieu from the imagery of hanok has overridden Korean architecture-world forcing the general public blind over the genuine value of traditional hanok. In the Damulland the author keeps attention on the value of traditional hanok as a low carbon architecture and at the same time as a health raising architecture. In the practice of new-hanok, many aesthetic problems collide and are selected continuously within the traditional hanok craft and the new modern technology. The aesthetic decision, the judgement on the use of natural material and construction of roof, wall and floor, and the assessment of their cost and physical-environmental performance are always intermingled together. It is recommended that we overcome the revivalist preference or the rigid modernist refrain from the moderization of roof form in hanok. We could find out in Damulland, the raise and resolution of the aesthetic problems within the concrete technological tasks of decision of roof structure, its material and detail, considering their performance and style-the slant and eaved roof, the rectangular rafter etc. Furthermore, many aesthetic problems which are extended over the tangible visual perception are embedded in the very treatment of the wall and floor materials, maintaining the wood frame structure form and at the same time satisfying the performance and health criteria. In addition the author discussed extreme trends of hanok representation comparing two cases of hanok temple which could be regarded as examples of modern industrial vernacular and/or kitsch. We can find out aesthetically more honest and healthy attitude in the ordinary hanok of industrial production rather than the opposite craft-oriented carpenter``s superfluous luxurious revivalist repeat. The aesthetic intention and practice of the Damulland as a contemporary Korean art shows a case of realization of cultural continuity taming the construction technology for Korean land and weather.

      • 그리드 사용자에 대한 정책기반 접근 제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경수(Kyong Su Kim),김법균(Beob Kyun Kim),황호전(Ho Jeon Hwang),곽의종(Eu Jong Kwak),두길수(Gil Soo Doo),안동언(Dong Un ANN),정성종(Sung Jong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A

        차세대 통신에서는 컴퓨터자원들이 지속적으로 대용량화 · 고속화되는 추세이며 특히 생명공학, 유전공학, 유체역학, 기상기후 예측 등 여러 과학 분야에서 단일자원으로는 제공하기 힘든 계산 및 저장자원을 요구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리적으로 분산 되어있는 자원들을 연결하여 마치 단일차원을 사용하는 것처럼 해주는 서비스인 그리드가 대두 되었다. 그러나 그리드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DN(Distinguished Name)을 Remote Machine상에 Local User Account를 바인딩 시켜줘야 한다. 따라서 각 사이트 관리자는 그리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많은 그리드 사용자의 DN과 Local User Account를 바인딩 처리를 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사실상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사용자에 대한 정책기반 접근 제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